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415B1 -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415B1
KR101467415B1 KR20130087046A KR20130087046A KR101467415B1 KR 101467415 B1 KR101467415 B1 KR 101467415B1 KR 20130087046 A KR20130087046 A KR 20130087046A KR 20130087046 A KR20130087046 A KR 20130087046A KR 101467415 B1 KR101467415 B1 KR 10146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ed
room
shar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미
정하영
정서빈
채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13008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컨텐트 공유 서버를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의 자기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고,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설정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MOBILE TERMINAL, CONTENT SHARING SERVER AND METHOD FOR SHARING A CONTEN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 증대로 이동 단말기가 취급할 수 있는 파일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민감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저장 공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서비스 중 하나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것이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를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것에는 아직까지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구체적으로, 다른 이동 단말기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후,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다운로드 받은 뒤, 이를 다른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를 공유하는 데에는 이동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수신한 컨텐트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간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 컨텐트를 공유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유자 및 피공유자간 대화를 진행하면서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의 자기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고,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설정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대방이 개설한 공유방 목록을 수신하거나,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라이브 영상을 함께 볼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로그인 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로그인 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대방이 개설한 공유방 목록을 수신하거나,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라이브 영상을 함께 볼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컨텐트 제공 서버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부; 가입자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클라우드 저장부; 및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저장부 또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공유 컨텐트의 공유를 위한 공유방을 개설하는 메시징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컨텐트 공유 방법은, 컨텐트 공유 서버가,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의 클라우드 계정 또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가, 상기 제 1 공유방의 요청에 따라 공유 컨텐트의 공유를 위한 공유방을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손쉬운 컨텐트 공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컨텐트 공유 서버에 의하면, 공유자 및 피공유자간 대화를 진행하면서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컨텐트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제 1 메시징 서비스 및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공유자 단말에서 공유자의 제 1 메신저 계정에 대한 친구 목록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공유방을 개설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은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피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대화 중 혼자서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대화 중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함께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공유방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 받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가상 키패드가 출력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출력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른 컨텐트의 출력 방식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기존 공유방에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은 특정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재공유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30은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1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라이브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보면서 대화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기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5는 컨텐트 공유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메신저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컨텐트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및 컨텐트 공유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시스템은 메신저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접속하여, 컨텐트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와 피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로 구분될 수 있다. 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저장된 컨텐트를 피공유자와 공유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피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공유자 이동 단말기(100)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공유자 단말(10)이라 호칭하고, 피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피공유자 단말(20)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을 구분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라 기재한 것은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거나, 문맥에 따라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PMP(Portable 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PDA, 태블릿(Tablet) 컴퓨터, 랩탑(Labtop) 컴퓨터 등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가 업로드하는 컨텐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컨텐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활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과 피공유자 단말(20) 사이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로 공유자 단말(10)의 친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메시징 서비스 등 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메신저 서버(4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와는 별개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신저 서버(40)는 공유자 단말(10)로 공유자 단말(10)의 친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와 구분하기 위해,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 1 메시징 서비스라 호칭하고,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 2 메시징 서비스라 호칭하기로 한다.
컨텐트 공유 방법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제 1 메시징 서비스 및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나아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을 '클라우드 계정'이라 호칭하고,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을 '메신저 계정'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공유자 및 피공유자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유자의 계정들에는 '제 1'의 첨두어를 붙이고, 피공유자의 계정들에는 '제 2'의 첨두어를 붙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공유자 단말(10)에서,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201,S301),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자신의 제 1 클라우드 계정을 이용하여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202,S302).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을 인증하고(S203,S303), 인증 결과를 기초로, 공유자 단말(10)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의 접속이 허용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로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업로드된 컨텐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204,S304). 여기서, 공유자 단말(10)의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업로드된 컨텐트는 사전에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공유자는 공유자 단말(10)뿐만 아니라, 컴퓨터 등의 고정형 장치를 통해서도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접속하여 컨텐트를 업로드할 수 있다.
컨텐트 목록을 수신한 공유자 단말(10)은 공유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트 목록 중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S205,S305).
일예로, 도 4는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은 피공유자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목록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컨텐트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클라우드 버튼은 공유자의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고, 폰 버튼은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트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폴더별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타입별(예컨대, 사진(photo), 비디오(video), 음악(music) 및 문서(document) 등)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 또는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의 공유를 시도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컨텐트 목록 중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제 1 메시징 서비스 또는 제 2 메시징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의 공유를 시작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a)에서 '공유' 버튼(410)은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 공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4의 (a)에서 '메뉴' 버튼(420)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통해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기타 수단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b)는 메뉴 버튼(420)이 선택되었을 때,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에서 '메신저로 전송하기' 항목(422)은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선택한 컨텐트를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 공유자 단말(10)은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306),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메신저 계정을 이용하여 메신저 서버(4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307). 메신저 서버(40)는 공유자 단말(10)을 인증하고(S308), 인증 결과를 기초로, 공유자 단말(10)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의 접속이 허용되면, 메신저 서버(40)는 공유자 단말(10)로 제 1 메신저 계정에 대한 친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309).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친구 목록을 이용하여 선택한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다(S310).
일예로, 도 5는 공유자 단말에서 공유자의 제 1 메신저 계정에 대한 친구 목록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가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메신저 서버(40)에게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고(S311), 메신저 서버(40)에게는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S312).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메신저 서버(40)로 전송하면(S313), 메신저 서버(40)는 피공유자 단말(20)로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314). 이때, 메신저 서버(40)는 피공유자 단말(20)에게 푸쉬 메시지의 형태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메신저 서버(40)는 피공유자 단말에게 컨텐트를 전송하는 대신, 컨텐트에 접속할 수 있는 컨텐트 접속 주소(예컨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전송할 수도 있다. 메신저 서버(40)가 피공유자 단말에게 컨텐트 접속 주소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컨텐트 공유 서버(30) 역시, 메신저 서버(40)에게 컨텐트 대신 컨텐트에 접속할 수 있는 컨텐트 접속 주소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달리, 선택한 컨텐트를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를 위해 선택된 컨텐트 목록을 제공하면서,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S206).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의 요청에 의거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을 개설할 수 있다(S207). 개설된 공유방을 통해 공유자 및 피공유자는 컨텐트를 공유하면서,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은 종래 메신저 및 채팅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되던 대화방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참가하여 서로 대화(또는 채팅)을 진행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은 종래의 대화방과는 달리, 대화 상대방이 없는 경우에도 개설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대화방과 연계된 공유 컨텐트가 설정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공유방의 식별을 위해 공유방에는 공유방의 식별을 위한 이름이 붙여질 수 있다. 공유방에 피공유자가 입장하기 전 공유방의 이름은 '공유방' 또는 공유방을 개설한 사용자의 ID 등으로 설정될 수 있고, 피공유자가 입장한 이후 공유방의 이름은 피공유자의 ID 로 설정될 수 있다. 피공유자가 여러명 입장한 경유, 공유방의 이름은 '그룹 공유(N명)'(여기서, N은 공유방에 참가중인 사용자의 수)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6은 공유방을 개설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유방이 개설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이 공유 컨텐트에 관한 파일함(6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파일함(610)은 공유하도록 설정된 컨텐트 목록이 링크된 대화창을 의미한다. 파일함(610)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파일함(610)에 링크된 컨텐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파일함(610)을 제공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파일함을 터치함으로써, 공유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컨텐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공유방이 개설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도 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에 공유방의 참가를 환영하는 웰컴 메시지(6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웰컴 메시지(620)에는 친구를 초대하기 위한 명령어가 하이퍼링크된 링크(625)가 제공될 수도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공유방의 참가를 환영하는 웰컴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공유방에 피공유자의 참가를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유자 단말(10)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및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공유방에 초대하고자 하는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도 6의 (a)의 예에서, 웰컴 메시지에 친구를 초대하기 위한 링크(625)가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를 초대할 수 있는 친구 초대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 친구 초대 영역(630)의 클라우드 친구 버튼(632)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메신저 친구 버튼(634)는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주소록 친구 버튼(636)은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웰컴 메시지의 링크가 터치된 경우에 친구 초대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방을 디스플레이할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을 친구 초대 영역(630)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도 6의 (c)에 친구 초대 영역(630)은 앞서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공유방에 피공유자의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피공유자를 선택하는 것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 초대 영역(710)에서 클라우드 친구 항목(712)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공유자를 선택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피공유자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피공유자의 정보를 수신한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초대 대상으로 선택된 피공유자의 단말에게 공유방에 참가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부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이 공유방으로의 참가를 수락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에게 공유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공유자의 ID(Identity)) 및 공유방의 식별 정보(예컨대, 공유방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여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된 피공유자가 공유방에 참가하도록 할 수 있다. 공유방에 새로운 참가자가 입장하면,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새로운 참가자의 입장을 알리는 메시지(7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셋톱 박스 또는 TV 등의 고정형 장치를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7의 (b)에 도시된 친구 목록에서, 'TV' 항목은 셋톱 박스 또는 TV 등의 고정형 장치를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형 장치를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정하기 위해, 공유자 단말(10)은 고정형 장치의 주소 정보(예컨대, 셋톱 박스의 IP 주소) 및 고정형 장치의 계정 정보(예컨대, 셋톱 박스에 등록된 제 1 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ID) 중 적어도 하나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고정형 장치가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정된 경우,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공유 컨텐트를 고정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형 장치의 사용자는 공유자 단말(10)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컨텐트를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될 것이다.
도 8 및 도 9은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공유자 단말(10)의 출력을 예시한 것이고, 도 9은 피공유자 단말(2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 초대 영역(810)에서 메신저 친구(812) 항목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도 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공유자를 선택하면,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를 이용하여 피공유자 단말(20)로 공유방에 초청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초대 메시지는 푸쉬 메시지의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초대 메시지에는 공유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공유자의 ID), 공유방의 식별 정보(예컨대, 공유방의 ID(Identity)) 및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주소(예컨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한 초대 메시지(9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연계 버튼(912)을 출력할 수 있다.
연계 버튼이 터치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초대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였던 참여 정보(구체적으로, 공유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공유방의 식별 정보 등) 및 피공유자 단말의 주소를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회원 가입 및/또는 로그인 절차를 통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초대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공유자에 대한 정보 및 공유방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 8의 (c) 및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이 개설한 공유방에 입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피공유자 단말(20)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마켓 서버(도면 미도시)에 접속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후, 회원 가입 및/또는 로그인 절차를 거쳐,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이 완료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전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전송한 참여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공유자 단말(20)은 자신의 주소와 매칭되는 참여 정보의 존부를 질의할 수 있다. 자신의 주소와 매칭되는 참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손쉽게 공유방에 참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공유자 단말(10)의 출력을 예시한 것이고, 도 11은 피공유자 단말(2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 초대 영역(1010)에서 주소록 친구 항목(1012)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공유자를 선택하면, 공유자 단말(10)은 피공유자 단말(20)로 피공유자를 공유방으로 초대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에게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에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1 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접속하여 공유자 단말(10)이 개설한 공유방에 입장할 수 있을 것이다. 피공유자 단말(20)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후, 공유자 단말(10)이 개설한 공유방에 입장할 수 있을 것이다.
공유방에 피공유자 단말(20)이 참가하면(S208),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쵸엉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20)에 공유 컨텐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209). 피공유자 단말(20)이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S210),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에게 공유 컨텐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피공유자 단말(20)의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를 복사할 수 있다(S211). 이에 그치지 않고,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에 직접 공유 컨텐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피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유자가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 목록이 링크된 파일함(12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파일함(1210)에 인접 위치하는 저장 버튼(1212)이 터치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2 클라우드 계정공유 컨텐트를 일괄 제공해 줄 것을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요청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를 복사하거나, 피공유자 단말(20)에게 공유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가 복사되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언제라도 컨텐트 공유 서버(30)의 자기 계정(즉, 제 2 클라우드 계정)에 접근함으로써, 복사된 컨텐트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공유 컨텐트가 제 2 클라우드 계정 또는 피공유자 단말(20)에 저장됨에 있어서, 공유 컨텐트는 공유자의 이름을 포함하는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2의 (b) 및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 공유 서버(30) 또는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자의 이름(도 12에서는 '숨이' 로 예시됨)으로 설정된 폴더의 하위로 컨텐트를 수신한 날짜별 폴더(도 12의 (c)에서는 '130107', '130102'로 예시됨)를 생성하여 생성된 날짜별 폴더에 복사된 공유 컨텐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자별로 공유자의 날짜별 공유 컨텐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도 13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파일함(1310)이 터치되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이 설정한 공유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자 단말(10)이 설정한 공유 컨텐트를 일괄 저장할 수도 있고, 일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제공을 요청할 공유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3의 (b)에서 전체 선택 항목(1320)은 모든 공유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에 대한 터치 입력은 해당 공유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전체 공유 컨텐트의 개수 및 선택된 공유 컨텐트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일예로, 0/10은 10개의 컨텐트 중 아무 것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10/10은 10개의 컨텐트 중 10개의 컨텐트 모두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냄, 도면부호 1330 참조).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트가 제 2 클라우드 계정 또는 피공유자 단말(20)에 복사될 수 있음은 앞서 도 12의 (b) 및 (c)에 도시된 예와 같다.
피공유자 단말(20)로부터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받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요청받은 공유 컨텐트를 복사할 수도 있고, 피공유자 단말(20)에게 직접 요청받은 공유 컨텐트를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4는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은 파일함(1410) 주변에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13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의 (a)의 인디케이터(1412)에는 'A/B' 형식의 문자가 기입되어 있는데, A는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은 피공유자의 수를 의미하는 것이고, B는 전체 피공유자의 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4의 (a)에서는 인디케이터(1412)에, 3/4가 기입되어 있으므로, 전체 피공유자 4명 중 3명이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공유자 단말(10)은 공유 컨텐트의 제공 여부에 대한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4의 (a)에 도시된 인디케이터(14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공유자 단말(10)은 도 1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세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팝업 창(1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팝업 창(1420)에는 피공유자 별로,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팝업 창(1420)을 통해, 4명의 공유자중, '김수현', '설대리', '최과장'은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았음에 반해, '성용이'는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100)들은 대화 중 공유 컨텐트를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들은 혼자서 공유 컨텐트를 볼 수도 있고, 공유방의 참가자와 함께 공유 컨텐트를 볼 수도 있다.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대화 중 혼자서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예에서, 파일함(1410)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출력 화면을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리하고, 개인 감상 영역을 통해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인 감상 영역에는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의 공유 컨텐트가 미리보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고, 공유 영역에서는 대화 내용 및 함께 보고자 하는 컨텐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 감상 영역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통해 공유 컨텐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 감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가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컨텐트의 감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컨텐트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온전히 선택한 컨텐트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가 터치되면, 도 15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의 크기를 확장하고, 확장된 개인 감상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선택된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개인 감상 영역을 통해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 감상 영역의 크기를 확장하고, 확장된 개인 감상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트를 출력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로 이동하기 위한 오브젝트(도 15의 (d)에서는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에 대한 미리 보기 이미지(1520, 1530)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됨)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개인 감상 영역에 출력할 컨텐트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유 컨텐트 목록의 표시는 언제든지 중단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공유 컨텐트 목록의 종료 버튼을 터치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 목록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가 가상 키패드(예컨대, IME(Input Method Editor))를 출력하는 경우, 공유 컨텐트 목록의 표시는 자동으로 중단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6은 가상 키패드가 출력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출력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에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가상 키패드(1610)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컨텐트 목록의 표시는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완료되어, 가상 키패드(1610)의 디스플레이가 중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1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기, 컨텐트 목록의 표시를 재개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가상 키패드(16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컨텐트 목록의 표시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반드시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도 17의 (a)에서 공유방의 파일함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화면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지 않고, 도 1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컨텐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컨텐트의 감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플리킹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음(혹은 이전) 공유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대화 중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함께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받은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1810)를 길게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어느 하나의 컨텐트(1810)를 공유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0)은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영역에 선택된 컨텐트(1810)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선택된 컨텐트를 함께 볼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참가자들의 이동 단말기(100)에 선택된 컨텐트(1810)의 함께 보기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참가자들의 이동 단말기(100)가 선택된 컨텐트(1810)의 함께 보기를 수락할 경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은 동일한 컨텐트를 보면서 대화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공유 영역에 출력되는 컨텐트(1810)가 터치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영역에서 출력되던 컨텐트(1810)의 감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은 도 18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컨텐트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온전히 선택한 컨텐트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공유 영역에 컨텐트를 출력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로 이동하기 위한 오브젝트(도 18의 (b)에서는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에 대한 미리 보기 이미지(1822, 1824)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됨)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공유 영역에 출력할 컨텐트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8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반드시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앞서 도 17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공유방의 파일함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화면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지 않고,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특정 공유 컨텐트의 감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도, 함께 보기 버튼(1910)을 통해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선택된 컨텐트를 함께 볼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함께 보기 요청된 컨텐트는 도 1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의 구분 없이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컨텐트의 공유를 요청받은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같이 보기 요청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함께 보기를 요청받은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함께 보기를 요청한 상대방의 식별 정보(예컨대, 상대방의 ID 또는 대화명)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탭 영역(2010)에 상대방의 식별 정보(상대방의 ID)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사용자는 상대방의 식별 정보를 읽어 누가 같이 보기를 요청한 것인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팝업 메시지에는 같이 보기 요청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툴(tool, 예컨대 버튼 또는 핸들러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0에 도시된 핸들러(2022)가 주어진 경로(2024)를 따라 드래그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같이 보기 요청을 수락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같이 보기 요청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함께 보기할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함께 보기할 이미지 컨텐트는 앞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되는 동안 도 21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터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21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함께 보기 이미지만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는 감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는 도 21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함께 보기 이미지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공유방 참가자들의 대화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오버레이 표시될 수 있다(도 21의 (b)에서는 화면의 하단부(2120)에 대화 내용이 오버레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됨).
공유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공유 컨텐트를 다른 사용자와 함께 보고 있는지 또는 혼자 보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1의 (a)에서는 별도의 정보 탭(tab, 2110)을 통해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특정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는 동안 참가자 중 어느 한명은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중단하거나, 함께 보기할 컨텐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를 함께 보기 하는 동안,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의 함께 보기할 이미지의 변경 및 함께 보기의 중단 등의 요청은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들에게 효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함께 보기를 요청하지 않은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함께 보기할 이미지의 변경 및 함께 보기의 중단 등의 요청은 자신에게만 효력이 미칠 수 있다.
일예로,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들에 대해 함께 보기할 컨텐트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함께 보기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대화창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터치한 뒤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플리킹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터를 제 1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것은 현재 함께 보기 하고 있는 컨텐트의 다음 순번의 컨텐트를 함께 보기 요청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포인터를 제 2 방향(제 1 방향의 반대)으로 플리킹 하는 것은 현재 함께 보기 하고 있는 컨텐트의 이전 순번의 컨텐트를 함께 보기 요청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중단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들에 대해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께 보기를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함께 보기를 중단하기 위한 버튼(예컨대, 도 20의 x 버튼(2030))을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함께 보기를 요청하지 않은 이동 단말기(100)가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중단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도 21의 접기 버튼(2130)이 터치됨)을 수신하면, 자신에 한하여 함께 보기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참가자들이 함께 보기를 지속하고 있다면, 함께 보기의 재개를 위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도 21의 접기 버튼(2130)을 재터치)을 수신함에 따라 특정 컨텐트의 함께 보기가 재개될 수도 있다.공유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을 벗어나지 않고도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서 동영상을 오버레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앞서 도 15 내지 도 19를 통해 설명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 또는 공유 영역을 통해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2는 공유방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파일함(2210)이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의 일부 영역을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으로 할당하고, 도 2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할당된 영역을 통해 공유 컨텐트 목록(22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컨텐트 목록(2220)에서 동영상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2222,2224,2226)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2의 (b)의 예에서, 함께 보기 버튼(2222)은 공유방에 참가중인 사용자들과 동영상을 함께 보기 위한 것이고, 혼자 보기 버튼(2224)은 혼자서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저장 버튼(2226)은 선택된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2의 (b)의 예에서, 동영상의 썸네일이 터치되거나, 혼자 보기 버튼(2224) 또는 함께 보기 버튼(2226)이 터치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서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의 재생창(22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함께 보기 버튼이 선택(2222)된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 참가중인 참가자들과 함께 동영상의 함께 볼 것을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도 1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에서 공유 영역으로 동영상을 드래그하는 것으로 동영상의 함께 보기가 요청될 수도 있다.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는 재생되는 동영상을 다른 사용자와 함께 보고 있는지 또는 혼자 보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2의 (c)의 예에서는 별도의 정보 탭(2240)을 통해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23은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 받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유방의 특정 참가자가 동영상의 함께보기를 요청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참가자들에게 동영상의 함께 보기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도 23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특정 참가자가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하였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2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310)가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특정 참가자가 함께 보기 요청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2320).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부터 특정 참가자가 함께 보기 요청한 동영상을 스트리밍 재생할 수도 있고, 특정 참가자가 함께 보기 요청한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 시점 정보가 지시하는 재생 시점에 맞춰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공유방의 참가자들이 함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 함께보는 동영상에 대한 제어 권한은 동영상을 함께 보는 모든 이동 단말기(100)에 부여될 수도 있고,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에만 부여될 수 있다. 제어 권한을 보유한 이동 단말기가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명령 또는 일시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명령은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권한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의 일시 중지 명령은, 공유방에 참가 중인 다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 재생 역시 중단될 수 있고, 제어 권한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의 재생 명령은, 공유방에 참가 중인 다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도 재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재생 명령 또는 일시 중지 명령 등 동영상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공유방에 참가 중인 이동 단말기(100)들에게 수신한 동영상 조작 명령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유방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동영상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에 대한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의 크기가 확대 혹은 축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절 가능한 동영상의 최대 크기 및 최소 크기는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 동영상의 최대 크기는 가상 키패드의 출력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도 24는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될 때 동영상의 출력 크기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때, 사용자는 동영상(2410)을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함으로써, 그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다만, 동영상의 최대 크기 및 최소 크기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상 키패드(2420)가 디스플레이되면, 동영상(2410)은 가상 키패드(2420)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도 2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동영상(2410)의 최대 크기가 가상 키패드(2420)의 표시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일예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의 출력이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로 전환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가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른 컨텐트의 출력 방식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25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2510)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영역을 통해 출력되던 컨텐트(2510)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간의 대화 내용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컨텐트 위 오버레이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가 컨텐트(2510)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5의 (a)에서는 컨텐트의 하단부에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2510)가 오버레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만약, 컨텐트(2510)가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자막과 대화 내용이 중첩되지 않도록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을 위한 자막이 컨텐트의 하단부에 표시된다면,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는 컨텐트의 상단부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공유방에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 이외 기존의 대화 내용을 보고자 하는 대화 보기 버튼(2520)이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화면의 일부를 기존의 대화 내용을 보기 위한 레이어 영역(2530)으로 설정하고, 레이어 영역(2530)을 통해 기존의 대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화 보기 버튼(2520)이 재터치되면, 레이어 영역(2530)의 표시는 중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가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변환되어, 공유 영역을 통해 출력되던 컨텐트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자동으로 마이크를 활성화 하여,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STT (Speech To Text) 변환 하여, 사용자가 음성을 기초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트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동안에는 가상 키패드를 출력할 공간이 부족해, 사용자가 송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이 어려움을 감안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고, 출력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피공유자 단말(20)기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S210),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를 복사함으로써, 피공유자에게 공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S211). 이에 그치지 않고,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 컨텐트 또는 공유 컨텐트에게 접근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피공유자 단말(20)에게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자신의 메모리(130)에 공유 컨텐트를 직접 저장하거나, 접속 주소에 연결함으로써 공유 컨텐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서는 공유자 단말(10)이 새로운 공유방을 개설하고, 새롭게 개설된 공유방에 피공유자 단말(20)을 초청하는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방을 개설한 공유자 단말(10)의 초대를 받아 공유방에 진입할 수도 있지만, 공유자 단말(10)의 초대를 받지 않고 스스로 공유방에 참가할 수도 있다.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 등의 이동 단말기(100)는 자신이 참가 중인 공유방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1 공유방에 참가하였던 이동 단말기(100)가 제 2 공유방에 참가 중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기존에 참가했던 제 1 공유방으로 자유롭에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6은 기존 공유방에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는 동안, 공유방 목록 보기 버튼(2610)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에는 도 2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기존에 참가했던 공유방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기존에 참가했던 공유방 목록 중 제 2 공유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제 2 공유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를 재공유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7 내지 도 29은 특정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재공유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공유방의 파일함이 롱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를 재공유하기 위한 팝업 창(2710,2810,29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팝업 창(2710)에서, '새 공유방 개설 후 공유' 항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당해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를 동일하게 이용하는 새로운 공유방을 개설할 수 있다. 팝업 창(2810)에서 '다른 공유방에 개설' 항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2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당해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다른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팝업 창(2910)에서 '여기에 재공유' 항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2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당해 공유방에서 공유 컨텐트가 재공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공유방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가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공유자 단말(10)과 피공유자 단말(20) 사이의 공유 컨텐트가 반드시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여야 하는 것도 아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이 실시간 방송 영상, 주문형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등의 라이브 영상을 상호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0은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공유자 단말(10)에서,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3001), 공유자 단말(10)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을 이용하여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3002).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을 인증하고(S3003), 인증 결과를 기초로, 공유자 단말(10)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의 접속이 허용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공유자 단말(10)에게 라이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S3004).
일예로, 도 31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라이브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유자 단말(10)이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접속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도 3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열거한 서비스 목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예에서, '클라우드' 영역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업로드된 컨텐트 목록을 보기 위한 것이고, '기타 서비스' 영역에서, '비디오 스토어' 항목은 라이브 영상을 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비디오 스토어 항목을 선택한 뒤,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실시간 방송 영상, 주문형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등의 라이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에게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S3005).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의 요청에 의거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을 개설할 수 있다(S3006). 개설된 공유방에 피공유자가 참가하면(S3007),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에게도 공유자 단말(10)에게 전송하는 것과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S3008). 이에 따라,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은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보면서,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도 32는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보면서 대화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2의 (a)는 공유자 단말(1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2의 (b)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화면을 라이브 영상 표시 영역과 대화 영역으로 구분하고, 라이브 영상 표시 영역을 통해서는 라이브 영상을 출력하고, 대화 영역을 통해서는 공유자와 피공유자 사이의 대화 내용(즉, 송수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32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라이브 영상이 풀 스크린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앞서, 도 24 및 도 2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나아가, 공유방의 참가자 중 적어도 한명이 라이브 영상에 대한 재생 명령 또는 일시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명령은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개설된 공유방에,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및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공유방에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0에서는 공유자 단말(10)이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함으로써,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이 개설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30에 도시된 예에서와 달리,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가 기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33은 기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공유방' 탭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가 기 개설한 공유방 목록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 기 개설한 공유방 목록이 선택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선택된 공유방으로의 입장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고, 공유방 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클라우드 계정 또는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컨텐트 중 공유 컨텐트가 선택된 경우, 또는 함께 볼 라이브 영상이 선택된 경우 등에 있어서 공유방이 개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가 설정된 공유방에 추가적인 공유 컨텐트를 더 설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공유방을 개설한 개설자 이외의 참가자들도 자신이 참가 중인 공유방에 공유 컨텐트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성격에 따라, 공유방에 추가적인 공유 컨텐트의 설정 권한을 달리할 수 있다. 일예로, 컨텐트 공유 서버(30)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과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을 구분하여, 전자에서는 공유 컨텐트가 추가 설정될 수 있는 반면, 후자에서는 공유 컨텐트의 추가 설정이 불가능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공유방의 개설 시 공유 컨텐트가 반드시 지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100)는 아무런 공유 컨텐트를 선택되지 않은 대화방을 개설한 뒤, 개설된 대화방에 공유 컨텐트를 추가함으로써, 대화방의 성격이 공유방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방이 개설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개설된 공유방에 유효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유효 기간이 만료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을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다. 유효 기간은 공유방의 개설 시점부터 산정될 수도 있고, 공유방에서 마지막으로 공유 컨텐트가 추가된 시점부터 산정될 수도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이 만료되기 이전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에게, 공유방이 곧 만료될 것임을 알릴 수 있다.
유효 기간이 만료되어 공유방이 종료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 참가하였던 사용자들에게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공유방에 참가하였던 사용자들이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의 저장을 요청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한 데이터를 저장을 요청한 사용자의 클라우드 계정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대화 내용은 텍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고, 이미지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가 스스로 공유방을 이탈하는 경우에도,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당해 사용자에게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 및 컨텐트 공유 서버(3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4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로 역할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메모리(130), 센싱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11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컨텐트 목록, 라이브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방의 개설이나 공유방의 참가를 요청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목록이나 라이브 영상, 공유자와 피공유자 사이의 대화 내용(즉, 송수신 메시지)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기능부(예컨대, 키패드)가 더욱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컨텐트 목록, 라이브 영상의 재생을 위한 조각(chunk) 파일)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13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13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30)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130),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제어부(150)는 센싱부(140)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을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controller)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로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신호 처리를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도 35는 컨텐트 공유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부(32), 메시징 서비스부(34), 클라우드 저장부(36) 및 라이브 영상 제공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부(32)는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메시징 서비스,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및 라이브 영상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가입자들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이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가입자별 친구 목록이 생성될 수 있다.
메시징 서비스부(34)는 가입자 간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징 서비스부(34)는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공유방을 개설하고, 공유방에 참가 중인 사용자들의 입력 메시지가 상호 송수신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클라우드 저장부(36)는 사용자 계정별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예컨대, 컨텐트)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언제라도 클라우드 저장부(36)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 제공부(38)는 이동 단말기(100)에 라이브 영상을 제공한다. 라이브 영상 제공부(38)가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라이브 영상은 실시간 방송 영상, 주문형 비디오 및 스트리밍 비디오 등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게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라이브 영상 제공부(38)는 방송 서버, 주문형 비디오 서버 및 스트리밍 비디오 제공 서버 등과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가 반드시 단일의 서버 장치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서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공유자 단말
20 : 피공유자 단말
30 : 컨텐트 공유 서버
32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34 : 메시징 서비스부
36 : 클라우드 저장부
38 : 라이브 영상 제공부
40 : 메신저 서버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메모리
140 : 제어부

Claims (26)

  1. 메모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의 자기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고,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설정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이 개설된 뒤 상기 공유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에게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기능의 적용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하는 것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참가자들이 상기 공유 컨텐트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구분되고,
    함께 보기를 요청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개인 감상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공유 컨텐트를 상기 공유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함께 보기가 요청된 상기 공유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함께 보기가 요청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상기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공유 컨텐트의 변경 혹은 함께 보기의 종료를 요청하는 것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모든 참가자들이 상기 공유 컨텐트의 보기를 종료하도록, 상기 컨텐트 제공 서버로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변경 또는 함께 보기의 종료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함께 보기가 요청된 상기 공유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함께 보기가 요청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상기 공유방에서 오버레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함께 보기가 요청된 상기 공유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함께 보기가 요청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상기 공유방에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것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모든 참가자들에게 상기 동영상 재생 제어의 효력이 미치도록, 상기 컨텐트 제공 서버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공유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동안 상기 공유방 참가자들의 대화 내용은 상기 공유 컨텐트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자막과 함께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 내용이 상기 자막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대화 내용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적어도 한명의 참가자들의 요청으로 인해,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공유 컨텐트에 대한 함께 보기를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공유 컨텐트에 대한 함께 보기를 요청 받았음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터치되면, 상기 공유방에 함께 보기가 요청된 상기 공유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이 개설되면, 친구 초대 명령어가 링크된 초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메신저 서버에 등록된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방에 초대할 사용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방에 초대할 초청자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청자에게 상기 공유방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공유방으로 초대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로그인 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방이 개설된 뒤 상기 공유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에게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기능의 적용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대방이 개설한 공유방 목록을 수신하거나,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라이브 영상을 함께 볼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방이 개설된 뒤 상기 라이브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에게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기능의 적용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영상은 실시간 방송 영상, 주문형 비디오 (VOD) 및 스트리밍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로그인 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대방이 개설한 공유방 목록을 수신하거나,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라이브 영상을 함께 볼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방이 개설된 뒤 상기 라이브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에게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기능의 적용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가입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부;
    가입자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클라우드 저장부; 및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저장부 또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공유 컨텐트의 공유를 위한 공유방을 개설하는 메시징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컨텐트 공유 서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방에 제 2 이동 단말기가 참가하면, 상기 클라우드 저장부는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의 접속 계정에 상기 공유 컨텐트를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유 서버.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여 복수의 참가자들이 상기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참가자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하면,
    상기 메시징 서비스부는 다른 참가자들에게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유 서버.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부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이 상기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고 있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한 참가자의 제어 명령은 모든 참가자들에게 효력을 미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유 서버.
  24. 컨텐트 공유 서버가,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의 클라우드 계정 또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가, 상기 제 1 공유방의 요청에 따라 공유 컨텐트의 공유를 위한 공유방을 개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트 공유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가, 상기 공유방에 새롭게 참가한 제 2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의 클라우드 계정에 상기 공유 컨텐트를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공유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이 상기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고 있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한 참가자의 제어 명령은 모든 참가자들에게 효력이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유 방법.
KR20130087046A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KR10146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046A KR101467415B1 (ko)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046A KR101467415B1 (ko)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6245A Division KR101493729B1 (ko) 2014-10-27 2014-10-27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415B1 true KR101467415B1 (ko) 2014-12-03

Family

ID=5267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046A KR101467415B1 (ko)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4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54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간 자료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9172469A1 (ko) * 2018-03-07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컨텐츠 실시간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8729A (ko) * 2019-03-11 2020-09-21 이승진 다수의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디지털 단말기
WO2021222225A1 (en) * 2020-04-27 2021-11-04 Snap Inc. Invitation media overlays for shared collections of media content items
US11665116B2 (en) 2020-04-27 2023-05-30 Snap Inc. Invitation media overlays for private collections of media content i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659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7749A (ko) * 2011-02-25 2012-09-05 주식회사 팬택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1295209B1 (ko) 2012-02-01 2013-09-12 엔에이치엔(주) 클라우드 서버와의 양방향 연동을 통해 파일 공유를 제공하는 그룹 메시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659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7749A (ko) * 2011-02-25 2012-09-05 주식회사 팬택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1295209B1 (ko) 2012-02-01 2013-09-12 엔에이치엔(주) 클라우드 서버와의 양방향 연동을 통해 파일 공유를 제공하는 그룹 메시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54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간 자료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06501B1 (ko) * 2016-12-13 2022-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간 자료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9172469A1 (ko) * 2018-03-07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컨텐츠 실시간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2021520690A (ja) * 2018-03-07 2021-08-19 ライン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LINE Plus Corporation 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リアルタイム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413266B2 (ja) 2018-03-07 2024-01-15 ライン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リアルタイム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00108729A (ko) * 2019-03-11 2020-09-21 이승진 다수의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디지털 단말기
KR102256716B1 (ko) * 2019-03-11 2021-05-26 (주)트리스 다수의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
WO2021222225A1 (en) * 2020-04-27 2021-11-04 Snap Inc. Invitation media overlays for shared collections of media content items
US11665116B2 (en) 2020-04-27 2023-05-30 Snap Inc. Invitation media overlays for private collections of media content items
US11750542B2 (en) 2020-04-27 2023-09-05 Snap Inc. Invitation media overlays for shared collections of media content items
US11916854B2 (en) 2020-04-27 2024-02-27 Snap Inc. Invitation media overlays for private collections of media content i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840B2 (en) Services ov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high flexibility and efficiency
US20210288932A1 (en) Shared Content Presentation With Integrated Messaging
US98719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video and ring tones among mobile devices
US10194189B1 (en) Playback of content using multiple devices
US81545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communication from a location
US9246917B2 (en) Live representation of users within online systems
US10431187B2 (en) Terminal apparatus, screen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467415B1 (ko)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KR101470346B1 (ko) Rcs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간 스크린 쉐어 방법
JP2023527576A (ja) 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40007510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SHARING CONTENT DURING VoIP-BASED CALL
JP7455232B2 (ja) 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531029B1 (ko)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미디어
KR101493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40667B1 (ko)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받아 공유중인 레이어를 또 다른 장치로 전달하여 공유할 수 있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101443773B1 (ko)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컨텐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14885116B (zh) 基于云会议桌面的群组讨论方法及相关设备
US20230156062A1 (en) Dynamic syncing of content within a communication interface
JP7490124B2 (ja) 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TWI806125B (zh) 一種資料共享管理系統及其方法
KR101664947B1 (ko)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101500536B1 (ko)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648696A (zh) 协作信息显示控制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23162267A (ja) 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492007B1 (ko) Sip 기반의 통화와 디지털멀티미디어 공유를 지원하는 iptv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