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896B1 -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896B1
KR101601896B1 KR1020140113861A KR20140113861A KR101601896B1 KR 101601896 B1 KR101601896 B1 KR 101601896B1 KR 1020140113861 A KR1020140113861 A KR 1020140113861A KR 20140113861 A KR20140113861 A KR 20140113861A KR 101601896 B1 KR101601896 B1 KR 10160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user
terminal
servi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융성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896B1/ko
Priority to US14/837,614 priority patent/US101589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statistics of usage or network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or volume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USAGE HISTORY OF SMART PHONE, RECOMMENDING USER FITING APPLICATION AND PROVIDING RESEARCH SERVICE BASED ON REWARD USING SMART PHONE OPTIMIZING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 등도 기존 휴대폰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꼽힌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소프트웨어) 장터'를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경로는 다양하나,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검색 및 선택하고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에 원하는 앱을 설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3083호(발명의 명칭: 앱 다운로드 시스템, 스마트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앱 설치 방법)에서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앱을 제공하고, 간편하게 사용자간에 앱을 공유하거나 추천하는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는 앱의 다운로드 수, 기존에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앱과의 연관도, 리뷰수나 평점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앱을 추천하였다. 그러나, 다운로드 수는 사용자들이 받은 앱의 90% 이상이 1회 이하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없으며, 앱간의 연관도 역시 사용되지 않는 앱에 대해서는 무의미하다. 또한, 리뷰수나 평점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어뷰징(abusing) 방법들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진성 사용자에 대한 리뷰나 평점 등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앱 개발자들이나 앱 판매자들의 관점에서는 단순히 주어지는 정보뿐만이 아니라, 국가별/타겟유저별로, 실제로 어떤 앱이 얼마나 사용되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니즈(needs)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어떤 앱을 새로 개발하고자 할 때, 사업성을 판단하기 위해 특정 데이터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앱마켓별 또는 앱별 순위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거나, 다운로드 순위를 구간별로 제시한다. 결국, 앱 개발자들이나 앱 판매자들은 별도의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들의 회상에 근거한 답변과 같은 주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하는 수준으로 사업성을 판단한다.
스마트폰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의 설치 및 활용이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최적화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 사용내역을 수집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수집된 사용내역에 기반하여 정량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떠한 상황일 때, 어떠한 앱을 실행시키거나 활용하는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다른 앱을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리워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단말 사용내역에 대한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리서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가입 동의, 상기 입력정보 및 상기 사용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사용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리서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 동의, 상기 입력정보 및 상기 사용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스마트폰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의 설치 및 활용이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최적화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 사용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사용내역에 기반하여 정량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떠한 상황일 때, 어떠한 앱을 실행시키거나 활용하는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다른 앱을 추천할 수 있다.
리워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단말 사용내역에 대한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는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앱 구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앱 구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앱을 추천하는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리서치 시스템의 리서치 서비스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다른 앱을 추천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리서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는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서비스 시스템(110), 단말(120) 및 파일 배포 서버(130)를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용자가 단말(120)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서버장치일 수 있다.
단말(120)은 단말(120)에 설치되는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내역 정보를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단말(120)을 도시하고 있으나, 한 명의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들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들이 다수의 단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용자별로 또는 단말별로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파일 배포 서버(130)는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와 같이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앱의 설치파일을 배포하는 서버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파일 배포 서버(13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앱의 개발자나 별도의 판매자/배포자가 앱의 설치파일을 자체적으로 배포하기 위해 구성된 서버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파일 배포 서버(130)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수의 파일 배포 서버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수의 파일 배포 시스템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원하는 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원하는 앱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단말(120)을 이용하여 파일 배포 서버(130)에 접속하고, 제어 앱의 설치파일을 단말(120)로 다운로드 받아, 제어 앱을 단말(120)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 앱은, 사용자의 다운로드를 유도하고, 단말(120)에서 상시 동작하기 위해, 백신 기능을 포함하는 백신 앱이거나 단말(120)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최적화 앱일 수 있다.
백신 앱은, 악성코드를 검색하거나 손상된 파일 등을 복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최적화 앱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120)의 메모리를 정리하거나 불필요한 임시 파일 및/또는 앱 삭제 후 남은 파일 등을 정리하여 단말(120)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백신 앱이나 최적화 앱은 단말(120)에서 상시 동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제어 앱을 구동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단말(120)에서 구동되어 단말(12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앱을 확장하여 설명하면, 제어 앱은 단말에 설치되어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앱은 단말(120)에서 구동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다양한 사용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하도록 단말(120)을 제어할 수 있다.
(a) 사용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앱에 대한 정보
(b) 사용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앱들 중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앱에 대한 정보
(c) 사용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앱들 중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앱에 대한 정보(일정 기간 이내에 사용되었거나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앱)
(d) 사용자가 사용하는 앱별 사용시간, 구동횟수, 시간점유율 또는 구동점유율 등에 대한 정보
(e) 사용자가 사용하는 앱의 조건(상술한 앱별 사용시간, 구동횟수, 시간점유율 또는 구동점유율 등)에 따른 순위에 대한 정보(일례로, 시간점유율이 높은 앱 순위, 구동점유율이 높은 앱 순위(1위부터 10위까지))
(f) 사용자가 앱을 통해 제공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
이러한 사용내역 정보들은 제어 앱이 단말(120)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새로운 앱을 단말(120)에 설치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앱을 구동시키는 경우에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앱에 대한 정보는 제어 앱이 단말(120)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어 앱에서 단말(120)에 설치된 앱들을 스캔하여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에는 새로운 앱이 설치될 때마다 새로운 앱에 대한 정보가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단말(120)에서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구동 여부와 무관하게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에 대한 정보는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단말(120)에서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 내지 (f)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앱을 구동시킬 때마다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단말(120)에서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시스템(110)은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ㄱ) 사용자가 설치한 앱들의 카테고리 및/또는 사용자가 앱을 통해 제공받은 컨텐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관심사를 파악 및 저장
(ㄴ) 사용자가 설치한 후 일정기간 이상 실행하지 않은 앱들에 대한 정보
(ㄷ) 사용자가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 리스트
(ㄹ)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지는 않았어도,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는 앱 목록
(ㅁ)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앱 리스트의 앱들을 주로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앱 리스트
서비스 시스템(110)은 정량적인 분석 외에도, 사용자가 앱을 구동시킨 목적에 대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앱을 통해 제공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어떠한 앱을 구동시켰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보다, 앱을 구동시켜서 무엇을 하였는가 또는 무엇을 위해 앱을 구동시켰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 앱은, 스마트폰은 사용 리스크가 높은 관계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백신 앱이나 최적화 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백신 앱이나 최적화 앱을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제어 앱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앱 구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가 단말(120)에서 구동된 특정 앱(이하, 앱 A)을 이용하여 사이트/페이지(210)에 접속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단말(120)에 설치된 제어 앱은 구동된 앱 A에 대한 정보와 사이트/페이지(210)의 URL에 대한 정보를 분석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 A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앱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20)은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앱 A에 대한 정보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URL 그리고 사용작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방문한 페이지들의 URL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이트/페이지(210)의 URL을 이용하여 사이트/페이지(2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이트/페이지(210)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앱 A를 구동시킨 목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이트/페이지(210)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사이트/페이지(210)의 카테고리나 사이트/페이지(210)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이트/페이지(210)에 포함된 이미지나 동영상 등에 대한 이미지/동영상 분석(이미지 매칭 또는 동영상 매칭)을 이용하여 사이트/페이지(210)에 대해 분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예에서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용자가 방문한 페이지들이 포함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앱 A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 a에 방문하여 상품 b에 관심을 가졌음을 파악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서비스 시스템(110)이 사용자의 앱 구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날짜 앱 명칭 접속 URL 관심 컨텐츠
20140701 앱 A http://www.aaa.co.kr 상품 a
20140707 앱 B http://www.appstore.bbb.com 앱 D
20140710 앱 A http://www.aaa.co.kr 상품 b
일례로, 표 1은 사용자가 "2014년 07월 01일"에 사이트 "https://www.aaa.co.kr"에 방문하여 "상품 a"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앱 A"를 이용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1은 사용자가 "2014년 07월 07일"에 사이트 "https://www.appstore.bbb.com"에 방문하여 "앱 D"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앱 B"를 이용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사용자가 앱들을 어떠한 목적을 위해 구동시키는가에 대한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도 2에서는 단말(120)이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사이트/페이지(210)의 URL을 전송하고, 서비스 시스템(110)이 URL을 이용하여 사이트/페이지(210)에 접속 및 분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120)이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직접 사이트/페이지(210)에 대해 키워드 분석 또는 이미지/동영상 분석 등을 실행하여 분석 결과를 "앱 A"에 대한 정보와 함께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앱은 "앱 A"와 사이트 "https://www.aaa.co.kr"간에 송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사이트 "https://www.aaa.co.kr"에 방문하여 어떠한 행위를 수행하고 있는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앱은 사용자가 "앱 A"를 구동시켜 사이트 "https://www.aaa.co.kr"에 방문하여 "상품 A"를 구매하였음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정보를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하도록 단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표 1은 아래 표 2와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날짜 앱 명칭 접속 URL 사용자 행위
20140701 앱 A http://www.aaa.co.kr 상품 a 구매
20140707 앱 B http://www.appstore.bbb.com 앱 D 다운로드
20140710 앱 A http://www.aaa.co.kr 상품 b에 대한 정보 구독
다시 말해,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용자가 앱을 구동하여 어떠한 컨텐츠에 관심을 보였는가 뿐만 아니라, 해당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행위를 하였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앱 구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가 단말(120)에서 특정 앱(이하, 앱 E)를 구동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단말(120)에 설치된 제어 앱은 구동된 앱 E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110)은 구동된 앱 E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앱 E의 다운로드 페이지 및/또는 개발사 페이지(310)에 접속하여 구동된 앱 E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앱 E를 구동한 목적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시스템(110)은 단말(120)로부터 수집된 앱 E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앱 E의 다운로드 페이지 및/또는 개발사 페이지(310)에 접속하여 앱 E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페이지 및/또는 개발사 페이지(310)에 대한 키워드 분석이나 이미지/동영상 분석 등을 이용하여 앱 E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사용자가 어떠한 컨텐츠를 얻기 위해 앱 E를 구동시켰는가에 대한 구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아래 표 3은 서비스 시스템(110)이 사용자의 앱 구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한 다른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날짜 앱 명칭 다운로드/개발사 페이지 관심 컨텐츠
20140702 앱 E http://www.eee.com 게임 E
20140706 앱 E http://www.eee.com 게임 E
20140707 앱 B http://www.fff.co.kr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B
이와 같이, 서비스 시스템(110)은 사용자가 단순히 어떠한 앱을 구동시켰는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앱과 연관된 사이트에서 해당 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앱을 구동시킨 목적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앱을 추천하는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410)은 상술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다른 앱을 추천하는 서버장치일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410)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서비스 시스템(110)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비스 시스템(110)과 통신하여 분석결과를 수신 및 활용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410)은 사용자가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나 페이지 또는 사용자가 즐겨찾는 컨텐츠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다른 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추천된 다른 앱을 파일 배포 서버(130)에서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는 앱의 다운로드 수, 기존에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앱과의 연관도, 리뷰수나 평점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앱을 추천하였다. 그러나, 다운로드 수는 사용자들이 받은 앱의 90% 이상이 1회 이하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없으며, 앱간의 연관도 역시 사용되지 않는 앱에 대해서는 무의미하다. 또한, 리뷰수나 평점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어뷰징(abusing) 방법들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진성 사용자에 대한 리뷰나 평점 등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반면, 서비스 시스템(410)은 사용자가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이나 즐겨찾는 사이트/페이지/컨텐츠를 기준으로 다른 앱을 추천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연관도가 매우 높은 앱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무한정 늘어나고 있는 앱들 중에서 자신에게 알맞은 앱을 추천받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앱 개발자들이나 앱 판매자들의 관점에서는 단순히 주어지는 정보뿐만이 아니라, 국가별/타겟유저별로, 실제로 어떤 앱이 얼마나 사용되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니즈(needs)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어떤 앱을 새로 개발하고자 할 때, 사업성을 판단하기 위해 특정 데이터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앱마켓별 또는 앱별 순위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거나, 다운로드 순위를 구간별로 제시한다. 결국, 앱 개발자들이나 앱 판매자들은 별도의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들의 회상에 근거한 답변과 같은 주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하는 수준으로 사업성을 판단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앱 개발자들이나 앱 판매자들은 사용자들이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앱 개발자들이 새로운 앱을 개발하고자 할 때나 앱 판매자들이 새로 개발된 앱들을 런칭할 때, 사용자들이 어떤 앱을 어떠한 용도(목적)로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해 정확히 판단함으로써, 개발 또는 런칭될 앱들에 대한 사업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축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의 단말의 사용내역에 대한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리서치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리워드에 기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리서치 시스템의 리서치 서비스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5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서비스 시스템(110)이나 서비스 시스템(410)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비스 시스템(110)이나 서비스 시스템(410)과 통신하여 사용내역의 분석 결과 또는 다른 앱의 추천 결과와 같은 정보를 수신 및 활용하는 서버장치일 수 있다.
가입 과정(531)에서 사용자는 단말(120)을 통해 서비스 시스템(510)이 제공하는 리워드 프로그램에 가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가입 시, 가입 동의 후 아래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고, 서비스 시스템(510)은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 회원정보: 나이, 성별, 지역 등의 데모정보
- 소셜서비스 연동: 사용자가 기존에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
- 추가정보 입력: 사용자의 관심사 등 기업이 요구하는 정보들
데이터 수집 과정(532)에서 단말(120)에 설치된 제어 앱은 사용자의 구동 앱, 방문페이지 목록 등의 정보를 서비스 시스템(510)으로 전송하도록 단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0)은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앱을 구동시키는 경우나 사이트, 페이지 등을 방문하는 경우, 구동된 앱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방문한 사이트/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서비스 시스템(5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120)은 구동된 앱에 대한 정보나 방문한 사이트/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모아두었다가 주기적으로 서비스 시스템(5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단말(120)은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개인 식별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제거하고, 데모 특성 등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시켜서 익명으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모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서울에 사는 20대 남성 직장인' 또는 '30대 여성' 등과 같이 사용자의 개인정보 없이도 사용자를 특징짓기 위한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모 특성은 가입 과정(531)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은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앱 사용이나 웹 방문 이력 외에,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앱 A를 구동할 때의 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해당 시각의 단말(12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시스템(510)으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계정을 연동한 앱과 관련하여, 단말(120)이 제어 앱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연동된 앱 내에서의 활동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앱을 구동하는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댓글, 공감 등과 같은 사용자의 활동정보를 서비스 시스템(510)으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분석 과정(533)에서 서비스 시스템(510)은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겟고객을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시스템(510)은 나이, 성별, 지역, 학력, 수입, 소유차량, 주거환경, 관심사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을 분류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서비스 시스템(510)은 "30대 중반의 IT 업계에 종사하는 남성 직장인", "30대 중반의 IT 업계에 종사하는 여성 직장인", "30대 중반의 주부" 등과 같이 다양한 조건으로 사용자들을 분류함으로써, 해당 조건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리서치 의뢰 과정(534)에서 서비스 시스템(510)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서치 의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520)가 요구하는 조건이 서비스 시스템(510)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520)는 "20대 대학생"과 같이 특정한 사용자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요청 과정(535)에서 서비스 시스템(510)은 클라이언트(520)로부터 요청된 특정 유저그룹의 사용자들에게 추가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520)가 "20대 대학생"인 사용자 그룹에 대한 집중 분석을 요청한 경우, 서비스 시스템(510)은 "20대 대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의 단말(120)로 보다 다양한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수집 과정(536)에서 단말(120)에 설치된 제어 앱은, 추가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서비스 시스템(510)으로 더 전송하도록 단말(120)을 제어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제공 과정(537)에서 서비스 시스템(510)은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을 클라이언트(5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과정들 이외에, 서비스 시스템(510)은 리워드를 제공하는 과정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시스템(510)은 제어 앱을 설치하고 리서치 프로그램에 가입한 사용자들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는 적립금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시스템(510)은 사용자들이 리서치 프로그램에 가입할 때, 기설정된 가입 적립금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시스템(510)은 가입 당시의 적립금과는 별도로, 사용자들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됨에 따른 적립금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데이터 요청 과정(535)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520)의 리서치 의뢰에 따라 지정된 사용자들에게는 더 높은 적립금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의 수집조건은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1) 타겟유저 특성 - 서비스 시스템(510)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나이, 성별, 지역, 학력, 수입, 소유차량, 주거환경, 관심사 등과 같이 다양한 특성 중 클라이언트(520)가 요청한 특성의 타겟유저들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로(520)부터 "20대 후반의 서울 거주 남성"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이 요청된 특성인 경우, 서비스 시스템(510)은 "20대 후반의 서울 거주 남성"으로 분류된 타겟유저들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2) 시간대별: 서비스 시스템(510)은 아침시간, 점심시간, 저녁시간, 업무시간, 출퇴근시간, 특정 방송시간(월드컵중계, 드라마 등의 날짜/시간 타겟팅) 등과 같이 타겟유저의 특정 시간대의 스마트폰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 데이터로서 수집할 수 있다.
(3) 사용상황 별: 서비스 시스템(510)은 장시간 미사용 후 구동되는 앱이 존재하는 상황, 사용자가 복수의 앱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황, 하나의 앱을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는 상황 등과 같이, 특정 상황에 타겟유저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4) 장소별: 서비스 시스템(510)은 사용자가 주로 머무는 장소가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낮이면 회사, 밤이면 집 등), 장소별로 많이 사용되는 앱에 대한 정보 및 각 장소를 떠날 때 주로 사용되는 앱 등과 같이 장소별 앱 사용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타겟유저들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5) 기타: 서비스 시스템(510)은 특정 앱(일례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구된 경쟁사의 앱)의 설치여부, 구동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타겟유저로부터 추가 데이터로서 수집하거나, 타겟유저의 단말의 상황(특정 앱이 설치된 상황, 특정 앱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 구동된 상황, 아이들(idle) 상황, 동시작업 상황,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상황 등)에 따라 추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나 사용자의 단말의 상황 등이 데이터 수집조건에 맞을 경우, 서비스 시스템(510)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을 적립하는 등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시스템(510)은 개별 리서치 의뢰 건의 총 예산 한도 내에서, 타겟유저 그룹별로, 최적 타겟유저를 조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한 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서비스 시스템(510)은,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노력 없이도, 백신이나 최적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 앱을 통해 리워드 프로그램에 가입하는 것만으로도 리워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제어 앱을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사용내역 등을 분석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서비스 시스템(510)은 분석결과에 따라 식별되는 클라이언트의 핵심고객에게는 클라이언트의 앱을 다운로드하는 경우나, 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제공 시 추가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시스템(510)은 클라이언트의 앱(또는 클라이언트가 분석을 원하는 앱)을 설치한 이후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어 앱을 통해 알럿(alert)을 푸시(push)하여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드백의 수집에 따라 추가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시스템(510)은 클라이언트의 앱(또는 클라이언트가 분석을 원하는 앱)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과, 피드백 이후의 리텐션(retention, 추가사용 등) 여부를 추적 및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시스템(510)은 사용자들에 대한 분석결과와 사용자들의 피드백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520)의 앱(또는 클라이언트가 분석을 원하는 앱)에 대한 추적/관찰 결과도 클라이언트(5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시스템(510)은 사용자의 피드백과 사용자의 피드백 이후의 리텐션 여부를 추적 및 관찰한 결과의 일치여부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답변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답변신뢰도를 타겟유저 우선순위의 조정에 반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600)은 도 1 내지 도 3를 통해 설명한 서비스 시스템(11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10), 버스(6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 및 메모리(6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40)는 운영체제(641) 및 제어 루틴(6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수집부(611) 및 분석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시스템(600)은 도 6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시스템(600)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6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40)에는 운영체제(641)와 제어 루틴(6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6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메모리(6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루틴(642)은 개발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640)에 로딩될 수 있다.
버스(620)는 서비스 시스템(6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6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는 서비스 시스템(6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는 서비스 시스템(6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서비스 시스템(6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6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에 의해, 그리고 버스(620)를 통해 프로세서(6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수집부(611) 및 분석부(612)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6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일례로, 제어 루틴(642))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610)가 포함하는 수집부(611) 및 분석부(612)는 도 7의 단계들(710 및 720)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수집부(611)는,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내역 정보는, 일례로,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애플리케이션의 단말에서의 구동시간, 구동횟수, 구동시간점유율 및 구동횟수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과 무관하게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내역 정보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키워드 분석, 이미지 매칭 및 동영상 매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일례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한 사이트,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이미 자세히 설명하였다.
사용내역 정보에 대한 또 다른 예로, 사용내역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일례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장치)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포털 앱을 이용하여 입력한 검색어와 검색어를 통해 검색포털이 제공하는 검색결과에 대한 정보가 사용내역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단계(720)에서 분석부(612)는,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시스템(600)은 단순히 앱의 설치여부만을 이용하지 않고, 앱에 대한 실제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앱 자체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앱을 통해 제공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실질적인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내역 정보의 수집이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사용패턴의 분석은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단말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시스템(600)은 단말에 대응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다른 앱을 추천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한 서비스 시스템(6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10)에 추천부(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루틴(642)은 이러한 추천부(81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천부(810)는 도 9에 도시된 단계(910)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추천부(810)는 사용자의 관심사 및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로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부(810)는 사용자가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기준으로 다른 앱을 추천하거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일례로,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페이지)를 기준으로 다른 앱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시간, 구동횟수, 구동시간점유율 및 구동횟수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612)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시간, 구동횟수, 구동시간점유율 및 구동횟수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순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부(810)는 이러한 사용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된 사용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앱을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자주 사용하는 앱과 연관된 다른 앱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내역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관심사는, 이러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분석부(612)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선택적으로 이용 가능) 및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부(810)는 결정된 사용자의 관심사와 연관된 다른 앱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리서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한 서비스 시스템(6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10)에 수신부(1010), 리워드 제공부(1020), 리서치 정보 수신부(1030), 타겟유저 설정부(1040), 피드백 요청부(1050), 피드백 수신부(1060), 확인부(1070) 및 조정부(10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루틴(642)은 이러한 수신부(1010), 리워드 제공부(1020), 리서치 정보 수신부(1030), 타겟유저 설정부(1040), 피드백 요청부(1050), 피드백 수신부(1060), 확인부(1070) 및 조정부(108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1010), 리워드 제공부(1020), 리서치 정보 수신부(1030), 타겟유저 설정부(1040), 피드백 요청부(1050), 피드백 수신부(1060), 확인부(1070) 및 조정부(1080)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1110 내지 1180)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1110)에서 수신부(1010)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지역, 학력, 수입, 소유차량, 주거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는, 클라이언트의 관심분야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항목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입력정보는, 사용자가 기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20)에서 리워드 제공부(1020)는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사용자의 입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리워드 제공부(1020)는 사용내역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1130)에서 리서치 정보 수신부(1030)는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사용과 연관된 리서치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서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는 특정 사용자들(일례로, 30대 남자 직장인)이나 특정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또는 특정 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앱들과 같이 다양한 리서치 조건에 따른 리서치를 서비스 시스템(600)으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1140)에서 타겟유저 설정부(1040)는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타겟유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 제공부(1020)는 사용자가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타겟유저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가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정보인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1150)에서 피드백 요청부(1050)는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의 사용자에게,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요청부(1050)는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질문들에 답변할 것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들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 제공부(1020)는 피드백 요청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들에게 피드백의 제공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1160)에서 피드백 수신부(1060)는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어 활용될 수 있다.
단계(1170)에서 확인부(1070)는 피드백 정보의 수신 이후,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1070)는 사용자가 제공한 피드백 정보의 내용대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사용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피드백에 대한 신뢰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1180)에서 조정부(1080)는 수신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확인된 추가사용 여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에 대한 답변신뢰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답변신뢰도에 기반하여 리서치 의뢰에 대한 타겟유저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사용한다고 답한 사용자에 대해 추가사용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해당 사용자의 피드백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서치 의뢰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우선순위는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피드백 정보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사용한다고 답한 사용자에 대해 지속적인 추가사용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피드백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서치 의뢰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우선순위는 높아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시스템(600)은 도 6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서비스 시스템(600)은 도 6을 통해 설명한 수집부(611), 분석부(612) 및 도 10을 통해 설명한 리워드 제공부(1020)를 포함하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서비스 시스템(600)은 도 6을 통해 설명한 수집부(611), 분석부(612) 및 도 8을 통해 설명한 추천부(810)를 포함하는 프로세서(6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백신 앱 또는 최적화 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분석/추천/리서치 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활용이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최적화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 사용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사용내역에 기반하여 정량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떠한 상황일 때, 어떠한 앱을 실행시키거나 활용하는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다른 앱을 추천할 수 있으며, 리워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단말 사용내역에 대한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4)

  1.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에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사용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목적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1)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한 사이트나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키워드 분석, 이미지 매칭 및 동영상 매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단말에서의 구동시간, 구동횟수, 구동시간점유율 및 구동횟수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과 무관하게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시간, 구동횟수, 구동시간점유율 및 구동횟수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순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9.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리서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가입 동의, 상기 입력정보 및 상기 사용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에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가입 동의, 상기 입력정보 및 상기 사용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목적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1)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한 사이트나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키워드 분석, 이미지 매칭 및 동영상 매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는, (1)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지역, 학력, 수입, 소유차량, 주거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2)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 및 (3) 상기 사용자가 기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의 제공에 따른 제1 리워드 및 상기 사용내역 정보의 제공에 따른 제2 리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사용과 연관된 리서치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서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리서치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타겟유저를 설정하는 타겟유저 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타겟유저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사용내역 정보가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정보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사용과 연관된 리서치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서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리서치 정보 수신부;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는 피드백 요청부; 및
    상기 피드백의 제공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피드백 수신부;
    상기 피드백 정보의 수신 이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수신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확인된 추가사용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드백 정보에 대한 답변신뢰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답변신뢰도에 기반하여 상기 리서치 의뢰에 대한 타겟유저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관심사 및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에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목적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1)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한 사이트나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키워드 분석, 이미지 매칭 및 동영상 매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리서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동의 및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 동의, 상기 입력정보 및 상기 사용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에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가입 동의, 상기 입력정보 및 상기 사용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목적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1)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한 사이트나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키워드 분석, 이미지 매칭 및 동영상 매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사용과 연관된 리서치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서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타겟유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타겟유저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제공하는 상기 사용내역 정보가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정보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사용과 연관된 리서치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서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의 제공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정보의 수신 이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내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서치 조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피드백 정보와 상기 확인된 추가사용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드백 정보에 대한 답변신뢰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답변신뢰도에 기반하여 상기 리서치 의뢰에 대한 타겟유저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삭제
  24.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13861A 2014-08-29 2014-08-29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0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61A KR101601896B1 (ko) 2014-08-29 2014-08-29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4/837,614 US10158984B2 (en) 2014-08-29 2015-08-27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usage history of smartphone, recommending user fitting application, and providing research service based on reward using smartphone optimizing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61A KR101601896B1 (ko) 2014-08-29 2014-08-29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896B1 true KR101601896B1 (ko) 2016-03-10

Family

ID=5540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861A KR101601896B1 (ko) 2014-08-29 2014-08-29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58984B2 (ko)
KR (1) KR1016018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13A1 (ko) * 2016-07-11 2018-01-18 주식회사 한국리서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서버
KR102147978B1 (ko) * 2020-04-29 2020-09-01 주식회사 이노하이퍼 사용자 어시스트 앱을 이용한 사용자 어시스트 시스템
KR20210067098A (ko) 2019-11-29 2021-06-08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지능형 스마트폰 잠금 해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3653A1 (ja) 2015-06-19 2016-12-2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推薦方法
CN106294794A (zh) * 2016-08-15 2017-01-0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内容推荐方法及装置
US10496416B2 (en) * 2017-02-15 2019-12-03 Acronis International Gmbh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oftware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US11308531B2 (en) 2017-04-26 2022-04-19 Google Llc Application rating and feedback
CN107784458A (zh) * 2017-11-21 2018-03-09 桂林爱家购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质量管理系统和方法
US10778518B2 (en) 2018-04-24 2020-09-1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manage a server configuration profile based upon applications running o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10764133B2 (en) 2018-04-24 2020-09-0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manage server configuration profiles in a data center
US10761858B2 (en) * 2018-04-24 2020-09-0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manage a server configuration profile of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 a data center
CN109766104B (zh) * 2018-12-07 2020-10-30 北京数字联盟网络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的下载系统、安装类型的确定方法以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884A (ko) * 2007-03-22 2008-11-1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0337A (ko) * 2009-10-14 2011-04-20 최종기 포털 사이트를 이용한 리서치 시스템 및 리서치 방법
KR101233955B1 (ko) * 2012-05-17 2013-02-15 권오형 사용자 중심의 메인 화면 아이콘 구성 장치 및 방법
KR20130024345A (ko) * 2011-08-31 2013-03-08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774B1 (en) * 1998-12-08 2001-07-24 Mcafee.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managing or optimizing a personal computer
US8131271B2 (en) * 2005-11-05 2012-03-06 Jumptap, Inc. Categorization of a mobile user profile based on browse behavior
US8626141B2 (en) * 2009-07-30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menu
KR101371338B1 (ko) 2011-10-12 2014-03-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 플랫폼에서의 개인화된 최적화 장치
KR102009182B1 (ko) 2011-12-06 2019-08-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앱 다운로드 시스템, 스마트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앱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884A (ko) * 2007-03-22 2008-11-1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0337A (ko) * 2009-10-14 2011-04-20 최종기 포털 사이트를 이용한 리서치 시스템 및 리서치 방법
KR20130024345A (ko) * 2011-08-31 2013-03-08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3955B1 (ko) * 2012-05-17 2013-02-15 권오형 사용자 중심의 메인 화면 아이콘 구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13A1 (ko) * 2016-07-11 2018-01-18 주식회사 한국리서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서버
KR20210067098A (ko) 2019-11-29 2021-06-08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지능형 스마트폰 잠금 해제 방법
KR102147978B1 (ko) * 2020-04-29 2020-09-01 주식회사 이노하이퍼 사용자 어시스트 앱을 이용한 사용자 어시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58984B2 (en) 2018-12-18
US20160066120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896B1 (ko)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41615A1 (en) Clearinghouse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Quality, Operation and Accessibility of Carrier-Based Networks
US10592569B2 (en) Search guided by location and context
US9256761B1 (en) Data storage service for personalization system
US20150088598A1 (en) Cross-retail marketing based on analytics of multichannel clickstream data
TWI570645B (zh) 利用基於同屬群組之使用者分析平台與行銷平台的廣告方法及裝置
US10547493B2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behavior-based relationships between website users
US20140040370A1 (en) Content feed for facilitating topic discovery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s
US20080005104A1 (en) Localized marketing
US8751418B1 (en) Using proxy behaviors for audience selection
CN102713889A (zh) 将网页访问者和转换与外部引用相关联
KR102298675B1 (ko) 블로그 마케팅 오토리포트 작성 시스템
JP2015510620A (ja) リストに基づく広告サービング
WO20150699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terminal identification
KR20130039179A (ko)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그의 타겟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101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programming of Displayed Content
US20210110431A1 (en) Machine learning system finds units of interest (uoi) based on keywords, interests, and brands in social media audiences for the purpose of targeting digital advertisements
US953836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KR20160130724A (ko)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그의 타겟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90213622A1 (en) Secure and remote dynamic requirements matching
KR102469731B1 (ko) 사용자분석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제공장치
KR102048087B1 (ko) 개인과 객체의 관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301590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self-optimizing algorithms to probe and reach regions of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altered system parameters on survey results
JP74077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92819A (ko) 샘플 마케팅에 의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