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932B1 -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 Google Patents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932B1
KR101457932B1 KR1020100025420A KR20100025420A KR101457932B1 KR 101457932 B1 KR101457932 B1 KR 101457932B1 KR 1020100025420 A KR1020100025420 A KR 1020100025420A KR 20100025420 A KR20100025420 A KR 20100025420A KR 101457932 B1 KR101457932 B1 KR 10145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filling
filling chambers
chambers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163A (ko
Inventor
주민수
Original Assignee
주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수 filed Critical 주민수
Priority to KR102010002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9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둔부의 구조에 맞게 다양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하여 독립된 밸브를 통해 유체를 충진할 수 있고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하중에도 높은 원형 복원력으로 변함없이 완충성을 유지하고, 착석자에게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통기성의 확보를 통해 쾌적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욕창, 치질 등의 피부질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건강증진과, 체형을 보정할 수 있는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는, 가로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유체충진실을 갖는 유체충진몸체; 상기 각 유체충진실의 경계부 상하부에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는 공기유통로; 상기 공기유통로에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구; 및 상기 각 유체충진실을 가로 질러 형성되고 상기 각 유체충진실과 연통되는 유체주입로를 구비한 유체공급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둔부의 구조에 맞게 유체충진몸체를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하고 독립된 밸브를 통해 유체를 충진하는 구조이므로 지속적인 하중에도 높은 원형 복원력으로 변함없이 완충성을 유지하고, 착석자에게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건강증진과, 체형을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유통로 및 통기구에 의해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착석자에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고, 욕창, 치질 등의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독립된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되어 독립된 밸브를 통해 주입하는 구조이므로 부분적으로 손상되더라도 전체적인 기능의 손상을 막을 수 있어서 손상 및 파손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유체충진실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공급통로가 유체충진실 내에 배치되므로 구조가 단순, 간결하고 원자재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FLUID FILLIG CUSHION WITH MULTIPLE FU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둔부의 구조에 맞게 다양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하여 독립된 밸브를 통해 유체를 충진할 수 있고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하중에도 높은 원형 복원력으로 변함없이 완충성을 유지하고, 착석자에게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통기성의 확보를 통해 쾌적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욕창, 치질 등의 피부질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건강증진과, 체형을 보정할 수 있는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의자나 바닥면에 착석시에 보온이나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착석자에 편안함을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방석은 외피와 이 외피의 내부에 수용되는 완충재로 구성된다. 완충재로는 스펀지, 솜, 합성 발포체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하중을 받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완충성을 대부분 상실하게 된다. 예컨대, 공기주입식 완충재의 경우, 착석자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되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면서 점차적으로 완충성을 상실하게 된다.
공기주입식 완충재는 합성수지 외피층의 내부에 단일의 공기충진실이 형성된 구조로서, 착석자가 앉게 되면 하중이 작용되는 부분은 눌러져 함몰되고 하중이 작용되지 않는 부분은 팽창되면서 돌출되므로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없고, 착석시에 하중의 변화에 따라 전체적으로 요동되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공기주입식 완충재를 구비한 방석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요통이나 척추질환 등이 유발되게 된다.
또한, 공기주입식 완충재는 합성수지 외피층의 재질 특성상 통기성이 없으므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합성수지 외피층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통기성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는 있으나, 공기주입식 완충재는 하중에 의해 눌려지고 변형되므로 돌기 또한 눌려져 변형됨에 따라 충분한 통기성이 확보될 수 없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전술한 공기주입식 완충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딱딱한 소재를 완충재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완충제가 딱딱한 소재일 경우 방석 본연의 목적인 편안함과 완충성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착석감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둔부의 구조에 맞게 다양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하여 독립된 밸브를 통해 유체를 충진할 수 있고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하중에도 높은 원형 복원력으로 변함없이 완충성을 유지하고, 착석자에게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통기성의 확보를 통해 쾌적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욕창, 치질 등의 피부질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건강증진과, 체형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된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하여 손상 및 파손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유체충진실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공급통로가 유체충진실 내에 배치되도록 하여 구조가 단순, 간결하고 원자재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은, 가로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유체충진실을 갖는 유체충진몸체; 상기 각 유체충진실의 경계부 상하부에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는 공기유통로; 상기 공기유통로에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구; 및 상기 각 유체충진실을 가로 질러 형성되고 상기 각 유체충진실과 연통되는 유체주입로를 구비한 유체공급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충진몸체는, 좌우 측부와 후측에 해당되는 상기 유체충진실의 팽창 폭과 높이가 크게 형성되어 착석자의 둔부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테두리 팽창부; 앞쪽 중앙부에 해당되는 상기 유체충진실의 팽창 폭과 높이가 크게 형성되어 그 좌우측에 착석자의 다리 부분이 정위치 되도록 하여 착석자세를 잡아주는 정위치 팽창부; 및 상기 테두리 팽창부의 내측에 둔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둔부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충진몸체는,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외피필름; 상기 제1 외피필름과의 사이에 유체충진실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는 제2 외피필름; 및 상기 제1 외피필름 또는 상기 제2 외피필름 내면에 유체주입로가 형성되도록 덧대어지는 복수의 밸브필름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외피필름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외곽 융착라인과 가로방향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 융착라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필름은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을 경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밸브 융착라인에 의해 상기 제1 외피필름 또는 상기 제2 외피필름과 융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유체공급통로가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통로에는 상기 유체주입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융착라인 및/또는 상기 구획 융착라인을 경유하는 유체이동로와,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외부유체 공급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은, 둔부의 구조에 맞게 유체충진몸체를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하고 독립된 밸브를 통해 유체를 충진하는 구조이므로 지속적인 하중에도 높은 원형 복원력으로 변함없이 완충성을 유지하고, 착석자에게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건강증진과, 체형을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유통로 및 통기구에 의해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착석자에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고, 욕창, 치질 등의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독립된 복수의 유체충진실로 구성되어 독립된 밸브를 통해 주입하는 구조이므로 부분적으로 손상되더라도 전체적인 기능의 손상을 막을 수 있어서 손상 및 파손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유체충진실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공급통로가 유체충진실 내에 배치되므로 구조가 단순, 간결하고 원자재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의 요부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시제품의 평면상에서 도시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은, 유체충진몸체(100), 공기유통로(200), 통기구(300), 및 유체공급통로(400)를 구비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유체충진몸체 자체를 방석으로 사용하거나 외부에 패브릭 등으로 형성된 외피층을 덧대거나 삽입하여 방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체충진몸체(100)는 하나의 몸체를 구획하여 다수의 유체충진실(101)을 갖도록 형성한 것으로, 유체충진실(101)은 가로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세로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유체충진실을 갖도록 형성한다.
공기유통로(200)는 각 유체충진실(101)의 경계부에 상하부에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는 것으로, 착석자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공기유통로(200)는 경계부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상부 공기유통로라고 하고, 경계부의 하부에 형성된 것을 하부 공기유통로라고 한다.
통기구(300)는 경계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 및 하면상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부 공기유통로와 하부 공기유통로를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유체공급통로(4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충진실(101)에 유체를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각 유체충진실을 가로 질러 형성되고 각 유체충진실과 연통되는 유체주입로를 구비한다.
한편, 유체충진몸체(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팽창부(100a), 정위치 팽창부(100b), 및 둔부 안착부(100c)를 구비한다.
테두리 안착부(100a)는 유체충진몸체(100)의 좌우 측부와 후측에 해당되는 유체충진실(101)을 유체의 주입시에 팽창 폭과 높이가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착석자의 둔부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위치 팽창부(100b)는 유체충진몸체(100)의 앞쪽 중앙부에 해당되는 유체충진실을 유체의 주입시에 팽창 폭과 높이가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 정위치 팽창부(100b)를 기준으로 그 좌우측에 착석자의 다리 부분이 정위치 되도록 하여 착석자세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둔부 안착부(100c)는 테두리 팽창부(100a)의 내측에 형성되어 둔부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은 인체의 둔부 형상에 맞도록 안착성과 착석감을 고려하여 요철 구조로 형성한다.
그리고, 유체충진몸체(100)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소재인 PE 재질로 형성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의 요부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유체충진몸체(100)는, 내부의 유체충진실(101)을 기준으로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제1 외피필름(110) 및 제2 외피필름(120)과, 이 제1 외피필름(110) 또는 제2 외피필름(120) 내면에 유체주입로(102)가 형성되도록 덧대어지는 복수의 밸브필름(130,140)을 구비한다.
그리고, 밸브필름 중 내측 밸브필름(130)은 외측 밸브필름(140)의 선단부 보다 앞쪽으로 연장되어 밸브 기능을 수행하는 연장밸브부(131)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필름(130,140)은 복수의 유체충진실(101)을 경유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유체충진실(101)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밸브 융착라인(108)에 의해 제1 외피필름(110) 또는 제2 외피필름(120)과 융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통로(400)가 복수의 유체충진실(101)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체공급통로(400)에는 내측 및 외측 밸브필름(130,140) 사이의 유체주입로(102)와 연통되도록 밸브 융착라인(108) 및/또는 구획 융착라인(107)을 경유하는 유체이동로(410)와,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외부유체 공급로(42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공급통로(400)는 구획 융착라인(107)을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밸브 융착라인(108)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유체공급통로(109)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410)는 밸브 융착라인(108)을 경유하여 유체주입로(10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체이동로(411)와, 구획 융착라인(107)을 경유하여 서로 격리된 유체공급통로(400)의 각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체이동로(412)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체충진 방석은 외부유체 공급로(420)를 통해 공기와 같은 유체를 주입하게 되면, 이 외부유체 공급로(420)와 접한 유체공급통로(400)의 첫 번째 칸으로 유입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배치된 유체이동로(411)를 통해 첫 번째 유체충진실(101)로 공급되는 동시에 동일 직선상으로 배치된 유체이동로(412)를 통해 다음 칸의 유체공급통로(400)로 유체가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는 구획된 유체공급통로(40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해당 칸의 좌우측에 형성된 유체이동로(411)로 유입된다.
유체이동로(41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밸브필름(140)과 제1 외피필름(110) 사이에 형성된 유체주입로(102)를 경유한 후 연장밸브부(131)를 개방시키면서 유체충진실(101)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전술한 유체 주입과정을 통해 유체충진실에 유체가 충진되면, 유체의 내압에 의해 외측 밸브필름(140)이 제1 외피필름(110)에 밀착되면서 유체주입로(102)가 밀폐되고, 이와 동시에 연장밸브부(131)가 제1 외피필름(110)의 내면측으로 이동, 밀착되면서 유체충진실(101)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유체충진몸체 100a:테두리 팽창부
100b:정위치 팽창부 100c:둔부 안착부
200:공기유통로 300:통기구
400:유체공급통로

Claims (6)

  1.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유체충진실을 갖는 유체충진몸체;
    상기 다수의 유체충진실 중 어느 하나와 그 이웃하는 유체충진실 사이에 형성된 경계부;
    상기 경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공기유통로와 상기 경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공기유통로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경계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구; 및
    상기 각 유체충진실을 가로 질러 형성되고 상기 각 유체충진실과 연통되는 유체주입로를 구비한 유체공급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진몸체는,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외피필름;
    상기 제1 외피필름과의 사이에 유체충진실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는 제2 외피필름; 및
    상기 제1 외피필름 또는 상기 제2 외피필름 내면에 유체주입로가 형성되도록 덧대어지는 복수의 밸브필름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외피필름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외곽 융착라인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 융착라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필름은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을 경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밸브 융착라인에 의해 상기 제1 외피필름 또는 상기 제2 외피필름과 융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유체공급통로가 상기 복수의 유체충진실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KR1020100025420A 2010-03-22 2010-03-22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KR10145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420A KR101457932B1 (ko) 2010-03-22 2010-03-22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420A KR101457932B1 (ko) 2010-03-22 2010-03-22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63A KR20110106163A (ko) 2011-09-28
KR101457932B1 true KR101457932B1 (ko) 2014-11-05

Family

ID=4495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420A KR101457932B1 (ko) 2010-03-22 2010-03-22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491B1 (ko) * 2015-02-12 2016-06-28 이순현 전립선 보호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474Y1 (ko) * 2006-04-12 2006-08-01 광 지 진 에어 셀과 에어 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입체 방석
KR20070109019A (ko) * 2006-05-09 2007-11-15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JP2008001427A (ja) 2006-06-23 2008-01-10 Yao Sin Liao 折畳み式の空気衝撃緩和装置
KR100893231B1 (ko) * 2007-05-21 2009-04-16 최봉락 휴대용 건강방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474Y1 (ko) * 2006-04-12 2006-08-01 광 지 진 에어 셀과 에어 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입체 방석
KR20070109019A (ko) * 2006-05-09 2007-11-15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JP2008001427A (ja) 2006-06-23 2008-01-10 Yao Sin Liao 折畳み式の空気衝撃緩和装置
KR100893231B1 (ko) * 2007-05-21 2009-04-16 최봉락 휴대용 건강방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63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221B2 (en) Cellular cushions including support material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CN104873024A (zh) 一种透气坐垫
WO2000060983A1 (en) Travel headrest
KR101457932B1 (ko) 다기능 유체충진 방석
JP5355397B2 (ja) 寝具用クッション、寝具用マット及び寝具用クッションの製造方法
JP605969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JP6605128B2 (ja) 多層クッショ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マットレス
JP2002272563A (ja) エアー座布団及びエアー座布団を備えた椅子
KR20090009526U (ko) 방석
WO2016051831A1 (ja) クッション
US6904632B1 (en) Elastic cushion
JP6503367B2 (ja) クッション
JP2020010872A (ja) クッション
KR100893231B1 (ko) 휴대용 건강방석 및 그 제조방법
JP3202186U (ja) エアークッション
KR101082517B1 (ko) 에어분출 의자 시트
KR200453445Y1 (ko) 공기주입형 충격 완화 시트
KR20160004011U (ko) 욕창 예방 방석
CN204838779U (zh) 充气沙发椅
CN210158414U (zh) 充气垫枕
CN207889594U (zh) 气垫
CN210018644U (zh) 充气垫
JP2014108318A (ja) クッション
JP3230901U (ja) 座布団
JP2010252869A (ja) 弾性クッション、積層クッション、身体支持装置、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