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474B1 -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수식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수식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474B1
KR101596474B1 KR1020120058144A KR20120058144A KR101596474B1 KR 101596474 B1 KR101596474 B1 KR 101596474B1 KR 1020120058144 A KR1020120058144 A KR 1020120058144A KR 20120058144 A KR20120058144 A KR 20120058144A KR 101596474 B1 KR101596474 B1 KR 10159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orphism
genotype
oligonucleotides
sequ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078A (ko
Inventor
아키 이구치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16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07Temperature of melting, i.e. T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측정 장치가 검출할 수 있는 형광 파장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경우, 또는, 프로브에 수식할 수 있는 형광 분자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도, 한번에, 다수의 다른 유전자 변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형광 색소로 표지되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복수 사용하여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표지하는 형광 색소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이며,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상기 복수의 유전자 다형에 있어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서로 근방의 온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고,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동시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escription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수식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METHOD FOR DETECTING A PLURALITY OF NUCLEOTIDE POLYMORPHISMS AT A SINGLE WAVELENGTH USING A PLURALITY OF OLIGONUCLEOTIDES MODIFIED WITH FLUORESCENT DYE HAVING THE SAME OR CLOSE DETECTION WAVELENGTH}
본 발명은,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수식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 색소로 표지한 프로브를 사용하여 표적 핵산의 변이를 해석하는 방법은 다수 존재한다.
특허문헌 1에는, 변이를 포함하는 영역을 PCR로 증폭한 후, 형광 색소로 표지된 핵산 프로브를 사용하여 융해 곡선 분석을 행하고, 융해 곡선 분석의 결과에 의거하여 변이를 해석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청구항13에 「핵산 측정용의 신규 핵산 프로브의 종의 수와 적어도 동수(同數)의 종의 수의 파장에서 측정한다」고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이 다른 파장의 형광 색소로 표지한 프로브를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고상화(固相化)한 프로브로 유전자 변이를 검출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청구항8에 「다른 파장의 형광을 발하는 복수종의 형광 물질이 결합하고 있다」고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이 다른 파장의 형광 색소로 표지한 프로브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2에서는, 복수의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이 다른 파장의 형광 색소로 표지한 프로브를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2에서는, 프로브의 수(즉, 검출하고자 하는 변이의 수)와 동수 이상의 다른 형광 파장이 필요하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측정 장치를 검출할 수 있는 형광 파장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경우, 또는, 프로브에 수식할 수 있는 형광 분자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측정할 수 있는 변이의 수도 제한되어 버린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는 다른 시약을 사용하여, 수회에 걸쳐서 다른 유전자 변이를 측정할 필요가 있고, 시간이나 비용을 요한다.
일본 특개2002-355084호 공보 일본 특개2006-166808호 공보
본 발명은, 측정 장치가 검출할 수 있는 형광 파장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경우, 또는, 프로브에 수식할 수 있는 형광 분자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도, 한번에, 다수의 다른 유전자 다형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며, 또한, Tm값이 서로 근방의 온도가 되도록 설계된, 복수의 프로브를 1개의 반응계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형광 색소로 표지되고,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복수 사용하여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하나의 반응계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표지하는 형광 색소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이며,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고,
동일한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하나의 반응계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삭제
(3)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2℃인 (1) 기재의 방법.
(4)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1℃인 (1) 기재의 방법.
(5) (1), (3) 또는 (4)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과, 상기 동일 또는 근방 파장 이외의 1종류 이상의 형광 색소 검출 파장을 사용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을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행하는,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
(6) (1), (3) 또는 (4)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과, 상기 동일 또는 근방 파장 이외의 2종류 이상의 형광 색소 검출 파장을 사용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을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행하는,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7) 상기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야생형 서열이며, 상기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야생형 서열에 대하여, 1염기 이상의 치환 변이, 삽입 변이, 결실(缺失) 변이를 갖는 서열인, (1) 및 (3)∼(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8)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즈하지 않을 때에 형광을 발하며, 또한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즈했을 때에 형광 강도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하는, 다형 검출용 프로브인, (1) 및 (3)∼(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9)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즈했을 때에 형광 강도가 감소하는, 다형 검출용 프로브인, (8) 기재의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10)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된,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다형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동일한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하나의 반응계에서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키트.
(11) (1) 및 (3)∼(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약효나 체질에 관련하는 유전자 다형의 유무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체에 있어서의 약효나 체질을 예측하는 방법.
(12)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복수 수용된 하나의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 시료 및/또는 반응액을 공급하는 송액부,
상기 반응부에 형광을 여기(勵起)시키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반응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형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유전자 다형 검출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다형 검출 장치.
(13)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복수 수용된 반응계,
상기 반응계에 시료 및/또는 반응액을 공급하는 송액계,
상기 반응계에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계,
상기 반응계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계,
형광을 검출하는 검출계, 및
검출 결과에 의거해 다형을 판정하는 판정계
를 포함하는, 유전자 다형 판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다형 판정 시스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검출 가능한 파장의 종류가 적은 장치를 사용한 경우나, 프로브를 수식 가능한 형광 분자의 종류가 적은 경우에도, 다수의 다형을 한번에 검출할 수 있다.
[도 1a] 실시예1의, 프로브로 3PB-EGFR-insWT-R5(서열 번호9), 3PB-EGFR-insWT-F4(서열 번호10), 및 3FL-EGFR-ins7-F1(서열 번호11)을 사용하고, 주형(鑄型)으로 EGFR-e20-ins-WT-F(서열 번호1)를 사용하고, 형광 색소는 Pacific Blue 및 BODIPY FL을 사용한 경우의, Tm 해석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Pacific Blue 및 BODIPY FL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과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좌측 도면; Pacific Blue의 변화량, 우측 도면; BODIPY FL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단위 시간당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 가로축은, 온도(℃)이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다른 주형의 조합으로 같은 실험이 이루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 실시예1의, 주형으로 EGFR-e20-ins9-F(서열 번호2)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c] 실시예1의, 주형으로 EGFR-e20-insCAC-R3(서열 번호14)을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d] 실시예1의, 주형으로 EGFR-e20-insTGCGTG-F(서열 번호4)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e] 실시예1의, 주형으로 EGFR-e20-insAACCCC-R6(서열 번호16)을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f] 실시예1의, 주형으로 EGFR-e20-insCCCCAC-R7(서열 번호17)을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g] 실시예1의, 주형으로 EGFR-e20-insAACCCCCAC-R8(서열 번호18)을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h] 실시예1의, 주형으로 EGFR-e20-insCACGTG-R9(서열 번호19)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 실시예2의, 프로브로 3PB-858-G-PM(서열 번호20) 및 3PB-3A4-G-PM(서열 번호21)을 사용하고, 주형으로 858-㎜(서열 번호22) 100% 및 3A4-㎜(서열 번호24) 100%를 사용하고, 형광 색소는 Pacific Blue를 사용한 경우의, Tm 해석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Pacific Blue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과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단위 시간당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 가로축은, 온도(℃)이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다른 주형과의 조합으로 같은 실험이 이루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b] 실시예2의, 주형으로 858-㎜(서열 번호22) 50%, 858-PM(서열 번호23) 50% 및 3A4-㎜(서열 번호24)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c] 실시예2의, 주형으로 858-㎜(서열 번호22) 90%, 858-PM(서열 번호23) 10% 및 3A4-㎜(서열 번호24)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d] 실시예2의, 주형으로 858-㎜(서열 번호22) 100%, 3A4-㎜(서열 번호24) 50% 및 3A4-PM(서열 번호25) 5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e] 실시예2의, 주형으로 858-㎜(서열 번호22) 100%, 3A4-㎜(서열 번호24) 90%, 및 3A4-PM(서열 번호25) 1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실시예3의, 프로브로 3T-719-G-PM(서열 번호26), 3T-858-G-PM(서열 번호27) 및 3T-790-T-PM(서열 번호28)을 사용하고, 주형으로 719-G(서열 번호29) 100%, 858-G(서열 번호31) 100% 및 790-T(서열 번호33) 100%를 사용하고, 형광 색소는 TAMRA를 사용한 경우의, Tm 해석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TAMRA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과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단위 시간당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 가로축은, 온도(℃)이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다른 주형의 조합으로 같은 실험이 이루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 실시예3의, 주형으로 719-G(서열 번호29) 50%, 719-C(서열 번호30) 50%, 858-G(서열 번호31) 100% 및 790-T(서열 번호33)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c] 실시예3의, 주형으로 719-G(서열 번호29) 100%, 858-G(서열 번호31) 50%, 858-T(서열 번호32) 50% 및 790-T(서열 번호33)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d] 실시예3의, 주형으로 719-G(서열 번호29) 100%, 858-G(서열 번호31) 100%, 790-T(서열 번호33) 50% 및 790-C(서열 번호34) 5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실시예4의, 프로브로 3T-719-G-PM(서열 번호26), 5PB-V12M-A-PM(서열 번호35), 3PB-UGT-T-PM(서열 번호36), 5FL-Q126X-T-PM(서열 번호37) 및 3FL-NAT-C-PM(서열 번호38)을 사용하고, 주형으로 V12M-PM(서열 번호39) 100%, UGT-PM(서열 번호41) 100%, Q126X-PM(서열 번호43) 100%, NAT-㎜(서열 번호46) 100% 및 719-㎜(서열 번호30) 100%를 사용하고, 형광 색소는 TAMRA, Pacific Blue 및 BODIPY FL을 사용한 경우의, Tm 해석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TAMRA, Pacific Blue 및 BODIPY FL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과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좌측 도면; Pacific Blue의 변화량, 중앙 도면; BODIPY FL의 변화량, 우측 도면; TAMRA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단위 시간당의 형광 강도의 변화량(d형광 강도 증가량/t), 가로축은, 온도(℃)이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다른 주형의 조합으로 같은 실험이 이루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 실시예4의, 주형으로 V12M-PM(서열 번호39) 50%, V12M-㎜(서열 번호40) 50%, UGT-PM(서열 번호41) 100%, Q126X-PM(서열 번호43) 100%, NAT-㎜(서열 번호46) 100% 및 719-㎜(서열 번호30)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c] 실시예4의, 주형으로 V12M-PM(서열 번호39) 100%, UGT-PM(서열 번호41) 50%, UGT-㎜(서열 번호42) 50%, Q126X-PM(서열 번호43) 100%, NAT-㎜(서열 번호46) 100% 및 719-㎜(서열 번호30)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d] 실시예4의, 주형으로 V12M-PM(서열 번호39) 100%, UGT-PM(서열 번호41) 100%, Q126X-PM(서열 번호43) 50%, Q126X-㎜(서열 번호44) 50%, NAT-㎜(서열 번호46) 100% 및 719-㎜(서열 번호30)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e] 실시예4의, 주형으로 V12M-PM(서열 번호39) 100%, UGT-PM(서열 번호41) 100%, Q126X-PM(서열 번호43) 100%, NAT-PM(서열 번호45) 50%, NAT-㎜(서열 번호46) 50% 및 719-㎜(서열 번호30) 10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f] 실시예4의, 주형으로 V12M-PM(서열 번호39) 100%, UGT-PM(서열 번호41) 100%, Q126X-PM(서열 번호43) 50%, Q126X-㎜(서열 번호44) 50%, NAT-㎜(서열 번호46) 100%, 719-PM(서열 번호29) 50% 및 719-㎜(서열 번호30) 50%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1> 본 발명의 다형 검출 방법
본 발명의 다형 검출 방법은,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복수 사용하여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표지하는 형광 색소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이며,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상기 복수의 유전자 다형에 있어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서로 근방의 온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고,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동시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전자 다형이란, 유전자 상의 특정한 위치에서의 염기의 형이 복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다형에는 염기 치환, 1염기 이상의 삽입, 결실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수의 다형」이란, 1개의 유전자에서의 복수의 다형을 검출하는 경우, 및, 복수의 유전자에 대해서 각각 1개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경우의 양쪽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각각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한다.
2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올리고뉴클레오티드1은 제1 다형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고, 올리고뉴클레오티드2는 제2 다형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고, 올리고뉴클레오티드1을 표지하는 형광 색소와 올리고뉴클레오티드2를 표지하는 형광 색소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다.
여기에서, 근방이란, 형광값의 검출시에 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간섭을 받는 파장 영역을 가리킨다. 이 근방인 파장 영역은 형광 색소의 조합에 따라 다르지만, 검출 파장(극대 파장)의 차가 예를 들면 200㎚ 이내, 100㎚ 이내, 50㎚ 이내, 또는 30㎚ 이내이다. 이렇게 검출 파장이 근방에 있는 형광 색소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BODIPY FL과 FAM, BODIPY FL과 TRITC, Pacific Blue와 Alexa Fluor 405, TAMRA와 Alexa Fluor 670, TAMRA와 Alexa Fluor 700, TAMRA와 Texas Red 등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반드시 동일한 형광 색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표지하면,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다형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1종류의 파장이란, 동일 파장뿐만 아니라, 상기 근방의 파장 범위도 의미한다.
또, 동일한 검출 파장을 갖는 경우란, 통상은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같은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의 검출이 행해지는 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다른(상기 동일 또는 근방 이외)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프로브를 사용한 유전자 다형(상기 복수의 유전자 다형과는 다른 유전자 다형)의 검출을 동시 또는 연속하여 행해도 된다. 즉,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의 검출이 행해지는 한, 다른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파장에서의 유전자 다형의 검출을 동시 또는 연속하여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의 Tm값을 근방 영역에 집약시켜 둔다. 여기에서, 근방의 온도 영역이란,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각각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의 Tm값 간의 차가 예를 들면, 0℃∼4℃, 0℃∼2℃, 또는 0℃∼1℃이다.
또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예를 들면, 3℃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다형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1과, 제2 다형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2의 2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또,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3종류 이상 사용해도 된다).
제1 다형 영역의 제1 유전자형(예를 들면 야생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1의 Tm값과, 제2 다형 영역의 제1 유전자형(예를 들면 야생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2의 Tm값과의 온도차가 예를 들면, 0℃∼4℃, 0℃∼2℃, 또는 0℃∼1℃이다.
그리고, 제1 다형 영역의 제1 유전자형(예를 들면 야생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1의 Tm값과, 제1 다형 영역의 제2 유전자형(예를 들면 변이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1의 Tm값과의 온도차가 3℃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이다.
또한, 제2 다형 영역의 제1 유전자형(예를 들면 야생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2의 Tm값과, 제2 다형 영역의 제2 유전자형(예를 들면 변이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2의 Tm값과의 온도차가 예를 들면, 3℃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이다.
또, 제1 다형 영역의 제2 유전자형(예를 들면 변이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1의 Tm값과, 제2 다형 영역의 제2 유전자형(예를 들면 변이형)에 대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2의 Tm값과는 온도차가 0℃여도 되지만, 양(兩)변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1℃ 이상이다.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야생형 서열이며,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야생형 서열에 대하여, 1염기 이상의 치환 변이, 삽입 변이 및/또는 결실 변이를 갖는 변이형 서열인 경우에는, 야생형 서열에 대한 피크를 일정 온도 영역에 집약시켜 두고, 야생형에 대한 피크를 검출하지 않고, 변이형 서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야생형의 Tm값은 일정 온도 영역에 포함되므로, 변이형에 해당하는, 야생형의 Tm값으로부터 변동한 피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변이형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하여 융해 곡선 해석의 피크(즉 Tm값)를 미리 일정한 온도 영역에 집약시켜 두는 것에 의해,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해서는 융해 곡선 해석의 피크를 측정하지 않아도,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의 피크(바람직하게는, 상술과 같이,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의 피크로부터 3℃ 이상 변동한 피크)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변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제1 유전자형(야생형)을 포함하는 서열과 100% 매치하고, 제2 유전자형(변이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미스 매치를 포함하는 서열을 선택하고, 상술과 같이,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보다 3℃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1 유전자형(야생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하여 미스 매치를 포함하고, 제2 유전자형(변이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100% 매치하는 프로브 서열을 선택하고,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보다 3℃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낮아지도록 해도 된다.
또, 제1 유전자형과 제2 유전자형은 어느 것이나 변이형이어도 된다.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 및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함께 변이형 서열인 경우에는,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하여,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새로운 변이를 포함하는가 아닌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286300호 공보 및 일본 특개2002-119291호 공보 등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말단부가 형광 색소에 의해 표지된 소광 프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는, 예를 들면,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제이션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제이션했을 때에 형광 색소의 형광이 감소 또는 증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는, 예를 들면, 하이브리다이제이션하지 않을 때에 형광 색소의 형광이 발광하고, 하이브리다이제이션했을 때에 형광 색소의 형광이 소광하는, 소광 프로브이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의 길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의 사이에서, Tm값의 차를 얻기 위해 예를 들면, 40 염기길이 이하이고, 예를 들면, 11∼40 염기길이, 12∼30 염기길이, 15∼30 염기길이, 또는 18∼30 염기길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의 염기 서열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서열 번호9∼11, 서열 번호20∼21, 서열 번호26∼28, 서열 번호35∼38로 나타내는 프로브를 들 수 있다.
형광 색소로서는, 일본 특개2001-286300호 공보 및 일본 특개2002-119291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예로서는, Pacific Blue, FAM, TAMRA, BODIPY FL 등을 들 수 있다. 형광 색소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의 결합 방법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286300호 공보 및 일본 특개2002-11929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사용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융해 곡선 분석에 의해, 유전자 다형을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사용하는 것, 그리고, 당해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가 각각, 상기 복수의 유전자 다형에 있어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서로 근방의 온도가 되도록 설계되고,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 외에는, 통상의 융해 곡선 분석(Tm 해석)의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융해 곡선 분석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286300호 공보 및 일본 특개2002-11929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융해 곡선 분석에 있어서, 변이형의 피크가 검출되었을 때에, 변이가 존재하면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기 전 또는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것과 동시에 핵산을 증폭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핵산 증폭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머라제를 사용하는 방법이고, 그 예로서는, PCR, ICAN, LAMP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라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증폭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본 발명 프로브의 존재 하에서 증폭을 행한다. 사용하는 프로브에 따라, 증폭의 반응 조건 등을 조정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다. 이에 의해, 핵산의 증폭 후에 프로브의 Tm값을 해석하는 것뿐이므로, 반응 종료 후 증폭 산물을 정제 등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증폭 산물에 의한 오염의 걱정이 없다. 또한, 증폭에 필요한 기기와 같은 기기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용기를 이동할 필요조차 없다. 따라서, 자동화도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료 중의 DNA는, 1본쇄 DNA여도 되고 2본쇄 DNA여도 된다. 상기 DNA가 2본쇄 DNA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하이브리다이즈 공정에 앞서, 가열에 의해 상기 시료 중의 2본쇄 DNA를 분해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2본쇄 DNA를 1본쇄 DNA에 분해하는 것에 의해, 다음 하이브리다이즈 공정에 있어서, 검출용 프로브와의 하이브리다이즈가 가능하게 된다.
핵산 증폭을 행할 때의 주형이 되는 핵산으로서는, 핵산을 함유하고 있으면 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혈액, 구강 점막 현탁액, 손톱이나 모발 등의 체세포, 생식 세포, 젖, 복수액, 파라핀 포매 조직, 위액, 위세정액, 복막액, 양수, 세포 배양 등의 임의의 생물학적 기원에 유래하는 또는 유래할 수 있는 것이다. 주형이 되는 핵산은, 당해 기원으로부터 얻어진 채로 직접적으로, 또는 당해 샘플의 특성을 개변(改變)하기 위해 전처리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Tm 해석은, 본 발명 프로브의 형광 색소의 형광을 측정하는 것 외에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형광의 측정은, 형광 색소에 따른 파장의 여기광을 사용하여 발광 파장의 광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Tm 해석에 있어서의 승온 속도는, 통상으로는, 0.1∼1℃/초이다. Tm 해석을 행할 때의 반응액의 조성은, 프로브와 그 염기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핵산과의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으로는, 1가의 양이온 농도가 1.5∼5mM, pH가 7∼9이다. PCR 등의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는 증폭 방법의 반응액은, 통상,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증폭 후의 반응액을 그대로 Tm 해석에 사용할 수 있다.
Tm 해석의 결과에 의거하는 유전자 다형의 검출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이란, 변이의 유무의 검출이나 변이의 양의 검출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다형 검출 방법에 의해, 유전자 다형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다형의 유무에 의거하여, 약효나 체질에 관련하는 다형의 유무를 판단하고, 개체에 있어서의 약효나 체질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GFR 엑손20 삽입의 유전자 다형의 경우, 항암제인 게피티닙의 주효율(奏效率)을 판정할 수 있다.
<2> 본 발명 키트
본 발명 키트는, 본 발명의 다형 검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이다.
즉, 본 발명의 키트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다형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상기 복수의 유전자 다형에 있어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서로 근방의 온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검출 키트는, 상기 프로브 외에, 핵산 증폭을 행하는데 필요한 시약류, 특히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는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 검출 키트에 있어서 프로브, 프라이머 및 기타의 시약류는, 별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그들의 일부가 혼합물로 되어 있어도 된다.
<3> 본 발명 장치
본 발명 장치는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구체적으로는,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수용된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 시료 및/또는 반응액을 공급하는 송액부, 상기 반응부에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반응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형광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1> 본 발명의 다형 검출 방법에서 설명한 대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있으며, 복수의 유전자 다형에 있어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서로 근방의 온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각각이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부에는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사용 직전에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된 기판을 셋팅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송액부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시료와 반응액을 동시에 송액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되고, 별도로 송액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세정액 등을 송액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광원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표지하는 형광 색소에 대응한 여기 파장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이면 되지만,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다른(상기 동일 또는 근방 이외)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프로브를 사용한 유전자 다형(상기 복수의 유전자 다형과는 다른 유전자 다형)의 검출을 동시 또는 연속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여기 파장을 조사할 수 있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광원을 병용해도 된다.
제어부는, 예를 들면, 반응부의 온도를 일정한 속도로 승온 및 강온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검출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표지하는 형광 색소에 대응한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에서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되지만,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다른(상기 동일 또는 근방 이외)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프로브를 사용한 유전자 다형(상기 복수의 유전자 다형과는 다른 유전자 다형)의 검출을 동시 또는 연속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검출 파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검출 대상을 제2 유전자형만으로 하고,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의 피크(예를 들면,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의 피크로부터 3℃ 이상 변동한 피크)만을 검출해도 된다.
<4> 본 발명 시스템
본 발명 시스템은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구체적으로는,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수용된 반응계, 상기 반응계에 시료 및/또는 반응액을 공급하는 송액계, 상기 반응계에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계, 상기 반응계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계, 형광을 검출하는 검출계, 및 검출 결과에 의거해 다형을 판정하는 판정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1> 본 발명의 다형 검출 방법에서 설명한 대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있으며, 복수의 유전자 다형에 있어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서로 근방의 온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각각이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계, 송액계, 광원계, 제어계, 검출계는 상기의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판정계는 본 발명 장치에 접속되어, 입력된 검출 결과에서 다형의 형의 판정이나 변이의 유무 등을 출력하는 컴퓨터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1(EGFR 엑손20 삽입의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3종류의 프로브 및 2파장에서 검출하는 경우)
EGFR 엑손20 삽입에는 야생형(이하 WT) 외에 하기 7개의 광범위한 변이가 알려져 있다. EGFR 엑손20 삽입에 변이를 가진 환자의 게피티닙 주효율은 0%라고 말해지고 있으므로, EGFR 엑손20 삽입의 변이형(이하 mt)을 검출할 필요성이 있다.
서열 번호1로 나타내는 서열은, NM_005228.3 GENE ID : 1956에 있어서의 염기 번호2530-2579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mt 타입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40bp 정도의 긴 프로브를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이것으로는 Tm값의 차를 얻을 수 없고, 변이를 검출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WT에 퍼펙트 매치이며, Tm값이 WT의 Tm값과 같은 프로브를 몇 개 준비하고, 또한, 그 형광기를 같은 파장으로 했다.
EGFR 엑손20 삽입의 유전자 다형의 부위를 포함하는 염기 서열(서열 번호1(야생형))에 의거하여, 이하의 표 2에 나타내는, 3’ 말단부에 C를 갖는 프로브(야생형(서열 번호9, 10) 및 변이형(서열 번호11))을 설계했다. 표 2 중, 프로브의 위치는, 서열 번호9, 10에 대해서는 서열 번호1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있어서의 염기 번호를 나타내고, 서열 번호11에 대해서는 서열 번호7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있어서의 염기 번호를 나타낸다. Pacific Blue 또는 BODIPY FL에 의한 표지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행했다.
또한, 검출 대상으로서 사용한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야생형 안티센스(서열 번호12) 및 변이형 안티센스(서열 번호13∼19))의 서열을 표 2에 나타낸다. 이들의 서열 번호12-19로 나타내는 서열은, 각각 서열 번호1-8의 완전 상보쇄이다.
또, 서열 번호9의 프로브에 의해 표 1의 mt1, 3을 검출할 수 있고, 서열 번호10의 프로브에 의해 표 1의 mt2, 4, 5, 7을 검출할 수 있고, 서열 번호11의 프로브에 의해 표 1의 mt6을 검출할 수 있다.
[표 2]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2
전자동 SNPs 검사 장치(상품명 i-densy IS-5310, 아크레이사제)를 사용하여 Tm 해석을 행했다. 또, 이하의 Tm 해석에서도,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동(同)장치를 사용했다. 프로브 용액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샘플은, 이하의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했다. Tm 해석의 조건은, 95℃, 1초→40℃, 60초→(40℃→85℃, 1℃/3초)로 했다.
Tm 해석에 있어서의 여기 파장 및 검출 파장은, 각각 365∼415㎚ 및 445∼480㎚(Pacific Blue), 또는, 각각 420∼485㎚ 및 520∼555㎚(BODIPY FL)로 했다.
[표 3]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3
표 2의 프로브 및 표 3의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Tm 해석을 행한 결과, WT, mt1, mt2, mt3, mt4, mt5, mt7에 대해서는, Pacific Blue의 변이형의 명료한 피크가 보였지만(도 1a, 1b, 1c, 1d, 1e, 1f, 1h의 좌측 도면), mt6에 대해서는, Pacific Blue의 변이형의 피크는 보이지 않았다(도 1g의 좌측 도면). 또한, mt6에 대해서는, BODIPY FL의 변이형의 피크가 보였지만(도 1g의 우측 도면), WT, mt1, mt2, mt3, mt4, mt5, mt7에 대해서는, BODIPY FL의 변이형의 명료한 피크는 보이지 않았다(도 1a, 1b, 1c, 1d, 1e, 1f, 1h의 우측 도면). 즉, mt1∼mt7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야생형의 피크(72℃)와는 다른 피크를 검출할 수 있었으므로, mt1∼mt7의 변이의 검출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결과를 이하의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4
이상으로부터, 3PB-EGFR-insWT-R5, 3PB-EGFR-insWT-F4라고 하는 2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445∼480㎚라고 하는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변이를 검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3FL-EGFR-ins7-F1과 조합하는 것에 의해, EGFR 엑손20 삽입 변이의 전부를 검출할 수 있었다.
실시예2(다른 2종류의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2종류의 프로브 및 1파장에서 검출하는 경우)
표 5에 나타내는 대로, 서열 번호23으로 이루어지는 염기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고, 말단부에 C를 갖는 프로브(3PB-858-G-PM(서열 번호20)에 대응)를 설계했다. 표 5 중, 프로브의 위치는, 서열 번호23으로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있어서의 염기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검출 대상으로서 사용한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퍼펙트 매치형, 이하 PM형(서열 번호23) 및 비검출 대상인 미스 매치형, 이하 ㎜형(서열 번호22)을 설계했다.
또한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열 번호25로 이루어지는 염기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고, 말단부에 C를 갖는 프로브(3PB-3A4-G-PM(서열 번호21)에 대응)를 설계했다. 표 5 중, 프로브의 위치는, 서열 번호25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있어서의 염기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검출 대상으로서 사용한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PM형(서열 번호25) 및 비검출 대상인 ㎜형(서열 번호24)에 대응)을 설계했다.
[표 5]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5
PCR 반응액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시료는, 이하의 조합의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했다. Tm 해석의 조건은, 95, 1초→40℃, 60초→(40℃→75℃, 3℃/1초)이었다.
Tm 해석에 있어서의 여기 파장 및 검출 파장은, 각각 365∼415㎚ 및 445∼480㎚(Pacific Blue)로 했다.
[표 6]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6
표 5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Tm 해석을 행한 결과, 검출 대상인 핵산 서열(서열 번호23, 25)을 50% 포함하는 경우(도 2b, d), 10% 포함하는 경우(도 2c, e)에 상관없이, ㎜형의 피크에 더하여, PM형의 명료한 피크가 보였다.
즉,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형의 피크(55℃)와는 다른 피크를 검출할 수 있었으므로, 10%의 감도로 검출 대상인 PM형의 검출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실시예3(다른 3종류의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3종류의 프로브 및 1파장에서 검출하는 경우)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종류의 염기 서열(서열 번호29, 31, 33)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고, 말단부에 C를 갖는 프로브(3T-719-G-PM, 3T-858-G-PM, 3T-790-T-PM(서열 번호26-28)에 대응)를 설계했다. 표 7 중, 프로브의 위치는, 각각 서열 번호29, 31, 33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있어서의 염기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검출 대상으로서 사용한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형(서열 번호30, 32, 34)과 비검출 대상인 PM형(서열 번호29, 31, 33)을 설계했다.
[표 7]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7
PCR 반응액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시료는, 이하의 조합의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했다. Tm 해석의 조건은, 95℃, 1초→40℃, 60초→(40℃→75℃, 3℃/1초)이었다.
Tm 해석에 있어서의 여기 파장 및 검출 파장은, 각각 520∼555㎚ 및 585∼700㎚(TAMRA)로 했다.
[표 8]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8
표 7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Tm 해석을 행한 결과, 검출 대상인 핵산 서열(서열 번호30, 32, 34)을 50% 포함하는 경우(도 3b, c, d), PM형의 피크에 더하여, ㎜형의 명료한 피크가 보였다.
즉,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야생형의 피크(65∼66℃)와는 다른 피크를 검출할 수 있었으므로, 다른 3종류의 유전자 다형의 검출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실시예4(다른 5종류의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5종류의 프로브 및 3파장에서 검출하는 경우)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종류의 염기 서열(서열 번호29, 39, 41, 43, 45)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고, 말단부에 C를 갖는 프로브(3T-719-G-PM, 5PB-V12M-A-PM, 3PB-UGT-T-PM, 5FL-Q126X-T-PM, 3FL-NAT-C-PM((서열 번호26,35-38)에 대응))을 설계했다. 표 9 중, 프로브의 위치는, 각각 서열 번호29, 39, 41, 43, 45에 나타내는 염기 서열에 있어서의 염기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검출 대상으로서 사용한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PM형(서열 번호39, 41, 43) 및 ㎜형(서열 번호30, 46), 및 비검출 대상인 ㎜형(서열 번호40, 42, 44) 및 PM형(서열 번호29, 45)을 설계했다.
[표 9]
Figure 112012043636650-pat00009
PCR 반응액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시료는, 이하의 주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했다. Tm 해석의 조건은, 95℃, 1초→40℃, 60초→(40℃→85℃, 3℃/1초)이었다.
Tm 해석에 있어서의 여기 파장 및 검출 파장은, 각각 365∼415㎚ 및 445∼480㎚(Pacific Blue), 각각 420∼485㎚ 및 520∼555㎚(BODIPY FL), 또는, 각각 520∼555㎚ 및 585∼700㎚(TAMRA)로 했다.
[표 10]
Figure 112012043636650-pat00010
표 9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Tm 해석을 행한 결과, Pacific Blue에 대해서는, 서열 번호40 및 4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경우에만 새로운 피크가 검출되고(도 4b, 4c의 좌측 도면), 서열 번호40 및 4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가지지 않는 샘플에 대해서는 2개의 피크만이 보였다(도 4a, 4d, 4e, 4f의 좌측 도면).
BODIPY FL에 대해서는, 서열 번호44 및 4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경우에만 새로운 피크가 검출되고(도 4d, 4e의 중앙도), 서열 번호44 및 4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가지지 않는 샘플에 대해서는 1개의 피크만이 보였다(도 4a, 4b, 4c, 4f의 중앙도).
TAMRA에 대해서는, 서열 번호29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경우에만 새로운 피크가 검출되고(도 4f의 우측 도면), 서열 번호29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가지지 않는 샘플에 대해서는 1개의 피크만이 보였다(도 4a∼e의 우측 도면).
이상으로부터, 5PB-V12M-A-PM, 3PB-UGT-T-PM이라고 하는 2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하고, 445∼480㎚라고 하는 1종류의 검출 파장에서 2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서열 번호40 및 42)를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5FL-Q126X-T-PM, 3FL-NAT-C-PM이라고 하는 2종류의 프로브를 사용하고, 520∼555㎚라고 하는 1종류의 검출 파장에서 2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서열 번호44 및 45)의 변이를 검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3T-719-G-PM과 조합하는 것에 의해, 5종류의 변이의 전부를 검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약효나 체질에 관련하는 복수의 유전자 변이를 한번에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SEQUENCE LISTING <110> Arkray Inc. <120> METHOD FOR DETECTING A PLURALITY OF NUCLEOTIDE POLYMORPHISMS AT A SINGLE WAVELENGTH USING A PLURALITY OF OLIGONUCLEOTIDES MODIFIED WITH FLUORESCENT DYE HAVING THE SAME OR CLOSE DETECTION WAVELENGTH <130> P-110585 <150> JP2011-122900 <151> 2011-05-31 <160> 46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WT-F <400> 1 gaagcctacg tgatggccag cgtggacaac ccccacgtgt gccgcctgct 50 <210> 2 <211> 5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9-F <400> 2 gaagcctacg tgatggccag cgtggccagc gtggacaacc cccacgtgtg ccgcctgct 59 <210> 3 <211> 5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CAC-F <400> 3 gaagcctacg tgatggccag cgtggacaac ccccaccacg tgtgccgcct gct 53 <210> 4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TGCGTG-F <400> 4 gaagcctacg tgatggccag cgtgtgcgtg gacaaccccc acgtgtgccg cctgct 56 <210> 5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AACCCC-F <400> 5 gaagcctacg tgatggccag cgtggacaac cccaaccccc acgtgtgccg cctgct 56 <210> 6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CCCCAC-F <400> 6 gaagcctacg tgatggccag cgtggacaac ccccaccccc acgtgtgccg cctgct 56 <210> 7 <211> 5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AACCCCCAC-F <400> 7 gaagcctacg tgatggccag cgtggacaac ccccacaacc cccacgtgtg ccgcctgct 59 <210> 8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CACGTG-F <400> 8 gaagcctacg tgatggccag cgtggacaac ccccacgtgc acgtgtgccg cctgct 56 <210> 9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PB-EGFR-insWT-R5 <400> 9 tgtccacgct ggccatc 17 <210> 1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PB-EGFR-insWT-F4 <400> 10 ggacaacccc cacgtgtgc 19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FL-EGFR-ins7-F1 <400> 11 acaaccccca caacccccac 20 <210> 12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WT-R1 <400> 12 agcaggcggc acacgtgggg gttgtccacg ctggccatca cgtaggcttc 50 <210> 13 <211> 5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9-R2 <400> 13 agcaggcggc acacgtgggg gttgtccacg ctggccacgc tggccatcac gtaggcttc 59 <210> 14 <211> 5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CAC-R3 <400> 14 agcaggcggc acacgtggtg ggggttgtcc acgctggcca tcacgtaggc ttc 53 <210> 15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TGCGTG-R5 <400> 15 agcaggcggc acacgtgggg gttgtccacg cacacgctgg ccatcacgta ggcttc 56 <210> 16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AACCCC-R6 <400> 16 agcaggcggc acacgtgggg gttggggttg tccacgctgg ccatcacgta ggcttc 56 <210> 17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CCCCAC-R7 <400> 17 agcaggcggc acacgtgggg gtgggggttg tccacgctgg ccatcacgta ggcttc 56 <210> 18 <211> 5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AACCCCCAC-R8 <400> 18 agcaggcggc acacgtgggg gttgtggggg ttgtccacgc tggccatcac gtaggcttc 59 <210> 19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GFR-e20-insCACGTG-R9 <400> 19 agcaggcggc acacgtgcac gtgggggttg tccacgctgg ccatcacgta ggcttc 56 <210> 20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PB-858-G-PM <400> 20 ttggcccgcc caaaatc 17 <210> 2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PB-3A4-G-PM <400> 21 taaatcgccg ctctcctgcc c 21 <210> 22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858-mm <400> 22 caagatcaca gattttgggc tggccaaact gctgggtgcg gaagagaaag 50 <210> 23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858-PM <400> 23 caagatcaca gattttgggc gggccaaact gctgggtgcg gaagagaaag 50 <210> 24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A4-mm <400> 24 agccatagag acaagggcaa gagagaggcg atttaataga 40 <210> 25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A4-PM <400> 25 agccatagag acaagggcag gagagaggcg atttaataga 40 <210> 26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T-719-G-PM <400> 26 gcaccggagc ccagcac 17 <210> 27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T-858-G-PM <400> 27 ttggcccgcc caaaatc 17 <210> 2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3T-790-T-PM <400> 28 tgagctgcat gatgaggtgc ac 22 <210> 29 <211> 4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719-G <400> 29 gaattcaaaa agatcaaagt gctgggctcc ggtgcgttcg gcacggtgta 50 <210> 30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719-C <400> 30 gaattcaaaa agatcaaagt gctggcctcc ggtgcgttcg gcacggtgta 50 <210> 31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858-G <400> 31 caagatcaca gattttgggc gggccaaact gctgggtgcg gaagagaaag 50 <210> 32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858-T <400> 32 caagatcaca gattttgggc tggccaaact gctgggtgcg gaagagaaag 50 <210> 33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790-T <400> 33 cctcacctcc accgtgcagc tcatcatgca gctcatgccc ttcggctgcc 50 <210> 34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790-C <400> 34 cctcacctcc accgtgcagc tcatcacgca gctcatgccc ttcggctgcc 50 <210> 35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PB-V12M-A-PM <400> 35 ccttgtgaca ttggga 16 <210> 3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PB-UGT-T-PM <400> 36 gagacagagc attttacac 19 <210> 3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FL-Q126X-T-PM <400> 37 cccacttata cttacttata ccac 24 <210> 38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FL-NAT-C-PM <400> 38 tgccgtcagt ggtcac 16 <210> 39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12M-PM <400> 39 cagtaatgtc gaagttttta tcccaatgtc acaaggaaac accaatggct 50 <210> 40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12M-mm <400> 40 cagtaatgtc gaagttttta tcccagtgtc acaaggaaac accaatggct 50 <210> 41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PM <400> 41 ttcaaggtgt aaaatgctct gtctctgatg tacaacgagg 40 <210> 42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mm <400> 42 ttcaaggtgt aaaatgctcc gtctctgatg tacaacgagg 40 <210> 43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126X-PM <400> 43 caaatgtaat tcaggttacg tggtataagt aagtattagt gggtttgcat 50 <210> 44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126X-mm <400> 44 caaatgtaat tcaggttacg tggtacaagt aagtattagt gggtttgcat 50 <210> 45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AT-PM <400> 45 ccttctcctg caggtgacca ctgacggcag gaattacatt 40 <210> 46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AT-mm <400> 46 ccttctcctg caggtgacca ttgacggcag gaattacatt 40

Claims (13)

  1. 형광 색소로 표지되고,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복수 사용하여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하나의 반응계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표지하는 형광 색소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이며,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고,
    동일한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하나의 반응계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2℃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1℃인 방법.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과, 상기의 동일 또는 근방 파장 이외의 1종류 이상의 형광 색소 검출 파장을 사용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을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행하는,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과, 상기의 동일 또는 근방 파장 이외의 2종류 이상의 형광 색소 검출 파장을 사용한 유전자 다형의 검출 방법을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행하는,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야생형 서열이며, 상기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이, 야생형 서열에 대하여, 1염기 이상의 치환 변이, 삽입 변이, 결실(缺失) 변이를 갖는 서열인,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즈하지 않을 때에 형광을 발하며, 또한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즈했을 때에 형광 강도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하는, 다형 검출용 프로브인,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표적 서열에 하이브리다이즈했을 때에 형광 강도가 감소하는, 다형 검출용 프로브인,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
  10.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된,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다형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동일한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하나의 반응계에서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키트.
  11. 제1항에 기재된 유전자 다형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약효나 체질에 관련하는 다형의 유무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체에 있어서의 약효나 체질을 예측하는 방법.
  12.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복수 수용된 하나의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 시료 및/또는 반응액을 공급하는 송액부,
    상기 반응부에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반응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형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유전자 다형 검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다형 검출 장치.
  13.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복수 수용된 하나의 반응계,
    상기 반응계에 시료 및/또는 반응액을 공급하는 송액계,
    상기 반응계에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계,
    상기 반응계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계,
    형광을 검출하는 검출계, 및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다형을 판정하는 판정계
    를 포함하는, 유전자 다형 판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표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자 다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당해 유전자 다형의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 간의 차가 0℃∼4℃이고,
    상기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제1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과 제2 유전자형을 포함하는 서열에 대한 Tm값이 3℃ 이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다형 판정 시스템.
KR1020120058144A 2011-05-31 2012-05-31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수식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 KR101596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2900 2011-05-31
JPJP-P-2011-122900 201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078A KR20120134078A (ko) 2012-12-11
KR101596474B1 true KR101596474B1 (ko) 2016-02-22

Family

ID=4621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144A KR101596474B1 (ko) 2011-05-31 2012-05-31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수식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29861A1 (ko)
EP (1) EP2530166B1 (ko)
JP (1) JP6059453B2 (ko)
KR (1) KR101596474B1 (ko)
CN (1) CN102808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4220A1 (en) * 2019-06-25 2020-12-30 The Translational Genomics Research Institute Detection and treatment of residual disease using circulating tumor dna analysis
WO2024086277A1 (en) * 2022-10-20 2024-04-25 Ultima Genomics, Inc. Sequencing with concatemeriz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8483B2 (ja) 2003-02-18 2011-01-12 アプライド バイオ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ヌクレオチドの複合的分析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83B2 (ja) * 1989-02-27 1994-02-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焼鈍によって製造された局部延性に優れた非時効焼付硬化性冷延鋼板
JP3437816B2 (ja) 1999-04-20 2003-08-18 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核酸の測定方法
EP1046717B1 (en) * 1999-04-20 2010-10-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probes for determining a concentration of target nucleic acid molecules and method for analyzing data obtained by the method
US6506568B2 (en) * 2000-02-10 2003-01-14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analyz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using melting curve and restriction endonuclease digestion
JP3501111B2 (ja) 2000-07-21 2004-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読み取り装置
JP3963422B2 (ja) 2000-08-03 2007-08-22 日鉄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核酸の測定方法
JP2002355084A (ja) 2001-03-27 2002-12-1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新規核酸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用いる新規核酸測定方法
JP4336877B2 (ja) * 2003-04-18 2009-09-30 アークレイ株式会社 β3アドレナリン受容体変異遺伝子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2006166808A (ja) 2004-12-16 2006-06-29 Olympus Corp 塩基配列解析用プローブ及び塩基配列解析用固相化担体、並びに塩基配列解析方法
US20100216123A1 (en) * 2006-08-08 2010-08-26 Arkray, Inc. Method of detecting mutation and kit used in the same
KR101135829B1 (ko) * 2007-03-26 2012-05-25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그것을 포함하는 유전자 증폭용 시약 및 그 용도
EP2116614A1 (en) * 2008-05-06 2009-11-11 Qiagen GmbH Simultaneous detection of multiple nucleic acid sequences in a reaction
CN101463390B (zh) * 2008-12-31 2011-09-14 广州益善生物技术有限公司 Egfr基因外显子20突变的检测探针、液相芯片及其检测方法
US8039215B2 (en) * 2009-03-10 2011-10-18 Roche Molecular Systems, Inc. Multiplex quantitative nucleic acid amplification and melting assay
JP5859274B2 (ja) * 2010-10-29 2016-02-10 アークレイ株式会社 Egfr遺伝子の多型検出用プローブ、増幅用プライマーおよび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8483B2 (ja) 2003-02-18 2011-01-12 アプライド バイオ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ヌクレオチドの複合的分析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rras, S., et al., Genetic Analysis: Biomolecular Engineering, Vol.14, p.151-156 (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9861A1 (en) 2013-01-31
JP2013009669A (ja) 2013-01-17
JP6059453B2 (ja) 2017-01-11
EP2530166B1 (en) 2014-07-16
CN102808020B (zh) 2016-12-14
EP2530166A1 (en) 2012-12-05
KR20120134078A (ko) 2012-12-11
CN102808020A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7073A1 (en) Digital analyte analysis
US9228229B2 (en) Digital analyte analysis
JP5940874B2 (ja) NPM1遺伝子のexon12変異の検出用プローブおよびその用途
US20130078631A1 (en) Probe, and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084568A1 (en) Probe, and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96474B1 (ko) 동일 또는 근방의 검출 파장을 갖는 형광 색소로 수식된 복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1종류의 파장에서 복수의 유전자 다형을 검출하는 방법
US8758997B2 (en) Method for detecting polymorphism at nucleotide position-1639 of VKORC1 gene, and nucleic acid probe and kit therefor
JP4505838B2 (ja) Nat2*6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4454366B2 (ja) Mdr1遺伝子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4336877B2 (ja) β3アドレナリン受容体変異遺伝子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6205216B2 (ja) 変異検出用プローブ、変異検出方法、薬効判定方法及び変異検出用キット
KR20120124029A (ko) 다형 검출용 프로브, 다형 검출 방법, 약효 판정 방법 및 다형 검출용 시약 키트
KR101603150B1 (ko) JAK2 유전자의 exon 12에 있어서의 변이의 검출법, 및 그를 위한 핵산 프로브 및 키트
JP5047448B2 (ja) Cyp2c19の変異の検出法および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
JP4505839B2 (ja) Cyp2d6*4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2005204538A (ja) Cyp2d6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4517175B2 (ja) Nat2*7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4517176B2 (ja) Nat2*5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4454377B2 (ja) チオプリンメチ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4454365B2 (ja) Cyp2d6*2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2005204515A (ja) Cyp2c9の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JP2005110502A (ja) Cyp2c19*3アレルの検出法および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
JP2004313121A (ja) ミトコンドリアdna3243変異の検出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