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12B1 -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 - Google Patents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12B1
KR101600812B1 KR1020140082050A KR20140082050A KR101600812B1 KR 101600812 B1 KR101600812 B1 KR 101600812B1 KR 1020140082050 A KR1020140082050 A KR 1020140082050A KR 20140082050 A KR20140082050 A KR 20140082050A KR 101600812 B1 KR101600812 B1 KR 10160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medical implant
pva
volum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506A (ko
Inventor
이훈범
박문서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12B1/ko
Priority to PCT/KR2015/006786 priority patent/WO2016003204A1/ko
Publication of KR2016000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는 하이드로젤 상태로부터 단순 탈수 축합에 의한 수축율에 비하여 더 큰 수축율로 압축 및 탈수 축합되는 건교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생리 식염수와 인체 적합성이 높은 합성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파우치가 파손되어 내용물이 인체로 유출되는 경우에도 인체의 조직이 괴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Medical implant having pressed object for medical implant}
본 발명은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의료 보형물에 수용되어 촉감 및 인체적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보형물은 불의의 사고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함몰 등 손상된 인체를 복원하거나 여성의 가슴 등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종양 제거 후에 필요할 수 있는 가슴의 볼륨 복원, 또는 가슴의 형상을 미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여성의 가슴을 위한 보형물의 경우 두께 1 내지 2mm의 하드 타입의 실리콘 파우치 내에 액상 즉, 겔 타입의 실리콘이 주입된 보형물이 개발된 바 있다.
다만 이러한 타입의 보형물의 경우 실리콘 파우치가 파손되어 내부의 실리콘 겔이 인체로 유출되는 경우 실리콘 겔이 인체의 조직에 흡수되어 해당 조직을 괴사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하드 타입의 실리콘 파우치를 2겹으로 제조하여 파손 가능성을 줄이거나, 실리콘 겔을 생리 식염수 또는 코히시브젤(cohesive gel)로 대체하여 생체 적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있었다.
그러나 하드타입의 실리콘 파우치를 2 중으로 하는 경우 강도가 강하여 인체의 촉감과는 다른 이질적인 감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전히 파손 시의 위험성이 잔존하였다.
또한 생리 식염수로 실리콘 겔을 대체한 보형물의 경우 감촉이 좋지 않고 시술대상자 본인이 일상 생활 시에 이질감을 느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코히시브젤을 이용한 보형물의 경우 촉감이 좋지 않고 일상 생활시에 보형물의 강도가 강하여 모양의 변형이 인체와는 달리 이질적인 느낌이 들도록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인체용 보형물은 인체와 유사한 감촉이 들어야 하며, 인체적합성 또는 안정성이 높아야 하고, 일상 생활에 따른 모양의 변형이 인체와 유사하여 이질적이지 않아야 한다. 또한 수술 시 인체의 절개부위가 최소화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술용이성 및 제조/유통과정에서의 공간적인 효율성 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보형물의 충진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형물이 파손되어 내용물이 인체로 유출되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인체적합성이 향상된 충진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인체적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종래의 생리 식염수 또는 코히시브 겔이 수용된 보형물에 비하여 촉감이 향상된 충진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상생활 시에도 모양의 변형이 자연스럽고 이질적인 느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 보형물용 충진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는 하이드로젤 상태로부터 단순 탈수 축합에 의한 수축율에 비하여 더 큰 수축율로 압축 및 탈수 축합되는 건교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교체는 PVA(polyvinyl alcohol), PVAc(polyvinyle ace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교체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교체는 생체 적합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교체는 최대 압축 가능한 체적보다는 크고 상기 건교체가 수용될 대상물의 체적보다는 같거나 작은 체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교체는 덩어리, 스트랩 및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 제조방법은 수용성 합성수지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 상기 수용성 합성수지를 가수분해를 통하여 연화시키는 연화 단계; 상기 연화된 수용성 합성수지를 압축하는 압축 단계; 및 상기 압축된 수용성 합성수지를 탈수 또는 건조시키는 탈수축합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공 단계에는 PVA 또는 PVAc로부터 PVA 스폰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A 스폰지 제조 단계는, PVA 및 물을 혼합하여 PVA 수용액을 얻는 단계; 상기 PVA 수용액에 기공형성제를 투입 및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 단계 후 가열하여 아세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A 스폰지 제조 단계는, PVAc를 가수분해하여 PVA 수용액을 얻는 단계; 상기 PVA 수용액에 기공형성제를 투입 및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 단계 후 가열하여 아세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 단계에서는 롤링(rolling up), 폴딩(folding) 및 프레싱(press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둘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상기 연화된 수용성 합성수지를 압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위적으로 건교체의 제조 전에 압축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수술 시 환자의 절개 부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생리 식염수와 인체 적합성이 높은 합성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파우치가 파손되어 내용물이 인체로 유출되는 경우에도 인체의 조직이 괴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VA 및 PVAc 등을 하이드로 젤 형태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적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단순히 생리 식염수만 수용되었거나 강도가 강한 코히시브젤이 수용된 경우에 비하여 인체와 유사한 감촉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성이 약한 생리 식염수나 점성이 강한 코히시브 젤 등에 비하여 일상생활 시에도 모양의 변형이 자연스럽고 이질적인 느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합성수지 및 의료 보형물용 건교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보형물용 건교체의 제조 및 이용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종래의 의료용 보형물과 도 8의 의료용 보형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조합가능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B) 내, 특히 여성의 가슴 부위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100)이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이와 관련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의료용 보형물(100)의 여성의 가슴의 수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의료용 보형물은 여성의 가슴 수술을 위한 용도 이외에도 크기 및 형상의 변경을 통하여 인체의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100)은 파우치(110), 생리 식염수(W) 및 수용체(120; filler member)를 포함한다. 파우치(110)는 보형물(100)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하드 타입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목적에 따라 약간의 탄성을 구비하거나 탄성이 없을 수 있다. 생리 식염수(W)와 수용체(120)는 파우치(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파우치(110)의 내부에서 수용체(120)는 생리 식염수(W)에 의하여 연화된 상태로 구비된다.
수용체(120)는 수용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생리 식염수(W)에 의하여 가수분해 됨으로써 연화된 상태로 파우치(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수용성 합성수지로는 PVA(polyvinyl alcohol) 및 PVAc(polyvinyle acetate)가 이용될 수 있다.
수용체(120)는 건교체(xerogel)로 제조된 후 파우치(110) 내에서 생리 식염수(W)와 반응하여 하이드로겔(hydrogel)로 존재하게 된다.
하이드로겔(hydrogel)이란 어떤 물질을 보다 많은 양의 수분에 놓았을 때, 그 물질은 빠르게 팽윤(swelling)할 수 있고, 팽윤된 구조 내에 많은 양의 물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하이드로겔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은 수분에 녹는다기 보다, 삼차원적인 구조를 유지한다. 그러한 수용액 상에서 구조를 이룬 젤을 하이드로겔이라 한다. 하이드로겔은 보통 화학적 결합이나 이온간의 상호작용, 수소결합 또는 소수성 작용과 같은 다른 결합력에 의해 가교된 친수성 고분자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하이드로겔이라는 용어는 물질이 수분에 이미 팽윤되었을 때 적용된다. 건조된 젤은 건교체(xerogel 또는 dry gel)라 부른다. 건조하는 과정동안 수분은 젤로부터 증발하고, 표면장력은 젤 자체의 으스러짐을 야기한다. 따라서 젤은 아주 작은 분율의 팽윤된 크기로 수축된다. 수분이 동결건조나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에 의해 고분자 구조가 흐트러짐 없이 제거된다면, 그 때 남아있는 물질은 높은 다공성을 지닌 극히 가벼운 무게를 갖는다. 그렇게 탈 수소화된 하이드로겔은 건교체(xerogel) 혹은 스폰지(sponge)라 부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조 단계에서의 수용체 또는 생리 식염수에 담기지 않고 건조된 수용체를 특히 건교체라 하고, 생리 식염수에 담긴 수용체를 특히 하이드로겔이라 칭한다.
한편,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이하 PVAc)의 가수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친수성 고분자 합성수지이다. PVA의 가교결합은 화학적인 방법과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화학적 가교결합은 PVA의 hydroxyl group과 aldehyde계 용액에 산성 상태의 가교제가 결합하여 겔(gel)을 형성한다. 물리적 가교결합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동결 융해법(freeze-thawing)이 있다. 동결융해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독성이 거의 없고, 불순물 또한 포함하지 않으며 약 80 내지 9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력적인 생체의료용 하이드로겔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실리콘겔의 경우 최외곽 파우치가 파손되는 경우 외부로 흘러나가 생체조직에 흡수되어 괴사를 일으킬 수 있는 염려가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PVA 하이드로겔의 경우에는 최외곽의 파우치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적으며 유출되는 경우라도 생체적합성이 높아 생체 조직을 괴사시킬 우려가 없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합성수지 및 의료 보형물용 건교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보형물용 건교체의 제조 및 이용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PVA 건교체는 젖은 상태에서는 탄력이 우수하고 매우 부드러운 반면 건조된 상태에서는 딱딱해지는 특징이 있어,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용 롤러(roller), TFT LCD용 글라스의 세정 및 반송용 롤러의 제조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의료용 거즈, 미용타올, 스포츠타올, 주방용 발판 매트, 미생물용 담채의 재료로 사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PVA 건교체의 원료인 PVA는 물 이외의 보통의 유기용매에는 녹지 않는 백색 분말로 140? 정도까지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직물(織物)의 풀, 종이의 사이징이나 에멀션화안정제(乳化安定劑)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PVA를 원료로 PVA 건교체를 제조(S10)한다. PVA와 물을 일정 비율로 섞은 다음 가열하여 PVA 수용액을 얻은 다음에 기공형성제로 옥수수 전분 등을 투입하고, 포르말린(formalin) 등을 투입하여 교반시킨 다음, 촉매재로 황산(H2SO4) 등을 투입한 후, 미리 준비된 금형에 주입하여 가열하여 아세탈화시키면 PVA 건교체가 된다. 이렇게 아세탈화된 PVA 건교체를 금형에서 추출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규격에 따라 절단 및 가공하여 제품화한다.
이러한 PVA 스폰지 제조방법은 유해물질의 사용 규제가 확산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사용규제물질인 포르말린(formalin) 또는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사용하지 않으면 아니 되는 문제점이 있다.
환경규제물질의 사용을 피하고 제조 작업장의 환경도 개선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PVA 건교체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물에 물 중량의 16~21%의 PVA 수지를 계량하여 섞은 후 3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PVA 수용액을 얻고, PVA 수용액에 기공형성제로 옥수수 전분 등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기공의 비율에 따라 상기 PVA 수용액의 25~45% 투입한다. 이와 별도로, 물에 물 중량의 28~35%의 헥사메틸렌 테트라민[hexamethylene tetramine]을 투입하여 4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헥사메틸렌 테트라민 수용액을 얻는다.
PVA 수용액에 PVA 수용액의 12~18%의 헥사메틸렌 테트라민 수용액을 투입하여 교반시켜서 PVA 및 헥사메틸렌 테트라민 수용액을 얻은 후, 희석농도가 약 50%인 황산수용액 등 산 계열의 촉매제를 전체 수용액의 19~21% 투입한다. 이후 미리 준비한 금형에 주입하여 오븐에 넣고 62~80? 온도로 29~34 시간 가열(숙성)하여 아세탈화시킨다. 이렇게 아세탈화된 PVA 스폰지를 금형에서 추출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규격에 따라 절단 및 가공하여 제품화한다.
제조된 건교체는 다시 압축을 위하여 연화시킨다.(S20) 다만, 본 건교체의 연화단계는 이후의 압축(S3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단순히 필요한 단계로서 수용성 합성수지의 제공 단계(S10)와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반드시 수용성 합성수지 제공단계(S10)와 별도의 단계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이드로겔 상태의 수용체를 탈수 축합하여 건조시키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일정 부피 줄어듦과 동시에 굳은 상태가 된다. 그러나 하이드로젤 상태의 수용체를 단순히 탈수 축합시키는 경우 부피의 감소가 미비한 수준에 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이드로겔 상태의 수용체를 건조 또는 탈수축합시키기 전에 압축공정을 더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 단계(S30)에서는 하이드로겔 상태의 수용체를 롤링(rolling up), 폴딩(folding), 트위스팅(twisting) 및 프레싱(pressing) 등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압축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압축된 수용체를 건조 또는 탈수 함으로써 건교체 상태로 만들 수 있다(S40).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화된 상태에서의 수용체(HG)를 건조 전에 압축(II)및 탈수 축합(III)을 통하여 건교체(XG)로 만든 후 보형물 내에서 사용시에는 다시 가수분해를 유도하여 하이드로겔(HG) 상태로 변환(IV)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들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압축된 건교체를 이용하여 보형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된 건교체를 이용하여 의료용 보형물을 제조함으로써 수술 시에 환자의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거나 제조 단계에서의 보관, 이송 등의 공간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100)은 파우치(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수용체(120)가 단일의 고형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파우치(110)는 의료용 보형물(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파우치(110)는 목적하는 용적 및 모양에 따른 체적 및 모양을 갖도록 미리 형성된다. 파우치(110)는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하드 타입의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파우치(110)의 내측에는 체성분에 유사한 생리 식염수(W)가 구비되며, 생리 식염수(W)에는 단일 고형물로서 수용체(120)가 구비된다.
수용체(120)는 목적하는 의료용 보형물(100)의 체적 및 탄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된 건교체를 이용하는 경우 건교체가 하이드로겔 상태로 변환 시에 팽창될 부피를 감안하여 건교체를 제조한다. 이 때 제조된 의료용 보형물(100)의 탄성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서 건교체의 부피를 더 크게 형성하거나 작게 형성하는 등의 조절이 가능하다. 다만, 건교체가 팽창하는 것을 감안하여 건교체 자체의 크기는 파우치(110)의 체적을 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교체는 부피의 팽창 및 수축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공성 재질, 스폰지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의료용 보형물(100)은 단순히 생리 식염수만 수용되어 있는 의료용 보형물과는 달리 하이드로겔 상태로 수용된 PVA, PVAc에 의하여 향상된 촉감을 갖게 되며, 파우치(110)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생리 식염수만 유출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PVA 또는 PVAc 하이드로겔이 유출되는 경우에도 생체 적합성이 높아 조직 괴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내부에 포함되는 수용체(120a)가 복수개의 고형물로 나누어진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수용체(120a)는 단일의 고형체로 포함되는 대신 일정 크기를 갖는 작은 덩어리로서 파우치(1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하여 수용체(120a)가 팽창되는 과정에서 파우치(110) 내에서의 수용체(120a)의 위치 확보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수용체(120a)의 상태 등 기타 조건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수술 시의 용이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 및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100b)은 제조 단계에서는 생리 식염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조 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10) 내에 수용체(120b)의 건교체,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건교체가 수용된 상태로 제조된다. 다만, 파우치(110)의 일 측에 유입부(112)가 구비된다. 유입부(112)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며, 유체의 주입은 용이한 동시에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1웨이 밸브(one way valv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의료용 보형물(100b)을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수술 시 절개부위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의료용 보형물을 삽입한 후 유입부(112)를 통하여 생리 식염수를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생리 식염수(W)에 의하여 수용체(120b)가 팽윤상태가 되어 압축되기 이전의 체적 및 모양으로 복원된다. 파우치(110) 내에 생리 식염수가 유입되고, 내부의 수용체(120b)가 팽창됨에 따라 의료용 보형물(100b)은 환자의 체내에서 의도된 체적, 모양 및 탄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수술 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 체적 및 삽입이 용이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는 반면, 체내에 삽입된 후에는 생리 식염수를 보형물 내에 주입함으로써 원래 의도된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절개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설명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종래의 의료용 보형물과 도 8의 의료용 보형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조합가능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100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10)의 내벽에 별도의 층을 형성하는 수용체(120c)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때 수용체(120c)는 파우치(110)의 내벽 전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파우치(110) 내벽 중 주름이 형성되기 쉬운 위치 등의 일부에만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수용체(120c)는 스트랩(strap), 플레이트(plate)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일의 실리콘 파우치를 이용하는 종래의 보형물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 따라 보형물에 주름이 형성되고, 이러한 주름이 인체의 외형에 그대로 반영되어 외관면에서의 문제점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2겹 이상의 실리콘 파우치를 쓰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촉감이나 모양 등의 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실리콘 파우치의 내벽에 수용체를 부착하여 별도의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수용체가 생리 식염수 내에서 하이드로겔로 존재하기 때문에 촉감 면에서의 기준을 만족하면서도 파우치의 두께를 보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우치의 내측에 별도의 수용체를 이용한 층을 형성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층을 형성하는 수용체(120c) 내부에 단일의 고형체로 형성된 또 다른 수용체(12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층을 형성하는 수용체(120c) 내부에 다수의 고형체로 형성된 또 다른 수용체들(120a)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여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설명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형물(100f)은 파우치(110)의 파손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두겹의 파우치(110a, 110b)를 채용한다는 점에서 특유의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10)는 내부 파우치(110b)와 외부 파우치(110a)의 두 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파우치(110b)와 외부 파우치(110a)는 각각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파우치(110b)와 외부 파우치(110a) 사이에는 실리콘겔(115)로 채워질 수 있다.
다만 실리콘겔(115) 대신 촉감의 향상을 위하여 PVA 하이드로겔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의 내측 구성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없으며, 각 실시예가 적용되거나 또는 각 실시예들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의료용 보형물
110, 110a, 110b: 파우치
120, 120a, 120b, 120c: 수용체

Claims (11)

  1. 파우치;
    상기 파우치 내에 생리 식염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 및
    상기 파우치 내에 구비되고, PVA(polyvinyl alcohol), PVAc(polyvinyle ace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하이드로젤 상태로부터 단순 탈수 축합에 의한 수축율에 비하여 더 큰 수축율로 압축 및 탈수 축합되는 건교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의 내측면에는 PVA 및 PVAc 중 어느 하나의 건교체로 형성된 층이 부착되어 보강되는 의료용 보형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교체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의료용 보형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건교체 층은 의료용 실리콘 접착제로 부착되는 의료용 보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교체는 최대 압축 가능한 체적보다는 크고 상기 건교체가 수용될 대상물의 체적보다는 같거나 작은 체적을 갖도록 제조되는 의료용 보형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교체는 덩어리, 스트랩 및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보형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교체는 롤링(rolling up)된 형상 및 폴딩(folding)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압축된 형상인 의료용 보형물.
KR1020140082050A 2014-07-01 2014-07-01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 KR10160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50A KR101600812B1 (ko) 2014-07-01 2014-07-01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
PCT/KR2015/006786 WO2016003204A1 (ko) 2014-07-01 2015-07-01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압축 수용체 및 의료용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50A KR101600812B1 (ko) 2014-07-01 2014-07-01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06A KR20160003506A (ko) 2016-01-11
KR101600812B1 true KR101600812B1 (ko) 2016-03-08

Family

ID=5516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050A KR101600812B1 (ko) 2014-07-01 2014-07-01 의료 보형물용 압축 수용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6654A1 (en) * 2008-06-30 2009-12-31 Allergan, Inc. Fillable prosthetic implant with gel-like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405B1 (en) * 1999-05-04 2001-07-31 Porex Surgical, Inc. Hydroge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044459B1 (ko) * 2009-10-27 2011-06-27 이장형 폴리비닐알코올 피막을 갖는 체내 공동 삽입형 폴리비닐알코올 스펀지 제조 방법
KR101307646B1 (ko) * 2011-10-04 2013-09-12 박승주 피브이에이 스폰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6654A1 (en) * 2008-06-30 2009-12-31 Allergan, Inc. Fillable prosthetic implant with gel-like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06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0914B (zh) 吸收性脂肪族聚氨酯泡沫产品
CN102985119B (zh) 多孔材料、制备方法及用途
US11987028B2 (en) Moisture permeable hydrogel composite materials
TW460302B (en) Foams made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useful as absorbent members for catamenial pads
RU2125860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TWI314462B (en)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with high permeability
CN1993411B (zh) 水状胶体泡沫的制备方法
AU2001249946B2 (en) Durable, absorbent latex foam composition having high vertical wicking
US6657101B1 (en) Absorbent structure in an absorbent article
TW474868B (en) Absorbent materials for distributing aqueous liquids
CN103201324A (zh) 多孔材料、制备方法及用途
CN101613512B (zh) 一种抗菌性快速吸液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JPH06510075A (ja) 水性体液用吸収性フォーム材料およびこのような材料を含有する吸収性物品
JPH08504474A (ja) 湿潤までは薄い、水性体液用の吸収体フォー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631571A (zh) 吸收性制品中的吸收性结构
JPH11500763A (ja) 非常に高い水対油比を有する高内部相エマルジョンから作られた水性流体用吸収性フォーム
JP2002516368A (ja) 繊維状吸収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511724A (ja) 膨張可能な吸収材料で形成された、水性の体液用のスリットを備えた吸収体部材
JPH11511496A (ja) 水性流体を獲得するために有用な高内部相エマルジョンから作られた吸収性フォーム
AU708720B2 (en) Method of producing polysaccharide foams
AU2334592A (en) Prosthesis with improved biocompatibility
JP2007520614A (ja) 薬用ポリウレタン発泡体
CN108853570A (zh) 一种止血海绵及其制备方法
SA03230501A (ar) مادة ماصة
US6509388B1 (en) Polyurethane foams for use in wound dres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