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431B1 -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431B1
KR101597431B1 KR1020140065187A KR20140065187A KR101597431B1 KR 101597431 B1 KR101597431 B1 KR 101597431B1 KR 1020140065187 A KR1020140065187 A KR 1020140065187A KR 20140065187 A KR20140065187 A KR 20140065187A KR 101597431 B1 KR101597431 B1 KR 10159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belt conveyor
c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502A (ko
Inventor
정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4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단버튼이 가압되어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차단부와, 회로차단부에 장착되는 회로조립부와, 회로조립부에 설치되고 차단버튼을 가압하는 버튼조작부를 포함하여, 원거리에서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ELECTRIC POWER CONTROLLING DEVIC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 컨베이어의 이상 작동시 원거리에서 신속하게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이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51772호(2004.06.19 공개, 발명의 명칭 :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이상 작동시 신속하게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는: 차단버튼이 가압되어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차단부; 상기 회로차단부에 장착되는 회로조립부; 및 상기 회로조립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버튼을 가압하는 버튼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차단부는: 상기 모터부와 연계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기가 내장되고, 상기 전원차단기를 구동하는 상기 차단버튼이 외부에 노출되는 차단본체부; 상기 차단본체부에 결합되는 차단결합부; 및 상기 차단결합부에 장착되고, 상기 차단버튼을 커버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부는: 상기 차단버튼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조작부의 충격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조립부는: 상기 회로차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조작부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회로차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조작부는: 상기 회로조립부에 안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차단버튼을 가압하는 조작실린더부; 상기 회로조립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실린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실린더부를 상기 회로조립부에 고정시키는 조작고정부; 및 상기 조작실린더부에 조작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는 버튼조작부가 차단버튼을 가압하여 원거리에서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는 차단막부가 차단버튼을 커버하여 차단버튼의 가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는 차단막부가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외부에서 차단버튼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서 회로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서 작업자가 직접 차단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서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차단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1)는 회로차단부(10)와, 회로조립부(20)와, 버튼조작부(30)를 포함한다.
회로차단부(10)는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부(100)의 전원을 차단한다. 일 예로, 회로차단부(10)는 모터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모터부(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의 비상 발생시 회로차단부(10)가 작동되어 모터부(10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회로조립부(20)는 회로차단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회로조립부(20)는 회로차단부(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버튼조작부(30)는 회로조립부(20)에 설치되고, 회로차단부(10)를 조작한다. 일 예로, 버튼조작부(30)는 원거리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회로차단부(1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서 회로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부(10)는 차단본체부(11)와, 차단결합부(12)와, 차단막부(13)를 포함한다.
차단본체부(11)의 내부에는 전원차단기(111)가 내장된다. 전원차단기(111)는 모터부(100)와 연계되어 모터부(10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본체부(11)에는 전원차단기(111)를 구동하는 차단버튼(112)이 형성된다. 차단버튼(112)은 차단본체부(11)의 외부로 노출되고, 작업자가 차단버튼(112)을 가압하면, 전원차단기(111)가 구동되어 모터부(1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차단결합부(12)는 차단본체부(11)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결합부(12)는 차단본체부(11)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판(121)과, 결합판(121)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판(121)을 연결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틀(12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틀(122)은 중앙부가 개구된 형상을 하고, 차단버튼(1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막부(13)는 차단결합부(12)에 장착되어 차단버튼(112)의 전방부를 커버한다. 일 예로, 차단막부(13)는 결합틀(122)에 부착될 수 있다. 그 외 차단막부(13)는 결합틀(122)에 삽입되어 결합틀(122)의 중앙부 개구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차단막부(13)는 차단버튼(112)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막부(13)는 버튼조작부(30)와 접촉시 버튼조작부(30)의 충격에 의해 파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서 작업자가 직접 차단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에서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차단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조립부(20)는 회전부(21)와, 베이스부(22)와, 받침부(23)를 포함한다.
회전부(21)는 회로차단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회전부(21)는 차단본체부(11)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부(22)는 회전부(21)에 장착된다. 베이스부(22)에는 버튼조작부(30)가 설치된다. 받침부(23)는 회로차단부(10)에 결합되어 회전부(21)를 지지한다. 일 예로, 받침부(23)의 하단부는 차단본체부(11)에 결합되고, 받침부(23)의 상단부는 받침부(23)의 저면에 결합되어, 회전부(21)를 수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직접 차단버튼(112)을 가압하도록 설정된 경우, 회전부(21)는 차단본체부(11)에 단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그 외 작업자가 원격으로 차단버튼(112)을 가압하도록 설정된 경우, 회전부(21)는 받침부(2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회전부(21)에 버튼조작부(30)가 직접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과,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조작부(30)는 조작실린더부(31)와, 조작고정부(32)와, 원격조작부(33)를 포함한다.
조작실린더부(31)는 회로조립부(20)에 안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차단버튼(112)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실린더부(31)는 모터의 구동이나 유압에 의해 자체 길이가 늘어나 차단막부(13)를 뚫고 차단버튼(112)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차단막부(13)가 원활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조작실린더부(31)의 단부는 날카롭게 성형될 수 있다.
조작고정부(32)는 회로조립부(20)에 결합되고, 조작실린더부(31)를 회로조립부(20)에 고정한다. 일 예로, 조작고정부(32)는 조작실린더부(3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되, 베이스부(22)의 상측면에 나사 조립되는 한 쌍의 고정바(321)와, 한 쌍의 고정바(321)를 연결하고 조작실린더부(31)를 감싸는 덮개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조작부(33)는 조작실린더부(31)에 조작신호를 전송하여 조작실린더부(31)의 길이를 제어한다. 일 예로, 원격조작부(33)는 제철공장의 상황실에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작실린더부(31)에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벨트 컨베이어의 비상 작동시 작업자가 직접 차단버튼(112)을 가압하는 작업 환경에서는(도 3 참조), 베이스부(22)가 장착된 회전부(21)가 차단본체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21)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1)는 자체 하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차단본체부(11)에는 차단결합부(12)가 결합되고, 차단결합부(12)에 장착된 차단막부(13)가 차단버튼(112)을 커버하여 차단버튼(112)의 불필요한 가압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는 차단막부(13)를 파단하고, 차단버튼(112)을 가압한다. 차단버튼(112)이 가압되면, 전원차단기(111)가 모터부(1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의 비상 작동시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차단버튼(112)을 제어하는 작업 환경에서는(도 4 참조), 베이스부(22)가 장착된 회전부(21)가 차단본체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차단본체부(11)에 결합되는 받침부(23)가 회전부(21)를 지지한다. 이때, 조작실린더부(31)와, 차단막부(13)와, 차단버튼(112)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차단본체부(11)에는 차단결합부(12)가 결합되고, 차단결합부(12)에 장착된 차단막부(13)가 차단버튼(112)을 커버하여 차단버튼(112)의 불필요한 가압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 오류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원격조작부(33)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조작실린더부(31)에 전송되어 조작실린더부(31)의 길이가 늘어난다. 조작실린더부(31)의 길이가 늘어나면, 조작실린더부(31)가 차단막부(13)를 파단한 후 차단버튼(112)을 가압한다. 차단버튼(112)이 가압되면, 전원차단기(111)가 모터부(1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1)는 버튼조작부(30)의 조작실린더부(31)가 원격조작부(33)의 조작신호를 감지하여 차단버튼(112)을 가압하므로, 원거리에서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1)는 차단막부(13)가 차단버튼(112)을 커버하여 차단버튼(112)의 가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1)는 차단막부(13)가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외부에서 차단버튼(112)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회로차단부 11 : 차단본체부
12 : 차단결합부 13 : 차단막부
20 : 회로조립부 21 : 회전부
22 : 베이스부 23 : 받침부
30 : 버튼조작부 31 : 조작실린더부
32 : 조작고정부 33 : 원격조작부
100 : 모터부 111 : 전원차단기
112 : 차단버튼 121 : 결합판
122 : 결합틀 321 : 고정바
322 : 덮개바

Claims (5)

  1. 차단버튼이 가압되어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차단부;
    상기 회로차단부에 장착되는 회로조립부; 및
    상기 회로조립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버튼을 가압하는 버튼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차단부는
    상기 모터부와 연계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기가 내장되고, 상기 전원차단기를 구동하는 상기 차단버튼이 외부에 노출되는 차단본체부;
    상기 차단본체부에 결합되는 차단결합부; 및
    상기 차단결합부에 장착되고, 상기 차단버튼을 커버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조립부는
    상기 차단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조작부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차단본체부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부는
    상기 차단버튼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조작부의 충격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조작부는
    상기 회로조립부에 안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차단버튼을 가압하는 조작실린더부;
    상기 회로조립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실린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실린더부를 상기 회로조립부에 고정시키는 조작고정부; 및
    상기 조작실린더부에 조작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KR1020140065187A 2014-05-29 2014-05-29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KR10159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187A KR101597431B1 (ko) 2014-05-29 2014-05-29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187A KR101597431B1 (ko) 2014-05-29 2014-05-29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02A KR20150138502A (ko) 2015-12-10
KR101597431B1 true KR101597431B1 (ko) 2016-02-25

Family

ID=5497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187A KR101597431B1 (ko) 2014-05-29 2014-05-29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21B1 (ko) * 2019-02-07 2019-11-26 홍성정공(주) 컨베이어 안전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932Y1 (ko) * 1990-05-01 1992-03-23 박영걸 소화전용 스위치 보호판
JP2004026489A (ja) * 2002-06-21 2004-01-29 Shinko Lease Kk コンベアー用の非常停止装置
JP2010011065A (ja) * 2008-06-26 2010-01-14 Nec System Technologies Ltd プッシュスイッチを有する機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932Y1 (ko) * 1990-05-01 1992-03-23 박영걸 소화전용 스위치 보호판
JP2004026489A (ja) * 2002-06-21 2004-01-29 Shinko Lease Kk コンベアー用の非常停止装置
JP2010011065A (ja) * 2008-06-26 2010-01-14 Nec System Technologies Ltd プッシュスイッチを有する機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02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3203B1 (en) Strapping apparatus having a tensioning device
KR101597431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전원조절장치
CN103792911A (zh) 带监视系统
KR10199900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CN102582121A (zh) 塑料薄膜制袋机的安全送料装置
CN109466908A (zh) 供给装置
CN205397360U (zh) 一种输煤皮带机皮带跑偏报警装置
CN202388831U (zh) 一种塑料薄膜制袋机的安全送料装置
KR20130013620A (ko) 벨트컨베이어용 동결광 파쇄장치
CN208868876U (zh) 一种皮带机下料口堵塞报警防护系统
KR101757907B1 (ko) 마찰식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로셀
CN101774475A (zh) 液压马达紧链装置
KR20190130321A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MD875Z (ro) Tocător pentru crengi
KR100748836B1 (ko) 벨트 컨베이어 상의 괴광검출장치
CN203754131U (zh) 送丝机检测装置
CN204934743U (zh) 一种液压传动切割机
KR101633982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절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손 감지 방법
KR101435032B1 (ko) 철편 분리기
CN1231403C (zh) 带式输送机胶带撕裂电流浮动差位对比监测保护方法
CN115367513B (zh) 一种制托入托一体机用膜卷机构
CN106185239A (zh) 带式输送机皮带防撕边开关
JP2017508627A (ja) 短寸シャフトを切断可能なシャフト切断装置
CN107377189A (zh) 一种具有传动带断裂检测功能的破碎机
KR101477101B1 (ko) 낙광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