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144B1 - 자동 원고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고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144B1
KR101597144B1 KR1020120055730A KR20120055730A KR101597144B1 KR 101597144 B1 KR101597144 B1 KR 101597144B1 KR 1020120055730 A KR1020120055730 A KR 1020120055730A KR 20120055730 A KR20120055730 A KR 20120055730A KR 101597144 B1 KR101597144 B1 KR 101597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ath
main body
apparatus main
image
automatic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151A (ko
Inventor
아키라 야마자키
하현덕
조성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3Allowing easy access, e.g. for maintenance or in case of paper j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 B65H2404/61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9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의 반송로를 개방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일단부(40A)측이 장치 본체(1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40B)측이 장치 본체(12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반송로(30)를 개방하는 반송로 부재(40)와, 타단부(40B)측에 설치된 회전축(48)에 장착됨과 함께, 장치 본체(12A)의 피걸림부(34)에 걸리는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피걸림부(34)에 걸려서 반송로 부재(40)를 반송로(30)의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부재(44)와, 반송로 부재(40)가 노출되는 노출 위치에 장치 본체(12A)를 이동시켰을 때에, 제1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조작 위치까지 자체 중량에 의해 회전됨과 함께, 조작 위치보다도 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걸림 부재(44)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해서 피걸림부(34)로부터 이탈하도록, 회전축(48)에 둘레 방향에 유격을 가지고 장착된 조작 부재(46)를 가지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원고 이송 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
본 발명은, 자동 원고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원고 이송 장치 내에 체류한 원고를 제거할 때에, 일단부가 지지된 원고 누름 부재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그 원고 누름 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원고 반송로를 개방시키도록 한 원고 판독 장치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 제4331668호 공보
본 발명은, 반송로를 개방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 원고 이송 장치는, 장치 본체 내에서 원고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구성하는 반송로면을 구비함과 함께, 일단부측이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측이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반송로를 개방하는 반송로 부재와, 상기 반송로 부재의 타단부측에 설치된 회전축에 장착됨과 함께, 장치 본체의 피걸림부에 걸리는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피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반송로 부재를 상기 반송로의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부재와, 상기 반송로 부재가 노출되는 노출 위치에 상기 장치 본체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조작 위치까지 자체 중량 또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됨과 함께,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부재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해서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그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유격을 가지고 장착된 조작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 원고 이송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에 있어서, 자체 중량 또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 위치까지 회전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노출 위치로부터 되돌리도록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로 향하는 외력이 상대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송로 부재가 노출되는 노출 위치에 장치 본체를 이동시켰을 때에, 조작 부재가, 자체 중량 또는 가압력에 의해, 걸림 부재를 피걸림부에 걸리게 하는 제1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인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조작 위치까지 회전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서, 반송로를 개방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장치 본체를 반송로 부재가 노출된 노출 위치로부터 되돌리도록 이동시켰을 때에, 조작 부재가, 장치 본체로 향하는 외력이 상대적으로 가해짐으로써, 걸림 부재를 피걸림부에 걸리게 하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서, 조작 부재를 격납하기 용이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의 반송로 부재가 폐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의 반송로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의 반송로를 개방시키는 레버 부재를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가 폐색되어 있을 때의 레버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가 개방되어 있을 때의 레버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를 폐색할 때의 레버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의 레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의 레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 나타내는 화살표 UP을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방향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가 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를 폐색한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상하 방향의 표현을 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용지 등의 기록 매체 P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110)와,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함과 함께, 그 판독한 화상을 화상 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 기록 장치(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화상 판독 장치(10)가 변환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P에 화상을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우선, 화상 기록 장치(1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기록 장치(110)는, 사이즈가 다른 용지 등의 기록 매체 P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기록 매체 수용부(130)와, 기록 매체 P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20)와, 기록 매체 수용부(130)로부터 화상 형성부(120)로 기록 매체 P를 반송하는 반송부(148)와, 화상 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 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136)와, 정착 장치(136)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 P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120)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형성 유닛(122Y, 122M, 122C, 122K)과, 화상 형성 유닛(122Y, 122M, 122C, 122K)에서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24)와, 화상 형성 유닛(122Y, 122M, 122C, 122K)에서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124)에 전사하는 1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1차 전사 롤(126)과, 중간 전사 벨트(124)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 P에 전사하는 2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128)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유닛(122Y, 122M, 122C, 122K)은, 형성되는 화상을 유지하는 상(像) 유지체로서, 일방향(도 1에서 가리키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112)을 각각 가지고 있다.
각 감광체 드럼(112)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112)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감광체 드럼(112)을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114)와, 대전한 감광체 드럼(112)을 노광해서 감광체 드럼(112)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116)와, 감광체 드럼(112)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118)와,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24)에 전사된 후의 감광체 드럼(112)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144)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24)는, 2차 전사 롤(128)에 대향하는 대향 롤(134) 및 지지 롤(146)에 의해 지지되고, 감광체 드럼(112)과 접촉하면서 일방향(도 1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1차 전사 롤(126)은, 중간 전사 벨트(124)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 드럼(112)에 대향하고 있다. 1차 전사 롤(126)과 감광체 드럼(112) 사이에는, 감광체 드럼(112)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24)에 1차 전사되는 1차 전사 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2차 전사 롤(128)은, 중간 전사 벨트(124)를 사이에 두고, 대향 롤(134)과 대향하고 있다. 2차 전사 롤(128)과 대향 롤(134) 사이에는, 중간 전사 벨트(124)에 1차 전사된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 P에 2차 전사되는 2차 전사 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부(148)는, 기록 매체 수용부(130)에 수용된 기록 매체 P를 송출하는 송출 롤(132)과, 송출 롤(132)에 의해 송출된 기록 매체 P를 2차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 롤쌍(142)을 구비하고 있다.
정착 장치(136)는, 2차 전사 위치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2차 전사 위치에서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 P에 정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정착 장치(136)보다도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기록 매체 P를 기록 매체 배출부(140)에 배출하는 배출 롤쌍(13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기록 장치(110)에 있어서, 기록 매체 P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우선 기록 매체 수용부(130)로부터 송출된 기록 매체 P가, 반송 롤쌍(142)에 의해 2차 전사 위치로 보내진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124)에는, 화상 형성 유닛(122Y, 122M, 122C, 122K)에서 형성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이 겹쳐져서,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2차 전사 위치로 보내진 기록 매체 P에는, 중간 전사 벨트(124)에 형성된 칼라 화상이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 P는, 정착 장치(136)로 반송되어,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136)에 의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 P는, 배출 롤쌍(138)에 의해 기록 매체 배출부(140)에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화상 기록 장치(110)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중간 전사체를 가지지 않는 직접 전사형의 화상 기록 장치나, 잉크젯 방식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여도 되고, 상기 이외의 구성에 의해 화상이 기록 가능한 화상 기록 장치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10)는, 반송되는 원고 및 정지된 원고의 양 쪽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화상 판독 장치(10)는, 반송되는 원고의 표면에 있어서의 화상 및 정지된 원고의 표면에 있어서의 화상을 판독하는 표면 판독 기구(70)와, 반송되는 원고의 이면에 있어서의 화상을 판독하는 이면 판독 기구(94)를 내장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와, 표면 판독 기구(70)나 이면 판독 기구(9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92)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표면 판독 기구(70)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면 판독 기구(70)는, 화상 판독 장치(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표면 판독 기구(70)는, 정지시킨 상태에서 화상이 판독되어져야 하는 원고가 재치(載置)되는 재치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1 플래튼 글래스(72)와, 반송되는 원고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2 플래튼 글래스(74)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의 주연(周緣)부 외측에는, 금속제의 외측 프레임부(7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 판독 기구(70)는, 제1 플래튼 글래스(72)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이동체(76) 및 제2 이동체(7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이동체(76)에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80)와, 원고에서 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 미러(8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이동체(78)에는, 제1 미러(82)로부터 얻어진 광을 인도하는 제2 미러(84) 및 제3 미러(8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 판독 기구(70)는, 제3 미러(86)로부터 얻어진 광학 상을 광학적으로 축소하는 결상용 렌즈(88)와, 결상용 렌즈(88)에 의해 결상된 광학 상을 광전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9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CCD 이미지 센서(90)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는, 처리 장치(92)에 의해 노광 장치(116)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플래튼 글래스(72)에 재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제1 이동체(76)와 제2 이동체(78)가, 예를 들면 2:1의 비율로 스캔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 이동체(76)의 광 조사부(80)의 광이 원고의 피판독면에 조사됨과 함께, 그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 제1 미러(82), 제2 미러(84), 및 제3 미러(86)의 순으로 반사되어서 결상용 렌즈(88)에 인도된다.
결상용 렌즈(88)에 인도된 광은, CCD 이미지 센서(90)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CCD 이미지 센서(90)는 1차원의 센서이며, 1라인 분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다. 이 라인 방향(스캔의 주(主)주사 방향)의 1라인의 판독을 종료하면, 주주사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제1 이동체(76)를 이동시키고, 원고의 다음 라인을 판독한다. 이것을 원고 사이즈 전체에 걸쳐서 실행함으로써, 1페이지의 원고 판독을 완료시킨다.
한편,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원고는, 제2 플래튼 글래스(74) 위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1 이동체(76)와 제2 이동체(78)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선의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있다. 우선, 원고의 1번째 라인의 반사광이, 제1 미러(82), 제2 미러(84), 및 제3 미러(86)를 거쳐서 결상용 렌즈(88)에서 결상되어, CCD 이미지 센서(90)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다.
즉, 1차원의 센서인 CCD 이미지 센서(90)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1라인 분을 동시에 처리한 후,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원고의 다음의 주주사 방향의 1라인이 판독된다. 즉, 원고의 선단이 제2 플래튼 글래스(74)의 판독 위치에 도달한 후, 그 원고가 제2 플래튼 글래스(74)의 판독 위치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부주사 방향에 걸쳐서 1페이지의 원고 판독이 완료한다.
다음에, 이면 판독 기구(9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면 판독 기구(94)는, 도 2, 도 3에서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에 내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반송로 부재(40)의 반송로면(38)에 대향해서, 원고의 (이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면(96A)을 구비한 판독부의 일례로서의 이미지 센서(9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미지 센서(96)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원고에 조사하고, 반사한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하는 것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는, 화상 판독 장치(10)의 상측에 설치되고, 표면 판독 기구(70) 및 이면 판독 기구(94)에 원고를 판독시키기 위해, 그 원고를 자동적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는, 도 1의 지면 안쪽에 힌지부(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그 힌지부를 지점(支點)으로 해서, 도 1의 지면 앞쪽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즉 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를 개방, 폐색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는, 원고를 수용, 재치 가능한 원고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원고 재치대(14)와, 원고 재치대(14)에 재치된 원고를 후술하는 원고 배출부(18)에 반송하는 반송부(20)와, 반송부(20)에 있어서의 반송로(30)를 반송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재치대(14)에는, 원고 재치대(14)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장치(16)는, 원고 재치대(14)에 원고가 재치되면, 그 원고가 후술하는 송출 롤(22)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원고 재치대(14)를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반송부(20)는, 원고 재치대(14)로부터 원고를 송출하는 송출 롤(22)과, 원고 재치대(14)로부터 송출된 원고가 반송되는 반송로(30)와, 반송로(30)를 따라 원고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24)과, 반송로(30) 중에 배치된 제2 플래튼 글래스(74)에 대향해서 배치된 대향 부재(26)와, 원고 배출부(18)에 원고를 배출시키는 배출 롤(2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와 대향하는 하부측에는, 반송로(30)의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로면(38)을 구비한 반송로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반송로 부재(40)는, 측면에서 볼 때에 편평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측이 반송로면(38)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송로 부재(40)는, 원고 반송 방향 하류측(배출 롤(28)측)인 일단부(40A)측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장치 본체(1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반송로 부재(40)의 일단부(40A)측에 형성된 관통 구멍(도시 생략)에, 장치 본체(12A)에 설치된 지축(支軸)(32)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은, 그 지축(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장치 본체(12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인 하방으로 이동(회전)하는 것에 의해, 반송로(30)의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반송로 부재(40)의 회전축 방향측의 측벽부 중,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개방측(도 1의 지면 앞쪽)에 있어서의 측벽부(42)에는, 걸림 부재의 일례로서의 후크 부재(44)와 조작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버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크 부재(44)와 레버 부재(46)는, 반송로 부재(40)의 원고 반송 방향 상류측인 타단부(40B)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단면 「D」자 형상의 회전축(48)에 장착되어 있고,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크 부재(44)의 하단부에는, 내주연부가 회전축(48)의 단면 형상과 대략 동일한 「D」자 형상으로 된 원환(円環)부(4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원환부(44A)가 회전축(48)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크 부재(44)가 회전축(48)과 일체로 되어 도시의 시계 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레버 부재(46)의 상단부에는, 도 5, 도 6에서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내주연부(46E)가 회전축(48)의 단면 형상보다도 큰 대략 「D」자 형상(「D」자형 형상에, 중심각이 예각인 부채형 형상을 추가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된 원환부(4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원환부(46A)가 회전축(48)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즉, 이 원환부(46A)의 내주연부(46E)는, 단면 「D」자 형상으로 된 회전축(48)에 대해서, 그 둘레 방향(회전 방향)에 유격을 가지도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레버 부재(46)는, 그 둘레 방향(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유격을 제외한 범위 내에서 회전축(48)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에 의해 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가 폐색되어 있는(반송로 부재(40)의 하면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레버 부재(46)의 암(arm)부(46B)는, 외측 프레임부(73)의 상면에 접촉해서 (외측 프레임부(73)에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향해서 눌러서) 격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를, 힌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상방으로 이동(반송로 부재(40)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노출 위치로 이동)시키면,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회전축(48)을 중심으로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도시의 반시계 방향이며, 이하 「제2 회전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으로 회전(돌출)하면서, 그 암부(46B)에 있어서의 하단부(46C)(도 7 참조)가 외측 프레임부(73) 위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46)의 원환부(46A)의 내주연부(46E)에 있어서의 직선 부분이 단면 「D」자 형상으로 된 회전축(48)의 플랫면(48A)에 닿아서, 레버 부재(46)(암부(46B))의 하방(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이 규제된 위치가, 레버 부재(46)(암부(46B))를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조작 위치가 된다.
또한, 후크 부재(44)는, 도시하지 않은 토션(torsion)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에 의해, 장치 본체(12A)에 설치된 피걸림부의 일례로서의 인괘(引掛)부(34)에 걸리는 방향(도시의 시계 회전 방향이며, 이하 「제1 회전 방향」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크 부재(44)는, 반송로 부재(4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반송로(30)를 폐색했을 때에, 그 상단부에 형성된 클로(claw)부(44B)가, 인괘부(34)를 타고 넘어 걸리도록,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stopper)부에 의해 미리 결정된 위치(자세)에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도 4,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48)을 중심으로 자체 중량으로 하방으로 회전 이동해서 조작 위치에 유지된 레버 부재(46)의 암부(46B)를, 손가락으로 하방(도시의 반시계 회전 방향이며, 제2 회전 방향)으로 향해서 더욱 회전시키면, 그 레버 부재(46)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축(48)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크 부재(44)가 가압력에 저항해서 같은 방향으로 향해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후크 부재(44)의 클로부(44B)가 인괘부(34)로부터 이탈되는 구성이며, 반송로 부재(40)의 로크(반송로(30)의 폐색 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이다. 즉, 이에 따라,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이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며, 반송로(30)를 개방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도 3 참조).
또한, 이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자체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의 하단부(46C)의 높이 위치는,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를,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는(상기 노출 위치로부터 되돌리도록 이동시키는) 동작에 따라, 그 하단부(46C)가 접촉하는 외측 프레임부(73)에 의해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지는(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지는) 높이 위치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자체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의 하단부(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를,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외측 프레임부(73)의 상면에 최초로 닿는 부위)(46C)와 레버 부재(46)의 회전 중심(O)을 잇는 직선(L)과, 외측 프레임부(73)가 이루는 각도(θ)가 60도 이하(θ≤60°)로 되도록, 단면 「D」자 형상으로 된 회전축(48)에 대해서, 원환부(46A)의 내주연부(46E)의 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이는, 그 각도(θ)가 60도보다 크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를,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외측 프레임부(73)에 닿음과 함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마찰력이 과대하게 되어 버텨, 그 레버 부재(46)에 의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가 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를 폐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4∼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46)의 암부(46B)의 하단부(46C)와는 상하 반대측의 벽부에는, 손가락을 걸기 용이하도록, 또한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도록,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는 팽출부(46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 부재(40)의 측벽부(42)와는 반대측의 측벽부(도시 생략)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힌지부측(도 1의 지면 안쪽)이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괘부(34)에 걸리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레버 부재(46)의 회전 조작에 의해 측벽부(42)측의 후크 부재(44)와 연동해서 인괘부(34)로부터 이탈되는 후크 부재(44)만이 설치되어 있고, 레버 부재(46)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2,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반송로 부재(40)의 측벽부(42)에는,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이 지축(3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장치 본체(12A)의 걸어멈춤부(36)에 닿아서, 그 이동이 규제되도록 하는 피걸어멈춤부(54)를 구비한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링크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링크 부재(50)는, 박판(薄板) 형상의 베이스부(52)와, 그 베이스부(52)의 판 두께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후판(厚板) 형상의 피걸어멈춤부(54)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고, 반송로 부재(40)와 같은 축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링크 부재(50)의 일단부측에는, 원환부(56)가 형성되어 있고, 그 원환부(56)가, 반송로 부재(40)의 관통 구멍 주위에 돌설(突設)된 원통 형상의 보스부(45)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 부재(50)의 베이스부(52)에 있어서, 원환부(56)와는 반대측인 타단부측에는, 갈고리 형상의 장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58)에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코일 스프링(60)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60)의 타단부는, 반송로 부재(40)의 측벽부(42)에 있어서의 타단부(40B)측, 즉 회전축(48)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장착부(47)에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후술하는 돌기부(43)가 후술하는 스토퍼부(53)에 접촉하는 방향(도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는 구성이다. 즉, 링크 부재(50)(베이스부(52))의 장착부(58)의 직하 부분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평판 형상으로 돌출하는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스토퍼부(5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로 부재(40)의 측벽부(42)에는,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도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토퍼부(53)에 접촉하는(닿는) 피규제부의 일례로서의 돌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43)는, 스토퍼부(53)에 대해서 수직하게 닿는(선접촉하는) 리브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돌기부(43)에 의해,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의 장치 본체(12A)에 근접하는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이 지축(3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피걸어멈춤부(54)가 걸어멈춤부(36)에 닿아서 링크 부재(50)의 위치가 규제되었을 때에, 코일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부(43)가 스토퍼부(53)에 접촉함(닿음)으로써,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의 장치 본체(12A)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이 개방 위치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반송로 부재(40)를 구비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에 있어서,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고 재치대(14)에 원고를 재치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를 작동시키면,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에 의해 원고가 반송된다.
즉, 원고 재치대(14)의 원고는, 송출 롤(22)에 의해 반송로(30)에 송출되고, 반송로(30)에 송출된 원고는, 복수의 반송 롤(24)에 의해 반송로(30)를 반송되어, 그 표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이 제2 플래튼 글래스(74)를 통과함으로써, 표면 판독 기구(70)로 판독된다.
한편, 원고의 이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원고가 반송로면(38) 상을 반송된 때에, 이면 판독 기구(94)에 의해, 그 이면의 화상이 판독된다. 이렇게 해서 적어도 표면의 화상이 판독된 원고는, 배출 롤(28)에 의해 원고 배출부(18)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원고가 반송로면(38) 상에서 체류해버린(소위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앞쪽을, 안쪽의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반송로(30)를 개방시키는(반송로 부재(40)의 로크를 해제하는) 레버 부재(46)는, 회전축(48)에 대해서, 그 둘레 방향에 유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암부(46B)가 자체 중량에 의해서 하방(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외측 프레임부(73)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따라,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장치 본체(1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조작 위치에 유지된다(도 4, 도 6 참조).
따라서, 이면 판독 기구(94)가 내장되고, 레버 부재(46)의 암부(46B)와 장치 본체(12A) 사이에 틈이 형성되기 어려운(소형화되었기 때문에 손가락을 삽입할 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된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경우이더라도, 그 암부(46B)와 장치 본체(12A)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용이해져, 그 암부(46B)의 팽출부(46D)에 손가락을 걸기 용이해진다. 따라서, 반송로(30)를 개방시킬 때의 레버 부재(46)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면(조작 위치에 유지되면), 도 4,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을 팽출부(46D)에 걸어, 암부(46B)를 하방(제2 회전 방향)으로 더 회전 이동시킨다. 그러면, 회전축(48)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와 일체의 후크 부재(44)가 가압력에 저항해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후크 부재(44)의 클로부(44B)가 인괘부(34)로부터 이탈하고, 반송로 부재(40)의 로크가 해제된다.
즉,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이, 일단부(40A)측에 있어서의 지축(3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자체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반송로(30)(반송로면(38))를 개방한다. 한편, 이 때, 링크 부재(50)의 피걸어멈춤부(54)가, 장치 본체(12A)의 걸어멈춤부(36)에 닿아서,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걸어멈춤부(36)에 걸어멈춰진 피걸어멈춤부(54)를 구비한 링크 부재(50)가, 코일 스프링(60)을 통하여, 즉 코일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부(43)가 스토퍼부(53)에 닿음으로써,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은, 도 3에서 나타내는 개방 위치에 지지되고, 반송로면(38) 상에 체류한 원고가 제거 가능해진다.
한편, 반송로 부재(40)에 의해 반송로(30)(반송로면(38))를 폐색할 경우에는, 반송로 부재(40)의 타단부(40B)측을 수동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한 쌍의 후크 부재(44)(클로부(44B))는, 항상 인괘부(34)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또한 인괘부(34)를 타고 넘어서 걸림 가능해지는 자세(위치)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그 인괘부(34)에 걸린다. 이에 따라, 반송로 부재(40)는, 반송로(30)를 폐색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를,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이동(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를 폐색)시키면, 레버 부재(46)의 하단부(46C)가 외측 프레임부(73)에 닿고, 그 하방으로의 이동 동작에 따라 암부(46B)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향해서 가압되어(외력이 가해져),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여기에서, 이 레버 부재(46)의 하단부(46C)와 회전 중심(O)을 잇는 직선(L)과, 외측 프레임부(73)가 이루는 각도(θ)가 60도 이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힌지부를 지점으로 한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레버 부재(46)의 암부(46B)는, 외측 프레임부(73)에 닿아서 버티는 것과 같은 문제는 없고, 그 외측 프레임부(73)에 의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향해서 가압되어, 도 5에서 나타내는 위치에 자동적으로 유지된다(용이하게 격납된다).
한편, 도 8,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 부재(44)와 레버 부재(46) 사이의 회전축(48)에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토션 스프링(62)을 배치해도 된다. 즉,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를,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따라,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그 토션 스프링(62)의 가압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방으로 회전(돌출)하면서, 그 하단부(46C)가 외측 프레임부(73) 상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토션 스프링(62)의 코일부(62A)를 회전축(48)에 끼우고, 토션 스프링(62)의 일단부(62B)를 후크 부재(44)에, 그 클로부(44B)가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걸어멈추게 한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62)의 타단부(62C)를 레버 부재(46)에, 그 암부(46B)가 제2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걸어멈추게 한다.
이에 의하면, 레버 부재(46)의 암부(46B)가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기 어려운 형상(예를 들면, 레버 부재(46)의 중심이 회전 중심측으로 치우쳐 있는 형상)이더라도, 그 암부(46B)를 강제적으로 하방으로(조작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암부(46B)와 장치 본체(12A)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용이해져, 반송로(30)를 개방시킬 때의 레버 부재(46)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레버 부재(46)의 암부(46B)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가 제1 플래튼 글래스(72) 및 제2 플래튼 글래스(74)를 폐색할 때에는, 항상 금속제의 외측 프레임부(73)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 부재(46)를 도전성 수지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성형하면, 그 레버 부재(46)를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의 접지 수단(어스)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링크 부재(50) 및 코일 스프링(60)은, 반송로 부재(40)의 측벽부(42)에만 설치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반대측의 측벽부에도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표면 판독 기구(70) 및 이면 판독 기구(94)로서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구성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0 : 화상 판독 장치
12 : 자동 원고 이송 장치
12A : 장치 본체
30 : 반송로
34 : 인괘부(피걸림부의 일례)
38 : 반송로면
40 : 반송로 부재
40A : 일단부
40B : 타단부
44 : 후크 부재(가압 부재의 일례)
46 : 레버 부재(조작 부재의 일례)
48 : 회전축
70 : 표면 판독 기구
94 : 이면 판독 기구
100 : 화상 형성 장치
110 : 화상 기록 장치
P : 기록 매체

Claims (3)

  1. 장치 본체 내에서 원고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구성하는 반송로면을 구비함과 함께, 일단부측이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측이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반송로를 개방하는 반송로 부재와,
    상기 반송로 부재의 타단부측에 설치된 회전축에 장착됨과 함께, 장치 본체의 피걸림부에 걸리는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반송로 부재를 상기 반송로의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부재와,
    상기 반송로 부재가 노출되는 노출 위치로 상기 장치 본체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조작 위치까지 자체 중량 또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됨과 함께,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해서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조작 부재를 갖고,
    상기 노출 위치로 상기 장치 본체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조작 위치까지 자체 중량 또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유격을 갖고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
  2. 장치 본체 내에서 원고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구성하는 반송로면을 구비함과 함께, 일단부측이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측이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반송로를 개방하는 반송로 부재와,
    상기 반송로 부재의 타단부측에 설치된 회전축에 장착됨과 함께, 장치 본체의 피걸림부에 걸리는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반송로 부재를 상기 반송로의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부재와,
    상기 반송로 부재가 노출되는 노출 위치로 상기 장치 본체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조작 위치까지 자체 중량 또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됨과 함께,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해서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그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유격을 가지고 장착된 조작 부재를 갖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조작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피걸림부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체 중량 또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 위치까지 회전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노출 위치로부터 되돌리도록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로 향하는 외력이 상대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

KR1020120055730A 2011-10-05 2012-05-25 자동 원고 이송 장치 KR101597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1372 2011-10-05
JP2011221372A JP5853565B2 (ja) 2011-10-05 2011-10-05 自動原稿送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51A KR20130037151A (ko) 2013-04-15
KR101597144B1 true KR101597144B1 (ko) 2016-02-24

Family

ID=4801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730A KR101597144B1 (ko) 2011-10-05 2012-05-25 자동 원고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65266B2 (ko)
JP (1) JP5853565B2 (ko)
KR (1) KR101597144B1 (ko)
CN (1) CN1030300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243B2 (ja) * 2012-05-28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及びシート搬送装置
JP6266056B2 (ja) * 2016-08-05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42619B2 (ja) * 2017-12-06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7389965B2 (ja) * 2019-11-19 2023-12-01 株式会社リコー ロック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125896A (ja) 2021-02-17 2022-08-2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794A (ja) 2003-09-18 2005-04-07 Ricoh Co Ltd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623276B2 (en) 2004-10-18 2009-11-24 Sharp Kabushiki Kaisha Document reader wherein part of document feed path is openable
US7804628B2 (en) 2005-08-29 2010-09-28 Ricoh Printing Sysetm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open-close regulation mechanism of the automatic document feed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066B1 (ko) * 2002-12-24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원고 피딩 장치
JP3744518B2 (ja) * 2003-10-24 2006-02-15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4331668B2 (ja) 2004-11-11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JP4832406B2 (ja) * 2007-01-25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64746B2 (ja) * 2007-01-31 2012-02-01 ニスカ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JP2010083611A (ja) * 2008-09-30 2010-04-15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39131B2 (ja) * 2009-02-13 2013-1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794A (ja) 2003-09-18 2005-04-07 Ricoh Co Ltd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623276B2 (en) 2004-10-18 2009-11-24 Sharp Kabushiki Kaisha Document reader wherein part of document feed path is openable
US7804628B2 (en) 2005-08-29 2010-09-28 Ricoh Printing Sysetm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open-close regulation mechanism of the automatic document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30008A (zh) 2013-04-10
US8965266B2 (en) 2015-02-24
KR20130037151A (ko) 2013-04-15
US20130089365A1 (en) 2013-04-11
JP5853565B2 (ja) 2016-02-09
JP2013081147A (ja) 2013-05-02
CN103030008B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248B1 (ko) 자동 원고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237995B2 (en) Multifunction apparatus
US86053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urnable image reading part and suspending mechanism
KR101597144B1 (ko) 자동 원고 이송 장치
JP5688929B2 (ja) 画像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511670B2 (en)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220546A (ja) 画像形成装置
US100486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onveyance cover turnable with respect to a body housing
KR101579262B1 (ko) 화상 판독 장치
JP2010197814A (ja) 転写ローラの位置決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60005B2 (ja) 画像形成装置
JP4685185B2 (ja) 複合装置
JP6394623B2 (ja) 開閉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342516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9694999B2 (en) Scann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3775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079696B2 (e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19708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26562B2 (ja) 複合装置
JP202407727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24021A (ja) 給紙装置、原稿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