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252B1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252B1
KR101598252B1 KR1020130092288A KR20130092288A KR101598252B1 KR 101598252 B1 KR101598252 B1 KR 101598252B1 KR 1020130092288 A KR1020130092288 A KR 1020130092288A KR 20130092288 A KR20130092288 A KR 20130092288A KR 101598252 B1 KR101598252 B1 KR 10159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portion
negative electrode
wat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158A (ko
Inventor
이정렬
Original Assignee
이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렬 filed Critical 이정렬
Publication of KR2014001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evention or elimination of depos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oducing oligodynamic substances to disinfect th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85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anodic or acidic water, e.g. for oxidizing or steril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3Coaxial constructions, e.g. a cartridge located coaxially within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수처리장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고, 배관에 연결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수산기발생부 및 수산기발생부에 구비되어 케이스부의 내부의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사이에 구비되고, 배관을 흐르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와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배관의 물때 또는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고, 수산기와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의 물속에 수산기 발생장치를 설치하며, 설치된 수산기 발생장치는 비교적 안정된 저전압 DC전원을 입력받아 음전극과 양전극 사이에서 방전을 유도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띤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즉, 수산기는 고체, 액체, 기체에 이온 제4의 물질이라고 일컬어지는 플라즈마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산소 음이온계 물질로서, 현존하는 물질 중에서 살균, 소독, 분해 능력이 오존과 염소보다 2배 이상 강력하고,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는 천연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발생된 저온 플라즈마는 물속에 수산기(OH-)를 생성하여 물속에 존재하고 있는 세균 및 녹조류 등을 제거하여, 물속에서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 살균하여 물의 오염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84735호(공개일:2010.07.28)에는 "이동형 수산기 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을 흐르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를 발생시키며 배관속의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마이크로버블과 수산기가 포함된 살균수로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버블수와 마이크로버블과 수산기가 포함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산기 발생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고, 배관에 연결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수산기발생부 및 상기 수산기발생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의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산기발생부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양전극부와, 상기 복수개의 양전극부와 이격되어 교대로 적층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음전극부 및 상기 복수개의 음전극부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양전극부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극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양전극부와 상기 복수의 음전극부가 각각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에 끼워져 상기 양전극부는 양전극부끼리 상기 음전극부는 음전극부끼리 통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가 상호 이격되게 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접지홀과 비접지홀이 구비되고, 동일 전극부의 상기 접지홀과 상기 비접지홀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다른 전극부의 상기 접지홀과 상기 비접지홀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홀은 상기 연결부재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접지홀은 상기 절연부재의 크기와 같거나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돌기부와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함몰부에 의해 적층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 사이에는 부도체인 이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또한,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로버블생성부는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에 타공으로 형성되는 공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버블생성부는 물의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축소되다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배관에 흐르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를 발생시키며 배관속의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마이크로버블과 수산기가 포함된 살균수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양전극부와 음전극부가 교대로 전측되는 구조에 의해 방전효율이 향상되고, 각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마이크로버블생성부가 형성되어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할 수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마이크로버블수 또는 마이크로버블과 수산기가 포함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산기 발생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세부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마이크로버블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마이크로버블부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마이크로버블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세부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마이크로버블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마이크로버블부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마이크로버블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는 케이스부(110), 수산기발생부(120) 및 마이크로버블생성부(18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입수구(113)와 출수구(115)가 형성되고, 배관에 연결된다. 케이스부(110)는 내부가 개방되도록 제1케이스(112)와 제2케이스(114)로 이루어져 상호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스부(110)는 배관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입수구(113)와 출수구(115)의 외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 대응되는 배관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입수구(11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후술되는 수산기발생부(120)를 지나 출수구(115)로 배출된다.
수산기발생부(120)는 케이스부(1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양전극부(130)와 복수개의 양전극부(130)와 이격되어 교대로 적층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음전극부(140) 및 복수개의 음전극부(140)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양전극부(130)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극가이드부(160)를 포함한다.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는 전도체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SUS304판재 또는 티타늄에 백금족 개열의 금속을 진공증착, 도금 또는 고전기 전도성 물질을 배합한 컴파운드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전극가이드부(160)는 복수의 양전극부(130)와 복수의 음전극부(140)가 각각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봉(162)과, 전극봉(162)에 끼워져 양전극부(130)는 양전극부(130)끼리 음전극부(140)는 음전극부(140)끼리 통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164) 및 연결부재(16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가 상호 이격되게 하는 절연부재(166)를 포함한다.
이때, 연결부재(164)는 동일 전극부가 통전되게 하는 것으로, 티타늄 또는 전도성 금속에 백금족 계열의 금속을 도금 또는 진공 증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부재(166)는 통전을 막는 것으로 PVC, ABS, PC, GPPS, PP 등 절연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부재(164)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돌기부(164a)와 함몰부(164b)가 형성되고, 돌기부(164a)와 함몰부(164b)에 의해 적층되어 연결된다. 즉, 최선단에 위치한 연결부재(164)의 함몰부(164b)에는 전극봉(162)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돌기부(164a)와 함몰부(164b)의 연결에 의해 통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돌기부(164a)와 함몰부(164b)는 억지끼움되어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각각의 외내경에 대응되는 마찰돌기(미도시)와 마찰홈(미도시)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절연부재(166)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연부재(166)의 내경은 연결부재(164)의 외경과 일치되어 연결부재(164)가 절연부재(166)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각각의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접지홀(150)과 비접지홀(152)이 구비된다. 접지홀(150)은 연결부재(164)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비접지홀(152)은 절연부재(166)의 크기와 같거나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접지홀(150)의 주변 상하면은 연결부재(164)와 면접촉되어 통전되고, 비접지홀(152)에는 절연부재(166)가 수용되며 연결부재(164)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통전되지 않는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각 전극부에는 양측으로 접지홀(150)과 비접지홀(152)이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며, 일측은 양전극부(130)의 접지홀(150)과 음전극부(140)의 비접지홀(152)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타측은 양전극부(130)의 비접지홀(152)과 음전극부(140)의 접지홀(150)이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64)와 절연부재(166)가 끼워진다.
상기한 상태로 전극부에 압력을 가하여 밀착시키면, 직경이 큰 절연부재(166)에 의해 교대로 적층되는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고, 연결부재(164)는 비접지홀(152)과 접촉되지 않고, 접지홀(150)에만 접지되어 동일 전극끼리만 통전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 사이에는 부도체인 이격부재(170)가 구비된다. 이격부재(170)는 절연부재(166)와 동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전극부의 중앙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한 전극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동일 전극부끼리만 통전되게 하고,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가 전극봉(162)에 의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에 의해 수산기발생부(120)를 카트리지 형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봉(162)은 일측으로 연장되어 케이스부(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케이스부(110)의 외부에서 전원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극봉(162)은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를 관통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연결부재(164)와 절연부재(166)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64)의 중심으로는 전극봉(162)이 관통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접지홀(150)과 비접지홀(152)에 연결부재(164)가 접지 또는 비접지되어 동일 전극부를 통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산기발생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절연부재(166)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비접지홀(152)의 양측단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부재(168)는 제1절연부재(168a)와 제2절연부재(168b)로 구성되고, 제1절연부재(168a)와 제2절연부재(168b)는 상호 완곡면(169)이 마주보는 형태로 비접지홀(152)에 끼움 결합된다.
제1절연부재(168a)와 제2절연부재(168b)의 완곡면(169)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원형의 연결부재(164)가 한 쌍의 완곡면(169)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완곡면(169)은 연결부재(164)의 테두리 둘레면의 곡률에 맞도록 그 형상과 곡률이 정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64)가 완곡면(169)을 이탈하여 양전극부(130)에 접촉되거나 음전극부(14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절연부재(168a)와 제2절연부재(168b)는 전극부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전극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접착제나 에폭시를 도포하여 접착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생성부(180)는 수산기발생부(120)에 구비되어 케이스부(110)의 내부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에 타공으로 형성되는 공극으로 이루어진다. 공극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버블생성부(180)는 물의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축소되다가 확대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는 적층의 형태이며 임의의 중간에 위치한 전극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공극의 표면적이 확대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부(110) 내부 유속속에 흐름이 빠른 부분이 형성되고, 그 부분에서 공동현상이 유발되어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버블생성부(18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며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공동현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부(110)는 제1케이스(112)와 제2케이스(114)로 이루지고, 분리 가능하여 내부에 수산기발생부(120)가 구비된다. 케이스부(110) 내부에 구비되는 수산기발생부(120)는 복수개의 양전극부(130)와 복수개의 음전극부(140)가 상호 이격되며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이루어 형성되므로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의 적층 높이에 제한이 없으므로 용량별로 제작이 용이하다.
수산기발생부(120)는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양전극부(130)와 복수개의 음전극부(140)로 이루어지고, 전극가이드부(160)에 각 전극부는 일정간격 이격되며 동일 전극부끼리 통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각 전극부에는 접지홀(150)과 비접지홀(152)이 형성되며, 접지홀(150)은 연결부재(164)에 의해 통전되고, 비접지홀(152)은 절연부재(166)에 의해 통전되지 않는 구조에 의해 동일전극부끼리는 통전되며, 다른 전극부끼리는 통전되지 않는 구조를 지닌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동일전극부의 접지홀(150)과 비접지홀(152)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다른 전극부의 접지홀(150)과 비접지홀(152)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므로 가능하다.
이는 일반적인 수산기 발생모듈의 조립형태에서 볼 수 있는 납땜, 스포트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결한 후 방수 구조를 갖도록 에폭시, 우레탄, 고무 등으로 몰딩하는 작업을 제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방수 구조가 제거된 전극부는 수산기 발생량을 극대화하여 전극의 가용성을 높이며, 제품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 불량이 발생되어 납땜한 부위 또는 스포트용접 부위가 부식되거나 오염물질(납, 녹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64)의 돌기부(164a)와 함몰부(164b)에 의해 억지끼움되어 적층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며, 필요한 용량에 따라 전극부의 적층수를 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162)은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를 관통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168)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어져 비접지홀(152)의 양측단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2절연부재(168a,16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상태로 제1케이스(112)와 제2케이스(114)를 나사 결합하면, 각각의 전극부에 압력이 가해져 밀착되고, 교대로 적층되는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 사이가 절연부재(166)의 두께만큼 이격되고, 연결부재(164)는 비접지홀(152)과 접촉되지 않고 접지홀(150)에만 접지되어 동일 전극끼리만 통전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케이스부(110)의 입수구(113)와 출수구(115)에 각각 배관을 연결하고, 전극봉(162)에 전원을 인가하면, 배관을 따라 이동되는 물은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산기발생부(120)에 의해 수산기를 생성된다.
입수구(113)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적층된 각 전극부를 지나 출수구(115)로 토출된다. 이때, 유입된 물은 수압이 작용되므로, 각각의 전극부에 공극으로 형성되는 마이크로버블생성부(18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한다. 즉, 물이 각각의 마이크로버블생성부(180)를 지나면서 넓은 영역에서 좁은 영역을 통과하여 케이스부(110) 내부 유체속에 흐름이 빠른 부분을 형성하고, 이러한 빠른 부분에서 공동현상을 유발하여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전극부(130)와 음전극부(140)는 적층의 형태이며 임의의 중간에 위치한 전극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공극의 표면적이 확대되므로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의하면, 배관을 흐르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를 발생시키며 배관속의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마이크로버블과 수산기가 포함된 살균수로 살균할 수 있고, 전원 인가에 따라 마이크로버블수 또는 마이크로버블과 수산기가 포함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산기 발생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수처리장치 110 : 케이스부
112 : 제1케이스부 113 : 입수구
114 : 제2케이스부 115 : 출수구
120 : 수산기발생부 130 : 양전극부
140 : 음전극부 150 : 접지홀
152 : 비접지홀 160 : 전극가이드부
162 : 전극봉 164 : 연결부재
164a : 돌기부 164b : 함몰부
166, 168 : 절연부재 168a : 제1절연부재
168b : 제2절연부재 169 : 완곡면
170 : 이격부재 180 : 마이크로버블생성부

Claims (9)

  1.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고, 배관에 연결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수산기발생부 및 상기 수산기발생부에 구비되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산기발생부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양전극부와, 상기 복수개의 양전극부와 이격되어 교대로 적층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음전극부 및 상기 복수개의 음전극부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양전극부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극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양전극부와 상기 복수의 음전극부가 각각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봉;
    상기 전극봉에 끼워져 상기 양전극부는 양전극부끼리 상기 음전극부는 음전극부끼리 통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가 상호 이격되게 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접지홀과 비접지홀이 구비되며;
    동일 전극부의 상기 접지홀과 상기 비접지홀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다른 전극부의 상기 접지홀과 상기 비접지홀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돌기부와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함몰부에 의해 적층되어 연결되고;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크로버블생성부는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에 타공으로 형성되는 공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의 수압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홀은 상기 연결부재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접지홀은 상기 절연부재의 크기와 같거나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 사이에는 부도체인 이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생성부는 물의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축소되다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KR1020130092288A 2012-08-03 2013-08-03 수처리장치 KR101598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301 2012-08-03
KR1020120085301 2012-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158A KR20140018158A (ko) 2014-02-12
KR101598252B1 true KR101598252B1 (ko) 2016-02-26

Family

ID=5026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288A KR101598252B1 (ko) 2012-08-03 2013-08-03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22A (ko) * 2017-11-28 2019-06-05 죽암건설 주식회사 전극 간 접속 구조가 개선된 cdi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85B1 (ko) * 2015-08-24 2016-11-10 한국식품연구원 배관용 플라즈마 살균장치
KR102377141B1 (ko) * 2021-03-22 2022-03-21 김동식 마이크로·나노버블 발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800A (ja) * 2010-04-30 2011-12-08 Aquaecos Ltd 膜−電極接合体、これを用いる電解セル、オゾン水製造装置、オゾン水製造方法、殺菌方法及び廃水・廃液処理方法
KR101151808B1 (ko) * 2011-09-06 2012-06-01 (주)오선텍 전기분해 성능을 향상시킨 전해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800A (ja) * 2010-04-30 2011-12-08 Aquaecos Ltd 膜−電極接合体、これを用いる電解セル、オゾン水製造装置、オゾン水製造方法、殺菌方法及び廃水・廃液処理方法
KR101151808B1 (ko) * 2011-09-06 2012-06-01 (주)오선텍 전기분해 성능을 향상시킨 전해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22A (ko) * 2017-11-28 2019-06-05 죽암건설 주식회사 전극 간 접속 구조가 개선된 cdi 장치
KR102011116B1 (ko) * 2017-11-28 2019-08-14 죽암건설 주식회사 전극 간 접속 구조가 개선된 cdi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158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0889B2 (ja) 同心電極を含む管状電解セルおよび対応する方法
JP5295110B2 (ja) マイクロスケール容量性脱イオン装置
JP6150897B2 (ja) 水素水製造装置
JP6004613B2 (ja) 均一電場誘電体放電反応器
JP5884074B2 (ja) 液体処理装置及び液体処理方法
JP4889124B2 (ja) 流体処理装置
KR101387836B1 (ko) 전기 분해용 전극
JP4041224B2 (ja) 液体処理方法及び液体処理装置
JP6097942B2 (ja) 液体処理装置及び液体処理方法
JP2010201421A (ja) 殺菌水生成ユニット、それを含む殺菌水生成カートリッジ及び殺菌洗濯機
KR101598252B1 (ko) 수처리장치
JP2013211204A (ja) 液中プラズマ発生方法、液中プラズマ発生装置、被処理液浄化装置及びイオン含有液体生成装置
CN107592855A (zh) 低温水中等离子体发生装置
US201800573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tal Ions in a Fluid Stream
KR101669185B1 (ko) 배관용 플라즈마 살균장치
KR20140130758A (ko) 잔류염소를 함유한 의료용 살균수 제조 장치
KR101402227B1 (ko) 수처리장치
JP6132234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0464612Y1 (ko) 유수식 살균수 발생 장치
JP3570429B1 (ja) 酸素、水素ガス発生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40089625A (ko) 식물 재배기
JP5575529B2 (ja) 超微細気泡発生装置
JP2013180249A (ja) 水浄化装置
KR20090096267A (ko) 전기분해 샤워장치
AU2012212039B2 (en) Electrical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