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047B1 -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047B1
KR101597047B1 KR1020140134805A KR20140134805A KR101597047B1 KR 101597047 B1 KR101597047 B1 KR 101597047B1 KR 1020140134805 A KR1020140134805 A KR 1020140134805A KR 20140134805 A KR20140134805 A KR 20140134805A KR 101597047 B1 KR101597047 B1 KR 101597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
support
vehicl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김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민 filed Critical 김상민
Priority to KR102014013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은 메인 쿠션 및 지지 쿠션을 포함한다. 메인 쿠션은 차량의 리어 시트와 프런트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 및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을 커버하고, 리어 시트에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사용자가 착좌 가능하다. 지지 쿠션은 리어 시트와 프런트 시트 사이에 설치되고, 메인 쿠션 아래에 구비되어 메인 쿠션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은 메인 쿠션이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상면에서부터 리어 시트와 프런트 시트의 이격 공간에 걸쳐 구비되고, 시트 쿠션과 지지 쿠션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사용자의 착좌감 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AUXILIARY AIR CUSHION FOR VI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론트 시트 뒤에 설치되는 보조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를 충전하여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거, 자동차는 단순히 사람이나 짐을 효율적으로 빨리 운반하는 운송 수단에 불과했다. 그러나, 자동차 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그 이용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는 단순히 운송 수단의 차원을 넘어 하나의 문화 생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으며, 그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로가 발달하면서 자동차를 이용한 장거리 여행이 많아지고 있어 보다 자동차의 이용을 보다 편안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용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자동차가 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자동차의 이용을 보다 편안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용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동차 용품들 중 자동차용 보조 쿠션은 리어 시트의 시트 면적을 확대시켜 공간 활용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자동차용 보조 쿠션은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 사이에 구비되어 리어 시트의 시트 면적을 확대시켜 장시간 이동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 간의 간격은 탑승자의 활동 공간과 안락한 승차감을 위해 최소한으로 확보되어야하나, 자동차로 장시간 이동하거나 유아 또는 어린의 경우 장시간 앉아서 이동하는 것이 매우 힘들고 피로하다. 자동차용 보조 쿠션은 이러한 불편함을 덜어 주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로 장시간 이동시 다리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리어 시트에 앉은 유아나 어린이가 리어 시트가 위치하는 차량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현재 보급되고 있는 자동차용 보조 쿠션은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 사이의 차량 바닥에만 설치되므로, 평평한 보조 쿠션의 상면과 기울기가 있는 리어 시트의 쿠션 간의 차이로 인해 착좌감이 떨어진다. 또한, 나무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쿠션의 경우 푹신한 리어 시트와 달리 표면이 딱딱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18720호 (1998.03.06) "차량용 에어 쿠션"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17767호 (1998.07.06) "자동차용 보조매트"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시트 탑승자의 착좌 공간을 확대시킴과 동시에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은, 차량의 리어 시트와 상기 차량의 프런트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을 커버하고, 상기 리어 시트에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메인 쿠션; 및 상기 리어 시트와 상기 프런트 시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쿠션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쿠션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지지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쿠션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쿠션과 별개로 구비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쿠션을 지지한다.
게다가, 상기 지지 쿠션은 상기 차량의 센터 터널이 삽입되는 받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 쿠션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메인 쿠션을 지지하는 제1 에어 블럭; 및 상기 제1 에어 블럭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제2 에어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에어 블럭과 상기 제2 에어 블럭은 서로 다른 공기 주입구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 쿠션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에어 블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쿠션은, 상기 메인 쿠션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메인 쿠션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쿠션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메인 쿠션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쿠션의 아래로 말려져 상기 메인 쿠션을 지지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사용자가 착좌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쿠션의 상면은, 엠보싱 처리에 의해 다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요철은, 상기 지지 쿠션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지지 쿠션의 폭 방향으로 연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지지 쿠션이 상기 메인 쿠션의 아래로 말려진 상태가 사각 기둥 형상이 되도록 상기 지지 쿠션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쿠션의 일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한다.
한편, 상기 메인 쿠션은, 상기 리어 시트와 상기 프런트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리어 시트에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매트리스; 및 상기 매트리스의 일단에 상기 매트리스와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리어 시트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프런트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과 대응하게 구비되는 안전 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가드는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메인 쿠션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쿠션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쿠션이 폭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쿠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쿠션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인 쿠션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메인 쿠션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메인 쿠션과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쿠션은, 적어도 하나의 받침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접이부에 의해 접혀져 상기 메인 쿠션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 쿠션이 상기 접이부에 의해 접히면 상기 받침홀은, 홈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차량의 센터 터널이 삽입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 쿠션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받침홀에 삽입 가능한 안전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쿠션은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접이부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구역으로 분리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쿠션와 상기 지지 쿠션은 물놀이용 튜브로 사용 가능하도록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에 따르면,
첫째, 리어 시트의 착좌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내의 공간 이용 및 사용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을 이용한 장시간 이동시 사용자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다.
둘째, 메인 쿠션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쿠션을 구비하므로, 매트리스 상면의 일정한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차량용 보조 쿠션을 이용할 수 있다.
셋째, 2중 구조의 지지 쿠션을 구비함으로써, 이용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지지 쿠션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지지 쿠션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메인 쿠션과 유사한 형태의 지지 쿠션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에서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영역을 확장시키고, 텐트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야외용 매트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여섯째, 차량에 설치시 메인 쿠션이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상면에 설치되어 리어 시트의 착좌 높이가 메인 쿠션의 두께만큼 상승하므로, 앉은 키가 낮은 어린이의 목에 안전 벨트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방수 처리되어 물놀이용 튜브로도 이용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주입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부 마개가 마개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지지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매트리스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에 아이가 누워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에 아이가 앉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메인 쿠션 및 지지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지지 쿠션이 접이부에 의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 쿠션이 접혀져 메인 쿠션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이 창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300)은 메인 쿠션(100) 및 지지 쿠션(200)을 포함한다. 메인 쿠션(100)은 차량의 리어 시트에 설치되고,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300) 사용시 사용자는 메인 쿠션(100)에 착좌한다. 지지 쿠션(200)은 차량 내에서 메인 쿠션(100)의 아래에 설치되어 메인 쿠션(100)을 지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메인 쿠션(100)과 지지 쿠션(2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쿠션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쿠션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쿠션(100)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착좌하는 매트리스(110)를 포함한다. 매트리스(110)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부가 라운딩 되어 매트리스(110)에 의한 사용자와 차량 내부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볼 때, 매트리스(110)의 단부는 매트리스가 장착되는 차량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매트리스(110)는 뜯김이나 공기 주입시 과도한 공기 주입으로 인한 펑크를 방지하기 위해 2중 겹구조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매트리스(110)는 물놀이 시 튜브로 이용가능하도록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매트리스(1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층에 의해 상면(111)이 배면(112)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 공기층으로 인해 탄성이 생기므로, 사용자가 매트리스(110)에 앉았을 때 착좌감이 좋다.
매트리스(110)의 상면(111)에는 엠보싱 처리에 의한 다수의 요철(111a)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킨다. 다수의 요철(111a)은 각각 매트리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매트리스(110)의 폭 방향으로 연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요철(111a)은 매트리스(11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그 형상이 나타난다. 또한, 매트리스(110)의 상면은 벨벳 처리되어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한다.
도 3은 메인 쿠션(10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메인 쿠션(100)은 얇은 시트 형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메인 쿠션(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부 공기를 모두 빼낸 상태에서 메인 쿠션(100)을 작게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매트리스(110)의 배면(112)에는 매트리스(11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주입부(1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례로, 매트리스(110)에 구비되는 공기 주입부(130)는 2중 마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주입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부 마개가 마개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주입부(130)는 마개 본체(131), 내부 마개(132), 및 외부 마개(133)를 포함한다.
마개 본체(131)는 매트리스(110)의 배면(112)에 결합되고,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매트리스(110)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31)이 형성된다.
내부 마개(132)는 마개 본체(131)의 배출홀(31) 안으로 삽입되어 마개 본체(131)와 결합하고,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매트리스(1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홀(32)이 형성된다.
내부 마개(132)의 주입홀(32)에는 외부 마개(133)가 삽입된다. 외부 마개(133)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 마개(132)에 결합되어 내부 마개(132)의 주입홀(32)을 밀폐한다.
매트리스(110)에 공기 주입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마개(133)만 내부 마개(131)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내부 마개(132)에 연결하여 공기를 내부 마개(132)의 주입홀(32)을 통해 매트리스(110) 내부로 주입한다.
이와 반대로, 매트리스(110)에 주입된 공기 배출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마개(132)를 마개 본체(131)로부터 분리시켜 마개 본체(131)의 배출홀(31)을 통해 매트리스(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쿠션(100)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매트리스(110)와 일체로 구비되는 안전 가드(120)를 더 포함한다. 안전 가드(120)는 매트리스(1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결합되고,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단부가 라운딩 되어 안전 가드(120)에 의한 사용자와 차량 내부의 손상을 방지한다. 안전 가드(12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얇은 시트 형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이 용이하다.
안전 가드(12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매트리스(110)의 상면(1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안전 가드(120)는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이 매트리스(110)의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과 별개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매트리스(110)와는 별개로 별도의 공기 주입부(14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가드(120)의 상면은 엠보싱 처리되어 다수의 요철(121)이 형성된다. 다수의 요철(121)은 각각 매트리스(110)의 상면(1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각 요철(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안전 가드(120)의 상면은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벨벳 처리된다. 더불어, 안전 가드(120)는 물놀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메인 쿠션(100)을 차량에 설치시 매트리스(11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매트리스(110)의 아래에는 지지 쿠션(200)이 설치된다. 지지 쿠션(200)은 매트리스(110)의 일부분을 지지하여 매트리스(110) 위의 사용자가 차량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쿠션(200)은 메인 쿠션(100)과 별개로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트 형태를 유지하나 내부에 공기가 주입도면 기둥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지지 쿠션(200)은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얇은 시트 형태로 구비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쿠션(200)은 물놀이 시 튜브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방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쿠션(200)은 제1 및 제2 에어 블럭(210, 220)을 포함한다. 제1 에어 블럭(21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매트리스(110)를 지지하고, 공기가 주입되면 기둥 형상을 갖는다. 제1 에어 블럭(210)은 차량에 설치시 차량의 바닥면과 접하는 면에 차량의 센터 터널이 삽입되는 받침홈(21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에어 블럭(210)은 뜯김이나 공기 주입시 과도한 공기 주입으로 인한 펑크를 방지하기 위해 2중 겹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에어 블럭(220)은 제1 에어 블럭(2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공기가 주입되면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에어 블럭(210, 220)은 서로 다른 공기 주입부(230, 24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에어 블럭(210)은 제1 에어 블럭(210)의 측면에 구비된 공기 주입부(230)를 통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고, 제2 에어 블럭(220)은 제1 에어 블럭(210)의 상면에 구비된 공기 주입부(240)로부터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한다.
이와 같이, 지지 쿠션(200)은 제1 에어 블럭(210) 내에 별도의 제2 에어 블럭(220)을 더 구비함으로써, 차량용 보조 쿠션으로 사용시 매트리스(110) 위의 사용자가 차량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물놀이에 사용시 제1 에어 블럭(210)의 펑크로 인한 사용자의 물놀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쿠션(200)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제1 에어 블럭(210) 내부에 별도의 제2 에어 블럭(210)을 구비하는 2중 블럭 구조로 이루어지나, 제조 편의에 따라 제1 에어 블럭(210)만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 쿠션(20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250)를 구비한다. 손잡이(250)는 제1 에어 블럭(210)의 상면에 구비된다. 사용자는 지지 쿠션(20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에서 손잡이(250)를 잡고 지지 쿠션(200)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지지 쿠션(200)의 운반이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쿠션(300)을 차량에 장착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일례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지지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쿠션(300)을 차량에 장착시, 먼저, 지지 쿠션(20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과 프론트 시트(11) 사이의 차량 바닥면에 지지 쿠션(200)을 배치한다. 이때, 지지 쿠션(200)의 받침홈(211)이 형성된 면이 차량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배치하며, 받침홈(211)에는 차량의 센터 터널이 삽입된다. 평면상에서 볼 때, 지지 쿠션(200)은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지지 쿠션(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 위에 공기가 주입된 메인 쿠션(100)을 설치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쿠션(100)의 매트리스(110)는 일부분이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에 의해 지지되며, 시트 쿠션(12a)에 의해 지지되지 못한 나머지 부분은 지지 쿠션(200)에 의해 지지된다.
평면상에서 볼 때, 매트리스(11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 상면 전체와 리어 시트(12)와 프런트 시트(11) 사이의 이격 공간 전체를 커버한다. 이에 따라,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과 프런트 시트(11) 간의 이격 거리(SD) 만큼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장거리 이동시 리어 시트(12)에 착좌한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거나 누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차량 이동이 가능하고, 장시간 이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다.
한편, 차량에 메인 쿠션(100) 설치시 안전 가드(12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프런트 시트(11)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리어 시트(12)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안전 가드(12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프런트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메인 쿠션(100)은 매트리스(110)에 앉은 어린이나 유아가 운행중 프론트 시트(11) 측으로 넘어가거나 매트리스(110) 상면에 놓아둔 물건이 프론트 시트(1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에 아이가 누워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에 아이가 앉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300)을 차량에 설치하면, 어린이 또는 유아의 차량 이동이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다. 즉, 메인 쿠션(100)의 매트리스(110)는 프론트 시트(11)와 리어 시트(12) 사이의 이격 거리(SD, 도 8 참조) 만큼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여 제공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어린이(c)가 누워도 여유 공간이 있어 보호자와 같이 다른 사람이 앉을 수 있는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일반 차량의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은 사람이 앉았을 때 최적의 착좌감을 제공하도록 상면이 다양한 각도로 굴곡지고, 등받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가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에 누울 경우 매우 불편하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매트리스(110)는 상면(111, 도 2 참조)이 바닥면(112, 도 3 참조)에 대해 균일한 평행도를 유지하고 내부에 공기층에 형성되어 탄성이 생기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110)는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 상면에 설치되므로,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에 앉은 것보다 매트리스(110)의 두께만큼 착좌 높이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어린이(c)가 매트리스(110)에 앉을 경우 안전 벨트(13)를 어린이(c)의 목에 걸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차량 이동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300)은 지지 쿠션(200)을 구비하므로, 매트리스(110) 상면의 평행도를 유지하고, 보다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300)은 매트리스(110)가 프런트 시트(11)와 리어 시트(12) 사이의 이격 공간뿐만 아니라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 상면 전체를 커버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쿠션(100)과 지지 쿠션(200)은 물놀이용 튜브로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메인 쿠션(100)은 텐트 안에 설치하거나 야외에서 돗자리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40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메인 쿠션(100), 및 차량에 장착시 메인 쿠션(100)을 지지하는 지지 쿠션(41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쿠션(100)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쿠션(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참조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 쿠션(100)의 일단에는 지지 쿠션(410)이 연결 결합된다. 지지 쿠션(410)은 매트리스(1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매트리스(1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쿠션(410)은 매트리스(11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지지 쿠션(410)은 매트리스(110)와 서로 다른 별개의 공기 주입구를 가지며,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 또한 매트리스(110)의 내부 공간과 분리된다.
지지 쿠션(410)은 뜯김이나 공기 주입시 과도한 공기 주입으로 인한 펑크를 방지하기 위해 2중 겹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쿠션(410)은 물놀이 시 튜브로 이용가능하도록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매트리스(1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층에 의해 상면(411)이 배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 공기층으로 인해 탄성이 생기므로, 사용자가 지지 쿠션(410)에 앉았을 때 착좌감이 좋다. 이렇게, 지지 쿠션(41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매트리스(1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으므로,야외 활동 시 어른이 누워도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매트리스(110)를 두 개 이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지지 쿠션(410)의 상면(411)에는 엠보싱 처리에 의한 다수의 요철(411a)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킨다. 다수의 요철(411a)은 각각 지지 쿠션(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쿠션(410)의 폭 방향으로 연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요철(411a)은 지지 쿠션(4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그 형상이 나타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요철(411a)은 매트리스(110)와 연결된 지지 쿠션(410)의 일단으로부터 지지 쿠션(410)의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한다. 그 결과, 지지 쿠션(410)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말려져 매트리스(1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차량용 보조 쿠션(400)을 차량에 장착시 보다 안정적으로 매트리스(110)를 지지할 수 있다. 차량용 보조 쿠션(400)을 차량에 설치시, 지지 쿠션(4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 쿠션(410)을 말아 매트리스(110)의 아래에 배치한다. 이때, 매트리스(110)의 아래로 말려진 지지 쿠션(410)은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과 프론트 시트(11) 사이의 차량 바닥면에 설치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메인 쿠션 및 지지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500)은 메인 쿠션(510), 및 지지 쿠션(5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쿠션(510)은 차량 장착시 차량의 리어 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착좌하는 쿠션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쿠션(510)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쿠션(100)의 매트리스(10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쿠션(520)은 차량 내에서 메인 쿠션(510)의 아래에 구비되어 메인 쿠션(51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쿠션(520)은 메인 쿠션(5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메인 쿠션(510)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 결합되며, 메인 쿠션(510)과 동일한 길이로 구비된다.
지지 쿠션(520)은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이 메인 쿠션(510)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트 형태를 유지하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매트리스 형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지지 쿠션(520)은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얇은 시트 형태로 구비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지지 쿠션(520)은 뜯김이나 공기 주입시 과도한 공기 주입으로 인한 펑크를 방지하기 위해 2중 겹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쿠션(520)은 물놀이 시 튜브로 이용가능하도록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지지 쿠션(52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층에 의해 상면이 배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으로 인해 탄성이 생기므로, 사용자가 지지 쿠션(520)에 앉았을 때 착좌감이 좋다. 이렇게, 지지 쿠션(52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메인 쿠션(51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으므로, 야외 활동 시 어른이 누워도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메인 쿠션(510)을 두 개 이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지지 쿠션(520)의 상면에는 엠보싱 처리에 의한 다수의 요철(5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킨다. 다수의 요철(51)은 각각 지지 쿠션(5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쿠션(520)의 폭 방향으로 연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요철(51)은 지지 쿠션(520)에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그 형상이 나타난다.
지지 쿠션(520)은 지지 쿠션(520)에 공기가 주입되더라도 지지 쿠션(520)을 접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523)를 구비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지지 쿠션이 접이부에 의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 쿠션이 접혀져 메인 쿠션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접이부(523)는 지지 쿠션(5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이부(523)가 형성된 부분에는 공기가 주입되지 못한다. 지지 쿠션(520)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접이부(523)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영역이 제1 지지 영역(521)과 제2 지지 영역(522)으로 분리 구획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쿠션(52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접이부(523)를 이용하여 자신의 폭 방향으로 접힐 수 있으며, 이때, 제2 지지 영역(522)이 제1 지지 영역(521) 측으로 접혀져 제1 지지 영역(521)과 마주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 쿠션(520)은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접이부(523)에 의해 두 개의 층으로 접혀지므로, 접이부(523)에 의해 두 개의 층으로 접혀진 지지 쿠션(520)을 메인 쿠션(510)에 대해 수직하게 접으면 지지 쿠션(520)이 메인 쿠션(51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쿠션(510)과 지지 쿠션(520)이 하나의 의자 형태를 이룬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쿠션(520)은 하나의 접이부(523)를 구비하나, 접이부(523)의 개수는 지지 쿠션(520)과 메인 쿠션(510)의 크기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쿠션(520)은 적어도 하나의 받침홀(524)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홀(524)은 접이부(523)가 지나는 지지 쿠션(52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받침홀(524)을 정의하는 면은 접이부(523)를 따라 연장된 임의 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이러한 받침홀(524)은 지지 쿠션(520)이 접이부(523)에 의해 접히면, 홀 형태에서 홈 형태로 변형되며, 차량 장착시 이렇게 홈 형태로 변경된 받침홀(524)에 차량의 센터 터널이 삽입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메인 쿠션(510)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500)은 받침홀(524)에 삽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안전 가드(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가드(530)는 받침홀(524)과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받침홀(524)에 끼워져 받침홀(524)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인 쿠션(510)과 보조 쿠션(520)을 모두 매트리스 형태로 넓게 펴서 사용할 경우, 안전 가드(530)를 이용하여 받침홀(524)을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 가드(530)는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500)의 면적 활용도와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이 창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8을 참조하면, 차량 장착시 메인 쿠션(510)은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 상면에 배치되고, 지지 쿠션(520)은 접이부(523)에 의해 접힌 상태로 프론트 시트(11)와 리어 시트(12) 사이의 차량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 쿠션(52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차량에 장착된다. 지지 쿠션(520)은 메인 쿠션(51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리어 시트(12)의 시트 쿠션(12a)에 의해 지지되지 못한 메인 쿠션(510)의 단부를 지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50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장착시, 지지 쿠션(520)의 접힘으로 인해 홈 형태로 변형된 지지 쿠션(520)의 받침홀(524, 도 17 참조)에는 차량의 센터 터널이 삽입되어, 차량의 센터 터널에 의해 메인 쿠션(510)의 일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량 장착시, 안전 가드(53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프런트 시트(11)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리어 시트(12)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안전 가드(53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프런트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500)은 메인 쿠션(510)에 앉은 어린이나 유아가 운행중 프론트 시트(11) 측으로 넘어가거나 메인 쿠션(510) 상면에 놓아둔 물건이 프론트 시트(1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510 : 메인 쿠션 110 : 매트리스
120, 530 : 안전 가드 200, 410, 520 : 지지 쿠션
210 : 제1 에어 블럭 220 : 제2 에어 블럭
300, 400, 500 : 차량용 보조 쿠션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차량의 리어 시트와 상기 차량의 프런트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을 커버하고, 상기 리어 시트에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메인 쿠션; 및
    상기 리어 시트와 상기 프런트 시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쿠션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쿠션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지지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쿠션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쿠션이 폭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쿠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쿠션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인 쿠션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메인 쿠션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메인 쿠션과 분리되어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받침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접이부에 의해 접혀져 상기 메인 쿠션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 쿠션이 상기 접이부에 의해 접히면 상기 받침홀은, 홈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차량의 센터 터널이 삽입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며, 상기 받침홀에 삽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안전 가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쿠션과 상기 지지 쿠션은 물놀이용 튜브로 사용 가능하도록 방수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134805A 2014-10-07 2014-10-07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KR101597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05A KR101597047B1 (ko) 2014-10-07 2014-10-07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05A KR101597047B1 (ko) 2014-10-07 2014-10-07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047B1 true KR101597047B1 (ko) 2016-02-23

Family

ID=5544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05A KR101597047B1 (ko) 2014-10-07 2014-10-07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55A1 (ko) * 2016-05-19 2017-11-23 주식회사 이기엔터프라이즈 차량의 뒷좌석 레그 스페이스에 설치되는 뒷좌석보조기구
KR102441297B1 (ko) 2022-01-13 2022-09-06 김태원 차박용 에어박스 설치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767A (ko) 1996-08-31 1998-06-05 배순훈 음성소거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9980035834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내장형 유아용 시트가 구비된 리어 시트
CN203328333U (zh) * 2013-06-28 2013-12-11 曾晖 车中充气床
CN203511383U (zh) * 2013-09-10 2014-04-02 吴爱忠 车载便携充气床
KR200474693Y1 (ko) * 2013-07-18 2014-10-07 서강원 이중 구조를 갖는 안전형 다기능 물놀이 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767A (ko) 1996-08-31 1998-06-05 배순훈 음성소거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9980035834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내장형 유아용 시트가 구비된 리어 시트
CN203328333U (zh) * 2013-06-28 2013-12-11 曾晖 车中充气床
KR200474693Y1 (ko) * 2013-07-18 2014-10-07 서강원 이중 구조를 갖는 안전형 다기능 물놀이 튜브
CN203511383U (zh) * 2013-09-10 2014-04-02 吴爱忠 车载便携充气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55A1 (ko) * 2016-05-19 2017-11-23 주식회사 이기엔터프라이즈 차량의 뒷좌석 레그 스페이스에 설치되는 뒷좌석보조기구
KR102441297B1 (ko) 2022-01-13 2022-09-06 김태원 차박용 에어박스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4843B (zh) 有带盖板的侧翼靠背的汽车座椅和带这种座椅的座椅装置
US9004605B2 (en) Vehicle seat
JP5819142B2 (ja) 車両用シート
US20120074756A1 (en) Lateral cushioning travel pillow with self-securing feature
KR101597047B1 (ko) 차량용 보조 에어 쿠션
KR20150112473A (ko) 차량용 매트
US20160375809A1 (en) Bodily Support Assembly
GB2512136A (en) Seat apparatus for a vehicle
HK1093946A1 (en) Air cushion arrangement for a passenger seat
JP6595295B2 (ja) 車両用シート
CN204340780U (zh) 一种汽车座椅
JP2010254104A (ja) ヘッドレスト
CN208101772U (zh) 一种充气隐形安全儿童座椅
KR200481881Y1 (ko) 차량 시트용 목 베개
KR100666910B1 (ko) 시트용 간이베개
US20200094720A1 (en) Contoured cushion implement and method
CN108394319A (zh) 一种充气隐形安全儿童座椅
KR101040328B1 (ko) 자동차용 시트
JP5951819B2 (ja) 車両用シート
JP5952372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1457932B1 (ko)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JP2018020659A (ja) 車両用シートのエアクッション
KR102028701B1 (ko) 등받이 시트 및 이에 결합되는 방석 시트를 포함하는 좌석 시트
KR101395602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CN202775195U (zh) 便携式轿车后排座加宽充气卧垫靠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