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884A -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884A
KR20080099884A KR1020070028305A KR20070028305A KR20080099884A KR 20080099884 A KR20080099884 A KR 20080099884A KR 1020070028305 A KR1020070028305 A KR 1020070028305A KR 20070028305 A KR20070028305 A KR 20070028305A KR 20080099884 A KR20080099884 A KR 20080099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marketing
information
reli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일
김형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2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9884A/ko
Publication of KR2008009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Abstract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 신뢰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응답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 신뢰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보다 명확하게 매칭할 수 있고,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들에 대한 보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28305
사용자 신뢰도, 온라인 리서치, 온라인 설문조사, 마케팅 컨텐츠

Description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Market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신뢰도 및 사용자 신뢰도를 평가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신뢰도 및 사용자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평가에 사용되는 척도변환 함수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평가자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점수 분포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컨텐츠 매칭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한 마케팅 보상의 결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뢰도 및 참여도를 고려한 마케팅 보상의 결정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여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케팅 활동에서 온라인 마케팅의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다. 온라인 상의 마케팅 활동의 성장세는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다만, 익명의 사용자에 대해 무작위로 이루어 지는 온라인 마케팅은 마케팅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불필요한 마케팅 비용의 지출을 상당부분 포함한다. 따라서, 마케팅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일 예로 온라인 상의 마케팅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만으로는 예산을 지출하지 않고, 사용자가 마케팅 컨텐츠를 선택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에만 예산을 지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마케팅 컨텐츠를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마케팅 컨텐츠 선택에 후속되어 제공되는 추가적인 정보 이외의 보상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유인하지 못한다. 마케팅 컨텐츠가 사용자의 구체적인 의견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존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실한 답변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러한 경향은 그 설문조사를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량이 많을수록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와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와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신뢰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 d) 상기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c)단계는 사용자 신뢰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매칭 기준으로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는 사용자가 게시한 컨텐츠의 컨텐츠 신뢰도를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의 계산요소로 사용되는 컨텐츠 신뢰도는 그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들에 의한 평가 를 고려하고, 상기 컨텐츠의 평가에 참여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가중치로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신뢰도는 유의한 것에 한하여 사용자 신뢰도 갱신에 영향을 미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신뢰도는 사용자가 수행한 컨텐츠 신뢰도 평가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갱신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은 f) 상기 응답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상을 결정하는 f)단계는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사용자의 사용자 신뢰도 또는 마케팅 컨텐츠에의 사용자 참여도를 고려하여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신뢰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마케팅 컨텐츠를 선정하는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 상기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획득하는 응답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마케팅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상기 응답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마케팅 보상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정보(음성정보 포함) 또는 그 내용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는 뉴스, 게시자의 의견, 블로그 포스팅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같은 형태에서 설문의 내용도 광의의 컨텐츠에 포함된다. 이러한 컨텐츠는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 및 PCC(proteur created content)의 형태일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는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를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는 배너광고, 설문조사 및 그들의 조합 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 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신뢰도 및 사용자 신뢰도를 평가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신뢰도 평가 시스템은 도 5에서와 같이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독립된 신뢰도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사용자 신뢰도는 그 사용자가 표현하는 의견이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다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신뢰도는 그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사용자가 게시한 컨텐츠에 대한 평가 또는 그 사용자가 참여한 컨텐츠 평가의 정확도 등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신뢰도는 후술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513)가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 신뢰도는 그 내용 자체의 진실한 정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값이라기 보다는, 컨텐츠 게시자의 의견에 컨텐츠 평가자가 동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또 는 컨텐츠의 유용성의 간접적인 판단기준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신뢰도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행위와 연관되어 계산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행위는 점수부여, 찬반투표 또는 설문조사에서의 선택적인 의사표시 등 여러 유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평가행위가 가능하다.
컨텐츠 신뢰도의 구체적인 의미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행위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점수부여 유형에서는 컨텐츠 신뢰도는 만점대비 획득한 점수로 해석된다. 찬반투표 유형에서는 컨텐츠 신뢰도는 컨텐츠 평가자들이 컨텐츠가 나타내는 의견에 찬성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해석된다. 또한, 온라인 설문조사 유형에서 컨텐츠 신뢰도는 각 선택적인 응답에 대한 컨텐츠 평가자들로부터의 지지율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의 평가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의 형태 역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행위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텐츠 평가행위의 유형에 상관없이 컨텐츠 평가자가 부여한 점수, 찬반 여부, 응답 선택 등을 평가점수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뢰도 평가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120), 신뢰도 평가 서버(130), 사용자 정보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 및 서버들(120,130,140)은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각 요소들의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각 서버(120, 130, 140)들이 하나 이상의 서버로 통합하여 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지 만, 이하에서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컨텐츠 서버(120), 신뢰도 평가서버(130) 및 사용자 정보 서버(140)가 송수신 기능을 갖춘 독립된 서버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컨텐츠 서버(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하여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입력수단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평가점수(찬반여부 또는 온라인 설문조사에서의 선택적인 의사표시를 포함)를 입력할 수 있다. 평가행위의 유형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찬반투표, 컨텐츠에 대한 점수부여, 또는 온라인 설문조사에서의 선택적인 의사표시 등이 요청된다.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반응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되고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어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한 정보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PC(personal computer), 휴대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수신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평가행위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장치라면 아무런 제한 없이 사용자 단말기(110)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컨텐츠 서버(12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1) 및 컨텐츠 신뢰도 데이터베이스(122)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1)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 신뢰도 데이터베이스(122)는 신뢰도 평가서버(130)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신뢰도를 저장한다.
컨텐츠 서버(120)는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컨텐츠 서버(120)는 컨텐츠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컨텐츠와 함께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함으로써 컨텐츠의 평가자가 된다. 컨텐츠 서버(120)는 컨텐츠 평가자가 입력한 평가점수를 사용자 정보 서버(140)로 전달한다. 컨텐츠 서버(120)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132)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신뢰도 평가 서버(130)에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 서버(120)는 신뢰도 평가 서버(130)에 의하여 계산되어 컨텐츠 신뢰도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컨텐츠 신뢰도를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신뢰도 평가 서버(130)는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 및 평가행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한다. 또한, 컨텐츠를 게시한 사용자(이하 '컨텐츠 게시자'라 한다)의 신뢰도 역시 컨텐츠 신뢰도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뢰도 평가 서버(130)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131), 컨텐츠 정보 획득부(132), 컨텐츠 신뢰도 계산부(134) 및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뢰도 평가서버(130)는 평가 종료 판단부(133) 및 컨텐츠 신뢰도 유의성 판단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 신뢰도는 컨텐츠 게시자의 의견에 컨텐츠 평가자가 동의하는 정도 등을 나타내는 값 또는 컨텐츠의 유용성의 간접적인 판단기준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31)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컨텐츠 평가자의 평가행위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한 사용자 정보 및 평가행위 정보는 컨텐츠 신뢰도 계산 부(134)에 전달되어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는 컨텐츠 게시자 및 컨텐츠 평가자를 포함하는 개별 사용자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예로서 사용자가 로그인한 아이디),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사용자 신뢰도 및 사용자 신뢰도 변경 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행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관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평가행위 정보는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컨텐츠 평가자가 컨텐츠에 대해 부여한 점수, 컨텐츠에 대한 찬반 의사표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의 선택적인 의사표시 및 평가행위가 이루어진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평가행위 정보는 사용자 정보 서버(140)의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될 수 있다. 평가행위 정보는 사용자 별로 저장될 수 있다.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는 컨텐츠 평가자가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한 평가행위에 관한 이력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가행위 정보는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사용자 별로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가행위 정보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1) 내에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컨텐츠 정보 획득부(132)는 컨텐츠 서버(12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1)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에 관한 식별정보, 컨텐츠 평가종료 조건 및 컨텐츠 평가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 다. 또한, 컨텐츠 식별정보는 컨텐츠의 주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평가종료 조건은 평가 종료 판단부(133)에 전달되고, 컨텐츠 평가 유형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 신뢰도 계산부(134)에 전달된다. 컨텐츠 평가 유형은 찬반투표, 점수부여, 온라인 설문조사와 같은 선택적인 의사표시의 형태를 포함한다.
평가 종료 판단부(133)는 추가적인 사용자의 평가행위를 받아들일 것인지를 판단한다. 컨텐츠 정보 획득부(132)에 의하여 획득된 컨텐츠 평가종료 조건이 활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가종료 조건은 최소 평가자 수 또는 마감시각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종료조건은 컨텐츠 게시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신뢰도 평가가 유의하게 되는 최소 평가자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가 평가종료 조건의 하나로서 고려될 수 있다.
컨텐츠 신뢰도 계산부(134)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132) 및 사용자 정보 획득부(131)가 획득한 컨텐츠 정보, 사용자 정보 및 평가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한다.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는 컨텐츠 신뢰도 유의성 판단부(135).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 및 컨텐츠 서버(120)로 전달된다. 구체적인 신뢰도 평가방법은 도 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신뢰도 평가과정에서 사용되는 척도변환 함수는 도 3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될 것이다.
컨텐츠 신뢰도 유의성 판단부(135)는 컨텐츠 신뢰도 계산부(134)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신뢰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는 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신뢰도가 정규분포를 보이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신뢰도가 그 정규분포의 중심값으로부터 일정한 유의수준보다 멀리 위치하는 경 우에는 그 신뢰도 평가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 신뢰도 갱신의 기초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유의여부의 판단기준이 되는 유의수준은 신뢰도 평가서버 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 또는 5%와 같은 일정한 값의 유의수준이 선택될 수도 있지만, 그 값들로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전체 컨텐츠 신뢰도 평가결과들 중에 일정한 비율만이 유의하도록 유의수준을 조절할 수도 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컨텐츠 신뢰도 평가결과는 컨텐츠 게시자 또는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 변경에서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컨텐츠 신뢰도 평가의 편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는 컨텐츠 신뢰도 계산부(134)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신뢰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update)한다. 사용자 신뢰도의 갱신은 신뢰도 평가 서버(130)가 사용자 정보 서버(140)에 사용자 신뢰도 갱신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 및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가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평가자들의 호의적인 평가점수 부여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 신뢰도를 갖는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에 근접하는 정확한 평가행위는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신뢰도는 컨텐츠 게시자 및 컨텐츠 평가자 모두에 대한 사용자 신뢰도의 갱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게시자가 될 수도 있고, 타 인의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평가자가 될 수도 있으므로, 재귀적인 사용자 신뢰도 갱신방법이 구현됨으로써 컨텐츠 평가에 내재될 수 있는 편향성을 제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신뢰도의 갱신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70) 및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8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각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 평가자의 평가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131)에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평가자의 평가행위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 서버(140)는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사용자 신뢰도 값을 갱신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정보 서버(140)는 다른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와의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신뢰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상과 관련된 나이, 직업, 거주지역, 교육수준, 가족관계 등의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 별로 저장되고 관리되므로 사용자 정보 서버(140)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예를 들면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아이디 정보)역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신뢰도는 그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표현하는 의견이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다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간접적인 기준을 제공하는 값이다. 모든 사용자가 완벽하게 동일한 지적 수준을 가질 수는 없다. 특히, 사용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컨텐츠 신뢰도를 평가함에 있어서 모든 사용자를 동일한 비중으로 다루는 것은 비효율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신뢰도의 개념은 어떤 사용자의 의견을 더 중요하게 여길 것인가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공한다.
사용자 신뢰도는 컨텐츠의 주제에 따라 달리 부여될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라고 하여도 경제분야에서 신뢰도와 스포츠 분야에서의 신뢰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상위개념의 주제에 대한 신뢰도는 그 상위개념에 속하는 하위개념의 주제에 대한 신뢰도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스포츠 분야에 대한 사용자 신뢰도는 야구, 축구 및 농구 등 종목별 사용자 신뢰도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종목별 사용자 신뢰도의 총합 또는 평균 등이 스포츠 분야의 사용자 신뢰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여러 분야를 포함하는 주제에 대한 사용자 신뢰도는 그 분야들의 사용자 신뢰도를 종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는 연속적인 값을 가질 수 있는 수치화된 정보로서 존재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등급제도로 운영될 수 있다. 등급제도에서 사용자 신뢰도는 일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값을 가진다. 사용자 신뢰도가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수치화된 형태인 경우 필요에 따라 척도변환(scaling)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의 초기값은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추가정보를 고려하여 결정 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직업이 변호사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법률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사용자 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초기치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의 초기값이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익명의 사용자는 일정한 신뢰도를 가지는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값이 부여된 사용자 신뢰도는 해당 사용자가 게시한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짐에 따라 또한 해당 사용자가 컨텐츠의 평가에 참여함에 따라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에 의하여 갱신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신뢰도의 갱신 이력정보 역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서버(140)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요구된다. 이러한 사용자 식별정보로는 사용자의 로그인(log-in)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네트워크 상의 단말기 IP정보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등의 개인기기를 이용한 인증절차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자의 반응으로서 나타나는 평가행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행위 정보는 컨텐츠 평가자가 사용자 단말기(110)에 입력한 평가점수, 평가점수를 부여한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평가자가 입력한 평가점수는 수치화된 평가점수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평가 유형에 따라서, 컨텐츠 평가자는 찬반투표 또는 선택적인 의사표시의 형태로 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10), 컨텐츠 서 버(120), 신뢰도 평가 서버(130) 및 사용자 정보 서버(140)를 연결한다. 각 단말기 및 서버간의 정보교환은 미리 정하여진 통신 규약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1,122,141,142)에의 접근은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120,140)에 정보를 요청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서버들 및 사용자 단말기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가 반드시 하나의 단일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다. 또한, 네트워크는 ADSL, VDSL, Wi-Fi, WIBRO 및 HSDPA 등의 기술에 의하여 LAN 및 WAN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VPN등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신뢰도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 및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컨텐츠 신뢰도 평가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컨텐츠 신뢰도 평가방법은 컨텐츠 신뢰도를 제공하는 단계(S240), 평가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S250), 컨텐츠 신뢰도의 유의성을 판단하는 단계(S260),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70) 및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131)가 사용자 정보 서버(14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컨텐츠 평가자의 반응이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면, 사용자 정보 획득부(131)는 해당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서버(140)에 요청한다. 획득된 사용자 정보는 컨텐 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에서 컨텐츠 신뢰도의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예를 들면 로그인한 사용자의 ID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IP주소),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사용자 신뢰도 및 사용자 신뢰도 변경 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이용가능 하지 않거나 불충분한 경우의 예외적인 처리에 관해서는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의 상세한 설명 등에서 언급될 것이다.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132)가 컨텐츠 서버(12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평가종료 조건, 컨텐츠 평가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사용자 정보는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에서 컨텐츠 신뢰도 계산의 기초로서 사용된다.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는 신뢰도 평가서버(130)가 사용자 신뢰도와 평가행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를 컨텐츠 서버(12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컨텐츠 신뢰도는 연속인 값을 가질 수 있는 수치화된 형태일 수 있으며, 혹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츠는 동일한 등급을 갖는 등급의 형태일 수 있다.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에서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가 활용된다. 동일한 평가행위라 하더라도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따라 컨텐츠 신뢰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다.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는 각 평가자의 평가행위로부터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가중치로 작용 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평가유형이 사용자들로부터의 점수부여인 경우에 있어서 컨텐츠 신뢰도는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가 가중치로 고려된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가중된 평가점수들의 총합 또는 평균치는 컨텐츠 신뢰도 결정의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이 기준값에 의하여 컨텐츠 신뢰도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준값은 척도변환(scaling) 함수를 통해 연속적인 수치를 갖는 컨텐츠 신뢰도로 변환될 수 있다. 척도변환 함수는 선형, 비선형 함수일 수 있고, 그 구체적인 형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해된다.
컨텐츠 평가자의 직업정보, 거주지역, 나이 등의 추가정보가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반영될 수 있다. 컨텐츠 평가자에 대한 추가정보가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직접 반영되면, 컨텐츠 평가자의 모든 컨텐츠 평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컨텐츠의 주제에 따라, 컨텐츠 평가자에 대한 추가정보가 신뢰도에 반영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에서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가 활용될 수 있다.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따라 컨텐츠의 초기 신뢰도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컨텐츠 게시자에 관한 직업정보, 거주지역, 나이 등의 정보가 컨텐츠의 주제와 부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초기 신뢰도를 부여하는 요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게시자를 한 명의 컨텐츠 평가자로 취급하여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게시자는 평가점수 부여에 있어서 가장 우호적인 컨텐츠 평가자로 취급될 수 있다.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는 예외적인 상황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지 않거나, 프록시(proxy) 등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110)의 IP정보 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 평가자의 식별이 이루지지 않을 수 있으며, 식별되지 않은 컨텐츠 평가자는 익명 컨텐츠 평가자로 분류될 수 있다. 익명 컨텐츠 평가자의 평가정보는 컨텐츠 신뢰도 계산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는 익명 컨텐츠 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컨텐츠 신뢰도 계산에 포함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익명 컨텐츠 평가자에 대해 부여되는 신뢰도는 사용자 계정의 최초 생성시의 초기값과 동일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평가에 참여한 다른 식별된 평가자들의 신뢰도 평균값에 상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응하여 설정된다는 것은 그 값에 비례 또는 반비례하여 설정되는 것만이 아니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외적인 상황에 대한 처리의 또 다른 예로서,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최상 또는 최하의 평가점수만을 부여하거나,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평가만을 반복하는 사용자의 평가는 컨텐츠 신뢰도 계산에서 제외될 수 있다.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80)에서 이러한 평가자들의 신뢰도가 점차 낮아지게 함으로써, 컨텐츠 신뢰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컨텐츠 평가자들의 영향력을 축소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평가 자체를 컨텐츠 신뢰도 평가에서 직접적으로 배제하는 것 역시 고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는 해당 컨텐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그 내용 자체의 진실성에 대한 직접 적인 척도로서의 신뢰도만을 의미하지 아니한다.
컨텐츠 신뢰도를 제공하는 단계(S240)는 컨텐츠 서버(120)가 컨텐츠 신뢰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컨텐츠 서버(120)는 신뢰도 평가 서버(130)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신뢰도를 컨텐츠 신뢰도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컨텐츠 신뢰도는 별도의 사용자 요청이 없더라도 컨텐츠와 동시에 제공되거나 해당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신뢰도는 신뢰도 평가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다만, 컨텐츠 신뢰도 평가 초기단계에서부터 컨텐츠 신뢰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서 컨텐츠 평가의 편향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의 평가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만드는 컨텐츠 평가자 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소정의 수 이상의 컨텐츠 평가자가 평가에 참여한 경우, 또는 추가적인 컨텐츠 평가자의 참여가 컨텐츠 신뢰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일정수준 이하로 작은 경우에 한하여 컨텐츠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신뢰도 값을 유의하게 만드는 컨텐츠 평가자 수는 신뢰수준과 표준편차에 의하여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2897278-PAT00001
(컨텐츠 평가자 수:
Figure 112007022897278-PAT00002
, 신뢰수준:
Figure 112007022897278-PAT00003
, 표준편차:
Figure 112007022897278-PAT00004
, 추정오차한계:
Figure 112007022897278-PAT00005
, 표준정규분포함수:
Figure 112007022897278-PAT00006
)
평가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S250)는 평가 종료 판단부(133)가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사용자의 평가를 받아들일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평가종료 시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때까지의 컨텐츠 평가자들의 평가행위에 기초하여 컨텐츠 신뢰도가 계산된다.
평가종료 조건은 컨텐츠 정보 획득부(132)에 의하여 컨텐츠 서버(120)로부터 획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종료 조건은 컨텐츠 게시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로서, 평가종료 조건은 평가 마감시각, 평가자 수,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가 종료여부의 기준은 소정의 기준에 의하여 컨텐츠의 평가가 유의하게 되는 최소의 평가자 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평가 종료여부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신뢰도 평가서버(13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로 다시 돌아가 추가적인 컨텐츠 평가자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평가종료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신뢰도 평가서버(130)는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의 유의성을 판단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컨텐츠 신뢰도의 유의성을 판단하는 단계(S260)는 컨텐츠 신뢰도 유의성 판단부(135)가 컨텐츠 신뢰도 계산부(134)에 의하여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는 컨텐츠 신뢰도를 반영하여 컨텐츠의 게시자 및 컨텐 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변경한다.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신뢰도의 갱신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컨텐츠 신뢰도의 유의성 판단은 통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신뢰도의 유의성은 서버에 저장된 다른 컨텐츠 집단의 신뢰도 값의 분포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유의성 판단의 기준이 되는 다른 컨텐츠 집단은, 유의한 신뢰도를 가지는 컨텐츠 전체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게시자가 동일한 컨텐츠 집단 또는 동일한 주제를 가지는 컨텐츠 집단 등으로 한정된 집단 내에서 컨텐츠 신뢰도의 유의성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관한 통계는 정규분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정규분포의 평균치에서 지나치게 멀리 위치한 컨텐츠 신뢰도는 편향된 평가를 하는 집단에 의해 조작된 결과 또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에 대한 무의미한 평가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자 신뢰도 변경의 기초로서 활용되는 것이 부적절할 수 있다.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70)는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가 컨텐츠 신뢰도에 기초하여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 컨텐츠들의 신뢰도, 컨텐츠 평가자 수 및 컨텐츠 평가종료 시점 등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 있다. 참여 컨텐츠 평가자 수 및 컨텐츠 평가종료 시점을 가중치로 고려하여 각 컨텐츠 신뢰도가 합산될 수 있으며, 이 렇게 합산된 값이 컨텐츠 게시자 신뢰도 변경의 기준값이 된다. 컨텐츠 평가자 수를 가중치로 고려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평가자가 참여한 평가결과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평가자가 참여한 평가결과에 비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평가종료 시점을 가중치로 고려하는 경우에는, 마치 반감기가 적용되는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오래된 컨텐츠에 대한 평가점수가 더 작은 영향력을 갖도록 하거나, 소정기간 동안의 평가점수만을 고려하여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반영할 수 있다. 컨텐츠 평가자수와 컨텐츠 종료여부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컨텐츠 신뢰도의 평균값이 컨텐츠 게시자 신뢰도 변경의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으로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과정에는 선형 또는 비선형적인 척도변환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척도변환 함수는 이 기준값을 로그스케일로 변환하거나 정규화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80)는 사용자 신뢰도 갱신부(136)가 컨텐츠 신뢰도에 기초하여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는 컨텐츠 평가자가 수행한 평가의 정확도를 기초로 하여 변경될 수 있다. 평가의 정확도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신뢰도 평가결과와 평가자가 해당 컨텐츠에 부여한 평가점수가 근접하는 정도로서 표현될 수 있다. 양자간의 근접도는 통계적인 분석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컨텐츠 신뢰도 평가결과에 근접하는 평가자의 평가점수는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최상 또는 최 하의 평가점수만을 부여하거나,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동일한 평가만을 반복하는 극단적인 컨텐츠 평가자들은 평가를 반복함에 따라서 신뢰도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는 연속적으로 변화 가능한 수치의 형태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평가자의 사용자 신뢰도가 수치화 되는 과정에서는 선형 또는 비선형적인 척도변환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신뢰도 등급을 부여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게시자 또는 컨텐츠 평가자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게시자인 경우와 컨텐츠 평가자인 경우에 있어서 갱신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나, 갱신의 대상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각 사용자의 사용자 신뢰도로서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두 단계(S270, S280)의 수행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사용자 상호간의 재귀적인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종료될 것과 계산된 컨텐츠 신뢰도가 통계적 유의할 것은 사용자 신뢰도 갱신단계(S270, S280)가 수행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제조건이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도변환 함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 및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단계(S270, S280)에서는 각 신뢰도 값을 계산, 갱신하는 기준값이 산출된다. 이러한 기준값은 척도변환 함수를 통하여 컨텐츠 신뢰도의 계산 및 사용자 신뢰도의 갱신의 기초로 활용된다. 또한, 평가자 및 컨텐츠 게시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척도변환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계단형태의 척도변환 함수가 예시된다. 이러한 형태의 척도변환 함수는 일정한 범위의 기준값들을 동일한 척도변환 값으로 변환하므로, 신뢰도를 등급제로 운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일정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가지는 비선형 척도변환 함수가 예시된다. 척도변환을 통하여 부여되는 일정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은 극단적으로 크거나 작은 신뢰도를 가지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컨텐츠 신뢰도 평가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척도변환 함수는 전체 컨텐츠 신뢰도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평가자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점수 분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점수를 부여한 컨텐츠 평가자들의 평가점수 분포(410)와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한 컨텐츠 평가자들의 평가점수 분포(420)가 보여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점수 분포(420)을 따르는 경우에는 컨텐츠 신뢰도 평가결과 값은 μ2이 되고, σ2의 표준편차를 가진다. μ2에 근접하는 평가점수를 부여한 컨텐츠 평가자에게는 정확한 평가에 대한 보상으로서 신뢰도의 긍정적인 변화가 부여될 수 있다. 반면에, μ2에서 σ2의 일정배수 이상 떨어진 평가점수를 부여한 컨텐츠 평가자는 부정확한 평가를 내린 것으로 판단되어 그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두 가지 형태의 분포(410, 420)가 혼합된 형태의 평가점수 분포가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의 전체 신뢰도 평가결과는 μ1과 μ2사이의 값이 될 것이다. 이 경우 평가의 정확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전체 컨텐츠 신뢰도 평가점수인 μ1과 μ2사이의 값이 기준이 될 수 있다. 평가점수의 분포 형태에 따라서. μ1 또는 μ2가 평가자 정확도 산정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μ1보다 지나치게 낮은 평가점수를 부여한 사용자 또는 μ2보다 지나치게 높은 평가점수를 부여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신뢰도상의 불이익을 부여하는 것이 고려대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 컨텐츠 서버(120), 신뢰도 평가 서버(130) 및 사용자 정보 서버(140), 마케팅 관리 서버(510) 및 마케팅 컨텐츠 서버(520)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기(110) 및 서버들(120, 130, 140, 510, 520)간의 연결은 네트워크(150)에 의하여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110), 컨텐츠 서버(120), 신뢰도 평가 서버(130) 및 사용자 정보 서버(140)의 구체적인 기능들은 도 1 내지 도 4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마케팅 관리 서버(510)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511),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512),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513),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514), 응답정보 획 득부(515), 마케팅 종료 판단부(516) 및 마케팅 보상 결정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511)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511)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2)로부터 응답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사용자 정보는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513)에 전달되어 사용자와 그에게 제공될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응답정보는 마케팅 보상 결정부(517)로 전달되어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예로서 사용자가 로그인한 아이디 등),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사용자의 신뢰도 및 사용자의 신뢰도 변경 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512)는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1)로부터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한다. 마케팅 컨텐츠 정보는 마케팅 컨텐츠의 식별정보, 마케팅 컨텐츠의 유형정보, 마케팅 활동의 종료조건, 마케팅 컨텐츠가 제공되기를 바라는 사용자에 관한 요구조건 및 마케팅 활동의 보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513)는 사용자와 그에게 제공될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한다. 매칭 과정에서 사용자 정보 획득부(511)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정보와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512)로부터 전달받은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고려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그 사용자에게 제공될 마케팅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514)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의 매칭은 마케팅 컨텐츠의 선택적인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마케팅 컨텐츠 정보는 마케팅 컨텐츠가 표적으로 삼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나이, 성별, 거주지역, 교육수준, 직업정보, 소득수준, 및 사용자 신뢰도 등이 이러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는 그 마케팅 컨텐츠가 속하는 주제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사용자 신뢰도를 가진 사용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뢰도는 사용자가 게시한 컨텐츠에 대한 평가 또는 그 사용자가 참여한 컨텐츠 평가의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갱신되므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사용자는 마케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 기대된다.
마케팅 컨텐츠의 매칭기준으로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행위 이력정보 및 마케팅 컨텐츠 응답 이력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력정보는 평가행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사용자의 평가행위에 관한 이력정보 및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된 사용자의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응답정보를 통해 획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너광고 형태로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클릭하여 반응한 이력이 있다면, 해당 배너광고와 관련된 주제 및 키워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여러 번에 걸쳐 제공되었음에도 반응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반응만을 수신한 마케팅 컨텐츠와 관련된 주제 및 키워드는 그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가행위 이력정보 및 마케팅 컨텐츠 응답 이력정보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주제에 관한 마케팅 컨텐츠가 과다하게 제공되는 것을 차단 할 수 있다.
한 사용자에 대하여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마케팅 컨텐츠 사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 사이의 우선순위는 마케팅 종료조건, 기대되는 보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와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들 중에서 그 사용자의 응답에 대해 가장 큰 보상을 지급할 것으로 기대되는 마케팅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은 시간적인 제공순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에 용이한 것으로 예상되는 형태 및 위치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매칭과정 통해, 무작위적으로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있어서도 보다 적극적이고 성실한 반응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마케팅 컨텐츠 매칭은 도 6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514)는 마케팅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514)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그 사용자에게 제공될 마케팅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513)에서 전달받을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의 제공은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514)가 마케팅 컨텐츠를 직접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달하거나, 마케팅 컨텐츠 서버(520)에 전송요청을 하는 방법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하여 웹 페이지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가 유무선 전화기인 경우라면, 음성정보,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마케팅 컨텐츠는 그 성과달성을 위한 조건으로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가 배너광고 유형인 경우, 마케팅 컨텐츠는 사용자가 마케팅 컨텐츠에 반응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에 그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가 설문조사 유형인 경우, 마케팅 컨텐츠는 예시된 의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할 것을 요구하거나 또는 구체적인 사용자의 의견을 입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케팅 컨텐츠는 성과달성을 위한 요구조건에 따라 여러 유형들로 분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형이 조합된 마케팅 컨텐츠의 구성도 가능하다. 마케팅 컨텐츠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만으로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취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마케팅 컨텐츠의 유형에 관한 정보는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1)의 마케팅 컨텐츠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응답정보 획득부(515)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입력되는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사용자 응답에 관한 정보는 마케팅 컨텐츠 서버(520)의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된다.
사용자의 응답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사용자의 응답은 배너광고에 대한 클릭 등을 포함하는 선택행위, 이메일에 대한 회신 및 자동응답 시스템(ARS)에 응답한 전화기 버튼 누르기 등으로 나타난다. 획득되는 응답정보는 사용자 응답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일 예로 배너광고가 마케팅 컨텐츠로서 제공되고 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배너광고를 클릭한 경우라면 사용자의 응답정보는 클릭한 마케팅 컨텐츠의 식별정보, 클릭 시각, 클릭 후 제공되는 추가적인 정보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케팅 컨텐츠에 반응하여 자신의 의견을 입력한 경우라면 사용자가 입력한 의견의 내용도 응답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로는 사용자의 응답을 응답정보 획득부(515)로 전달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응답은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10)가 유무선 전화기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의 형태로 사용자 응답이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마케팅 컨텐츠는 사용자의 응답을 응답정보 획득부(514)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마케팅 컨텐츠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창 및 선택적인 예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응답정보 획득부(514)는 사용자의 응답에 관한 정보를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응답정보는 사용자의 의견, 사용자가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시각정보, 마케팅 컨텐츠를 통한 제품구매시의 구매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 종료 판단부(516)는 마케팅 컨텐츠의 제공이 종료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마케팅 종료 판단부(516)는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512)로부터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그에 기초하여 마케팅 활동이 종료될 것인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의 정보는 마케팅 활동이 종료되는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 활동의 종료시각, 종료를 위한 최소한의 사용자 응답 수, 마케팅 보상을 위한 예산의 소진 등이 마케팅 활동의 종료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종료조건이 조합될 수 있다.
마케팅 보상 결정부(517)는 마케팅 컨텐츠가 제공된 사용자에게 지급될 보상을 결정한다. 마케팅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그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도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지급될 수 있다. 다만, 보상의 지급형태가 반드시 현금일 필요는 없음은 자명하며, 온라인 화폐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지급이 가능하다.
마케팅 컨텐츠의 성과달성 기준은 마케팅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서 달라진다. 마케팅 컨텐츠의 성과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노출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마케팅 컨텐츠가 요구하는 사용자의 응답이 획득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케팅 컨텐츠의 성과달성 기준은 마케팅 컨텐츠 정보의 일부로서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은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된 사용자의 응답정보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마케팅 컨텐츠의 성과를 달성하는데 기여한 모든 사용자에 균 등하게 보상을 분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은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의 평가와 관련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진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신뢰도 평가에도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친다. 또한, 신뢰도가 높은 사용자에 의하여 게시되는 컨텐츠는 높은 신뢰도를 가지게 될 개연성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이 그 사용자의 의견을 참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마케팅 의뢰자의 입장에서 높은 사용자 신뢰도를 가진 사용자의 응답은 상대적으로 큰 마케팅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마케팅 보상의 결정에서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보사결정에서 고려되는 사용자 신뢰도 보상결정시의 값일 수 있다. 신뢰도를 고려한 보상결정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은 사용자의 참여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참여도는 마케팅 컨텐츠에 얼마나 성실하게 응답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가 배너광고인 경우 해당광고를 클릭하여 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열람한 사용자보다 해당 광고를 통해 제품을 구입한 사용자가 보다 큰 참여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가 설문조사인 경우 응답 사용자의 참여도는 작성한 설문에 대한 마케팅 의뢰자의 평가점수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참여도는 사용자 신뢰도를 갱신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를 통한 제품구입은 구매자에게 해당 제품에 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므로, 제품 구매자의 사용자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의뢰자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응답설문 역시 해당 설문을 작성한 사용자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 및 사용자 참여도를 고려한 보상결정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해된다.
마케팅 컨텐츠 서버(520)는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1)와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2)를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 서버(520)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514)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로 마케팅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512)의 요청에 따라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된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전달한다. 마케팅 컨텐츠 서버(520)는 마케팅 관리 서버(510)에 하나로 통합하여 운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별개의 서버로 운용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1)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마케팅 컨텐츠와 그 마케팅 컨텐츠 정보들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 정보는 마케팅 컨텐츠의 유형정보, 마케팅 컨텐츠가 제공될 사용자에 대한 매칭기준, 마케팅 종료조건, 보상결정의 기준, 총 보상액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의 응답정보는 응답정보 획득부(515)에 의하여 획득된다. 응답정보에 포함되는 정보가 마케팅 컨텐츠의 유형과 사용자 응답의 형 태에 다라 달라짐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컨텐츠의 매칭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신뢰도, 사용자 신뢰도의 백분율 순위,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가 개시된다.
첫 번째 마케팅 컨텐츠의 선정조건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나이가 20세 이상 40세 이하일 것을 요구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는 A, B, C 및 G이다. 첫 번째 마케팅 컨텐츠는 또한 사용자 신뢰도 백분율 순위가 상위 50%이내일 것을 요구하므로 B를 제외한 사용자 A, C 및 G에게 첫 번째 마케팅 컨텐츠가 제공된다. 두 번째 마케팅 컨텐츠의 선정조건을 살펴보면, 사용자 신뢰도 백분율 순위가 상위 60%이내일 것을 요구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는 A, B, C 및 G이다. 또한 사용자가 남성일 것을 요구하므로 두 번째 마케팅 컨텐츠는 사용자 A 및 C에게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한 마케팅 보상의 결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사용자들과 그들의 신뢰도가 나타나 있다. 신뢰도 기여비중은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사용자들의 신뢰도의 총합 대비 각 사용자 신뢰도 비율을 나타낸 값이며, 이 값을 기준으로 보상이 결정된다. 사용자 B의 경우를 살펴보면,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7명의 사용자 신뢰도의 총합은 1330이며, 사용자 B의 신뢰도는 100이므로 전체 응답자의 신 뢰도 총합대비 신뢰도 비는 100/1330로 약 7.5%이다. 전체 응답자에 대해 설정된 마케팅 보상 포인트가 100,000이므로 이를 신뢰도 기여비중에 따라 분배하면, 사용자 B에게는 100,000의 약 7.5%인 7,519포인트가 배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뢰도 및 참여도를 고려한 마케팅 보상의 결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케팅 컨텐츠에 응답한 사용자의 사용자 신뢰도, 사용자 참여도, 사용자 기여도가 예시되고 사용자 기여도의 비율에 따른 보상의 결정이 예시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 참여도는 사용자가 마케팅 컨텐츠에 성실하게 응답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사용자의 기여도는 사용자 신뢰도와 사용자의 참여도를 종합하여 전체 마케팅 활동에서 각 사용자가 기여한 정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값이다. 도 8에서는 사용자의 기여도는 사용자 신뢰도와 사용자 참여도를 2배로 한 값의 합으로 나타난다. 사용자 기여도에서 사용자 신뢰도와 사용자 참여도가 차지하는 비율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G의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 신뢰도는 150이며 사용자 참여도는 500이다. 따라서, 사용자 기여도는 500*2+150으로 1150이 된다. 이는 전체 사용자 기여도 총합의 30.3%를 차지하게 되므로 전체 보상포인트 100,000중에서 30,343포인트가 사용자 G에게 배정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사용되는 보상포인트 등의 숫자의 단위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보상이 지급되는 화폐 등의 단위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케팅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10),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20),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S930),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940),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50) 마케팅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60), 마케팅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970) 및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S98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의 도 5 내지 도 8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10)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511)가 사용자 정보 서버(140)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획득된 사용자 정보는 마케팅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S930) 및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S980)에서 활용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신뢰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상과 관련된 나이, 직업, 거주지역, 교육수준, 가족관계 등의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단계(S920)는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512)가 마케팅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마케팅 컨텐츠의 정보에는 마케팅 컨텐츠 식별정보, 마케팅 종료조건에 관한 정보, 마케팅 보상으로 책정된 예산의 규모, 보상 결정기준, 마케팅 컨텐츠의 유형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S930)는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513)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10)에서 획득된 사용자 정보와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20)에서 획득된 마케팅 컨텐츠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가 제공될 사용자에 대한 요구조건으로 사용자 신뢰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역시 사용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매칭된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마케팅 컨텐츠 사이에 제공우선순위가 결정될 필요가 있고, 우선순위 결정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지급될 것으로 기대되는 보상 또는 마케팅 종료시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장 큰 보상을 지급할 것으로 기대되는 마케팅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940)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514)가 마케팅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S930)에서 선정된 마케팅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마케팅 컨텐츠는 마케팅 컨텐츠 서버(52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마케팅 컨텐츠는 이메일 및 유무선 전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는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 전체에게 이메일을 발송하는 방법 등으로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 서핑을 하는 동안에 열람하게 되는 배너광고 등의 형태로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50)는 사용자 응답정보 획득부(515)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전달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획득된 응답정보는 응답정보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된다. 응답정보는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S980)에서 보상결정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마케팅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60) 마케팅 종료 판단부(516)가 마케팅 활동의 종료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케팅 종료조건은 마케팅 컨텐츠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마케팅 활동에 응답한 최소 사용자 수, 마케팅 종료시점, 마케팅 보상의 소진 등이 마케팅 종료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활동의 종료조건이 만족되면 그 마케팅 활동과 관련된 마케팅 컨텐츠의 제공이 중단되고, 마케팅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970) 및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S980)가 수행된다. 다만, 마케팅 활동이 종료되기 전이라도 각 사용자에 대한 보상이 결정이 가능한 경우라면, 마케팅 활동이 종료 전이라도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S98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970) 역시 마케팅 활동의 중간 진행 상황을 마케팅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케팅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970)는 마케팅 활동에 의하여 얻어진 성과에 대한 정보를 마케팅 의뢰자에게 전달하는 단계이다. 마케팅 의뢰자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제품 등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자이다.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는 마케팅 활동의 진행상황과 그 성과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서 마케팅 의뢰자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컨텐츠는 설문조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작성된 의견은 이 단계를 통하여 마케팅 의뢰자에게 전달된다. 마케팅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970)는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S980)보다 나중에 수행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마케팅 의뢰자는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의하여 부여되는 사용자 참여도 이외에 별도의 추가 사용자 참여도를 부여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S980)는 마케팅 보상 결정부(517)가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보상을 결정하는 기준은 마케팅 컨텐츠 정보의 일부로 포함되어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되며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512)에 의하여 획득되어 마케팅 보상 결정부(517)로 전달된다. 보상 결정의 구체적인 예는 도 7 및 도 8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케팅 컨텐츠 매칭과정을 통해 일정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마케팅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케팅 컨텐츠의 매칭과 그 보상결정의 기준으로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신뢰도가 높은 사용자는 마케팅의 대상인 상품을 직접 구매하거나, 타인의 제품구매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신뢰도를 컨텐츠의 매칭과 그 보상결정의 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은 마케팅 효과를 향상시킨다.

Claims (17)

  1. 마케팅 관리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신뢰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
    d) 상기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f) 상기 응답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여 상기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참여도를 고려하여 상기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가 게시한 사용자 게시 컨텐츠의 컨텐츠 신뢰도를 고려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게시 컨텐츠의 컨텐츠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 게시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평가 및 상기 사용자 게시 컨텐츠의 평가에 참여한 사용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 게시 컨텐츠의 컨텐츠 신뢰도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유의(有意)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한 컨텐츠 신뢰도 평가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방법.
  9.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신뢰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마케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마케팅 컨텐츠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마케팅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와 마케팅 컨텐츠를 매칭하는 마케팅 컨텐츠 매칭부;
    상기 매칭된 마케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제공된 마케팅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획득하는 응답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마케팅 보상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보상 결정부는 상기 응답한 사용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고려하여 상기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보상 결정부는 상기 응답한 사용자의 사용자 참여도를 고려하여 상기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가 게시한 컨텐츠의 컨텐츠 신뢰도를 고려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 게시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평가를 고려하고, 상기 사용자 게시 컨텐츠의 평가에 참여한 사용자의 사용자 신뢰도를 가중치로 고려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 게시 컨텐츠의 컨텐츠 신뢰도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유의(有意)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뢰도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한 컨텐츠 신뢰도 평가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 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028305A 2007-03-22 2007-03-22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99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305A KR20080099884A (ko) 2007-03-22 2007-03-22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305A KR20080099884A (ko) 2007-03-22 2007-03-22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884A true KR20080099884A (ko) 2008-11-14

Family

ID=4028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305A KR20080099884A (ko) 2007-03-22 2007-03-22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8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96B1 (ko) * 2014-08-29 2016-03-10 네이버 주식회사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9045979A (ja) * 2017-08-30 2019-03-22 ルーク クツック フライ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情報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96B1 (ko) * 2014-08-29 2016-03-10 네이버 주식회사 스마트폰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내역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고, 리워드 기반의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158984B2 (en) 2014-08-29 2018-12-18 Nav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usage history of smartphone, recommending user fitting application, and providing research service based on reward using smartphone optimizing application
JP2019045979A (ja) * 2017-08-30 2019-03-22 ルーク クツック フライ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情報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carza et al. Beyond the target customer: Social effects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ampaigns
Hu et al. The effect of online social value on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of social media
Verlegh et al. Receiver responses to rewarded referrals: the motive inferences framework
KR100887253B1 (ko) 평가자의 신뢰도에 기초한 컨텐츠 신뢰도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US8768759B2 (en) Advertising based on influence
US92568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ferral network in a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Ratliff et al. Is there a market for organic search engine results and can their manipulation give rise to antitrust liability?
US201202329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erchant Performance Using Social Media
US20110145057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offers by messaging services
US20160314501A1 (en) Scalable networked computing system for scoring user influence in an internet-based social network
US20120226579A1 (en) Fraud detection based on social data
JP5411316B2 (ja) 参加者対話を介したコンテンツ生成の促進
US20120173250A1 (en) Behavior based loyalty system to deliver personalized benefits
Nekmahmud et al. Measuring the competitiveness factors in telecommunication markets
KR20190069916A (ko) 샵 분배 기능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효율 분석 기능을 가지는 인플루언서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Vel et al. Data, technology & social media: Their invasive role in contemporary marketing
CA295929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ransactions based on a reply message
Kozielski et al. E-commerce and social media indicators
KR20220045567A (ko) 평가정보관리컴퓨터 및 평가정보제공방법
CN111598632B (zh) 权益份额、权益份额序列的确定方法及装置
Doi et al. Electronic word-of-mouth: a survey from an economics perspective
KR20080099884A (ko) 마케팅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08463B2 (ja) 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Rauf et al.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on Increasing Karawo’s Business Market Share
JP20192042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