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33B1 -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 Google Patents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33B1
KR101358333B1 KR1020130026533A KR20130026533A KR101358333B1 KR 101358333 B1 KR101358333 B1 KR 101358333B1 KR 1020130026533 A KR1020130026533 A KR 1020130026533A KR 20130026533 A KR20130026533 A KR 20130026533A KR 101358333 B1 KR101358333 B1 KR 10135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eat generating
fabric
cover film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식
Original Assignee
황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식 filed Critical 황현식
Priority to KR102013002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열재의 구성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가요성 발열시트(3); 상기 발열시트(3)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면커버필름(9); 상기 발열시트(3)의 저면에 접착되는 저면커버필름(11); 상기 상면커버필름(9)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섬유로 된 강도보강시트(13); 상기 강도보강시트(13)의 상면에 접착되는 표면형성시트(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Heating Member For Textile Printing And Printing Boar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날염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날염이란 염색법의 하나로서, 특히 직물에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필요한 무늬가 나타나게 하는 기술이다.
통상 날염은 직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기다란 날염판을 필요로 하는데, 날염판은 평평하게 설치되기도 하고 경사지게 설치되기도 한다. 표현하려는 무늬의 형태로 음각(陰刻)이 형성된 롤러를 직물에 대고 문지르거나 또는 무늬의 형태로 무수히 많은 작은 구멍이 뚫려있는 스크린을 대고 날염풀을 묻힌 롤러로 문지름으로써 직물에 문양대로 날염풀을 입히게 되는 것이다. 염색하고자 하는 색상의 수에 따라 1도, 2도 또는 3도 염색이 시행된다.
날염판은 섬유물에 날인된 날염풀을 열로써 신속히 건조시키기 위해 히팅수단을 구비한다. 종래의 히팅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염판(101) 저부에 증기관(103)을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한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다. 보일러로 고온의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관(103)을 통과시킴으로써 날염판(101)을 가열하는 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열증기를 이용하는 방식은 날염판(101)을 신속히 가열하기 힘들다. 따라서 작업자는 날염판(101)을 알맞은 온도로 승온시킬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작업시간의 낭비가 있게 된다. 또한 직물에 따라 날염판(101)의 적정한 온도가 다른데, 알맞은 온도로 세팅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가열증기로써 날염판(101) 자체를 가열해야 하므로 작업이 끝난 후에도 날염판(101)은 한동안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열에너지의 낭비적 요소가 된다. 또한 증기관(103)으로부터 이격된 지점과 증기관(103)이 위치된 지점과의 사이의 영역(S)에 온도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염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도 생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전열선(105)을 이용한 날염판 히팅장치(107)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날염판(101)은 길이가 수십미터에 달하는 것이 보통이라서 그 길이를 따라서 여러 개의 단위 전열히터(107)가 설치될 수밖에 없다. 경우에 따라 수십개의 단위 전열히터(107)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열히터(107)를 사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진다.
여러 개의 단위 전열히터(107)가 사용되기 때문에 작업중 어느 하나가 과열 또는 단선 등의 문제로 열을 발생시키지 못할 경우 직물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어느 한 색상이 제대로 염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직물 전체를 통째로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즉, 작업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부위에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날염판(101) 표면의 표면정밀도는 제품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표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일명 퍼티(putty, 일명 빠데)를 입히는 것이 보통인데, 전열선이 설치된 지점에 퍼티의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가 흔하다. 이는 고온으로 가열되는 전열선 자체와 그 주변과 열적 스트레스 때문이다. 그리고 전열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들 중 하나는 정전기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날염판(101) 표면에는 직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왁스를 코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퍼티층이 손상되는 경우 왁스를 벗겨내고 퍼티를 다시 입혀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퍼티 및 왁스의 낭비가 커서 손실이 배가된다.
관련 종래기술로는 국내특허출원 제10-2006-0066365호가 있으나, 이는 날염된 직물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날염과정에서 날염판에 설치되는 히터와는 관계가 멀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염에 사용되는 날염판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으로서의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좀더 구체적인 목적은, 날염판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온도로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날염판 표면의 표면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직물로 된 발열원단의 표면에 금속의 띠형태로 된 전극체를 접착시키고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원단에 카본을 침투시킴으로써, 카본이 함유된 상기 발열원단으로 하여금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게 하는 직물형 면상발열체로 된 가요성 발열시트(3);
상기 발열시트(3)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면커버필름(9);
상기 발열시트(3)의 저면에 접착되는 저면커버필름(11);
상기 상면커버필름(9)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합성섬유로 된 강도보강시트(13);
상기 강도보강시트(13)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열에 의해 부분 용융된 상태에서 압착됨으로써 표면을 메워 평탄화시키기 위한 표면형성시트(15);
상기 발열시트(3)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강도보강시트(13)와 표면형성시트(15) 사이에 개입되는 것으로서, 직물로 된 원단에 접지선(21)을 연결하기 위한 동박판(19)을 접착시킨 다음 전체적으로 탄소를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된 차폐시트(17);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시트(3), 상면커버필름(9), 저면커버필름(11), 강도보강시트(13), 표면형성시트(15) 및 차폐시트(17)는 롤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가면서 모두 취합된 다음 1쌍의 가열 압착롤(43)을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됨으로써 일체로 접합되어 층구조를 이루게 되며;
일정한 폭을 가진 연속된 띠 형태로서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용 발열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열시트는, 직물로 된 발열원단의 표면에 금속의 띠형태로 된 전극체를 접착시키고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원단에 카본을 침투시킴으로써, 카본이 함유된 상기 발열원단으로 하여금 상기 전극체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게 하는 직물형 면상발열체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강도보강시트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면커버필름의 저면에는 부직포로 된 단열시트가 더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프레임(53)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55);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재(1); 상기 발열재(1)가 상기 베이스판(55) 위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소재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발열재(1)는,
직물로 된 발열원단의 표면에 금속의 띠형태로 된 전극체를 접착시키고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원단에 카본을 침투시킴으로써, 카본이 함유된 상기 발열원단으로 하여금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게 하는 직물형 면상발열체로 된 가요성 발열시트(3);
상기 발열시트(3)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면커버필름(9);
상기 발열시트(3)의 저면에 접착되는 저면커버필름(11);
상기 상면커버필름(9)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인장강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인장력에 의한 연신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합성섬유로 된 강도보강시트(13);
상기 강도보강시트(13)의 상면에 접착되는 표면형성시트(15);
상기 발열시트(3)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강도보강시트(13)와 표면형성시트(15) 사이에 개입되는 것으로서, 직물로 된 원단에 접지선(21)을 연결하기 위한 동박판(19)을 접착시킨 다음 전체적으로 탄소를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된 차폐시트(17)가 일체로 접합되어 층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소재고정수단은,
상기 발열재(1)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57);
상기 발열재(1)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재(1)의 타측에 설치되 것으로서, 구동모터 또는 수동으로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열재(1)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판(55)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인장력 발생장치(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구조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강도보강시트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 형태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열증기를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보일러가 필요없고 따라서 설비의 규모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날염판의 온도를 원하는 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날염판을 고르게 가열함으로써 온도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퍼티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따라서 최상층에 가해지는 왁스를 기존의 것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나염판 자체의 열팽창률이 적어 제품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증기관이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날염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열히터가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날염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염판용 발열재의 층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염판용 발열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염판용 발열재의 발열시트의 일부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염판용 발열재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염판구조체의 정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날염판용 발열재(1. 이하, '발열재'라 함)는 시트 형태로서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는 수미터에서 수십미터까지 될 수 있다. 발열재(1)의 길이는 통상의 날염판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발열재(1)의 폭은 예를 들어 1530mm 또는 1830mm일 수 있다. 발열재(1)는 롤형태로 권취될 수 있는 두께(예를 들어 3 ~ 8mm)를 가진다. 발열재(1)는 위에 언급된 규격 이외의 규격으로도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열재(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단위 시트 내지 필름이 층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요성으로 된 발열시트(3)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시트이다. 발열시트(3)는 국내 특허등록 제10-0974272호의 "직물형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발열체일 수 있다. 발열시트(3)는 직물로 된 발열원단(5)의 표면에 금속의 띠형태로 된 전극체(7)를 접착시키고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원단(5)에 카본을 침투시킴으로써, 카본이 함유된 발열원단으로 하여금 전극체(7)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게 하는 직물형 면상발열체일 수 있다. 이로써 발열시트(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상을 가진다. 도 5에는 발열재(3)의 일부 조각이 표현되어 있다.
발열시트(3)는 면상발열체를 기본으로 하지만 다양한 제조방법과 구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허등록 제10-0974272호에 의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면커버필름(9)이 발열시트(3)의 상면에 접착 고정된다. 저면커버필름(11)이 발열시트(3)의 저면에 접착 고정된다. 상면커버필름(9)과 저면커버필름(11)은 PP(폴리 프로필렌, 이하 같음) 또는 PE(폴리 에틸렌, 이하 같음)와 같이, 열에 의해 융착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같은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같은 재질이어야 할 것은 아니다.
강도보강시트(13)가 상면커버필름(9)의 상면에 접착 고정된다. 강도보강시트(13)는 발열재(1)의 일방향, 특히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인장강도를 부여함으로써 인장력에 의한 연신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강도보강시트(13)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일 수 있다. 인장강도가 매우 높은 공지의 시트형 소재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보강시트(13)의 상면에 표면형성시트(15)가 접착 고정된다. 표면형성시트(15)는 발열재(1)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퍼티(putty)를 대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표면형성시트(15)는 오톨도톨한 발열시트(3) 또는 강도보강시트(13)의 표면을 메워 평탄화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표면형성시트(15)는 열에 의해 약간 용융된 상태에서 압착되게 된다. 표면형성시트(15)는 위에 설명된 상면커버필름(9) 내지 저면커버필름(11)과 동일한 소재일 수 있다. 이로써 발열재(1)는 발열시트(3)와 강도보강시트(13)를 개입시킨 다음 전체적으로 PP 또는 PE와 같은 합성수지로써 함침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열시트(3)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차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시트(3)에 전기가 공급되며 날염판 표면에 액상 물질이 부가됨으로써 유도전류가 발생되는데, 이를 그냥 두면 작업자가 정전기 때문에 직물에 손을 댈 수 없기 때문에 이 유도전류를 제거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차폐수단은 강도보강시트(13)와 표면형성시트(15) 사이에 개입되는 차폐시트(17)이다. 차폐시트(17)는 발열시트(3)와 같이 직물로 된 원단에 동박판(19)을 접착시킨 다음 전체적으로 탄소를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결국 차폐시트(17)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이 다를 뿐 위에서 설명한 발열시트(3)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동박판(19)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21)이 연결된다.
차폐시트(17)와 발열시트(3)는 안전하게 절연되어야 할 것이다. 차폐시트(3)와 강도보강시트(13)를 접착시켜 일체화시키기 위해 중간필름(23)이 그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중간필름(23)은 상면커버필름(9) 또는 저면커버필름(11)과 같이 PP 또는 PE와 같은 합성수지일 수 있으며 선택적 사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면커버필름(11)의 저면에 부직포로 된 단열시트(25)가 더 접착될 수 있다. 단열시트(25)는 발열재(1)에 약간의 완충성을 부여하며, 발열시트(3)로부터 발열재(1)의 저면을 통한 열손실을 줄이며 발열재(1) 자체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단열시트(25)는 1 ~ 3mm 두께라면 적당하다.
본 발명의 발열재(1)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별도의 접착제 없이 합성수지 필름의 자체 접착력을 이용하여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필요한 경우 접착제가 채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발열재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조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롤(27)에는 표면형성시트(15)가, 제2롤(29)에는 차폐시트(17)가, 제3롤(31)에는 중간필름(23)이, 제4롤(33)에는 강도보강시트(13)가, 제5롤(35)에는 상면커버필름(9)이, 제6롤(37)에는 발열시트(3)가, 제7롤(39)에는 저면커버필름(11)이, 제8롤(41)에는 단열시트(25)가 각각 권취된다. 각 롤(27 내지 41)은 권취된 소재의 두께에 따라 회전속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자체 구동력을 갖고 구동될 수도 있다.
1쌍의 가열 압착롤(43)은 이들을 모두 취합하여 가열함과 동시에 압착시킴으로써 각 합성수지로 된 각 필름이 융착되면서 접착제 역할을 하도록 한다. 가열 압착롤(43)의 전방에는 압착된 상태로 배출되는 발열재(1)를 클램핑하여 인출하기 위한 권취장치(4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4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권취장치(45)는 발열재(1)를 롤형태로 권취한다.
위에 설명된 발열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됨으로써 날염판구조체(51)를 구축한다.
날염판구조체(51)는 지지프레임(53)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55);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재(1); 발열재(1)가 상기 베이스판(53) 위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소재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열재(1)는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발열재(1)와 완전히 동일한 내용을 가지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소재고정수단은 일측(도면상 우측)은 클램프(57)일 수 있으며, 타측(도면상 좌측)은 발열재(1)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인장력 발생장치(59)이다. 인장력 발생장치(59)는 구동모터 또는 수동으로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열재(1)로 하여금 베이스판(53)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발열재(1)가 이완 또는 연신되는 경우에 대하여 인장력 발생장치(59)는 주기적으로 발열재(1)를 도면상 좌측으로 당겨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베이스판(55)은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판(55)의 상면에는 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공지의 왁스가 코팅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발열재 3 : 발열시트
5 : 발열원단 7 : 전극체
9 : 상면커버필름 11 : 저면커버필름
13 : 강도보강시트 15 : 표면형성시트
17 : 차폐시트 19 : 동박판
21 : 접지선 23 : 중간필름
25 : 단열시트
27, 29,31,33,35,37,39,41 : 제1 내지 제8롤
43 : 가열 압착롤 45 : 권취장치
47 : 냉각장치 51 : 날염판구조체
53 : 지지프레임 55 : 베이스판
57 : 클램프

Claims (10)

  1. 직물로 된 발열원단의 표면에 금속의 띠형태로 된 전극체를 접착시키고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원단에 카본을 침투시킴으로써, 카본이 함유된 상기 발열원단으로 하여금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게 하는 직물형 면상발열체로 된 가요성 발열시트(3);
    상기 발열시트(3)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면커버필름(9);
    상기 발열시트(3)의 저면에 접착되는 저면커버필름(11);
    상기 상면커버필름(9)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합성섬유로 된 강도보강시트(13);
    상기 강도보강시트(13)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열에 의해 부분 용융된 상태에서 압착됨으로써 표면을 메워 평탄화시키기 위한 표면형성시트(15);
    상기 발열시트(3)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강도보강시트(13)와 표면형성시트(15) 사이에 개입되는 것으로서, 직물로 된 원단에 접지선(21)을 연결하기 위한 동박판(19)을 접착시킨 다음 전체적으로 탄소를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된 차폐시트(17);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시트(3), 상면커버필름(9), 저면커버필름(11), 강도보강시트(13), 표면형성시트(15) 및 차폐시트(17)는 롤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가면서 모두 취합된 다음 1쌍의 가열 압착롤(43)을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됨으로써 일체로 접합되어 층구조를 이루며;
    일정한 폭을 가진 연속된 띠 형태로서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용 발열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시트(17)와 강도보강시트(13) 사이에는 합성수지로 된 중간필름(23)이 더 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용 발열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시트(13)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용 발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커버필름(11)의 저면에는 부직포로 된 단열시트(25)가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용 발열재.
  7. 지지프레임(53)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55);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재(1); 상기 발열재(1)가 상기 베이스판(55) 위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소재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발열재(1)는,
    직물로 된 발열원단의 표면에 금속의 띠형태로 된 전극체를 접착시키고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원단에 카본을 침투시킴으로써, 카본이 함유된 상기 발열원단으로 하여금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게 하는 직물형 면상발열체로 된 가요성 발열시트(3);
    상기 발열시트(3)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면커버필름(9);
    상기 발열시트(3)의 저면에 접착되는 저면커버필름(11);
    상기 상면커버필름(9)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인장강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인장력에 의한 연신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합성섬유로 된 강도보강시트(13);
    상기 강도보강시트(13)의 상면에 접착되는 표면형성시트(15);
    상기 발열시트(3)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강도보강시트(13)와 표면형성시트(15) 사이에 개입되는 것으로서, 직물로 된 원단에 접지선(21)을 연결하기 위한 동박판(19)을 접착시킨 다음 전체적으로 탄소를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된 차폐시트(17)가 1쌍의 가열 압착롤(43)을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됨으로써 일체로 접합됨으로써 층구조를 가지게 되는 일정한 폭을 가진 연속된 띠 형태이며;
    상기 소재고정수단은,
    상기 발열재(1)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57);
    상기 발열재(1)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재(1)의 타측에 설치되 것으로서, 구동모터 또는 수동으로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열재(1)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판(55)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인장력 발생장치(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구조체.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시트(13)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판구조체.
KR1020130026533A 2013-03-13 2013-03-13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KR10135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33A KR101358333B1 (ko) 2013-03-13 2013-03-13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33A KR101358333B1 (ko) 2013-03-13 2013-03-13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333B1 true KR101358333B1 (ko) 2014-02-12

Family

ID=5026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533A KR101358333B1 (ko) 2013-03-13 2013-03-13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88B1 (ko) 2017-02-03 2018-11-13 김석성 농작물 보호용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3857A (ko) * 2020-04-06 2021-10-14 황현식 도로설치용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791B1 (ko) * 2010-02-24 2012-02-06 이무영 핸드프린팅용 날염장치의 지지판
KR20130004532A (ko) * 2010-08-29 2013-01-11 김경중 하부 피복절연시트와 망사형 직조물을 발열 베이스로 이용한 면상발열체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791B1 (ko) * 2010-02-24 2012-02-06 이무영 핸드프린팅용 날염장치의 지지판
KR20130004532A (ko) * 2010-08-29 2013-01-11 김경중 하부 피복절연시트와 망사형 직조물을 발열 베이스로 이용한 면상발열체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88B1 (ko) 2017-02-03 2018-11-13 김석성 농작물 보호용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3857A (ko) * 2020-04-06 2021-10-14 황현식 도로설치용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6451B1 (ko) * 2020-04-06 2022-07-01 황현식 도로설치용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9779B (zh) 一种粘合衬布及其生产工艺
KR101358333B1 (ko) 날염판용 발열재 및 이를 이용한 날염판구조체
RU2650136C2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эле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арм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объединенный с опорным слоем посредством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ого связывания
KR100668052B1 (ko) 탄소직물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N109605906A (zh) 一种用于生产碳纤维复合布压覆装置
KR101161102B1 (ko) 탄소 발열사를 이용한 발열 원단의 제조방법
US3438843A (en) Adhesive film containing heating elements
JPH08309258A (ja) 真空補助ウェブ乾燥システム
CN109199047A (zh) 一种地毯及其制作方法
CN218701414U (zh) 一种出胶均匀的膜卷生产用干式复合机
KR100915548B1 (ko) 부직포나 벽지나 수지 또는 각종 코팅지와 같은 기능성 소재가 부착된 스틸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478299B1 (ko) 플렉시블 호스용 직물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JPH11320729A (ja) 一方向性強化繊維複合基材
CN102104999A (zh) 一种远红外加热板及其制造方法
CN1990215A (zh) 色带超声波焊接方法及其焊接装置
CN208087917U (zh) 一种具有便捷性的多功能涂布机
CN107837985A (zh) 双面彩涂钢卷设备
KR101153741B1 (ko) 직물지의 무늬 형성장치
KR101415558B1 (ko) 합포원단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516723B2 (ja) 節水型の自動スクリ―ン捺染機
KR101379845B1 (ko) 고수축포를 이용한 입체무늬 형성방법
KR101087255B1 (ko) 고주파 압착롤러에 의한 친환경소재 접착 방법
KR20100062448A (ko) 복합수지관 연속 제조방법
CN208584873U (zh) 一种热熔胶撒粉复合机
KR100801954B1 (ko) 접착수단이 형성된 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