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45B1 - 발수원단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발수원단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445B1
KR101599445B1 KR1020150038287A KR20150038287A KR101599445B1 KR 101599445 B1 KR101599445 B1 KR 101599445B1 KR 1020150038287 A KR1020150038287 A KR 1020150038287A KR 20150038287 A KR20150038287 A KR 20150038287A KR 101599445 B1 KR101599445 B1 KR 10159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dhesive
roller
fabric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광
손수재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인터내셔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인터내셔널(주) filed Critical 에스제이인터내셔널(주)
Priority to KR102015003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는, 일렬로 공급되는 종이의 일면에 액상의 발수수지를 도포하여 수지도포지를 제작하는 발수수지 도포부; 상기 수지도포지를 가열하여 상기 발수수지를 경화시키는 발수수지 가열부; 상기 발수수지의 표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도포지를 제작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지에 도포된 접착제를 가열하는 접착제 가열부; 일렬로 공급되는 직물을 상기 접착제도포지의 접착제 표면에 적층시켜 적층시트를 제작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적층시트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를 가열하는 가열롤러와, 상기 가열롤러를 지난 적층시트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롤러를 구비하는 접착제 경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 및 발수원단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직물에 부착되는 발수층의 두께를 얇고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발수원단을 제작할 수 있고, 발수층의 제작과 접착이 한 번의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간단하게 발수원단을 제작할 수 있으며, 발수층과 직물의 접착이 빠르게 완료되므로 발수원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수원단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ter repellency textile}
본 발명은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이에 도포된 수지층을 직물에 접착시킨 후 종이를 박리시킴으로써 발수원단을 제작할 수 있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 등산, 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외부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아웃도어 용품, 즉 의류, 모자, 장갑, 침낭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아웃도어 용품들, 특히 의류의 경우, 인체와 직접 접하므로 의류 외부로 땀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습방수 기능이 중시된다. 특히, 우천시 의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방수 기능이 중시된다.
이러한 방수를 위해 직물에 발수제가 도포된 발수원단이 사용되는데, 발수원단은 원단 자체가 액체 상태의 물이 통과되지 않도록 하면서 기체는 통과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종래에는 발수원단을 제조하기 위해서 발수제를 용액으로 만들고, 용액에 기재 원단을 직접 담그거나 기재 원단에 용액을 스프레이로 뿌리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기재 원단 전체에 발수 용액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물에 발수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직물과 발수 필름이 적층된 발수원단은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착용감이 좋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발수 필름을 매우 얇게 제작하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발수 필름을 매우 얇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공정상의 어려움과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발수 필름을 직물에 접착시키는 경우, 발수 필름이 직물에 완전히 접착될 때까지 많은 숙성시간이 요구되는바,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05941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직물에 부착되는 발수층의 두께를 얇고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발수층의 제작과 접착이 한 번의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발수원단 제조가 간단해지며, 발수층과 직물의 접착이 빠르게 완료되어 발수원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는, 일렬로 공급되는 종이의 일면에 액상의 발수수지를 도포하여 수지도포지를 제작하는 발수수지 도포부; 상기 수지도포지를 가열하여 상기 발수수지를 경화시키는 발수수지 가열부; 상기 발수수지의 표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도포지를 제작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지에 도포된 접착제를 가열하는 접착제 가열부; 일렬로 공급되는 직물을 상기 접착제도포지의 접착제 표면에 적층시켜 적층시트를 제작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적층시트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를 가열하는 가열롤러와, 상기 가열롤러를 지난 적층시트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롤러를 구비하는 접착제 경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경화부를 지난 적층시트를 발수원단과 종이로 분리시킨 후, 상기 발수원단을 권취하는 발수원단 롤러와, 상기 종이를 권취하는 종이 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수수지 도포부는, 상기 종이의 상면에 발수수지를 제공하는 수지공급노즐과, 상기 발수수지가 제공되는 영역의 후단에 장착되어 끝단이 상기 종이의 상면에 접촉되는 수지스퀴즈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상기 수지도포지 중 종이가 위치된 면이 일측 외주면에 감싸져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수지도포지를 이송시키는 고무롤러와, 상기 고무롤러에 감싸진 수지도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무롤러 상에 적층되는 메쉬롤러와, 상기 메쉬롤러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노즐과, 끝단이 상기 메쉬롤러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메쉬롤러의 외측면으로 공급된 접착제를 얇게 펴는 접착제스퀴즈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부는, 일측 외주면에 직물이 감싸지도록 제공되어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직물을 이송시키는 제1 가압롤러와, 상기 접착제도포지 중 종이가 위치된 면이 일측 외주면에 감싸져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접착제도포지를 이송시키되 상기 접착제도포지 중 접착제가 위치된 면에 상기 직물이 적층되도록 상기 제1 가압롤러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2 가압롤러와, 상기 제1 가압롤러를 상기 제2 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 간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가압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롤러와 냉각롤러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물이 채워질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경화부는, 상기 가열롤러의 내부공간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라인과, 상기 냉각롤러의 내부공간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라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경화부를 지난 적층시트에서 종이만이 분리된 발수원단을 권취하는 발수원단 권취롤러와, 상기 적층시트에서 분리된 종이를 권취하는 종이 권취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방법은, 일렬로 공급되는 종이의 일면에 액상의 발수수지를 도포 및 가열하여 수지도포지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지도포지 중 상기 발수수지의 표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 및 가열하여 접착제도포지를 제작하는 제2 단계; 일렬로 공급되는 직물을 상기 접착제도포지의 접착제 표면에 적층시켜 적층시트를 제작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적층시트를 가열 및 냉각시켜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4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4 단계를 지난 적층시트에서 종이만을 분리시켜 종이와 발수원단으로 나누는 제5 단계; 상기 종이와 발수원단을 각각 권취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 및 발수원단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직물에 부착되는 발수층의 두께를 얇고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발수원단을 제작할 수 있고, 발수층의 제작과 접착이 한 번의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간단하게 발수원단을 제작할 수 있으며, 발수층과 직물의 접착이 빠르게 완료되므로 발수원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발수수지 도포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합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착제 경화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 및 발수원단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방법은 직물층과 발수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발수원단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상의 발수수지를 매우 얇은 두께로 직물의 일면에 도포시킴으로써, 발수원단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제조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액상의 발수수지를 그대로 직물에 도포시키면, 상기 발수수지가 경화되기 이전에 직물에 스며들어 발수수지층이 고르게 형성되지 아니하는바, 상기 액상의 발수수지를 종이의 일면에 도포시킨 후 상기 발수수지가 일정 수준 경화되면 상기 발수수지를 직물에 접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방법은, 일렬로 공급되는 종이의 일면에 액상의 발수수지를 도포 및 가열하여 수지도포지를 제작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수지도포지 중 상기 발수수지의 표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 및 가열하여 접착제도포지를 제작하는 제2 단계(S20)와, 일렬로 공급되는 직물을 상기 접착제도포지의 접착제 표면에 적층시켜 적층시트를 제작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액상의 발수수지를 종이에 도포시켜 경화시키면 두께가 얇으면서도 각 부위별 두께가 일정한 발수수지층을 얻을 수 있으므로, 착용감이 우수한 발수원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발수수지층은 별도의 액상 접착제에 의해 직물에 부착되는데, 종래와 같이 2액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비교적 짧은 1액형 접착제를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1액형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기까지는 다소 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방법은 상기 접착제 경화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적층시트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제4 단계(S40)가 추가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4 단계(S40)에서 적층시트를 가열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층시트가 일정 수준으로 냉각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감아야하는바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 단계(S40)는, 적층시트를 가열시킨 이후 냉각시키는 과정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적층시트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된 이후에는 적층시트에서 종이만을 분리시켜 종이와 발수원단으로 나누는 제5 단계(S50)와, 상기 종이와 발수원단을 각각 권취하는 제6 단계(S60)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적층시트에서 종이만을 분리시켜 종이와 발수원단으로 나누어 권취시키면, 발수원단만을 납품하고 종이는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발수원단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로서, 롤 형태로 감겨진 종이(10)를 일렬로 공급하는 종이 공급부(100)와, 상기 종이 공급부(100)로부터 일렬로 공급되는 종이(10)의 일면에 액상의 발수수지를 도포하여 수지도포지(20)를 제작하는 발수수지 도포부(200)와, 상기 수지도포지(20)를 가열하여 상기 발수수지를 경화시키는 발수수지 가열부(300)와, 상기 발수수지의 표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도포지(30)를 제작하는 접착제 도포부(400)와, 상기 접착제도포지(30)에 도포된 접착제를 가열하는 접착제 가열부(500)와, 롤 형태로 감겨진 직물(40)을 일렬로 공급하는 직물 공급부(600)와, 일렬로 공급되는 직물(40)을 상기 접착제도포지(30)의 접착제 표면에 적층시켜 적층시트(50)를 제작하는 접합부(700)와, 상기 적층시트(50)에 포함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접착제 경화부(800)와, 접착제 경화부(800)를 지난 적층시트(50)를 롤 형태로 감는 권취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수수지 가열부(300)는 수지도포지(20)가 유입되는 챔버 내측으로 열풍을 인가함으로써 액상의 발수수지를 경화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발수수지를 서로 다른 조건으로 단계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310)와 제2 가열부(320)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종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종이(10)는 발수수지 도포부(200)를 지나면서 상면에 액상의 발수수지가 도포된 후, 발수수지 가열부(300)를 지나면서 상기 액상의 발수수지가 가열되어 고체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고체상태로 상변화된 발수수수지의 상면에 접착제 도포부(400)에 의해 액상의 접착제(더 명확하게는 1액형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접착제는 일정 수준 건조되어 접착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접착제 가열부(500)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이때, 2액형 접착제를 일정 수준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열을 인가해야 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 역시 매우 길게 할당되어야 하는바, 접착제 가열부(500)의 용량 및 크기가 크게 확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와 같이 1액형 접착제를 이용하면, 상기 1액형 접착제 건조를 위해 비교적 적은 열량과 건조시간이 요구되는바, 상기 접착제 가열부(500)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접착제가 일정수준 건조되면, 상기 접착제 상면에 직물(40)을 적층시킨 후 가압하여 하나의 적층시트(50)를 제작하고, 상기 적층시트(50)의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적층시트(50)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한다. 상기 적층시트(50)는 롤 형태로 감겨진 후 일정 시간 숙성상태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적층시트(50)가 매우 뜨겁게 가열된 상태에서 권취부(900)에 권취되면 적층시트(50)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으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있는바, 상기 접착제 경화부(800)는 적층시트를 가열 및 냉각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제 경화부(800)는, 상기 적층시트(50)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50)를 가열하는 가열롤러(810)와, 상기 가열롤러(810)를 지난 적층시트(50)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50)를 냉각시키는 냉각롤러(82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별도의 발수수지필름을 가져와 직물(40)에 접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작업현장에서 종이(10)에 발수수지를 도포 및 건조시켜 직물(40)에 접합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매우 절감될 뿐만 아니라 발수수지층을 더욱 얇게 제작함으로써 발수원단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건조가 빠른 1액형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제 가열부(5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종이(10)와 발수수지와 접착제와 직물(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시트(50)에서 종이(10)를 떼어 내야만 직물(40)원단을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는, 상기 접착제 경화부(800)를 지난 적층시트(50)를 발수원단과 종이(10)로 분리시킨 후, 상기 발수원단을 권취하는 발수원단 롤러와, 상기 종이(10)를 권취하는 종이(10)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 형태로 감겨진 적층시트(50)는 일정 시간 숙성된 이후 별도의 공간(본 실시예에서는 발수수지 도포부(200)의 하측공간)에 안착되어 일렬로 풀리면서 발수원단과 종이(10)로 분리된 후, 각각 발수원단 권취롤러(910)와 종이 권취롤러(920)에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발수원단과 종이(10)로 구분되어 감겨지면, 발수원단은 제품으로 납품시키고 종이(10)는 다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발수수지 도포부(200)의 측면도이다.
상기 발수수지 도포부(200)는, 수지탱크(210)에 담겨져 있는 액상의 발수수지가 수지공급노즐(220)에 의해 종이(10)의 상면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발수수지가 분사방식으로 종이(10)의 상면으로 제공되면 부위별 두께가 불균일해지므로, 상기 발수수지가 제공되는 영역의 후단(도 3에서는 좌측)에는 끝단(도 3에서는 하단)이 상기 종이(10)의 상면에 접촉되는 수지스퀴즈(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종이(10)의 상면으로 제공된 액상의 발수수지는 종이(10)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수지스퀴즈(230)에 의해 긁어져 얇게 도포된다. 이때, 상기 수지스퀴즈(230) 중 종이(10)와 접촉되는 하측부위는 상기 종이(10)를 손상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액상의 발수수지를 얇게 펼 수 있도록, 일정 수준의 탄성 및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탱크(210) 내의 발수수지가 수지공급노즐(220)을 통해 종이(10)의 상면으로 자동 공급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수지탱크(210) 내의 발수수지는 수지공급노즐(220) 이외에 여러 종류의 액체 유동 유닛에 의해 종이(10)의 상면으로 공급될 수도 있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종이(10) 상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부(400)의 측면도이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400)는 수지도포지(20) 중 발수수지의 상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수지도포지(20) 중 종이(10)가 위치된 면이 일측 외주면에 감싸지도록 걸쳐져 회전 시 상기 수지도포지(20)를 이송시키는 고무롤러(410)와, 상기 고무롤러(410)에 감싸진 수지도포지(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무롤러(410) 상에 적층되는 메쉬롤러(420)와, 상기 메쉬롤러(420)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노즐(440)과, 끝단이 상기 메쉬롤러(4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메쉬롤러(420)의 외측면으로 공급된 접착제를 얇게 펴는 접착제스퀴즈(4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쉬롤러(420)는 표면에 미세홈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바, 접착제스퀴즈(430)가 메쉬롤러(420)의 표면에 밀착되더라도 상기 메쉬롤러(420)의 표면에는 일정량의 접착제가 함침되며, 이 접착제는 메쉬롤러(420)와 고무롤러(410)가 맞닿는 지점에서 수지도포지(20)의 상면(더 명확하게는 발수수지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부(400)는, 접착제공급노즐(440)로부터 다량의 액상 접착제가 제공되더라도 수지도포지(20)의 상면에 매우 얇게 접착제를 도포시킬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발수원단의 두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 사용량을 최소화시킴으로서 환경오염 방지 및 제조원가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합부(700)의 측면도이다.
상기 접합부(700)는 수지도포지(20)에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 즉, 접착제도포지(30)에 직물(40)을 적층시킴으로써 종이(10)와 발수수지와 접착제와 직물(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시트(50)를 제작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일측 외주면에 직물(40)이 감싸지도록 제공되어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직물(40)을 이송시키는 제2 가압롤러(720)(710)와, 상기 접착제도포지(30) 중 종이(10)가 위치된 면이 일측 외주면에 감싸져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접착제도포지(30)를 이송시키되 상기 접착제도포지(30) 중 접착제가 위치된 면에 상기 직물(40)이 적층되도록 상기 제2 가압롤러(720)(710)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2 가압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가압롤러(720)(710)에 감겨져 제공되는 직물(40)과 제2 가압롤러에 감겨져 제공되는 접착제도포지(30)는, 제2 가압롤러(720)(710) 및 제2 가압롤러가 맞닿는 부위를 지나면서 하나의 시트로 접합되어 적층시트(50)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2 가압롤러(720)(710)와 제2 가압롤러는, 종이(10)와 발수수지와 접착제와 직물(40)의 두께에 따라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어야하므로, 상기 접합부(700)는 제2 가압롤러(720)(710)를 승강시킴으로써 제2 가압롤러(720)(710)와 제2 가압롤러 간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가압유닛(730)을 추가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유닛(730)은 제2 가압롤러(720)(710)를 승강시킬 수만 있다면, 유압실린더나 리니어모터 등 어떠한 구동유닛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발수원단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착제 경화부(800)의 측면도이다.
접착제 경화부(800)는 직물(40)이 접착제도포지(30)와 완전히 접착되도록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단순히 적층시트(50)를 가열만 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열 이후 냉각까지 시킬 수 있도록 가열롤러(810)와 냉각롤러(820)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롤러(810)와 냉각롤러(820)를 전기나 공조장치로 가열 및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열기 및 냉기 발생을 위해 구조가 매우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접착제 경화부(8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롤러(810)와 냉각롤러(820)를 각각 온수와 냉수로 가열 및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가열롤러(810)와 냉각롤러(820)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물이 채워질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열롤러(810)의 내부공간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라인(812)과, 상기 냉각롤러(820)의 내부공간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라인(822)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롤러(810)의 내부를 온수로 채우고 냉각롤러(820)의 내부를 냉수로 채워두면, 적층시트(50)는 가열롤러(810)를 지나는 동안 일정 수준 가열되었다가 냉각롤러(820)를 지나는 동안 상온으로 냉각되므로, 직물(40)이 접착제도포지(30)에 완전히 접합되는데 필요한 숙성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권취부(900)에 감겨지는 적층시트(50)가 일정 수준 냉각된 상태로 감겨지므로, 수축으로 인한 적층시트(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종이 20 : 수지도포지
30 : 접착제도포지 40 : 직물
50 : 적층시트 100 : 종이 공급부
200 : 발수수지 도포부 210 : 수지탱크
220 : 수지공급노즐 230 : 수지스퀴즈
300 : 발수수지 가열부 310 : 제1 가열부
320 : 제2 가열부 400 : 접착제 도포부
410 : 고무롤러 420 : 메쉬롤러
430 : 접착제스퀴즈 440 : 접착제공급노즐
500 : 접착제 가열부 600 : 직물 공급부
700 : 접합부 710 : 제1 가압롤러
720 : 제2 가압롤러 730 : 가압유닛
800 : 접착제 경화부 810 : 가열롤러
812 : 온수공급라인 820 : 냉각롤러
822 : 냉수공급라인 900 : 권취부
910 : 발수원단 권취롤러 920 : 종이 권취롤러

Claims (9)

  1. 일렬로 공급되는 종이의 일면에 액상의 발수수지를 도포하여 수지도포지를 제작하는 발수수지 도포부;
    상기 수지도포지를 가열하여 상기 발수수지를 경화시키는 발수수지 가열부;
    상기 발수수지의 표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도포지를 제작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지에 도포된 접착제를 가열하는 접착제 가열부;
    일렬로 공급되는 직물을 상기 접착제도포지의 접착제 표면에 적층시켜 적층시트를 제작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적층시트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를 가열하는 가열롤러와, 상기 가열롤러를 지난 적층시트가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롤러를 구비하는 접착제 경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경화부를 지난 적층시트를 발수원단과 종이로 분리시킨 후, 상기 발수원단을 권취하는 발수원단 롤러와, 상기 종이를 권취하는 종이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수수지 도포부는,
    상기 종이의 상면에 발수수지를 제공하는 수지공급노즐과, 상기 발수수지가 제공되는 영역의 후단에 장착되어 끝단이 상기 종이의 상면에 접촉되는 수지스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상기 수지도포지 중 종이가 위치된 면이 일측 외주면에 감싸져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수지도포지를 이송시키는 고무롤러와, 상기 고무롤러에 감싸진 수지도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무롤러 상에 적층되는 메쉬롤러와, 상기 메쉬롤러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노즐과, 끝단이 상기 메쉬롤러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메쉬롤러의 외측면으로 공급된 접착제를 얇게 펴는 접착제스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일측 외주면에 직물이 감싸지도록 제공되어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직물을 이송시키는 제1 가압롤러와, 상기 접착제도포지 중 종이가 위치된 면이 일측 외주면에 감싸져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접착제도포지를 이송시키되 상기 접착제도포지 중 접착제가 위치된 면에 상기 직물이 적층되도록 상기 제1 가압롤러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2 가압롤러와, 상기 제1 가압롤러를 상기 제2 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 간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가압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롤러와 냉각롤러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물이 채워질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경화부는, 상기 가열롤러의 내부공간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라인과, 상기 냉각롤러의 내부공간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경화부를 지난 적층시트에서 종이만이 분리된 발수원단을 권취하는 발수원단 권취롤러와, 상기 적층시트에서 분리된 종이를 권취하는 종이 권취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조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50038287A 2015-03-19 2015-03-19 발수원단 제조장치 KR10159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87A KR101599445B1 (ko) 2015-03-19 2015-03-19 발수원단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87A KR101599445B1 (ko) 2015-03-19 2015-03-19 발수원단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45B1 true KR101599445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287A KR101599445B1 (ko) 2015-03-19 2015-03-19 발수원단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934B1 (ko) * 2016-05-30 2017-11-08 이성근 기능성 직물용 필름 코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176A (ja) * 1989-07-25 1991-03-14 Hakuyoushiya:Kk 布帛の加工方法
KR200243480Y1 (ko) * 2001-05-28 2001-10-15 한용희 원단 라미네이팅 가공장치
KR100400605B1 (ko) * 2001-03-15 2003-10-17 서연권 기능성 부직포와 그 부직포의 표면처리방법 및 장치
KR101059411B1 (ko) 2008-09-02 2011-08-29 (주)에프티이앤이 전기 방사를 이용하여 발수 처리된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176A (ja) * 1989-07-25 1991-03-14 Hakuyoushiya:Kk 布帛の加工方法
KR100400605B1 (ko) * 2001-03-15 2003-10-17 서연권 기능성 부직포와 그 부직포의 표면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43480Y1 (ko) * 2001-05-28 2001-10-15 한용희 원단 라미네이팅 가공장치
KR101059411B1 (ko) 2008-09-02 2011-08-29 (주)에프티이앤이 전기 방사를 이용하여 발수 처리된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934B1 (ko) * 2016-05-30 2017-11-08 이성근 기능성 직물용 필름 코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6900T3 (es) Método para fabricar un producto del tipo que comprende un elemento de soporte laminar y una capa de mejora y sistema correspondiente
US10118373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uble-layer fabric for down products having pattern joining line formed by high-frequency bonding
CN103419384B (zh) 一种修复破损输送带的方法及其修复装置
KR101599445B1 (ko) 발수원단 제조장치
KR101543966B1 (ko) 롤페이퍼 도색 기재를 이용한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RU2014138134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кани из углеродного волокна и ткань, полученная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KR20170098523A (ko) 알루미늄 필름 또는 pet 증착 필름 단열시트 제조장치
TWI593850B (zh) 鞋材布料及工業布料的貼合方法
CN106945372A (zh) 一种pp蜂窝板末端与合页结构及其处理工艺
ES2058671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bandas flexibles, impermeables.
KR100842362B1 (ko) 합포섬유의 제조방법
JP6010068B2 (ja) 湿式フィルムの連続成膜製造設備及びその成膜方法
JP4681634B2 (ja) 接着シート
JP2015530545A (ja) 複数の摩擦フェーシングエレメントを1つの摩擦フェーシング支持体に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WO2020091175A1 (ko) 감성품질 향상을 위한 자동차 시트용 원단 합포방법
CN106958150A (zh) 一种圆筒状网布的双面涂布工艺
KR101815969B1 (ko) 원단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84773A5 (ko)
NZ615582A (en) Microwave curing of carpet plastisol
KR100419240B1 (ko) 액상(液狀)접착제를 이용한 원단 합포방법
CN104647856A (zh) 一种用于asa、pmma合金装饰膜的涂胶方法及涂胶设备
CN207105817U (zh) 一种pu膜成型设备的面料覆膜贴合装置
US3607493A (en) Method of making a plastic-coated fabric
KR101358333B1 (ko)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KR100190223B1 (ko) 원단의 접착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