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086B1 -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086B1
KR101598086B1 KR1020140076025A KR20140076025A KR101598086B1 KR 101598086 B1 KR101598086 B1 KR 101598086B1 KR 1020140076025 A KR1020140076025 A KR 1020140076025A KR 20140076025 A KR20140076025 A KR 20140076025A KR 101598086 B1 KR101598086 B1 KR 101598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odule
frame
fix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096A (ko
Inventor
정봉근
손송수
김익수
곽호성
홍성태
양노열
김무성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0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으로 유모차나 휠체어 등에 쉽게 설치 적용하여 다양한 모드로 브레이크 설정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휠이 구비되고 유아나 환자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모듈과, 동장치의 휠 주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이동장치의 휠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브레이크모듈 및 일단부에 상기 고정모듈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브레이크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모듈을 이동장치에 고정한 후 상기 브레이크모듈을 기 설정된 이동장치의 휠 주위 위치에 설치되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이 각각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는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는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Detachable brake system for 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나 휠체어를 상황에 따라서 복수 개의 안전모드 적용을 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신체(근골격계) 기능에 제한이 있어 직접적으로 이동에 제한이 있는 인구비율은 약 15%로, 국민 10명당 1.5명이 이동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이동권 보장에 대한 요구의 증가에 따라 이동보조기구의 사용성이 점차 강조되면서 장애인 및 고령자가 사용하는 수동휠체어의 전세계 시장규모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런 시장 규모의 증가와 함께 전세계적으로 휠체어 등의 이동장치 사용 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부분의 도로나 주변 환경을 살펴보면 경사로나 험로가 많기 때문에 사소한 보호자의 방심이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 보호자의 부주위로 경사로에서 휠체어나 유모차를 놓쳐 이동장치가 그대로 경사로 아래로 내려가 낙상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건수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시중의 유모차 및 수동휠체어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대부분의 경우 사람의 손이나 발로 바퀴 부위의 고정장치를 눌러 작동시키는 수동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수동방식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경사로나 험로에서 보호자의 사소한 부주위로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지 않을 상태에서 유모차나 수동휠체어를 놓칠 경우 이에 대한 대비책이 없기 때문에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와 같은 다양한 이동장치에 보호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안전모드로 적용이 가능한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이 구비되고 유아나 환자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모듈과, 이동장치의 휠 주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장치의 휠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브레이크모듈 및 일단부에 상기 고정모듈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브레이크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모듈을 이동장치에 고정한 후 상기 브레이크모듈을 기 설정된 이동장치의 휠 주위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되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이 각각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는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는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이 고정 시 상기 연결브라켓과 고정브라켓 사이로 이동장치의 프레임이 삽입 안착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연결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모듈은 외관을 이루며 타측이 개방된 브레이크케이스와,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에 구비되는 작동편과,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의 일측으로 상기 작동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작동모터와, 상기 작동모터의 작동 시 상기 작동모터 측으로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동모터의 회전축에 감겨짐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편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의 타측 개방된 부위로 노출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작동편의 타측에 구비되는 작동힌지에 함께 연결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부 및 상기 작동모터의 미작동 시에는 상기 브레이크부가 서로 기 설정된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센서가 구비된 터치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속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기 작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사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하면, 고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동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브레이크모듈을 휠 주위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프레임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유모차나 휠체어 등 이동장치에 별도로 설치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이며 초보자도 쉽게 설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하면, 직접 입력하는 터치방식과 더불어 자동제어적으로 작동되도록 속도센서와 경사센서를 구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브레이크모듈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고정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브레이크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체화된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동장치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작동모터의 미작동 시 브레이크부가 휠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작동모터의 작동 시 브레이크부가 이동하여 휠을 가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9는 다양한 모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고정모듈(110), 브레이크모듈(130) 및 프레임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10)은 휠이 구비되고 유아나 환자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100)이 고정되는 구성을 취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모듈(130)은 외관을 이루는 브레이크케이스(140)를 구비하며, 이동장치의 휠 주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이동장치의 휠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브레이크케이스(140) 외부로 노출되어 휠의 양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브레이크부(135)가 구비된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상기 프레임모듈(150)은 일단부에 상기 고정모듈(110)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브레이크모듈(130)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모듈(110)을 이동장치에 고정한 후 상기 브레이크모듈(130)을 기 설정된 이동장치의 휠 주위 위치에 설치되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151, 152, 153)이 인접 프레임끼리 각각 힌지(161, 162, 163, 164)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모듈(150)의 일단부와 타단부 또한 상기 고정모듈(110) 및 브레이크모듈(130)에 힌지에 의하여 연결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모듈(150)에 구비된 힌지는 상기 고정모듈(110)이 고정 시 상기 브레이크모듈(130)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의 개수 및 힌지의 설치 위치와 회전방향 그리고 개수 또한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각 힌지는 연결된 프레임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조인트가 구비된 힌지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모듈의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모듈(150)의 임의의 프레임(151)에는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게 될 작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2)와 이동장치가 위치된 장소의 경사 정도를 측정하는 경사센서(17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모듈(130)의 외관을 이루는 브레이크케이스(140)는 별도의 속도센서(188)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터치모듈(190)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모듈(190)은 유모차 등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설치부(192)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후술하는 작동모터 등을 작동하는 터치센서(194)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19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벨크로 방식 또는 별도의 단추 방식 등에 의하여 이동장치의 손잡이 등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194)와 상기 배터리(172) 및 작동모터(17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핀(198)이 구비된 연결선(196)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센서(194) 외부로는 별도의 보호창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장치의 속도를 나타내는 모니터부가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핀(198)은 프레임모듈(150)에 별도로 구비된 연결잭(17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모듈과 브레이크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정모듈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고정모듈(110)은 연결브라켓(112), 고정브라켓(114), 고정홈부(116) 및 고정부재(118)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브라켓(112)은 상기 프레임모듈(15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14)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연결브라켓(112)과 고정브라켓(114) 사이로는 이동장치의 프레임이 관통되게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부(1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부(116)는 이동장치의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장치의 프레임이 단면상 원형프레임인지 또는 사각프레임인지에 따라서 또는 그 직경 등에 따라서 대응되는 고정홈부(116)가 형성된 고정모듈(110)이 적용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8)는 상기 연결브라켓(112)과 고정브라켓(114)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14)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브라켓(112)에 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브레이크모듈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브레이크모듈(130)은 브레이크케이스(140), 작동편(132), 작동모터(120), 와이어(124), 브레이크부(135) 및 스프링(141, 144)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케이스(140)는 브레이크모듈(130)의 외관을 이루며 타측에 개방된 부위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편(132)은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의 일측으로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크케이스 중앙부위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케이스(140)의 타측 개방된 부위로 노출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작동편(132)의 타측에 작동힌지(133)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부(13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모터(120)는 상기 브레이크케이스(140)의 일측에 상기 작동편(132)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모터(120)의 작동 시 상기 작동모터(120)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작동모터(120) 측으로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동모터(120)의 회전축(122)에 롤 형태로 감겨지도록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편(132)에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12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모터(120)의 회전축(122)은 와이어(124)가 안정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소정의 풀리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141, 144)은 상기 작동모터의 미작동 시에는 상기 작동편(132)이 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브레이크부(135)가 상기 작동힌지(13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기 설정된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은 상기 양측 브레이크부(135) 사이로 설치되는 메인스프링(144)과, 작동모터의 미작동 시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편(132)이 상기 브레이크케이스(140) 내측에서 타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하는 보조스프링(141)으로 나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된 주요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제어부(105)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속도센서(188), 경사센서(174), 작동모터(120) 및 터치센서(19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은 도 5에서와 같은 형태로 보다 구체화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을 유모차 등의 이동장치에 설치하는 모습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소정 프레임에 고정모듈(110)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100)이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도 6에서는 유모차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시스템(100)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휠체어 등 기타 이동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에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모듈(10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홈부(116)에 이동장치의 프레임이 관통되도록 한 후, 상기 연결브라켓(112)과 고정브라켓(114)이 고정부재(118)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장치에 설치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00)의 프레임모듈(150)의 각 힌지(161, 162, 163, 164)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모듈(130)의 브레이크부(135)가 휠의 양측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각 힌지(161, 162, 163, 164)를 중심으로 양측 프레임들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00)이 이동장치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터치모듈(190)을 이동장치의 손잡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터치모듈(190)의 연결선(196) 끝단에 구비된 연결핀(198)이 상기 프레임모듈(150)의 연결잭(175)에 삽입되도록 하여 전체 브레이크 시스템(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은 먼저, 이동장치를 이동 시 상기 터치센서(194)를 작동시킴으로써 작동모터(120)가 작동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는,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속도센서(188)가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작동모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일정한 경사각도 이상을 이루는 비탈면에 이동장치가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경사센서(174)가 경사각을 측정하여 상기 작동모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일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편(132)이 상기 메인스프링(144) 및 보조스프링(141)에 의하여 브레이크케이스(140)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부(135)가 이동장치의 휠 양측에 비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모터(12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와이어(124)가 작동모터(120)의 회전축(122)에 감기어 상기 작동편(132)이 브레이크케이스(140)의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케이스(140)의 개방부에 간섭되면서 상기 브레이크부(135)가 브레이크케이스(14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이동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부(135)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힌지(13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결국 브레이크부(135)가 휠 양측을 가압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결국, 휠의 양측을 가압하여 휠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이동장치의 구름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은 터치방식 또는 속도센서 및 경사센서를 이용한 방식이, 도 9에서와 같이, 각각 적용되도록 하거나 모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터치모듈(190) 등에는 별도로 터치센서(194)와 속도센서(188) 및 경사센서(174)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는 알려주는 램프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별도의 조도 변화를 일으키는 센서가 구비되어,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각 램프가 밝기가 어두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적으로 동작 장치 구성이 콤팩트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하면, 고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동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브레이크모듈을 휠 주위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프레임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유모차나 휠체어 등 이동장치에 별도로 설치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이며 초보자도 쉽게 설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져온다.
또한, 직접 입력하는 터치방식과 더불어 자동제어적으로 작동되도록 속도센서와 경사센서를 구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브레이크모듈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져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105: 제어부
110: 고정모듈 112: 연결브라켓
114: 고정브라켓 116: 고정홈부
118: 고정부재 120: 작동모터
122: 회전축 124: 와이어
130: 브레이크모듈 132: 작동편
133: 작동힌지 135: 브레이크부
140: 브레이크케이스 141: 보조스프링
144: 메인스프링 150: 프레임모듈
151, 152, 153: 프레임 161, 162, 163, 164: 힌지
174: 경사센서 175: 연결잭
188: 속도센서 190: 터치모듈
192: 설치부 194: 터치센서
196: 연결선: 198: 연결핀

Claims (6)

  1. 휠을 구비한 이동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모듈,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동장치의 휠 양측면과 접할 수 있고 상기 휠에 제동을 가하는 브레이크모듈 및
    일단부에 상기 고정모듈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브레이크모듈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고정모듈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후 상기 브레이크모듈이 상기 휠 주위에 위치 하도록 하는 프레임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모듈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모듈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힌지에 의해 상기 휠 주위에서 위치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크모듈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모듈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개방된 브레이크케이스,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크케이스내부에 배치된 작동편,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편과 이격되어 있는 작동모터,
    상기 작동모터와 상기 작동편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작동모터의 작동 시 상기 작동편이 상기 작동모터 측으로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동모터의 회전축에 감겨질 수 있는 와이어,
    일측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브레이크케이스의 타측 개방된 부위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편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작동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브레이크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휠의 양측을 가압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메인스프링 및
    상기 브레이크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부가 상기 브레이크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보조스프링
    을 포함하는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에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이 삽입 안착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연결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작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센서가 구비된 터치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브레이크모듈은,
    상기 작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기 작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사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40076025A 2014-06-20 2014-06-20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159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025A KR101598086B1 (ko) 2014-06-20 2014-06-20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025A KR101598086B1 (ko) 2014-06-20 2014-06-20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96A KR20150146096A (ko) 2015-12-31
KR101598086B1 true KR101598086B1 (ko) 2016-02-26

Family

ID=5512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025A KR101598086B1 (ko) 2014-06-20 2014-06-20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0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8759A (ja) 2005-12-20 2007-07-05 Tadashi Kato 運搬台車用後付けブレ−キ装置
JP2011063111A (ja) 2009-09-17 2011-03-31 Nien-Min Tai 油圧パレットトラックのブレーキ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67815Y (es) * 2008-04-02 2008-10-01 Crisol Julio Collados Vehiculo a ruedas por traccion manual
KR20110105450A (ko) * 2010-03-19 2011-09-27 김진영 인력거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력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8759A (ja) 2005-12-20 2007-07-05 Tadashi Kato 運搬台車用後付けブレ−キ装置
JP2011063111A (ja) 2009-09-17 2011-03-31 Nien-Min Tai 油圧パレットトラックのブレーキ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96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987712T3 (en) ELECTRIC BALANCE SHEETS
TWI535432B (zh) 具投射步伐圖形功能與座椅結構的復健裝置及其控制方法
KR101317726B1 (ko)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KR102334854B1 (ko) 보행 보조 로봇
KR101385571B1 (ko) 전동보조형 휠체어용 구동장치
KR101979938B1 (ko) 보행 보조 로봇
JP2009247411A (ja) 移動式歩行訓練機及び歩行補助機
CA2930265A1 (en) Control of rollers mounted on a movable pa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llers mounted on a movable part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KR101177680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꺼꾸리 운동장치
KR101598086B1 (ko) 이동장치용 착탈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51740B1 (ko)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20170088495A (ko) 스마트 보행 시뮬레이터
KR101424109B1 (ko) 보행 보조장치
KR20160115263A (ko)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101102845B1 (ko)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KR101807989B1 (ko) 위험상황을 인식하여 제동하는 유모차
KR101909116B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20170022475A (ko) 이동장치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82813B1 (ko) 전동 유모차
JP4107665B2 (ja) 歩行訓練装置
JP2013226173A (ja) 歩行運動装置
KR101589218B1 (ko) 유모차용 제동장치
KR101601490B1 (ko) 크러치 겸용 전동식 휠체어
CN210472563U (zh) 把手与行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