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691B1 -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 - Google Patents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691B1
KR101596691B1 KR1020100120174A KR20100120174A KR101596691B1 KR 101596691 B1 KR101596691 B1 KR 101596691B1 KR 1020100120174 A KR1020100120174 A KR 1020100120174A KR 20100120174 A KR20100120174 A KR 20100120174A KR 101596691 B1 KR101596691 B1 KR 10159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trailing arm
link
knuckle
lin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8745A (en
Inventor
서민좌
임동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691B1/en
Publication of KR2012005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7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후륜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너클부분과 트레일링암 부분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너클일체형 트레일링암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져바를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로부터 연장시켜 트레일링암 부분에 부착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후륜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structure of a rear suspension unit mounted on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in which a knuckle portion and a trailing arm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in which a stabilizer bar is extended from a stabilizer bar eye portion, To the link structure of the rear suspension unit.

Description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a toe of a rear suspens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후륜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너클부분과 트레일링암 부분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너클일체형 트레일링암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져바를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로부터 연장시켜 트레일링암 부분에 부착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후륜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structure of a rear suspension unit mounted on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in which a knuckle portion and a trailing arm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in which a stabilizer bar is extended from a stabilizer bar eye portion, To the link structure of the rear suspension unit.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륜 사이에 설치되며, 차체와 차륜을 다수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장치로서, 스프링과 유압 쇽업소버(shock absorber)에 의하여 상하 방향이 지지되고,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가진 다수개의 링크에 의하여 기타 방향이 지지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압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하여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고시키며, 타이의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분배하여 선회 및 제동시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확보한다.An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is installed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wheel and connects the vehicle body and a wheel using a plurality of links. The suspension system is supported by a spring and a hydraulic shock absorber so that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upported. And the other direction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inks of the vehicl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irregular pressure of the road surface generated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ride to the occupant, It improves the driving convenience by controlling properly, and distributes the vertical loa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tie to an appropriate level to secure the turning and braking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따라서, 이러한 현가장치의 기능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근래 적어도 3 개 이상의 링크를 사용하여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진동을 기구학적인 운동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멀티링크(multi-link) 타입의 후륜 현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atisfy the functions of the suspension device, a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device is used so as to accommodate shocks and vibrations input from the road surface by kinematic motion using at least three or more links have.

이러한 멀티링크 타입의 후륜 현가장치는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너클의 하부를 차체와 연결하는 로워암(lower arm)과,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너클의 상부를 차체와 연결하는 어퍼암(upper arm)과,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너클의 전단 부분을 차체와 연결하는 트레일링 암(trailing arm)과, 로워암의 전단에서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너클의 전방 부분을 차체와 연결하는 어시스트 암과, 후륜 사이에서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로워암 부분에 부착되어 자동차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현상(이른바 롤링 현상)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져 바(stablilizer bar), 코일 스프링, 쇽업소버 등의 주요 부품으로 이루어진다.The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unit includes a knuckl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a lower arm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knuckle to the vehicle body, A trailing arm which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connect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knuckle to the vehicle body, a trailing arm which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a front end of the lower arm, A stabilizer bar for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vehicle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so-called rolling phenomenon) attached to the lower arm portion so as to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etween the rear wheels, bar, coil spring, and shock absorber.

이러한 후륜 현가장치에서 범프(bump)시에는 안정성의 확보를 위하여 후륜이 토우인(toe in) 경향이 되도록 설계되는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워암, 어퍼암, 어시스트 암 부분이 과잉 구속되어 프릭션(friction, 마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프릭션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멀티링크 타입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종방향의 힘과 제동 모멘트를 흡수하고 제동시 후륜에 발생하는 스캇(squat)과 리프트(lift)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트레일링 암의 횡방향 강성을 최대한 유연하게 함으로써, 프릭션 현상을 저감시키며 아울러 범프시의 토우인 경향도 유도되며 범프(bump)와 리바운드(rebound)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In order to secure stability at the time of bumping in such a rear suspension unit, the rear wheels are designed to tend to toe in. The lower arm, the upper arm, and the assist arm portion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re excessively restrained, Friction (friction) phenomenon may occu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uch frictional phenomenon, the multi-link type suspension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o absorb the longitudinal force and the braking moment, and a squat and a lift generated in the rear wheel during braking By minimizing the lateral stiffness of the trailing arm which performs the adjusting function, friction is minimized and the tendency of toe-in during bump is induced, and bump and rebound are smoothly designed do.

또한, 도 1a 에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너클부분(2)과 트레일링암 부분(2')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너클일체형 트레일링암(1)의 경우, 스테빌라이져 바(3)가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4)(eye part)에서 로워암(5)에 장착된다. 그리고, 너클(2)에는 쇽업소버(7)가 장착된다. In the case of the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1 in which the knuckle portion 2 and the trailing arm portion 2 'ar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the plan view in FIG. 1A, the stabilizer bar 3 is connected to the stabilizer bar eye portion 4 and is mounted on the lower arm 5 at an eye part. The shock absorber 7 is mounted on the knuckle 2.

이때, 도 1b 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4)에서 스텝바(6)(step bar)가 상하 방향으로 로워암(5)에 장착되어 스테빌라이져바(3)와 로워암(5)을 연결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1B, a step bar 6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lower arm 5 of the stabilizer bar eye part 4 so that the stabilizer bar 3, (5).

여기서, 상기 스텝바(6)는 고탄성의 바(bar)형 부재를 'ㄷ'자 형태로 절곡시켜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텝바(6)의 중간 부분이 로워암(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의 코너링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차체의 어느 일측이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지는 측면의 현가장치를 지지하여 롤링현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통상의 부품이다. Here, the step bar 6 is formed by bending a bar-shaped member having a high elasticity in a 'C' shape,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tep bar 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arm 5, Which is inclined whe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is inclined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cornering of the vehicle body is supported, thereby reducing the rolling phenomenon.

이러한 너클 일체형 트레일링 암(1)은 중량 및 부품의 제조비용면에서 잇점을 가지고 있으나, 다양한 링크들의 브라켓류가 용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트레일링 암의 횡방향 강성이 종래 너클과 트레일링암의 분리형 구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며(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일링 암의 횡방향 강성을 최대한 유연하게 하는 것이 주행 안정성에 있어서 유리함), 이로 인하여 범프시의 차량 안정성을 확보하는 토우인 경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Although the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1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the weight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rts, since the brackets of various links are welded, the lateral rigidity of the trailing arm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 lateral rigidity of the trailing arm is maximally soften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running stability),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endency of the tow tendency to secure the vehicle stability at the time of bump is reduc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후륜 멀티링크 타입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너클 일체형 트레일링암과 같은 횡방향 강성이 높은 트레일링암을 장착한 경우, 차륜의 범프시의 프릭션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토우 인 경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spension of a rear-wheel multi-link type in which, when a trailing arm of high traverse rigidity such as a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is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k structure for a tow control of a rear suspension suspension which can be guided to a tow tendency so as to reduce friction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의 구성은, 스테빌라이져바가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에서 스텝바에 의하여 로워암에 결합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바의 말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바의 말단에 형성된 연결부가 트레일링암 부분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nk structure for adjusting a toe of a rear suspension suspension, the stabilizer bar being coupled to the lower arm by a step bar in a stabilizer bar,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ye portion and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tabilizer bar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iling arm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는 너클 일체형 트레일링암의 중량 및 재료비의 잇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트레일링암의 횡방향 강성을 최대한 유연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link structure for the tow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lateral rigidity of the trailing arm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weight and material ratio of the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또한, 트레일링암의 횡방향 강성의 유연성을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프릭션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현가장치의 범프시 토우인 경향을 유도하여 자동차의 동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자동차의 상품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flexibility of the lateral stiffness of the trailing arm is maximized to reduce the friction phenomen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ynamic performance of the vehicle by inducing the tendency of the suspension to bump during the suspension, It is effective.

또한, 트레일링암의 횡방향 강성을 최대한 유연하게 하면서도 토우인을 유도할 수 있어 자동차 설계시의 자유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toe-in can be guided while maximizing the lateral rigidity of the trailing arm,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in automobile design.

도 1 은 종래 너클일체형 트레일링암을 가진 현가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 는 평면도, 도 1b 는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의 연결부의 측면도이고, 도 4 는 그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suspension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knuckle-type trailing arm. FIG. 1A is a plan view, FIG. 1B is a side view,
Fig. 2 is a view showing a link structure for tow adjustment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of a link structure for tow adjustment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thereof.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의 구성 및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for tow adjustment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It is to be noted, however, that the disclosed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allo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is omitted.

도 2 은 본 발명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전술한 도면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FIG. 2 is a view showing a link structure for tow adjustment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parts as those shown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 링크 구조는 너클부분(2)과 트레일링암 부분(2')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너클일체형 트레일링암(1)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져바(10)를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20)로부터 연장시켜 트레일링암 부분(2')에 부착시킨 구조이다.The l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1 in which a knuckle portion 2 and a trailing arm portion 2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stabilizer bar 10 is extended from the stabilizer bar eye portion 20, Is attached to the portion (2 ').

이때, 상기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20)는 도시된 확대단면도와 같이 스텝바(6)에 의하여 로워암(5)에 결합된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stabilizer bar eye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arm 5 by the step bar 6 as shown in an enlarged sectional view.

편의상 상기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바(10)를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20)까지의 전단부(11)와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20)로부터 연장된 후단부(12)로 기술하면, 상기 스테빌라이져바(10)의 전단부(11)는 도 1 에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스테빌라이져바(3)와 동일하나, 그 후단부(12)는 그 말단에 형성된 연결부(13)에 의하여 트레일링암 부분(2')에 부착된다.The stabilizer ba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front end portion 11 extending from the stabilizer bar eye portion 20 to a rear end portion 12 extending from the stabilizer bar eye portion 20, The end portion 12 of the stabilizer bar 3 is attached to the trailing arm portion 2 'by the connecting portion 13 formed at the end thereof, do.

도 3 및 도 4 는 도 2 의 A 부분 상세도로서, 상기 연결부(13)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 의 연결부의 측면도와 같이, 상기 연결부(13)는 스테빌라이져바(3)의 후단부(12) 말단에 형성된 연결링크(13a)에 보조링크(13b)가 연결되고, 상기 보조링크(13b)의 말단에 상기 트레일링암 부분(2')에 부착되는 장착부재(13c)를 가진 구성이다.FIG. 3 and FIG. 4 are detailed views of the portion A of FIG. 2,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3 in more detail. 3, an auxiliary link 13b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k 13a formed at a rear end of the rear end 12 of the stabilizer bar 3, and the auxiliary link 13b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13a, And a mounting member 13c attached to the trailing arm portion 2 'at the distal end of the trailing arm portion 2'.

그리고, 도 4 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13a)는 고정볼트(13d)에 의하여 스테빌라이져바(10)의 후단부(12) 말단과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재(13c)는 상기 트레일링암 부분(2')에 구비되는 브라켓(13e)에 결합되는 구성이다.4, the connection link 13a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rear end 12 of the stabilizer bar 10 by the fixing bolt 13d, and the mounting member 13c is connected to the trail And is coupled to a bracket 13e provided in the ring arm portion 2 '.

이때, 상기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20)에서 장착되는 스텝바(6)(step bar)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로워암(5)에 장착되어 스테빌라이져바(10)와 로워암(5)을 연결하되 스텝바(5)의 중간 부분이 로워암(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의 코너링시 발생되는 롤링현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tep bar 6 mounted on the stabilizer bar eye part 20 is mounted on the lower arm 5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stabilizer bar 10 and the lower arm 5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tep bar 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arm 5 to reduce the rolling phenomenon occurring when cornering the vehicl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for tow adjustment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져바(10)의 연결부(13) 보조링크(13b) 말단의 장착부재(13c)는 트레일링암 부분(2')에 부착되는데, 상기 장착부재(13c)를 도시된 실선의 위치와 같이 트레일링암 부분(2')의 상단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the connecting member 13 of the stabilizer bar 10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attached to the trailing arm portion 2 'at the end of the auxiliary link 13b,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mounting member 13c to the upper end of the trailing arm portion 2 'like the position of the solid line shown in the figure.

왜냐하면, 차량의 범프(bump)시 및 리바운드(rebound)시에 보조링크(13b)는 도시된 x 방향의 궤적을 그리면서 운동되는데, 특히, 범프시 연결링크(13a)를 중심으로 차량 내측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이 보조링크(13b)에 걸리면서 로워암(5)과 스테빌라이져바(10)가 하부로 가라앉으면서 x 방향의 하방 부분 궤적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auxiliary link 13b moves while drawing the trajectory in the x direction shown in the figure at the time of bump and rebound of the vehicle, The lower arm portion 5 and the stabilizer bar 10 sink downward along the downward partial trajectory in the x direction while the force acting on the outer linkage 13b is caught by the lower link portion 13b.

따라서, 보조링크(13b)의 말단 장착부재(13c)를 트레일링암 부분(2')의 상단에 부착시킴으로써 차량 내측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로워암(5)과 스테빌라이져바(10)가 하부로 가라앉는 힘을 저감시키고, 나아가, 트레일링암 부분(2')의 횡방향 강성의 유연성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면서 프릭션 현상을 감소시키고, 현가장치의 범프(bump)시 토우인 경향을 유도하게 된다.Therefore, by attaching the end mounting member 13c of the auxiliary link 13b to the upper end of the trailing arm portion 2 ', the lower arm 5 and the stabilizer bar 10 Thereby reducing the force of sinking to the lower portion and further reducing the frictional phenomenon while ensuring the flexibility of the lateral stiffness of the trailing arm portion 2 'to the maximum, thereby inducing a tendency to bow when the suspension is bumped .

한편, 본 발명 링크구조가 상술한 토우인 경향과 반대인 토우아웃 성향을 가지도록 하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져바(10)의 연결부(13) 보조링크(13b) 말단의 장착부재(13c)를 트레일링암 부분(2')의 하단에 부착하면 되며, 이 경우 차량의 범프(bump)시 및 리바운드(rebound)시에 보조링크(13b)는 도시된 y 방향의 궤적을 그리면서 운동하게 된다.In order to make the lin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tendency to bow out as opposed to the toe-in tendency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13 of the stabilizer bar 10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attachment member 13c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iling arm portion 2 '. 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is bumped and rebounded, the auxiliary link 13b is moved in the y- .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 조절을 위한 링크 구조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너클 일체형 트레일링암
2; 너클 부분
2' 트레일링암 부분
3; 종래 스테빌라이져바
4; 종래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
5; 로워암
6; 스텝바
7; 쇽업소버
10;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바
11; 전단부
12; 후단부
13; 연결부
13a; 연결링크
13b; 보조링크
13c; 장착부재
13d; 고정볼트
13e; 브라켓
20;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One; Knuckle-integrated trailing rock
2; Knuckle portion
2 'trailing arm portion
3; Conventional stabilizer bar
4; Conventional stabilizer bar eye part
5; Lower arm
6; Step bar
7; Shock absorber
10; The inventive stabilizer bar
11; Front end portion
12; Rear end
13; Connection
13a; Connection link
13b; Secondary link
13c; The mounting member
13d; Fixing bolt
13e; Brackets
20; The stabilizer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너클부분(2)과 트레일링암 부분(2')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너클일체형 트레일링암(1)을 가진 후륜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져바(10)가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20)에서 스텝바(6)에 의하여 로워암(5)에 결합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바(10)의 말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져바 아이부(2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바(10)의 말단에 형성된 연결부(13)가 상기 트레일링암 부분(2')의 상단에 부착되고,
상기 연결부(13)는,
스테빌라이져바(10)의 말단에 형성된 연결링크(13a)와,
상기 연결링크(13a)에 결합된 보조링크(13b)와,
상기 보조링크(13b)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일링암 부분(2')에 부착되는 장착부재(13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재(13c)가 상기 트레일링암 부분(2')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
A link structure of a rear suspension device having a knuckle-integrated trailing arm (1) in which a knuckle portion (2) and a trailing arm portion (2 ') are integrally formed,
The stabilizer bar 10 is coupled to the lower arm 5 by the step bar 6 in the stabilizer bar eye part 20,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10 extends from the stabilizer bar eye portion 20,
A connecting portion 13 formed at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1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iling arm portion 2 '
The connecting portion (13)
A connecting link 13a formed at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10,
An auxiliary link 13b coupled to the connection link 13a,
, And a mounting member (13c) formed at the end of the auxiliary link (13b) and attached to the trailing arm portion (2 '),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member (13c)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iling arm portion (2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13a)는 고정볼트(13d)에 의하여 스테빌라이져바(10)와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재(13c)는 상기 트레일링암 부분(2')에 구비되는 브라켓(13e)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link 13a is engaged with the stabilizer bar 10 by a fixing bolt 13d,
, And the mounting member (13c) is coupled to a bracket (13e) provided on the trailing arm portion (2 ').
KR1020100120174A 2010-11-30 2010-11-30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 KR1015966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74A KR101596691B1 (en) 2010-11-30 2010-11-30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74A KR101596691B1 (en) 2010-11-30 2010-11-30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45A KR20120058745A (en) 2012-06-08
KR101596691B1 true KR101596691B1 (en) 2016-02-23

Family

ID=4661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74A KR101596691B1 (en) 2010-11-30 2010-11-30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6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1750B2 (en) * 2013-07-22 2017-05-24 スズキ株式会社 Trailing ar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412B2 (en) * 1992-09-22 2000-08-14 スズキ株式会社 Car suspension
KR100610117B1 (en) * 2004-11-23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ariable bump toe-in rear susp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45A (en)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160B2 (en) Suspension device
EP1789268B1 (en) Wheel suspension
JPS6164506A (en) Strut type suspension
US7798507B2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WO2006129065A1 (en) Suspension systems
KR101461916B1 (en)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WO2010077186A1 (en) Stabilizer arrangement of an axle and stabilizer
KR101596691B1 (en) Link structure for controlling toe of rear wheel suspension
KR100882667B1 (en) Riding feeling and roll behaviour improving typed suspension in vehicle
KR100462243B1 (en) torsion beam suspension
KR100192404B1 (en) Double link type rear suspension
KR100511861B1 (en) control arm coupled bumper for a suspension
KR100199741B1 (en) Wishbone type front suspension
JP2590542Y2 (en) Vehicle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KR200147907Y1 (en) Loosening preventing device for steering knuckles
KR200345373Y1 (en) strut suspension
KR200350298Y1 (en) dual suspension
KR200350300Y1 (en) dual suspension
KR200345375Y1 (en) additional link suspension
KR100320504B1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200345376Y1 (en) additional strut suspension
KR100201087B1 (en) Steering knuckle with loosenig preventing device
EP1527912A1 (en) Rigid axle suspension for a vehicle, in particular utility vehicle
KR20050054577A (en) Desired bump toe obeying type rear suspension in vehicle
KR19990056793A (en) Suspension spring deformation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McPherson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