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040B1 -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040B1
KR101596040B1 KR1020090055814A KR20090055814A KR101596040B1 KR 101596040 B1 KR101596040 B1 KR 101596040B1 KR 1020090055814 A KR1020090055814 A KR 1020090055814A KR 20090055814 A KR20090055814 A KR 20090055814A KR 101596040 B1 KR101596040 B1 KR 10159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tent
usage information
content us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659A (ko
Inventor
이종혁
이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5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4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50

Abstract

제 1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Figure R1020090055814
컨텐츠 사용 정보, 인스턴트 메신저(IM) 서비스

Description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스턴트 메신저(IM) 어플리케이션과 프리젠스(presence) 서버 기술을 이용하여,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버디 단말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메시지 송수신, 음성/영상 통화, 무선 인터넷, 카메라, DMB, 미디어 플레이, 또는 게임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 들어, 네이트온 메신저, MSN 메신저와 같이 PC에서 사용되는 메신저가 모바일 단말에서도 사용 가능해지면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간에도 실시간 채팅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 모바일 단말에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는 버디 리스트에 등록된 친구(즉, 버디 단말)의 현재 이용 중인 컨텐츠 또는 최근 이용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컨텐츠 사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컨텐츠 사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컨텐츠 사용 정보의 공유를 통해 컨텐츠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의 수입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지속적인 트래픽(traffic)을 확보하면서,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와는 차별화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사 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컨텐츠 사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컨텐츠 사용 정보의 공유를 통해 컨텐츠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의 수입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지속적인 트래픽(traffic)을 확보하면서,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와는 차별화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자주 사용되는 "버디 리스트"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단말의 친구(이하, 버디 단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대화상대목록으로, 예컨대, 버디 리스트에는 버디 단말의 대화명, 접속 상태(온라인, 오프라인)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스 서버와 리얼타임 트랜스코딩 서버, 및 제1,2 사용자 단말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은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로그인(log in)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BBB의 버디 리스트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AAA가 포함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AAA의 버디 리스트에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BBB가 포함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은 상호 간에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 및 리얼타임 트랜스코딩 서버(realtime transcoding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각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각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컨텐츠, 또는 일주일 동안 자주 이용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또는 로그 정보)를 메모리 공간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젠스 서버에 의해 주기적으로 페이징(paging)이 일어나는 경 우, 각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프리젠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리젠스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스 서버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단일의 컨텐츠 사용 정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젠스 서버는 생성된 컨텐츠 사용 정보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사용 정보 중에서, 각 사용자의 버디 리스트에 존재하는 버디 단말과 관련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다시 각 사용자에게 재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프리젠스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제1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요청이 발생할 경우, 상기 리얼타임 트랜스코딩 서버는 해당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TV 단말, PC 단말, 또는 모바일 단말 등에 설치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버디 리스트에 등록된 버디 단말이 이전에 또는 현재 사용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확 인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컨텐츠로 바로 접속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정보 수신부(210), 단말 식별부(220), 정보 제공부(230), 제공 제어부(240), 정보 요청부(260), 리스트 생성부(270), 및 파일 생성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250)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이동통신망 서버, IPTV 서버, 동영상 서버 등의 컨텐츠 제공 서버(25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시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5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주기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 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 요청부(260)는 일정 주기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 사용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이거나, 또는 최근(예컨대, 일주일 이내)에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또는 로그 정보)를 메모리 공간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내부적으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특정 포맷(format)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제목, 컨텐츠 저작자, 컨텐츠 이미지, 또는 상기 컨텐츠로의 접속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생성부(270)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버디 단말(buddy terminal)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버디 리스트에 포함되는 버디 단말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관계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대화 가능한 상대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버디 리스트에 포함되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버디 단말로서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를 갖는 버디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호 간에 버디 리스트에 버디 단말로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버디 리스트에 포함되는 버디 단말 중에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현재 이용 중인 버디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각 사용자 단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사용자 단말 AAA, 사용자 단말 BBB, 및 사용자 단말 CCC에서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310, 320, 33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스트 생성부(270)에서 사용자 단말 AAA의 버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 BBB, CCC를 등록한 버디 리스트(311)가 생성 됨에 따라,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버디 리스트(311)에 포함된 버디 단말 BBB와 CCC를, 사용자 단말 AAA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사용자 단말 AAA의 버디 리스트(311)에 포함 된 버디 단말 BBB, CCC 중에서, 사용자 단말 AAA를 버디 단말로서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312)를 갖는 사용자 단말 BBB를, 사용자 단말 AAA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AA와 사용자 단말 BBB는 상호 간에 버디 단말로 등록되므로,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사용자 단말 BBB를 사용자 단말 AAA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생성부(270)에서 사용자 단말 CCC의 버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 BBB를 등록한 버디 리스트(331)가 생성 됨에 따라,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버디 리스트(331)에 포함된 버디 단말 BBB를, 사용자 단말 CCC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생성부(270)에서 사용자 단말 BBB의 버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 AAA, DDD(오프라인 상태)를 등록한 버디 리스트(321)가 생성 됨에 따라,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버디 리스트(321)에 포함된 버디 단말 AAA, DDD(오프라인 상태) 중에서, 온라인 상태인 버디 단말 AAA를, 사용자 단말 BBB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제목, 컨텐츠 저작자, 컨텐츠 이미지, 또는 상기 컨텐츠로의 접속 링크 등의 다양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함께, 상기 컨텐츠에 관한 통계 수치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가 조회된 횟수,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가 추천된 횟수,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에 대한 평점 수치 등 다양한 통계 수치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에서 통계 수치가 높은 컨텐츠에 대한 이용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와, 선정된 기간 동안 실행된 컨텐츠, 또는 선정된 실행 빈도수를 만족하는 컨텐츠 별로 구분하여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함께 이용하거나, 제1 사용자 단말이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favorite contents)를 제2 사용자 단말에서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제2 사용자 단말로 제1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AA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현재 TV 컨텐츠(312)를 이용하고 있고, 사용자 단말 BBB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320)을 통해 현재 뮤직비디오 컨텐츠(322)를 이용하고 있고, 사용자 단말 CCC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330)을 통해 현재 웹검색 컨텐츠(332)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BBB의 제2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단말 AAA가 식별 됨에 따라,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 BBB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 AAA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AA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버디 단말 BBB, CCC 중에서 버디 단말 BBB(420)에 대한 컨텐츠 사용 정보가 요청 됨에 따라,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버디 단말 BBB(420)의 컨텐츠 사용 정보(430)를, 현재 TV 컨텐츠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AAA에게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430)를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뮤직비디오 컨텐츠와,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에 의해 1주간 이용된 게임/뮤직비디오 컨텐츠를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 AAA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생성부(280)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사용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하나의 컨텐츠 사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전체 사용 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공 제어부(240)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가 제공된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요청이 발생 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50)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AA로 제공되는 버디 단말 BBB(420)의 컨텐츠 사용 정보(430) 중,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뮤직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감상 요청(440)이 발생할 경우, 제공 제어부(240)는 상기 뮤직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제공 서버(250)에서 상기 감상 요청(440)을 발생한 사용자 단말 AAA로, 상기 뮤직비디오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AAA의 사용자는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와 동일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컨텐츠 사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컨텐츠 사용 정보의 공유를 통해 컨텐츠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의 수입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지속적인 트래픽(traffic)을 확보하면서,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와는 차별화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90)은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리젠스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291)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92),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시켜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2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모바일 단말(29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청부(291)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부(291)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연관관계가 설정된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해,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상기 요청부(291)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해,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93)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시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도 4의 430 참조).
이때,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정된 기간 동안 실행된 컨텐츠, 또는 선정된 실행 빈도수를 만족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293)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 정보로부터, 상기 구분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응시켜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293)는 도 4의 430과 같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와, 최근 1주간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구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컨텐츠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293)는 컨텐츠 제공 서버(25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즉, 모바일 단말(29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이거나, 실행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5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5를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 를 도모한다.
단계 510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250)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이동통신망 서버, IPTV 서버, 동영상 서버 등의 컨텐츠 제공 서버(25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시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5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주기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프리젠스 서버에 사전 등록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정된 주기에 따라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 요청부(260)는 일정 주기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 사용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이거나, 또는 최근(예컨대, 일주일 이내)에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또는 로그 정보)를 메모리 공간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내부적으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특정 포맷(format)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제목, 컨텐츠 저작자, 컨텐츠 이미지, 또는 상기 컨텐츠로의 접속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스트 생성부(270)에서 사용자 단말 AAA의 버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 BBB, CCC를 등록한 버디 리스트(311)가 생성 됨에 따라,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버디 리스트(311)에 포함된 버디 단말 BBB와 CCC를, 사용자 단말 AAA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사용자 단말 AAA의 버디 리스트(311)에 포함된 버디 단말 BBB, CCC 중에서, 사용자 단말 AAA를 버디 단말로서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312)를 갖는 사용자 단말 BBB를, 사용자 단말 AAA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AAA와 사용자 단말 BBB는 상호 간에 버디 단말로 등록되는 경우,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사용자 단말 BBB를 사용자 단말 AAA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생성부(270)에서 사용자 단말 CCC의 버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 BBB를 등록한 버디 리스트(331)가 생성 됨에 따라,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버디 리스트(331)에 포함된 버디 단말 BBB를, 사용자 단말 CCC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생성부(270)에서 사용자 단말 BBB의 버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 AAA, DDD(오프라인 상태)를 등록한 버디 리스트(321)가 생성 됨에 따라, 상기 단말 식별부(220)는 상기 버디 리스트(321)에 포함된 버디 단말 AAA, DDD(오프라인 상태) 중에서, 온라인 상태인 버디 단말 AAA를, 사용자 단말 BBB의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AA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버디 단말 BBB, CCC 중에서 버디 단말 BBB(420)에 대한 컨텐츠 사용 정보가 요청 됨에 따라,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버디 단말 BBB(420)의 컨텐츠 사용 정보(430) 를, 현재 TV 컨텐츠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AAA에게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430)를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뮤직비디오 컨텐츠와,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에 의해 1주간 이용된 게임/뮤직비디오 컨텐츠를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 AAA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함께 이용하거나, 제1 사용자 단말이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favorite contents)를 제2 사용자 단말에서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함께, 상기 컨텐츠에 관한 통계 수치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가 조회된 횟수,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가 추천된 횟수,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에 대한 평점 수치 등 다양한 통계 수치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에서 통계 수치가 높은 컨텐츠에 대한 이용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단계 540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가 제공된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요청이 발생 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50)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AA로 제공되는 버디 단말 BBB(420) 의 컨텐츠 사용 정보(430) 중,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뮤직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감상 요청(440)이 발생할 경우, 제공 제어부(240)는 컨텐츠 제공 서버(25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감상 요청(440)을 발생한 사용자 단말 AAA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AAA의 사용자는 버디 단말 BBB(420)의 사용자와 동일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 간에 용이하게 컨텐츠 사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리젠스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291)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92),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시켜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29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29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요청부(291)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해,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93)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시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도 4의 430 참조).
이때,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정된 기간 동안 실행된 컨텐츠, 또는 선정된 실행 빈도수를 만족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293)는 도 4의 430과 같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와, 최근 1주간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구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컨텐츠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293)는 컨텐츠 제공 서버(25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즉, 모바일 단말(29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이거나, 실행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 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스 서버와 리얼타임 트랜스코딩 서버, 및 제1,2 사용자 단말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각 사용자 단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210: 정보 수신부
220: 단말 식별부
230: 정보 제공부
240: 제공 제어부
250: 컨텐츠 제공 서버
260: 정보 요청부
270: 리스트 생성부
280: 파일 생성부
290: 모바일 단말(또는 제2 사용자 단말)
291: 요청부
292: 수신부
293: 표시부

Claims (22)

  1. 제1 사용자 단말에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집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와, 선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로 구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포함하여 표시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제목, 컨텐츠 저작자, 컨텐츠 이미지, 및 상기 컨텐츠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관한 통계 수치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정된 기간 동안 실행된 컨텐츠, 및 선정된 실행 빈도수를 만족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포함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컨텐츠 요청이 발생 함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공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버디 단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식별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버디 리스트에 포함되는 버디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버디 단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식별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버디 리스트에 포함되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버디 단말로서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를 갖는 버디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부는,
    상기 버디 리스트에 포함되는 버디 단말 중에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버디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13.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집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와, 선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로 구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포함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컨텐츠 요청이 발생 함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버디 단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버디 리스트에 포함되는 버디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방법.
  19.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리젠스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시켜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으면, 상기 프리젠스 서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집된 후, 상기 프리젠스 서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주기로 수집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와, 선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로 구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포함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정된 기간 동안 실행된 컨텐츠, 및 선정된 실행 빈도수를 만족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 정보로부터, 상기 구분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응시켜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컨텐츠 사용 정보에 대한 컨텐츠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22. 제1 사용자 단말에 관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리젠스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시켜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으면, 상기 프리젠스 서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집된 후, 상기 프리젠스 서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주기로 수집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와, 선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로 구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컨텐츠 사용 정보에 포함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KR1020090055814A 2009-06-23 2009-06-23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9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14A KR101596040B1 (ko) 2009-06-23 2009-06-23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14A KR101596040B1 (ko) 2009-06-23 2009-06-23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279A Division KR101696137B1 (ko) 2016-02-12 2016-02-12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59A KR20100137659A (ko) 2010-12-31
KR101596040B1 true KR101596040B1 (ko) 2016-02-29

Family

ID=4351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814A KR101596040B1 (ko) 2009-06-23 2009-06-23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073B1 (ko) * 2011-02-11 2018-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싱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835639B1 (ko) * 2011-02-22 201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1328249B1 (ko) * 2011-02-25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1654847B1 (ko) * 2011-11-07 2016-09-06 네이버 주식회사 앱 통계정보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467415B1 (ko) * 2013-07-23 2014-1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KR102146559B1 (ko) * 2013-12-04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사용기록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KR20230045199A (ko) 2021-09-28 2023-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탱커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540A (ko) * 2001-06-04 2002-12-12 주식회사 이플텍 메신저를 이용한 맞춤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96822A (ko) * 2004-09-03 2004-11-17 (주)젊은소프트 인터넷 메신저, 개인 홈페이지 및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개인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090022374A (ko) * 2007-08-30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즌스 서비스를 이용한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장치와 프레즌스 서비스를 이용한 컨텐트 상태 정보 생성방법 및 그 장치
KR100961758B1 (ko) * 2007-12-15 2010-06-08 남종철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이용한 과금정산시스템 및 과금정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59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040B1 (ko)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940940B1 (en) Methods for sending and receiving video short message, apparatus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68898B1 (ko) 공식 계정을 이용한 온에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6131706B (zh) 一种移动客户端应用程序中关于主播动态的消息推送方法及装置
CN106470149B (zh) 消息发送方法及装置
JP5535067B2 (ja) 3aベースの多様なアプリケーションの状態を提供するユビキタスプレゼンスサービ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402136A1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client and device
KR20070005690A (ko) 네트워크 채팅 환경에서의 채팅 부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73963B1 (ko) 타겟팅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047A (ko) 통신 이벤트 히스토리
CN11172645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11913625A (zh) 消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207132B1 (ko) 차별화된 콘텐츠 표현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시스템,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단말기
CN111612639B (zh) 一种应用于保险方案的同步交流方法及系统
KR101783431B1 (ko)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관련 펀딩 정보 및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02098549A (zh) 一种提供社会性网络服务的epg系统
US933240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dating contact information
CN103401854A (zh) 基于社交网络的电视内容分享方法
US20150026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a message
CA2966263A1 (en) Method and system to share advertisement content from a main device to a secondary device
KR101696137B1 (ko)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6161188B (zh) 消息发送方法、消息展示方法及装置
CN105979225A (zh) 一种多人视频房间的监控方法和装置
JP5823668B2 (ja) 情報処理装置、メッセージ伝達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75112B1 (ko) 웹 서비스 디지털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