KR101602213B1 -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213B1 KR101602213B1 KR1020140026127A KR20140026127A KR101602213B1 KR 101602213 B1 KR101602213 B1 KR 101602213B1 KR 1020140026127 A KR1020140026127 A KR 1020140026127A KR 20140026127 A KR20140026127 A KR 20140026127A KR 101602213 B1 KR101602213 B1 KR 101602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delete delete
- hinge
- bulk cargo
-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은 바닥부를 기준으로 전, 후면부와 좌, 우측면부로 이루어져 벌크 화물이 이송되는 버킷으로서, 상기 버킷은 바닥부가 전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벌크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킷을 통해 벌크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한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식 하역기는 선박을 통해 이송된 벌크 화물(석탄, 곡물, 시멘트, 광물)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항만에 접안된 선박에 연속식 하역기를 위치시켜 작업을 실시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속식 하역기(10)는 다수개의 버킷(50)이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컨베이어 체인(3)은 스프라켓 휠(6)에 감긴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스프라켓 휠(6)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될 경우 다수개의 버킷(50)에 담긴 벌크 화물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저장소(5)를 향해 낙하된다.
버킷(50)은 연속식 하역기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되는 최정점 위치(A)에서 저장소(5)를 향해 벌크 화물이 낙하되도록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바닥판(51)이 수평하게 연장되므로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판으로 다량의 벌크 화물이 낙하되어 선박으로 회귀됨으로써 하역 효율이 저하되었다.
또한 버킷(50)은 B위치에서 내부에 담긴 잔여 벌크 화물이 낙하될 때 바닥판(51)이 수평하게 연장됨으로써 저장소(5)로 벌크 화물이 낙하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상기 바닥판(51)에 쌓이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해 컨베이어 체인(3)으로 낙탄이 낙하되면서 마모가 발생됨으로써 연속식 하역기(10)의 내구성 저하와 수명 저하를 유발하였다.
또한 버킷(50)에 다량의 벌크 화물이 담긴 상태에서 후면판(53)의 상측에 벌크 화물이 적재되지 못하는 빈 공간(데드 존)이 발생되어 하역 효율이 저하되었다.
또한 컨베이어 체인(3)과 연결되는 제1 힌지부(54)는 바닥판(51)의 하면에 형성되는데, 이 경우 바닥판(51)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 장기간 사용시 바닥판(51)이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제2 힌지부(55)는 후면판(53)의 상측에 형성되는데, 이 경우 제2 힌지부(55)와 컨베이어 체인(3)과의 연결 거리가 증가되면서 버킷(50)의 회전에 따른 모멘트 하중이 증가되어 상기 제2 힌지부(55)의 위치에 크랙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연속식 하역기에 설치된 다수개의 버킷을 통해 벌크화물을 이송할 때 발생되는 낙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부를 기준으로 전, 후면부와 좌, 우측면부로 이루어져 벌크 화물이 이송되는 버킷으로서, 상기 버킷은 바닥부가 전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전면부와 좌, 우측면부의 상부 외측을 따라 고정된 가이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전면부와 좌, 우측면부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 브라켓에 고정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전면부에 위치된 제1 고정 브라켓과, 후면부에 위치된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1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은 지지 부재의 후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전면부의 외측을 감싸며 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바닥부에서 전면부 및 좌, 우측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연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바닥부에서 후면부 사이에 라운드 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부는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부는 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벌크 화물의 낙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후면부와 상기 좌, 우측면부의 일부 구간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킷은 연속식 하역기의 컨베이어 체인과 연결되는 체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연결부는 후면부 하측과 상측에 각각 형성된 제1,2 힌지부; 상기 제1,2 힌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부는 후면부의 하측을 향해 위치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후면부와 수직으로 직교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 연결부는 상기 제1,2 힌지부와 지지 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은 바닥부를 기준으로 전, 후면부와 좌, 우측면부로 이루어져 벌크 화물이 이송되는 버킷을 포함하되, 상기 버킷은 바닥부가 전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고 상기 바닥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탄성부에 의해 탄지된 부착탄 방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탄 방지부는 일단이 상기 바닥부의 내측 테두리에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길이 방향에 설치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고정판의 상부를 향해 회전가능 하게 위치된 회전판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전면부와 좌, 우측면부의 상부 외측을 따라 고정된 제1 가이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는 상기 전면부와 좌, 우측면부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 브라켓에 고정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전면부에 위치된 제1 고정 브라켓과, 후면부에 위치된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바닥부에서 후면부 사이에 라운드 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부는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부는 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은 상기 벌크 화물의 낙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후면부와 상기 좌, 우측면부의 일부 구간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제2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연속식 하역기를 통해 벌크 화물을 이송할 때 발생되는 낙탄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연속식 하역기의 하역 효율 향상과, 스프라켓 휠의 마모로 인한 고장 발생을 예방하여 안정적인 하역 작업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버킷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다량의 벌크 화물이 이송되는 도중에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버킷 교체에 따른 비용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져 운영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버킷 한 대당 보다 많은 양의 벌크 화물이 적재되어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속식 하역기에 설치된 버킷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종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작동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작동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종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작동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1)은 연속식 하역기(10)의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벌크 화물의 이송을 위해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전, 후면부(120,130)와 좌, 우측면부(140,15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닥부(110)가 전면부(120)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버킷(1)은 연속식 하역기(10)에서 벌크 화물이 하역될 때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로 하역된 벌크 화물이 직접적으로 쌓이는 현상이 방지되어 연속식 하역기(10)의 하역 효율이 향상되고 보다 신속하게 다량의 벌크 화물을 하역할 수 있다.
바닥부(110)는 전면부(120)를 향해 θ1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는데, 상기 경사각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직각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경사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버킷(1)은 전면부(120)와 좌, 우측면부(140,150)의 상부 외측을 따라 고정된 제1 가이드 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160)는 전면부(120)와 좌, 우측면부(140,150)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62)를 더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부(160)는 버킷(1)에 담긴 다량의 벌크 원료를 하역하거나 반대로 담고자 할 때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구비되고, 좌, 우측면부(140,150)에서 후면부(130)로 갈수록 하향 경사짐으로써, 벌크 원료를 하역할 때 좌, 우측면부(140,150)에서 전면부(120)를 향해 다량의 벌크 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하역시 좌, 우측면부(140,150)의 외측 방향으로 낙하되는 낙탄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낙탄으로 인한 분진 발생이 방지되어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컨베이어 체인(3) 및 버킷(1) 주위에 낙탄이 최소한으로 낙하됨으로써 마모로 인한 컨베이어 체인(3)의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경사부(162)는 후면부(130)를 제외한 전면부(120) 및 좌, 우측면부(140,150)에 형성되어 벌크 화물이 하측으로 하역될 때 하측으로 바로 낙하되지 않고 최대한 포물선에 가깝게 낙하 형태를 가이드 하여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킷(1)은 전면부(120)가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는데, 이 경우 다량의 벌크 원료를 하역할 때 전술한 경사부(162)로 이동되는 벌크 원료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162)의 경사각과 유사한 경사각으로 경사지므로 낙하되는 벌크 원료의 낙하 형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버킷은 내부에 부착탄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되도록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후면부(130)는 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데, 상기 후면부(130)가 수직 상태로 연장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면부(130)에 부착되는 부착탄이 최소화되어 벌크 원료를 하역할 때 버킷(1)의 후면부(130)에 잔존하는 부착탄 량이 최소화된다.
버킷(1)은 바닥부(110)에서 전면부(120) 및 좌, 우측면부(140,150)를 향해 상향 경사진 연결판(20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판(200)은 전면부(120) 및 좌, 우측면부(140,150)의 연결 부위를 직각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θ2)으로 연결하여 부착탄의 부착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버킷(1)을 통해 벌크 화물이 하역될 경우 바닥부(110)에서 전면부(120)가 직각 상태로 연결되지 않고 연결판(200)에 의해 연결 각도가 확장되어 상기 전면부(120)를 향해 이동되는 벌크 화물이 이동될 때 특정 위치에서 정체되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버킷(1)은 바닥부(110)에서 후면부(130) 사이에 라운드 부(300)가 형성되는데, 상기 라운드 부(300)는 전술한 후면부(130)와 함께 벌크 화물이 하역되는 동안 라운드 부(300)에 부착탄이 부착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다량의 벌크 화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버킷(1)은 벌크 화물의 낙하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해 후면부(130)와 좌, 우측면부(140,150)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제2 가이드 부(400)를 더 포함한다.
제2 가이드 부(400)는 전술한 제1 가이드 부(160)와 함께 벌크 화물의 안정적인 하역을 위해 버킷(1)이 연속식 하역기(10)의 가장 높은 위치인 최정점 위치(A)에서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원심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벌크 화물의 낙하 각도를 가이드 하여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로 벌크화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 부는 상기 후면부로부터 연장됨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 보다 상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 부(400)는 후면부(130)의 외측 상부 수직 방향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좌, 우측면부(140,150)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부를 따라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버킷(1)을 통해 벌크 화물이 하역될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낙하되는 낙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으로 벌크 화물이 하역되지 않고 저장소(5)를 향해 안정적으로 벌크 화물이 하역되므로 불필요한 낙탄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낙탄으로 인한 컨베이어 체인(3)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버킷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내측에 지지 부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부재(30)는 전면부(120)와 후면부(130)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 브라켓(20)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30)는 버킷(1)을 통해 다량의 벌크 화물이 담길 때 버킷(1)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지지 브라켓(20)은 전면부(120)에 위치된 제1 고정 브라켓(22)과, 후면부에 위치된 제2 고정 브라켓(24)에 의해 버킷(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2 고정 브라켓(22,24)에 의해 지지부재(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비틀리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으로 버킷(1)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시킨다.
제1 고정 브라켓(22)은 지지 부재(30)의 선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1 삽입 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브라켓(24)은 지지 부재(30)의 후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2 삽입 홈(24a)이 형성되어 지지 부재(30)의 양단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2 삽입 홈(22a, 24a)의 외측에는 용접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2 삽입 홈(22a, 24a)은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나 상기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 브라켓(22)은 전면부(120)의 외측을 감싸며 밀착 고정되므로 벌크 화물이 버킷(1)에 담기면서 지지 부재(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버킷(1)은 연속식 하역기(10)의 컨베이어 체인(3)과 연결되는 체인 연결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연결부(500)는 후면부(130) 하측과 상측에 각각 형성된 제1,2 힌지부(501,502)와, 상기 제1,2 힌지부(501,50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플레이트(5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힌지부(501) 및 제2힌지부(502)는 버킷의 후면부(130)에 위치되며, 링크(미도시) 또는 핀(미도시)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3)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3)이 스프라켓 휠(6)을 감싸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힌지부(501) 및 제2힌지부(502)를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 체인(3)에 안착된 상기 버킷(1) 또한 컨베이어 체인(3)의 회전각도 내지는 스프라켓 휠(6)에 대한 컨베이어 체인(3)의 접선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버킷(1)은 체인 연결부(500)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체인 연결부(500)는 무한 회전되는 컨베이어 체인(3)이 연결되는 곳으로서, 상기 버킷(1)은 자체 하중과 다량의 벌크 화물이 담긴 후 버킷(1)의 자체 하중과 벌크 하물의 하중이 더해진 상태에서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이동 및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제1,2 힌지부(501,502)의 위치와 지지 플레이트(510)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집중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및 크랙 발생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버킷(1)은 바닥부(110)와, 전, 후면부(120, 130)와 좌, 우측면부(140,150)가 스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닥부(110)는 후면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이루어므로 상기 바닥부(110)에 제1 힌지부(501)를 위치시키지 않고 후면부(130)에 위치시켜 버킷(1)이 벌크 화물의 하역을 위해 회전될 때 발생되는 집중 하중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힌지부(501)는 후면부(130)를 기준으로 45도 경사진 방향에 설치되므로 바닥부(110)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회피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후면부(130)에 하중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이동 및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하중 집중에 의한 파손이 방지된다.
제2 힌지부(502)는 후면부(130)와 수직으로 직교되어 후방을 향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될 경우 컨베이어 체인(3)과 연결되는 연결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므로 상기 버킷(1)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모멘트 하중이 감소되어 후면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된다. 따라서 버킷(1)이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이동 및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하중 집중에 의한 파손이 방지된다.
제1,2 힌지부(501,502)는 서로 마주보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지지 플레이트(510)와 연결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 플레이트(510)가 복수개로 구성되므로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크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체인 연결부(500)는 제1,2 힌지부(501,502)와 지지 플레이트(5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503)가 설치되는데, 상기 보강재(503)는 컨베이어 벨트(3)를 따라 이동 및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2 힌지부(501,502)에 집중되는 집중 응력의 일부를 전달받아 지지 분산하여 크랙 발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버킷(1)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파손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은 다량의 벌크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저장소로 하역하는 과정에서 버킷의 내측에 부착탄이 최소화되도록 부착탄 방지부가 설치되어 부착탄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1a)은 연속식 하역기(10)의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벌크 화물의 이송을 위해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전, 후면부(120,130)와 좌, 우측면부(140,15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닥부(110)가 전면부(120)를 향해 상향 경사지고, 바닥부(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탄성부(40)에 의해 탄지된 부착탄 방지부(600)가 설치된다.
부착탄 방지부(600)는 일단이 바닥부(110)의 내측 테두리에 고정된 고정판(610)과, 상기 고정판(610)의 길이 방향에 설치된 힌지(2)를 매개로 상기 고정판(610)의 상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회전판(620)을 포함한다.
부착탄 방지부(600)는 벌크 화물이 버킷(1a)에서 외측으로 낙하될 때 바닥부(110) 또는 바닥부(110)의 모서리 위치에서 발생된 부착탄을 최소화시켜 부착탄으로 인한 하역 효율을 방지하고 보다 신속하게 다량의 벌크 화물을 저장소(5)로 하역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바닥부(110)의 모서리 위치에 회전판(620)이 위치되고, 상기 회전판(620)의 상면에 부착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회전판(620)의 회전에 의해 부착탄을 외측으로 털어 버리고자 한다.
부착탄 방지부(600)는 회전판(620)이 힌지(2)를 매개로 고정판(610)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다량의 벌크 화물이 버킷(1)에 담긴 상태에서는 상기 벌크 화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판(620)이 탄성부(40)를 압축시켜 고정판(610)과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버킷(1)이 연속식 하역기(1)의 최정점 위치(A)에서 회전될 경우 회전판(620)이 탄성부(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힌지(2)를 중심으로 고정판(610)에서 이격되어 외측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620)에 부착된 벌크 화물을 저장소(5)를 향해 낙하시킬 수 있게 된다.
회전판(620)은 탄성부(40)에 의해 고정판(610)에서 이격되어 힌지(2)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버킷(1)의 회전과 함께 고정판(610)에서 이격되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회전판(620)에 부착된 부착탄을 저장소(5)로 낙하시킬 수 있다.
탄성부(40)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버킷(1)은 부착탄 방지부(600)와 함께 벌크 화물의 안정적인 하역을 위해 바닥부(110)가 전면부(120)를 향해 상향 경사지고, 전면부(120)를 향해 θ1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는데, 상기 경사각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직각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경사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로 인해 연속식 하역기(10)에서 벌크 화물을 하역할 때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에 하역된 벌크 화물이 직접적으로 간섭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연속식 하역기(10)의 하역 효율이 향상되고 보다 신속하게 다량의 벌크 화물을 하역할 수 있다.
버킷(1)은 전면부(120)와 좌, 우측면부(140,150)의 상부 외측을 따라 고정된 제1 가이드 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160)는 전면부(120)와 좌, 우측면부(140,150)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62)를 더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부(160)는 버킷(1)에 담긴 다량의 벌크 원료를 하역하거나 반대로 담고자 할 때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구비되고, 좌, 우측면부(140,150)에서 후면부(130)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므로써, 벌크 원료를 하역할 때 좌, 우측면부(140,150)에서 전면부(120)를 향해 다량의 벌크 화물이 보다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다. 또한 하역시 좌, 우측면부(140,150)의 외측으로의 낙탄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낙탄으로 인한 분진 발생이 최소화되어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컨베이어 체인(3) 및 버킷(1) 주위에 낙탄이 최소한으로 낙하되어 마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경사부(162)는 후면부(130)를 제외한 전면부(120) 및 좌, 우측면부(140,150)에 형성되어 벌크 화물이 하측으로 하역될 때 하측으로 바로 낙하되지 않고 최대한 포물선에 가깝게 낙하 형태를 가이드 하여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킷(1)은 전면부(120)가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는데, 이 경우 다량의 벌크 원료를 하역할 때 전술한 경사부(162)로 이동되는 벌크 원료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162)의 경사각과 유사한 경사각으로 경사지므로 낙하되는 벌크 원료의 낙하 형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버킷은 내부에 부착탄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되도록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후면부(130)는 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데, 상기 후면부(130)가 수직 상태로 연장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면부(130)에 부착되는 부착탄이 최소화되어 벌크 원료를 하역할 때 버킷(1)의 후면부(130)에 잔존하는 부착탄 량이 최소화된다.
버킷(1)은 바닥부(110)에서 후면부(130) 사이에 라운드 부(300)가 형성되는데, 상기 라운드 부(300)는 전술한 후면부(130)와 함께 벌크 화물이 하역되는 동안 라운드 부(300)에 부착탄이 부착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다량의 벌크 화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버킷(1)은 벌크 화물의 낙하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해 후면부(130)와 좌, 우측면부(140,150)의 일부 구간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제2 가이드 부(400)를 더 포함한다.
제2 가이드 부(400)는 전술한 제1 가이드 부(160)와 함께 벌크 화물의 안정적인 하역을 위해 버킷(1)이 연속식 하역기(10)의 가장 높은 위치인 최정점 위치(A)에서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원심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벌크 화물의 낙하 각도를 가이드 하여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가이드 부(400)는 후면부(130)의 외측 상부를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좌, 우측면부(140,150)를 향해서도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버킷(1)을 통해 벌크 화물이 하역될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낙하되는 낙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으로 벌크 화물이 하역되지 않고 저장소(5)를 향해 안정적으로 벌크 화물이 화역되므로 불필요한 낙탄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낙탄으로 인한 컨베이어 체인(3)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버킷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내측에 지지 부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부재(30)는 전면부(120)와 후면부(130)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 브라켓(20)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30)는 버킷(1)을 통해 다량의 벌크 화물이 담길 때 버킷(1)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지지 브라켓(20)은 전면부(120)에 위치된 제1 고정 브라켓(22)과, 후면부에 위치된 제2 고정 브라켓(24)에 의해 버킷(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2 고정 브라켓(22,24)에 의해 지지부재(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비틀리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으로 버킷(1)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시킨다.
제1 고정 브라켓(22)은 지지 부재(30)의 선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1 삽입 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브라켓(24)은 지지 부재(30)의 후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2 삽입 홈(24a)이 형성되어 지지 부재(30)의 양단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2 삽입 홈(22a, 24a)의 외측에는 용접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2 삽입 홈(22a, 24a)은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나 상기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 브라켓(22)은 전면부(120)의 외측을 감싸며 밀착 고정되므로 벌크 화물이 버킷(1)에 담기면서 지지 부재(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버킷(1)은 내부에 다량의 벌크 화물이 담긴 상태에서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연속식 하역기(1)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되는 최정점 위치(A)로 이동된 후에 버킷(1)의 회전 각도의 증가에 따라 내부에 담긴 다량의 벌크 화물이 하측을 향해 하역된다.
버킷(1)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므로 버킷(1)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제1,2 가이드 부(160,400)에 의해 낙하 방향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와 간섭되지 않는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낙하되므로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에 벌크 화물이 잔존하거나 직접적으로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저장소(5)를 향해 낙하 된다.
벌크 화물은 버킷(1)에서 저장소(5)로 낙하될 때 경사진 바닥부(110)와 연결판(200)을 경유하여 낙하되므로 컨베이어 체인(3) 또는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를 향해 벌크 화물이 낙하되는 양이 최소화되므로 하역 효율이 저하되거나 상기 컨베이어 체인(3)으로 낙탄이 낙하되지 않아 마모로 인한 수명 저하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버킷(1)은 B위치에서 내부에 담긴 잔여 벌크 화물이 낙하되는 동안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경사진 바닥부(110)에 의해 잔여 벌크 화물이 바닥부(110)에 적층되거나 낙하되는 량이 최소화되므로 버킷(1)의 하역 효율과 수명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버킷(1)은 내부에 다량의 벌크 화물이 담긴 상태에서 컨베이어 체인(3)을 따라 연속식 하역기(1)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되는 최정점 위치(A)로 이동된 후에 버킷(1)의 회전 각도의 증가에 따라 내부에 담긴 다량의 벌크 화물이 하측을 향해 하역된다.
버킷(1)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므로 버킷(1)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제1,2 가이드 부(160,400)에 의해 낙하 방향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와 간섭되지 않는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낙하되므로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에 벌크 화물이 잔존하거나 직접적으로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저장소(5)를 향해 낙하 된다.
벌크 화물은 버킷(1)에서 저장소(5)로 낙하될 때 경사진 바닥부(110)와 연결판(200)을 경유하여 낙하되므로 컨베이어 체인(3) 또는 전방에 위치된 다른 버킷의 바닥부(110)를 향해 벌크 화물이 낙하되는 양이 최소화되므로 하역 효율이 저하되거나 상기 컨베이어 체인(3)으로 낙탄이 낙하되지 않아 마모로 인한 수명 저하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버킷(1)은 A위치에서 다량의 벌크 화물이 하측으로 낙하되면서 바닥부(110)의 테두리에 위치된 회전판(620)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부착탄이 부착될 수 있으나, 버킷(1)이 벌크 하물을 하역하기 위해 회전될 경우 탄성부(40)를 압축하던 벌크 화물이 하역되면서 순간적으로 회전판(620)을 가압하던 하중이 해제되면서 탄성부(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판(620)이 힌지(2)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회전되는데, 이 경우 회전판(620)에 부착된 부착탄이 원 위치된 회전판(62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하측을 향해 낙하되어 상기 버킷(1)에 잔존하는 부착탄량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버킷(1)으로 이루어진 연속식 하역기(10)에 부착되는 부착탄량이 최소화됨으로써 효율 상승과 낙탄으로 인한 컨베이어 체인(3)의 마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수명이 연장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버킷
20 : 지지 브라켓
30 : 지지 부재
40 : 탄성부
22, 24 : 제1,2 고정 브라켓
22a, 24a : 제1,2 삽입 홈
110 : 바닥부
120, 130 : 전, 후면부
140, 150 : 좌, 우측면부
160 : 제1 가이드 부
162 : 경사부
200 : 연결판
300 : 라운드 부
400 : 제2 가이드 부
500 : 체인 연결부
501, 502 : 제1,2 힌지부
503 : 보강재
510 : 지지 플레이트
600 : 부착탄 방지부
610 : 고정판
620 : 회전판
20 : 지지 브라켓
30 : 지지 부재
40 : 탄성부
22, 24 : 제1,2 고정 브라켓
22a, 24a : 제1,2 삽입 홈
110 : 바닥부
120, 130 : 전, 후면부
140, 150 : 좌, 우측면부
160 : 제1 가이드 부
162 : 경사부
200 : 연결판
300 : 라운드 부
400 : 제2 가이드 부
500 : 체인 연결부
501, 502 : 제1,2 힌지부
503 : 보강재
510 : 지지 플레이트
600 : 부착탄 방지부
610 : 고정판
620 : 회전판
Claims (24)
- 바닥부를 기준으로 전, 후면부와 좌, 우측면부로 이루어져 벌크 화물이 이송되는 버킷을 포함하되,
상기 버킷은,
바닥부가 전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좌, 우측면부의 상부 외측을 따라 고정되되,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좌, 우측면부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 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부의 외측 상부 수직 방향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좌, 우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 부의 상부를 따라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탄성부에 의해 탄지된 부착탄 방지부가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닥부의 내측 테두리에 고정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길이 방향에 설치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고정판의 상부를 향해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버킷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 브라켓에 고정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전면부에 위치된 제1 고정 브라켓과, 후면부에 위치된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1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은 지지 부재의 후단부가 부분 삽입되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전면부의 외측을 감싸며 밀착 고정되며,
상기 버킷은 상기 바닥부에서 전면부 및 좌, 우측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연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에서 후면부 사이에 라운드 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는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후면부는 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며,
연속식 하역기의 컨베이어 체인과 연결되는 체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연결부는 후면부 하측과 상측에 각각 형성된 제1,2 힌지부;
상기 제1,2 힌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부는 후면부의 하측을 향해 위치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후면부와 수직으로 직교되어 위치되며,
상기 체인 연결부는 상기 제1,2 힌지부와 지지 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는 상기 후면부로부터 연장됨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 보다 상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6127A KR101602213B1 (ko) | 2014-03-05 | 2014-03-05 |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6127A KR101602213B1 (ko) | 2014-03-05 | 2014-03-05 |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4416A KR20150104416A (ko) | 2015-09-15 |
KR101602213B1 true KR101602213B1 (ko) | 2016-03-10 |
Family
ID=5424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6127A KR101602213B1 (ko) | 2014-03-05 | 2014-03-05 |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21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0956B1 (ko) | 2012-08-02 | 2013-02-07 |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
KR101270194B1 (ko) | 2011-11-25 | 2013-05-31 | 한국산기 주식회사 |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39123A (ja) * | 1996-11-14 | 1998-05-26 | Nikko Co Ltd | バケットエレベータのバケット |
JPH10194467A (ja) * | 1997-01-17 | 1998-07-28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連続式アンローダのバケットガイド装置 |
KR100844652B1 (ko) | 2006-12-12 | 2008-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셀의 방열판 |
-
2014
- 2014-03-05 KR KR1020140026127A patent/KR1016022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0194B1 (ko) | 2011-11-25 | 2013-05-31 | 한국산기 주식회사 |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
KR101230956B1 (ko) | 2012-08-02 | 2013-02-07 |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4416A (ko) | 2015-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186945A1 (en) | Wing pulley having central reinforcing disk | |
US8033385B2 (en) | Steep angle pipe conveyor | |
US20140027321A1 (en) | Container | |
EP2592028A1 (en) | Grain sweep conveyor | |
US4562918A (en) | En-mass conveyor for verticle or steep delivery of bulk material | |
KR101602213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버킷 | |
KR101991293B1 (ko) |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 |
US9637317B2 (en) | Conveyor belt idler systems | |
JP5371516B2 (ja) | 積付・払出し装置 | |
US5526922A (en) | High lift bucket | |
JP6189086B2 (ja) | 連続アンローダ、連続アンローダ施設及び連続アンローダの運転方法 | |
US9284125B2 (en) | Wing pulley having central reinforcing disk | |
KR20120104656A (ko) | 하역용 버킷 | |
JP2009137679A (ja) | アンローダのバケット | |
WO2013176061A1 (ja) | 連続アンローダ、連続アンローダ施設及び連続アンローダの運転方法 | |
JP5434074B2 (ja) | 作物整列装置 | |
US7537103B2 (en) | Portal-type scraper reclaimer with bent reclaimer boom | |
JP2012020810A (ja) | ベルトコンベヤ | |
JP6284753B2 (ja) | 連続アンローダ | |
KR100682088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굴곡부 부상장치 | |
US20220299287A1 (en) | Deflecting device | |
JP2005231797A (ja) | バケットコンベアシステム | |
US20240083329A1 (en) | Multi-thickness ore unloading mat | |
KR101583076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낙탄 방지 장치 | |
CN101775994B (zh) | 一种用于固体物料垂直连续投放的托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