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892B1 -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892B1
KR101595892B1 KR1020140174304A KR20140174304A KR101595892B1 KR 101595892 B1 KR101595892 B1 KR 101595892B1 KR 1020140174304 A KR1020140174304 A KR 1020140174304A KR 20140174304 A KR20140174304 A KR 20140174304A KR 101595892 B1 KR101595892 B1 KR 10159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haft
bearing block
roll shaf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해수
이기태
서승문
Original Assignee
(주)원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창 filed Critical (주)원창
Priority to KR102014017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leeves or bearing 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도금시 도금조 입측 및 출측에 배치되는 디플렉터 롤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유닛의 분해 및 조립작업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롤 샤프트와 베어링유닛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베어링블록을 포함하는 베어링유닛을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한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롤 샤프트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형성하도록 각각 반원호 형태로 밀착부를 구비하고 그 밀착부의 양측에 상기 체결수단의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연장돌출되게 체결부가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브라켓; 상기 롤 샤프트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브라켓의 일측면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롤 샤프트와 베어링블록 사이로 끼워지는 베어링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베어링을 베어링블록의 안쪽으로 삽입시키는 2개 이상의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압호스로 연결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유닛지지대는,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양단이 끼워진 채로 지지대본체의 내측에서 좌우이동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샤프트관통홀이 형성된 베어링블록고정부와,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의 하부에 그 베어링블록고정부를 받쳐 지지하면서 상하이동동작시켜 높이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지지대본체의 양측에 나선결합되게 설치되고 지지대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의 좌측과 우측을 지지하여 베어링블록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APPARATUS FOR DEMOUNTING AND MOUNTING OF ROLL BEARING}
본 발명은 강판의 도금시 도금조 입측 및 출측에 배치되는 디플렉터 롤의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유닛의 분해 및 조립작업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도금작업에 사용되는 디플렉터 롤의 샤프트를 지지하는 대형 베어링유닛(베어링블록, 베어링 등)은 정기적으로 인출하여 윤활제의 재충전 작업 및 상태 점검작업을 수행하고,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샤프트에서 즉시 인출하여 점검과 교체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베어링유닛의 분해 및 조립을 위해 먼저, 디플렉터 롤의 샤프트를 로프나 체인 등으로 지지하여 놓은 후 그 상태에서 그 샤프트에서 베어링유닛을 분해하였고, 베어링유닛의 정비 또는 교체 후 샤프트에 조립하는 경우에는 샤프트에 베어링블록을 먼저 끼워 설치한 후 그 베어링블록 안쪽으로 베어링을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끼워넣는 방식으로 샤프트에 베어링유닛을 조립하였다.
이때, 상기 베어링유닛의 베어링블록은 베어링유닛지지대에 결합되고, 그 안쪽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베어링이 상기 샤프트에 관통된 상태로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베어링유닛의 분해시 디플렉터 롤의 무게로 인해 로프나 체인으로 지지하여 놓은 샤프트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어 샤프트에서 베어링유닛을 용이하게 분해하지 못하였고, 베어링유닛의 조립작업시에도 베어링유닛지지대의 중앙에 샤프트가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조립작업시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부품의 손상과 작업자의 피로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베어링유닛의 조립작업과정에서 베어링의 조립시 해머에 의한 타격을 통해 베어링블록 안쪽으로 삽입시킴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자칫 작업자의 손과 얼굴 등이 다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였고, 디플렉터 롤에 설치된 샤프트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해머의 타격을 통해 베어링을 설치함에 따라 베어링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샤프트에 수평상태로 조립하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하게 되는 문제로 인하여 베어링이 원활히 회전되지 못하고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조기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베어링유닛의 분해시에는 상기 디플렉터 롤의 샤프트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고, 베어링유닛의 조립시에는 베어링의 손상 없이 샤프트와 베어링블록 사이에 효과적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3592호(공개일: 2012.07.26, 발명의 명칭: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유닛의 조립작업시 샤프트브라켓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베어링블록의 안쪽에 베어링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베어링유닛지지대의 높이조절 및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샤프트로부터 베어링유닛의 분해와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롤 샤프트와 베어링유닛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베어링블록을 포함하는 베어링유닛을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한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롤 샤프트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형성하도록 각각 반원호 형태로 밀착부를 구비하고 그 밀착부의 양측에 상기 체결수단의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연장돌출되게 체결부가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브라켓; 상기 롤 샤프트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브라켓의 일측면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롤 샤프트와 베어링블록 사이로 끼워지는 베어링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베어링을 베어링블록의 안쪽으로 삽입시키는 2개 이상의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압호스로 연결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유닛지지대는,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양단이 끼워진 채로 지지대본체의 내측에서 좌우이동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샤프트관통홀이 형성된 베어링블록고정부와,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의 하부에 그 베어링블록고정부를 받쳐 지지하면서 상하이동동작시켜 높이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지지대본체의 양측에 나선결합되게 설치되고 지지대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의 좌측과 우측을 지지하여 베어링블록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승하강실린더 또는 회전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턴버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브라켓의 안쪽에는 상기 롤 샤프트와의 사이에 게재되어 샤프트브라켓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스켓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호스에는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계가 설치되고, 그 압력계에는 설정압력에 도달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경보기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블록의 안쪽으로 베어링을 삽입시키는 경우, 샤프트브라켓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샤프트에 대해 수평상태로 베어링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베어링 및 샤프트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베어링 조립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플렉터 롤의 롤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유닛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유닛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유닛지지대 및 베어링유닛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의 삽입을 위해 샤프트브라켓과 유압실린더를 설치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베어링의 설치과정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 및 경보기의 설치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턴버클로 구성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플렉터 롤의 롤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유닛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유닛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유닛지지대 및 베어링유닛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의 삽입을 위해 샤프트브라켓과 유압실린더를 설치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베어링의 설치과정을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 및 경보기의 설치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턴버클로 구성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 롤의 롤 샤프트(10)를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유닛지지대(20)가 설치되고, 그 베어링유닛지지대(20)에 베어링유닛(30)을 매개로 지지되어 롤 샤프트(10)가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디플렉터 롤은 강판의 도금시 도금조의 입측과 출측에 배치되어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이고, 정기적으로 롤 샤프트에서 베어링유닛을 분리하여 점검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유닛(30)은 롤 샤프트(10)와 베어링유닛지지대(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 샤프트(10)의 외주면에 끼워져 롤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1)과, 상기 롤 샤프트(10)에 관통되어 상기 베어링유닛지지대(20)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31)을 감싸 내측에 마련하는 베어링블록(32)과, 상기 베어링블록(32)의 내부에 베어링(31)의 외측에 위치되게 롤 샤프트(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락너트(33)와, 상기 롤 샤프트(10)에 끼워져 베어링블록(32)에 결합되는 블록커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블록(32)의 내부에는 베어링(31)과의 사이에 오일씰(35)이 구비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유닛(3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롤 샤프트(10)의 외주면에는 다수 번 단차지게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락너트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베어링유닛지지대(20)는 베어링유닛(30)의 베어링블록(32)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베어링블록(32)의 결합으로 베어링유닛(30)의 지지는 물론, 롤 샤프트(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롤 샤프트(10)에서 베어링유닛(30)의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하는 경우, 롤 샤프트(10)에 로프나 체인 등의 지지수단을 감아 지지한 후 롤 샤프트(10)에서 베어링유닛(30)을 이탈시켜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디플렉터 롤의 하중에 의해 지지수단의 길이가 길어져 하방으로 처지게 됨으로써 베어링유닛지지대(20)에서 베어링블록(32)을 분리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볼트의 나사산이 마모되거나 볼트 자체가 휘어지는 등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베어링유닛지지대(20)는 높이조절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베어링유닛(30)의 분리시 롤 샤프트(10)의 처짐 길이에 대응되게 베어링블록(32)이 결합되는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베어링블록(32)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베어링유닛지지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가이드레일(21a)이 형성된 지지대본체(21)와, 상기 가이드레일(21a)에 양단이 끼워진 채로 지지대본체(21)의 내측에서 좌우이동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샤프트관통홀(22a)이 형성된 베어링블록고정부(22)와,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하부에 그 베어링블록고정부(22)를 받쳐 지지하면서 상하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지지대본체(21)의 양측에 나선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좌측과 우측을 지지하여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본체(21)는 디플렉터 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측면판의 내측면 상부에 상기 가이드레일(21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승하강 안내는 물론 좌우 이동안내를 위해 너무 짧게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는 롤 샤프트(10)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샤프트관통홀(22a)이 형성된 판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21a)에 끼워진 채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는 상기 지지대본체(21)의 내측에서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좌우 이동을 위해 지지대본체(21)의 측면판 간의 사이거리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21a)의 돌출길이만큼 더 짧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를 좌우 이동되게 한 이유는, 롤 샤프트(10)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중심이 정확하게 맞지 않을 경우 지지대본체(21)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베어링블록고정부(22)만을 이동시켜 중심을 정확하게 맞춰주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1a)로 끼워지는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이동제한구(24)의 단부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다.
즉, 상측에서 바라본 경우 'I'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를 상승 및 하강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승하강실린더(23a)나 회전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턴버클(23b)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승하강실린더나 턴버클의 구조는 산업현장에서 주지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구조임에 따라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제한구(24)는 볼트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본체(21)의 측면판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좌측과 우측에 접촉되어 그 베어링블록고정부(22)를 지지하여 좌우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위치 설정 후 상기 이동제한구(24)로 베어링블록고정부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하여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어링(31)을 롤 샤프트(10)에서 분리하여 점검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롤 샤프트(10)에 베어링(31)을 부착시키는 경우 원활히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브라켓(40)과 유압실린더(50) 및 유압펌프(60)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브라켓(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롤 샤프트(10)의 단부에 체결수단(45)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롤 샤프트(1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형성하도록 각각 반원호 형태로 밀착부(41)를 구비하고 있고, 그 밀착부(41)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돌출되게 체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45)이 체결부(42)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샤프트브라켓(40)을 롤 샤프트(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45)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브라켓(40)과 롤 샤프트(10) 간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체결되어 진다.
이때, 혹여 발생되는 공극으로 인해 샤프트브라켓(40)이 롤 샤프트(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브라켓(40)의 안쪽에는 상기 롤 샤프트(10)와의 사이에 게재되도록 가스켓(15)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15)의 설치로 인해 샤프트브라켓(40)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미끌림이 방지되어져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진다.
상기 유압실린더(50)는 휴대용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샤프트브라켓(40)의 설치 후 샤프트브라켓(40)의 일측면에 일단이 지지되게 하고, 타단이 상기 롤 샤프트(10)와 베어링블록(32) 사이로 끼워지는 베어링(31)의 일측면에 지지되게 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유압실린더(50)의 실린더부분을 샤프트브라켓(40)에 지지하고, 로드부분을 베어링(31)에 지지하여 로드를 인출동작시키도록 하여 베어링(31)을 베어링블록(32)의 안쪽으로 삽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압펌프(60)는 상기 유압실린더(50)에 유압호스(61)로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수동형으로 된 유압펌프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유압호스(61)에는 압력측정을 위해 압력계(62)가 설치될 수 있고, 압력계에는 경보기가 설치되어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베어링의 삽입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롤 샤프트(10)에서 베어링유닛(3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롤 샤프트에 로프나 체인 등의 지지수단을 결속하여 롤 샤프트를 지지한 후 블록커버(34)와 락너트(33)를 분리하고, 이후 베어링블록고정부(22)에 결합된 베어링블록(32)을 분리한다.
이때, 베어링블록(32)을 분리하면 디플렉터 롤의 하중에 의해 롤 샤프트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데, 하중에 의한 롤 샤프트의 처짐거리에 대응되게 높이조절수단으로 베어링블록고정부(22)를 하강시키면서 베어링블록을 분리한다.
베어링블록의 분리 후에는 베어링블록 내부에 수용된 베어링을 빼내어 점검작업을 수행한다.
점검작업을 완료한 후 베어링을 샤프트에 끼워 조립하는 경우에는 베어링블록을 베어링블록고정부(22)에 결합하고, 베어링(31)을 롤 샤프트(10)에 관통되게 한 채로 베어링블록(32)의 삽입위치에 가져다 놓는다. 이 후 롤 샤프트(10)에 샤프트브라켓(40)을 결합하고, 그 샤프트브라켓(40)의 양측에 지지되게 유압실린더(50)를 구비한 상태에서 로드를 베어링(31)에 접촉될 수 있도록 베어링 앞에 위치시킨 후 유압펌프(60)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여 로드가 인출되도록 유압실린더를 동작시킨다.
베어링(31)은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인출되면서 점차적으로 베어링블록(32) 안쪽으로 밀려 삽입되어 진다. 베어링의 삽입작업을 마친 후에는 유압실린더(50)와 샤프트브라켓(40)을 분리하면 되고,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베어링블록고정부(22)를 최초 위치로 상승이동시킨 후 로프나 체인으로 된 지지수단을 롤 샤프트(10)에서 결속해제시키면 탈부착작업이 마무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롤 샤프트에서 베어링유닛의 분리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점검 후 베어링유닛의 조립작업시에도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10: 롤 샤프트 15: 가스켓
20: 베어링유닛지지대 21: 지지대본체
21a: 가이드레일 22: 베어링블록고정부
22a: 샤프트관통홀 23a: 승하강실린더
23b: 턴버클 24: 이동제한구
30: 베어링유닛 31: 베어링
32: 베어링블록 33: 락너트
34: 블록커버 35: 오일씰
40: 샤프트브라켓 41: 밀착부
42: 체결부 45: 체결수단
50: 유압실린더 60: 유압펌프
61: 유압호스 62: 압력계
63: 경보기

Claims (5)

  1. 롤 샤프트(10)와 베어링유닛지지대(20)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31)과 베어링블록(32)을 포함하는 베어링유닛(30)을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한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 샤프트(10)의 단부에 체결수단(45)으로 체결되고,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롤 샤프트(1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형성하도록 각각 반원호 형태로 밀착부(41)를 구비하고 그 밀착부(41)의 양측에 상기 체결수단(45)의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연장돌출되게 체결부(42)가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브라켓(40);
    상기 롤 샤프트(10)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브라켓(40)의 일측면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롤 샤프트(10)와 베어링블록(32) 사이로 끼워지는 베어링(31)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베어링(31)을 베어링블록(32)의 안쪽으로 삽입시키는 2개 이상의 유압실린더(50);
    상기 유압실린더(50)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압호스(61)로 연결되는 유압펌프(60);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유닛지지대(20)는,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가이드레일(21a)이 형성된 지지대본체(21)와, 상기 가이드레일(21a)에 양단이 끼워진 채로 지지대본체(21)의 내측에서 좌우이동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샤프트관통홀(22a)이 형성된 베어링블록고정부(22)와,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하부에 그 베어링블록고정부(22)를 받쳐 지지하면서 상하이동동작시켜 높이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지지대본체(21)의 양측에 나선결합되게 설치되고 지지대본체(21)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좌측과 우측을 지지하여 베어링블록고정부(22)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승하강실린더(23a) 또는 회전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턴버클(23b)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브라켓(40)의 안쪽에는 상기 롤 샤프트(10)와의 사이에 게재되어 샤프트브라켓(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스켓(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호스(61)에는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계(62)가 설치되고, 그 압력계(62)에는 설정압력에 도달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경보기(6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KR1020140174304A 2014-12-05 2014-12-05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KR10159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04A KR101595892B1 (ko) 2014-12-05 2014-12-05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04A KR101595892B1 (ko) 2014-12-05 2014-12-05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892B1 true KR101595892B1 (ko) 2016-02-19

Family

ID=5544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304A KR101595892B1 (ko) 2014-12-05 2014-12-05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89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43B1 (ko) * 2017-08-24 2017-12-04 주식회사 백콤 내부 부품 교체가 용이한 수봉식 진공펌프
CN108580557A (zh) * 2018-01-26 2018-09-2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轧辊轴承的拆卸装置
WO2019066137A1 (ko) * 2017-09-29 2019-04-04 장준영 베어링 조립 장치
CN109877563A (zh) * 2019-03-07 2019-06-14 临邑恒丰纺织科技有限公司 多功能液压式拉玛平台
KR20190123488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X선 발생장치
CN112296910A (zh) * 2020-12-01 2021-02-02 丽水市盛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食品机械用轴承座及其安装结构
KR20210000484U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접안설비의 고정핀 분해용 지그
CN113084492A (zh) * 2021-03-16 2021-07-09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船用低速柴油机主轴承盖安装用推力装置
KR20210135204A (ko) * 2019-07-01 2021-11-12 세메스 주식회사 이동식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한 샤프트조립체
CN114535968A (zh) * 2022-04-08 2022-05-27 重庆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轧钢厂热卷产线切头飞剪快速装配辅助装置及方法
KR102413952B1 (ko) * 2021-03-31 2022-06-28 (주)동우에스티 샤프트 교체가 용이한 커팅기
KR102571863B1 (ko) * 2022-12-27 2023-08-29 (주)네오스테크놀로지스 다축 틸팅형 오토 레벨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800U (ko) * 1975-09-25 1977-03-28
JPS63174831A (ja) * 1987-01-16 1988-07-19 Daido Metal Kogyo Kk ブシユまたはベアリングの圧入方法およびその工具
JPH0597378A (ja) * 1991-10-03 1993-04-2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における軸受の装着装置
KR20110086235A (ko) * 2010-01-22 2011-07-28 (주)일진에너지 커플링의 분해장치
KR20120083592A (ko)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티엠씨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800U (ko) * 1975-09-25 1977-03-28
JPS63174831A (ja) * 1987-01-16 1988-07-19 Daido Metal Kogyo Kk ブシユまたはベアリングの圧入方法およびその工具
JPH0597378A (ja) * 1991-10-03 1993-04-2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における軸受の装着装置
KR20110086235A (ko) * 2010-01-22 2011-07-28 (주)일진에너지 커플링의 분해장치
KR20120083592A (ko)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티엠씨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43B1 (ko) * 2017-08-24 2017-12-04 주식회사 백콤 내부 부품 교체가 용이한 수봉식 진공펌프
WO2019066137A1 (ko) * 2017-09-29 2019-04-04 장준영 베어링 조립 장치
KR101965826B1 (ko) * 2017-09-29 2019-04-04 장준영 베어링 조립 장치
CN108580557A (zh) * 2018-01-26 2018-09-2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轧辊轴承的拆卸装置
CN108580557B (zh) * 2018-01-26 2023-09-2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轧辊轴承的拆卸装置
KR20190123488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X선 발생장치
KR102065655B1 (ko) * 2018-04-24 2020-01-13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X선 발생장치
CN109877563A (zh) * 2019-03-07 2019-06-14 临邑恒丰纺织科技有限公司 多功能液压式拉玛平台
KR20210135204A (ko) * 2019-07-01 2021-11-12 세메스 주식회사 이동식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한 샤프트조립체
KR102536407B1 (ko) * 2019-07-01 2023-05-31 세메스 주식회사 이동식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한 샤프트조립체
KR20210000484U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접안설비의 고정핀 분해용 지그
KR200495110Y1 (ko) * 2019-08-21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접안설비의 고정핀 분해용 지그
CN112296910B (zh) * 2020-12-01 2022-07-05 枣庄市良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食品机械用轴承座及其安装结构
CN112296910A (zh) * 2020-12-01 2021-02-02 丽水市盛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食品机械用轴承座及其安装结构
CN113084492A (zh) * 2021-03-16 2021-07-09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船用低速柴油机主轴承盖安装用推力装置
KR102413952B1 (ko) * 2021-03-31 2022-06-28 (주)동우에스티 샤프트 교체가 용이한 커팅기
CN114535968A (zh) * 2022-04-08 2022-05-27 重庆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轧钢厂热卷产线切头飞剪快速装配辅助装置及方法
KR102571863B1 (ko) * 2022-12-27 2023-08-29 (주)네오스테크놀로지스 다축 틸팅형 오토 레벨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892B1 (ko) 롤 베어링 탈착 안내장치
CA2736549C (en) Disassembly apparatus and disassembly method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0006763B2 (en) Accumulator assembly fixture
US10279443B2 (en) Accumulator assembly fixture
KR20120007577U (ko) 롤러 분해장치
KR101185775B1 (ko)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KR100967430B1 (ko) 천공기용 스크루 및 케이싱 파이프 보수장치
JP2015036329A (ja) エスカレータ用移動手摺の張力調整装置
CN109179121B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吊笼的调试装置
KR20060074450A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KR20130047107A (ko) 중형압연설비용 감속기의 아이들 기어 조립 지그
KR20090102342A (ko) 특수 족장 설비 빅 거더 해체용 지그
KR200455417Y1 (ko)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WO2019221698A1 (en) Accumulator assembly fixture
KR200482885Y1 (ko) 수직형 모터의 부품 분해,조립 작업용 리프팅 거치대
CN215699753U (zh) 一种机械配件生产用夹持装置
JP5729909B2 (ja) ポンプの内部部材抜き出し/組み込み装置及び方法
WO2014205309A1 (en) Counterweight hoisting apparatus
KR101665948B1 (ko) Ctod 시험편의 잔류응력 제거장치
KR20130105318A (ko) 러그 시험 장치
EP2724970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JP5694982B2 (ja) ダンパーの締め付け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ダンパーの取り付け方法
KR20180002087U (ko) 하이드로릭 텐셔너 지지장치
KR101505080B1 (ko) 부시 제거용 장비
KR101444135B1 (ko) 장갑차용 인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