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536B1 -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536B1
KR101500536B1 KR1020140079217A KR20140079217A KR101500536B1 KR 101500536 B1 KR101500536 B1 KR 101500536B1 KR 1020140079217 A KR1020140079217 A KR 1020140079217A KR 20140079217 A KR20140079217 A KR 20140079217A KR 101500536 B1 KR101500536 B1 KR 10150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utput
broadcast
cloud serv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293A (ko
Inventor
이지훈
장철운
안영주
송수미
정서빈
정하영
채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7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5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 방송 영상 및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 상에 제 1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 2 컨텐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컨텐트와 수신된 상기 제 2 컨텐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BROADCAST OUTPUT APP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트 공유 시스템과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단말 장치가 방송 출력 장치과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출력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통신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컨텐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셋탑박스, 전화 통화 기능과 함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등 다양하다.
휴대폰은 스마트폰 형태로 발전하여 게임, 인터넷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편리한 사용자 입력 및 조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탑박스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비교할 때 화면 크기가 큰 텔레비전(TV)과 같은 영상 장치와 연결되어 유선망을 통해 전송받은 디지털 영상 컨텐트들이 텔레비전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선명한 화질의 지상파 컨텐트 또는 사용자 요청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휴대폰은 휴대 및 조작의 편리성이 있고, 셋탑박스는 대화면을 통해 영상 컨텐트 등을 표시한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이 서로 연계되어 이용될 수 있다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러한 다른 종류의 장치들을 연계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제한적으로만 제시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를 셋탑박스에 직접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컨텐트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셋탑박스에 직접 전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만 셋탑박스를 통해 볼 수 있고, 예를 들어 다른 가족 구성원의 컨텐트는 실시간 셋탑박스를 통해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각 가족 구성원의 컨텐트를 모두 셋탑박스 내에 저장하는 것도 셋탑박스에 구비되는 메모리 용량을 고려할 때 무리가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셋탑박스에 직접 컨텐트를 방식을 고수할 경우, 셋탑박스와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가 셋탑박스로 컨텐트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 그룹의 구성원들이 하나의 방송 출력 장치로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송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 방송 영상 및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 상에 제 1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 2 컨텐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컨텐트와 수신된 상기 제 2 컨텐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 1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 2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컨텐트와 함께 상기 수신된 제 2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는 원격지에 떨어진 사용자에게 언제라도 방송 출력 장치로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는 소정 그룹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수신하여, 소정 그룹의 구성원들 간 자유롭게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공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컨텐트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업로드 및 방송 출력 장치로의 전송 결과가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방송 출력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방송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트 공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공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공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클라우드 서버(300),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 푸쉬 게이트웨이(400) 및 방송 출력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PMP(Portable 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이동성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방송 출력 장치(200)는 TV, 셋톱 박스, 데스크 탑 등과 같이 방송 영상의 출력이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들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이고, 방송 출력 장치(200)는 셋톱박스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트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텐트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음악, 문서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이미지가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업로드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300)로 업로드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기 위해, 방송 출력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식별 정보는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에 접근하기 위한 그룹 계정 정보 및 푸쉬 게이트웨이(400)로 접근하기 위한 등록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계정에 수신한 컨텐트를 저장한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식별 편의를 위해, 저장된 컨텐트 각각에 대해 식별자(Identification)를 발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저장하고 있는 컨텐트들의 목록을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와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저장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푸쉬 게이트웨이(400)로 방송 출력 장치(200)에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푸쉬 게이트웨이(400)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요청에 기초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푸쉬 게이트웨이(4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등록 계정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그룹별로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저장 및 관리한다.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특정 그룹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방송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업로드한 컨텐트의 식별자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는 푸쉬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한 푸쉬 메시지에 의해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할 수도 있고,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목록을 통해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장치의 역할을 도 2의 흐름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컨텐트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 출력 장치(200)가 푸쉬 게이트웨이(400) 및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 등록 계정 및 그룹 계정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S201,S203). 푸쉬 게이트웨이(400) 및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 출력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등록 계정 및 사용자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그룹 계정을 발급할 수 있다(S202,S204). 여기서, 등록 계정은 푸쉬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푸쉬 게이트웨이(400)로부터 발급 받는 것으로, 푸쉬 게이트웨이(400)는 방송 단말 장치로 발급한 등록 계정 및 방송 단말 장치의 주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그룹 계정은 소정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이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 목록을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에 전송하기 위해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가 발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룹 계정은 소정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의 그룹 계정에는 소정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예컨대, 가족 구성원들) 각각이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 목록이 집적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푸쉬 게이트웨이(400)로부터 등록 계정을 발급 받은 뒤(S201,S202),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그룹 계정을 발급 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S203,S204), 등록 계정 및 그룹 계정의 발급 순서는 도 2에 도시된 순서를 따르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룹 계정을 발급 받은 뒤 등록 계정을 발급 받을 수도 있고, 양자의 발급을 위한 과정이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방송 등록 계정 및 그룹 계정을 발급받은 방송 출력 장치(200)는 이들을 이동 단말기(100)와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방송 출력 장치(200)로 계정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면(S205), 방송 출력 장치(2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단말기(100)로 등록 계정 및 그룹 계정을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S206).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와 방송 출력 장치(200) 사이에는 근거리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근거리 통신이 적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방송 출력 장치(200)의 태그(Tag)에 태깅되는 것만 으로도 계정 정보의 요청 및 이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NFC 방식의 근거리 통신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 또는 방송 출력 장치(200)에 별도의 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계정 정보가 공유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와 방송 출력 장치(20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이 반드시 NFC 방식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100)와 방송 출력 장치(200)는 동일한 AP(Access Point, 도면 미도시)에 접속하여 Wi-Fi 방식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NFC 방식 및 Wi-Fi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일예로, 이동 단말기(100)가 임의의 NFC 태그에 태깅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Wi-Fi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의 계정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NFC 태그는 이동 단말기(100)가 방송 출력 장치(200)로 계정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주체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와 방송 출력 장치(200) 사이의 통신 방식이 반드시 근거리 통신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 및 방송 출력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이외의 통신 방식으로도 계정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S205 및 S206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출력 장치(200)로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 정보를 더 요청하고, 방송 출력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주소 정보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 정보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맥(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 정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인증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와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될 컨텐트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트를 업로드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사용자 계정을 요청할 수 있다(S207). 여기서, 사용자 계정은 그룹 계정과 구분되는 것으로, 특정 그룹이 아닌 개개의 사용자에 대해 발급되는 것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인증 결과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할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08).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의 CTN(Cellular Telephone Number)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의 CTN이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MNO(Mobile Network Operator) 또는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에 등록된 CTN 인지 여부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CTN이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의 CTN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CTN이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CTN을 갖고 있지 않는 이동 단말기(100)(예컨대,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PMP 등)가 클라우드 서버(300)로 사용자 계정을 요청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3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인증을 시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구체적으로는 MAC 주소)가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또는 특정 방송 사업자)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가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또는 특정 방송 사업자)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클라우드 서버(3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주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이디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버(300)로 사용자 계정을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300)가 이동 단말기(100)가 접속하여야 할 사용자 계정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동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버(300) 사이의 인증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로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 번호의 유효성을 인증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트를 업로드하기 전에, 컨텐트 업로드가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계정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09). 이때,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이동 단말기(100)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크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계정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사용자 계정의 상태 정보는 컨텐트를 업로드할 서버의 호스트 정보, 주소 정보 및 사용자 계정의 잔여 저장 공간의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계정의 잔여 저장 공간이 사용자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크기보다 작아 컨텐트의 업로드가 불가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크라우드 서버로 컨텐트를 업로드 할 수 없음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사용자 계정의 잔여 저장 공간이 사용자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크기보다 커 컨텐트의 업로드가 가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트를 업로드할 수 있다(S21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한 컨텐트를 식별하기 위해 컨텐트별로 식별자를 발급하고, 발급한 식별자 및 업로드 성공 여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12).
만약, 클라우드 서버(300)로의 컨텐트 업로드가 실패한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의 업로드를 재시도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300)로의 컨텐트 업로드가 성공한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식별자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아이디를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213). 여기서,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수(단수 혹은 복수),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식별자, 방송 출력 장치(200)의 등록 계정 정보 및 방송 단말 장치에 할당된 그룹 계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방송 수신 장치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목록을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214).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수신한 그룹 계정에 컨텐트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S215). 컨텐트 목록은 방송 수신 장치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가 그룹 계정에 컨텐트 목록을 저장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그룹 계정 정보를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사용자 계정이 아닌 그룹 계정을 기초로 운용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100)가 업로드한 컨텐트라 하더라도, 동일한 그룹 계정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100)가 업로드한 컨텐트라면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의 동일한 그룹 계정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예컨대, 가족 구성원이 동일한 그룹 계정을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가족 구성원들이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들의 목록이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의 소정 그룹 계정에 집적될 수 있다.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그룹 공유 폴더를 생성하고, 그룹 공유 폴더에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그룹 공유 폴더는 동일한 그룹 계정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100)들이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들의 식별자 목록을 집적하여 저장하는 저장소로 이용될 수 있다.
컨텐트 목록을 저장한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그룹 공유 폴더로 접근하기 위한 그룹 공유 폴더의 식별 정보를 리턴할 수 있다(S216).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그룹 공유 폴더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그룹 공유 폴더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생성하고(S217), 생성된 푸쉬 메시지 및 방송 출력 장치(200)의 등록 계정 정보를 푸쉬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할 수 있다(S218).
푸쉬 게이트웨이(400)는 등록 계정 정보와 매칭되는 방송 출력 장치(200)로 수신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고(S219), 푸쉬 메시지의 전송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보고할 수 있다(S220). 클라우드 서버(300)는 푸쉬 메시지의 전송 결과를 토대로 이동 단말기(100)로 컨텐트 공유의 성공적 수행 여부를 이동 단말기(100)로 보고할 수 있다(S221).
푸쉬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 출력 장치(200)는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의 그룹 공유 폴더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요청할 수 있고(S222),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그룹 공유 폴더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223).
컨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방송 출력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선택된 컨텐트 식별자에 해당하는 컨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224). 클라우드 서버(30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컨텐트 식별자에 해당하는 컨텐트를 전송하고(S225), 방송 출력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226).
방송 출력 장치(200)는 컨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컨텐트 목록 표시시 자동으로 클라우드 서버(300)에게 컨텐트 목록에 열거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방송 출력 장치(200)는 컨텐트 목록 중 현재 출력되는 페이지에 속하는 컨텐트, 컨텐트 목록에 포함된 컨텐트들 중 이동 단말기가 새롭게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한 컨텐트, 혹은 컨텐트 목록에 포함된 컨텐트들 중 방송 출력 장치(200)가 아직 수신하지 못한 컨텐트에 대해 자동으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가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컨텐트가 아닌 컨텐트의 식별자 목록을 수신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시된 예에서와 달리,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컨텐트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송 단말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아닌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 직접 컨텐트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트의 업로드를 완료한 이후 클라우드 서버(300)로 방송 출력 장치(200)와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S211,S213), 이동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트를 업로드 하면서 클라우드 서버(300)로 방송 출력 장치(200)와의 공유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가 방송 출력 장치(200)와 공유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 및 방송 출력 장치(200)의 구성 및 이들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메모리(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버(300) 및 방송 출력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d), CDMA, WCDMA, GSM 등과 같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무선 인터넷 모듈은 802.11x, 802.16x 등의 통신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 Bluetooth 등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이동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센서부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터치 센서부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행위에 반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부는 정압식 및 정전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130)(14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130)(14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30)(140)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130),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controller)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화 통화, 서버 장치 및 방송 출력 장치(200)와의 통신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될 정보를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의 동작 흐름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40)는 방송 출력 장치(200)로 계정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S401), 이에 대한 응답으로 계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402).
이동 단말기(100)와 방송 출력 장치(200) 사이의 통신 방식이 태그를 이용한 근접 통신이 아닐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방송 출력 장치(200)로 계정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것을 요청 받은 경우(S403), 제어부(140)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고(S404), 클라우드 서버(300)로 선택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S405).
도 5 및 도 6은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업로드 및 방송 출력 장치로의 전송 결과가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컨텐트(예컨대, 이미지)가 출력되던 중 공유 버튼(510)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도 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방법을 지정할 수 있는 서브 메뉴(5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브 메뉴를 통해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 예컨대,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SNS, 블루투스, 메시지 등 다양한 방법을 지정할 수 있다.
도 5의 (b)에서 'TV로 보내기'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도 5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방송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트 목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컨텐트 목록은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 및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도 5의 (c)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메모리(130)' 활성화 탭(532) 및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서버' 활성화 탭(534)을 두어 이동 단말기(100) 및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됨).
도 5의 (c)에 도시된 컨텐트 목록 중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선택된 컨텐트를 업로드 하면서, 업로드하는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4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선택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도 5의 (b) 및 (c)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디스플레이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없이 곧바로 현재 출력 중인 컨텐트가 곧바로 방송 출력 장치(200)로 전송될 컨텐트로 선택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에 등록된 방송 출력 장치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서브 메뉴에서 'TV로 보내기' 항목이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송 출력 장치로부터 계정 정보 또는 방송 출력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방송 출력 장치로 컨텐트 전송을 요청하는 'TV로 보내기' 항목이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 컨텐트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대화방(예컨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를 위해 개설된 대화방에서 특정 상대방과 공유할 컨텐트가 설정된 경우)에 컨텐트의 공유 대상을 방송 출력 장치(200)로까지 확장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중 소정 상대방과의 컨텐트 공유를 위한 '공유' 버튼(610)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과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트 목록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목록은 앞서 도 5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 및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상대방과 공유할 컨텐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초대' 버튼(620)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도 6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대화방에 초대할 수 있는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초대 목록 중 TV가 선택되면(예컨대, 'TV로 보내기 그룹'에 속하는 항목 중 어느 하나), 제어부(14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선택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에 등록된 방송 출력 장치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초대 목록 중 방송 출력 장치가 노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송 출력 장치로부터 계정 정보 또는 방송 출력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방송 출력 장치가 초대 목록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소정 상대방과 대화를 진행 중이 아니더라도, 제어부(140)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도면 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컨텐트 공유를 위한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임의 상대방과 공유할 컨텐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유사하게, 대화방에 초청하고자 하는 상대방으로 TV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선택된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업로드 상황 및 방송 출력 장치(200)로의 컨텐트 전송 상황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40)는 방송 출력 장치(200)로 컨텐트가 전송되고 있음을 알리는 팝업 창(7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300)로 업로드 중인 파일 명(도 7의 (b)에서는 '20130101.jpg'로 예시됨), 클라우드 서버(300)로 업로드할 총 컨텐트의 수 및 업로드가 완료된 컨텐트의 개수(도 7의 (b)에서는 총 10개의 컨텐트 중 3개의 컨텐트가 업로드 완료된 것으로 예시됨) 등을 포함하는 컨텐트의 업로드 상황(720)과 방송 출력 장치(200)로 성공적으로 전송된 컨텐트의 개수 및 전송 실패한 컨텐트의 개수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장치(200)로의 컨텐트 전송 상황(730)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방송 출력 장치(200)로의 컨텐트 전송이 완벽히 성공하지 못한 경우(즉, 전송이 실패한 컨텐트가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를 재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팝업 창(740)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User Interface)의 일예를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예와 달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UI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방송 출력 장치(200)의 구성 및 이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200)는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방송 수신부(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사용자 입력부(240), 출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도면 미도시)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는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의 방송 채널이나 IP 스트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방송 출력 장치(200)가 외부 장치(예컨대, 이동 단말기(100), 푸쉬 게이트웨이(4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 등)와 통신한다. 통신부(220)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모두 구비할 수 있으며,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방송 출력 장치(200) 사이의 통신 방식이 태그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식일 경우,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용 태그(Tag)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제어부(2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메모리(230)에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계정 정보(예컨대, 게이트웨이(400)로부터 발급 받은 등록 계정 및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발급 받은 그룹 계정 등),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수신하는 컨텐트 목록,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컨텐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의 메모리(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플래시 메모리(230)(14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230)(14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230)(140)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230),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적외선 수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버튼 또는 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버튼 또는 터치 수신 장치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출력부(250)는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서버,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목록 및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모듈(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일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TV)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일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예로, 제어부(260)는 방송 영상의 출력 중 푸쉬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면,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팝업 창을 출력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방송 영상을 대체하여 또는 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테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도 9의 동작 흐름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60)는 푸쉬 게이트웨이(400) 및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 등록 계정 및 그룹 계정의 발급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발급된 등록 계정 및 그룹 계정을 수신할 수 있다(S901). 이후, 제어부(260)는 이동 단말기(100)의 계정 정보 요청에 따라 발급받은 등록 계정 및 그룹 계정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무선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S902).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 푸쉬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면(S903), 제어부(260)는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S904). 일예로, 도 10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260)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101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람 메시지(1010)는 출력 중인 방송 영상에 오버레이 표시될 수 있다.
알람 메시지의 표시 위치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260)는 방송 영상 속 인물의 표시 위치(바람직하게는, 얼굴 표시 영역)와 중첩되지 않도록 알람 메시지의 표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알람 메시지의 표시 위치가 방송 영상 속 인물의 표시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방송 시청자가 알람 메시지로 인해 시청에 제약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부(240)가 컨텐트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905), 제어부(260)는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 컨텐트 목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S906). 제어부(260)는 방송 영상의 출력을 멈추고 또는 방송 영상과 함께 컨텐트 목록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07).
일예로, 도 11 및 도 12는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260)는 방송 영상의 출력을 멈추고 수신한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60)는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방송 영상을 출력하면서 수신한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S908), 제어부(260)는 선택된 컨텐트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고(S909), 이를 출력할 수 있다(S910).
방송 출력 장치(200)가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방송 출력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방송 출력 장치(200)는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뒤, 각각의 영역을 통해 방송 영상 및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일예로, 제 1 영역(1310)에서는 방송 영상을 출력하고, 제 2 영역(1320)에서는 컨텐트를 출력). 또는 도 1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방송 출력 장치(200)는 방송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가 PIP (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일예로, 방송 영상을 모(母)화면으로 설정하고, 컨텐트를 PIP(1330)로 출력). 다른 예로, 도 13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방송 출력 장치(200)는 방송 영상의 출력을 멈추고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텐트 목록 또는 컨텐트의 출력으로 인해 방송 영상의 출력이 중단되었다가, 컨텐트 목록 또는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260)는 방송 영상의 출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방송 영상을 임시 저장하여, 방송 영상의 출력이 재개되면 출력이 중단된 시점에 이어서 방송 영상이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는 컨텐트 목록 또는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의 방송 영상이 광고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광고가 아닌 경우에만 미시청 방송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텐트의 출력으로 인해 중단되는 방송 영상이 광고인 경우라면, 사용자가 굳이 방송 중단 시점부터 방송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지 않을 것임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도 9에서는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부(240)가 컨텐트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컨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반드시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고 있을 때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어야만 컨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60)는 방송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언제라도 컨텐트 목록을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로부터 컨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클라우드 서버(300) 및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서로 별개의 서버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버(300) 및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500)는 기능이 통합된 단일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 및 방송 출력 장치(2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200 : 방송 출력 장치
300 : 클라우드 서버
400 :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
500 : 푸쉬 게이트웨이

Claims (12)

  1.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
    방송 영상 및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 상에 제 1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 2 컨텐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컨텐트와 수신된 상기 제 2 컨텐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의 요청에 따라 푸쉬 게이트웨이로부터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제 1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컨텐트 목록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컨텐트 목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 속 등장하는 인물의 표시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알림 메시지의 출력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는 방송 영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의 출력을 일시 중단하면서, 상기 제 2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방송 영상의 출력이 재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이 일시 중단될 당시의 상기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방송 영상의 출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방송 영상의 출력을 재개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이 일시 중단될 당시의 상기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 경우,
    상기 방송 영상의 출력이 재개될 시점의 실시간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이 중단될 당시의 상기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방송 영상의 출력이 중단된 시점에 이어서 상기 방송 영상의 출력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 상의 두 영역을 통해 각각 제 1 컨텐트 및 상기 제 2 컨텐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
  12. 제 1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 2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컨텐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컨텐트와 함께 상기 수신된 제 2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외부 장치의 요청에 따라 푸쉬 게이트웨이로부터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출력부를 통해 상기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제 1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79217A 2014-06-26 2014-06-26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0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17A KR101500536B1 (ko) 2014-06-26 2014-06-26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17A KR101500536B1 (ko) 2014-06-26 2014-06-26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023A Division KR101443773B1 (ko) 2013-05-03 2013-05-03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컨텐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93A KR20140131293A (ko) 2014-11-12
KR101500536B1 true KR101500536B1 (ko) 2015-03-18

Family

ID=5245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217A KR101500536B1 (ko) 2014-06-26 2014-06-26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5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1053A (ja) * 2002-06-18 2005-10-13 バイアップ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広帯域ネットワーク環境でカスタマイズされた対話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サービスを実行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30018834A (ko) * 2010-04-15 2013-02-25 엠스폿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로부터 모바일 핸드셋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1053A (ja) * 2002-06-18 2005-10-13 バイアップ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広帯域ネットワーク環境でカスタマイズされた対話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サービスを実行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30018834A (ko) * 2010-04-15 2013-02-25 엠스폿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로부터 모바일 핸드셋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93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9923B2 (en) Method for sharing func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CN106303590B (zh) 邀请观看视频影片的实现方法和装置
KR101633928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4971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air service using official account
EP2801037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aring content
US10271158B1 (en) Sharing a live view on a mobile device
US11036687B2 (en)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CA2916110C (en) Group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i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US1060943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400365A1 (en) Ad hoc file and link sharing for nearby mobile devices
KR20170075294A (ko) 일정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 간 일정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4580B1 (ko) Qr코드를 이용하여 현장 참여 인원에게 강의 발표를 제공하는 강의 발표 제공 시스템
KR101467415B1 (ko)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
US9516095B2 (en)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KR20160069271A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화상 회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43773B1 (ko)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컨텐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09150901B (zh) 一种信息来源的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00536B1 (ko) 방송 출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0939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368780B1 (ko) 멀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멀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방법
KR20170075677A (ko) 일정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 간 일정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4348B1 (ko)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사용자 간 연결 관계를 형성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602397B1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641636B1 (ko)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친구리스트에 특정 사용자를 추가하는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US119344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xtual messages for media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