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138B1 - 압연기용 작업대차 - Google Patents

압연기용 작업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138B1
KR101639138B1 KR1020140188159A KR20140188159A KR101639138B1 KR 101639138 B1 KR101639138 B1 KR 101639138B1 KR 1020140188159 A KR1020140188159 A KR 1020140188159A KR 20140188159 A KR20140188159 A KR 20140188159A KR 101639138 B1 KR101639138 B1 KR 10163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er
rolling
flow
se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801A (ko
Inventor
변재욱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1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압연기용 작업대차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압연기용 작업대차는, 압연기의 내측으로 출입하며, 압연롤러하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안착부재에 결합되고, 안착부재에 안착된 압연롤러하강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와, 안착부재에 결합되어, 안착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연기용 작업대차{WORKTABLE FOR 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기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기의 수리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압연롤러하강부 등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압연기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연속주조에 의하여 제조한 슬라브(Slab),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편 즉, 압연재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한 후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압연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해당한다. 압연 공정에 사용되는 압연기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압연롤러와, 압연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연기프레임, 압연롤러의 롤축과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핀들 및 감속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6110호(2005.06.30 공개, 발명의 명칭: 선재 압연기의 압연중 다단 압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롤러하강부, 구체적으로 스크루부와 너트부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압연롤러하강부의 이동 시 장치의 파손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압연기용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는: 압연기의 내측으로 출입하며, 압연롤러하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압연롤러하강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연롤러하강부는, 압연롤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압연기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압연롤러를 이동시키는 스크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압연롤러하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부; 및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측부에 접하여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상기 유동방지부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동방지부를 지지하는 유동방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유동방지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루부가 삽입되는 스크루부삽입홈부가 형성되는 유동방지판; 및 상기 스크루부삽입홈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크루부에 접하여 상기 스크루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방지판 또는 상기 유동방지탈착부에는 상기 스크루부와 대향되는 면에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고정물에 고정되며,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의 유압이 변동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공간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의 유압변동에 연동하여 상기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는, 압연롤러하강부, 구체적으로 스크루부와 너트부의 탈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스크루부와 너트부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안착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중량의 압연롤러하강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서 압연롤러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서 압연롤러하강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에 압연롤러하강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가 레일부 상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가 압연기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가 이동부재에 의하여 압연기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서 압연롤러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서 압연롤러하강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압연기(10)는 한 쌍의 압연롤러(20), 즉, 상측압연롤러(21) 및 하측압연롤러(23) 사이로 피압연재(미도시)를 진입시켜 압연한다.
피압연재의 두께, 재질 및 형상 등에 따라 압연롤러(2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데, 이러한 간격은 승강실린더(40) 및 압연롤러하강부(50)에 의하여 조절된다.
승강실린더(40)는 압연기프레임(15)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측압연롤러(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압연베어링(22) 등에 결합되어, 상측압연롤러(21)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압연롤러하강부(50)는 너트부(51) 및 스크루부(53)를 포함한다. 너트부(51)는 압연롤러(20)의 상측에 위치하며, 키플레이트(52) 등에 의하여 압연기프레임(15)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크루부(53)는 너트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크루부구동부(54)에 의하여 회전되면, 너트부(51)와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측압연롤러(21)를 하강시킨다.
압연롤러하강부(50)는 스크루부(53)의 하단부에 가압블럭(57)을 더 포함하여, 스크루부(53)의 하측 이동에 따라 상측압연베어링(22)에 접하여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루부(53)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측압연베어링(22)과 접하는 면적 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후술할 압연기용 작업대차(1)가 압연기(10)의 내측으로 진입하기 전, 압연롤러(20)는 판 형상의 압연롤러안착부(3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압연기(10)에서 제거된다. 압연롤러안착부(30)는 이동부재(300)와 연결되어 이동부재(300)에 의하여 이동된다. 이동부재(300)의 구성 및 작동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에 압연롤러하강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1)는 안착부재(100), 유동방지부재(200) 및 이동부재(300)를 포함한다.
안착부재(100)는 압연롤러(20)가 탈거된 상태의 압연기(10) 내측으로 진입한 후, 기중기(60) 등에 의하여 압연롤러하강부(50)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압연롤러하강부(5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재(100)는 안착부(110), 바퀴부(130) 및 이동부결합부(150)를 포함한다.
안착부(110)의 상측면에는 압연롤러하강부(50)가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11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연롤러하강부(50)가 안착된다.
압연롤러하강부(50)는 압연롤러하강부(50)의 상측을 덮고 있는 스크루캡(55)을 제거한 후, 키플레이트(52)와 압연기프레임(15)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압연기프레임(15)에서 탈거되며, 기중기(60)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되어 안착부(110)에 안착된다.
바퀴부(130)는 안착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퀴부(130)는 압연롤러하강부(5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 등의 고정물(70)에 구비되는 레일부(80)에 접하여 회전된다.
이동부결합부(150)는 안착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동부재(3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결합부(150)는 안착부(110)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핀에 의하여 이동부재(300)에 결합되어, 이동부재(300)에 연동하여 안착부(110)가 이동되도록 한다.
유동방지부재(200)는 안착부재(100)에 결합되고, 안착부재(100)에 안착된 압연롤러하강부(50)가 안착부재(100)와 함께 이동될 때, 안착부재(100) 상에서 압연롤러하강부(50)가 유동,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부재(200)는 유동방지부(210) 및 유동방지프레임부(230)를 포함한다.
유동방지부(210)는 안착부(11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압연롤러하강부(50)의 측부에 접하여 압연롤러하강부(50)의 유동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부(210)는 유동방지판(211) 및 유동방지탈착부(213)를 포함한다.
유동방지판(211)은 안착부재(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유동방지프레임부(230)에 결합되고, 스크루부(53)가 삽입되는 스크루부삽입홈부(2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판(211)은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동방지프레임부(230)에 의하여 안착부재(100)와 이격되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판(211)은 스크루부(53)가 측 방향에서 진입될 수 있도록 스크루부삽입홈부(21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대략 "凹"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판(211)은 작업자가 유동방지판(211) 상에서 키플레이트(52) 등의 해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키플레이트(52) 높이에서 대략 50~1.50m 정도의 하측에 위치하여 키플레이트(52) 등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유동방지탈착부(213)는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크루부(53)에 접하여 스크루부(53)의 유동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탈착부(213)는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 스크루부(53)가 진입한 상태에서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 끼워져, 스크루부(53)가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크루부(53)의 유동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판(211) 또는 유동방지탈착부(213)에는 스크루부(53)와 대향되는 면에 완충부재(215)가 구비된다. 완충부재(215)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안착부재(100) 상에 안착된 스크루부(53)가 안착부재(100)의 이동 중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유동될 때 스크루부(53)와의 충격을 완충하여 장치의 파손 및 소음의 발생을 줄인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부(210)는 유동방지체인(217)을 더 포함한다. 유동방지체인(217)은 유동방지판(211)의 상측에 구비되며, 수직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난간(218)의 어느 하나에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난간(218)에 탈착 가능하게 고리 결합되어, 작업자가 유동방지판(211)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크루부(53)의 전도를 방지한다.
유동방지프레임부(230)는 유동방지부(210)와 안착부재(100)를 연결하며, 유동방지부(21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프레임부(230)는 복수 개의 철재 봉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지점에서 유동방지부(210) 및 안착부재(10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안착부재(100)와 유동방지부(210)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부재(200)는 이동계단부(250)를 더 포함한다. 이동계단부(250)는 안착부(110)와 유동방지판(211)을 연결하는 계단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키플레이트(52) 등을 탈착하거나, 유동방지탈착부(213)를 조작하기 위하여 유동방지판(211)에 올라갈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재(300)는 안착부재(100)에 결합되어 안착부재(10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300)는 유압실린더(310) 및 로드부(330)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310)는 고정물(70)에 고정되며, 유체펌프(미도시) 등과 결합되어,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미도시)의 유압을 변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310)는 일단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체펌프와 유로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로드부(330)는 공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착부재(100)에 결합되며, 공간부의 유압변동에 연동하여 안착부재(10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부(33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유압실린더(310)의 공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부가 안착부재(100)에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연동하여 안착부재(100)와 함께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가 레일부 상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가 압연기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가 이동부재에 의하여 압연기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4,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작업대차(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연롤러(20)를 압연롤러안착부(3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동부재(300)를 작동시켜 압연롤러(20)를 압연기프레임(15)에서 탈거한다.
압연롤러(20)가 탈거되면, 스크루부(53)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스크루캡(55)을 제거한 후, 기중기(60)와 스크루부(53)의 상단부를 연결고리 등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스크루부(53)와 너트부(51) 등을 포함하는 압연롤러하강부(50)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중기(60)와 스크루부(53)가 결합되면, 키플레이트(52)와 압연기프레임(15)을 결합하는 볼트 등을 해체하여 압연롤러하강부(50)와 압연기프레임(15) 사이의 결합을 해체하고,압연롤러하강부(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압연롤러하강부(50)를 하측으로 이동하여 지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정지시킨 후, 압연기용 작업대차(1)를 압연기프레임(15)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스크루부(53)가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 진입되도록 한다.
스크루부(53)가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 진입되면, 기중기(60)를 이용하여 압연롤러하강부(50)가 안착부(110)에 안착될 때까지 압연롤러하강부(50)를 이동시킨다. 압연롤러하강부(50)가 안착부(110)에 안착되면, 유동방지탈착부(213)를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 결합하여, 스크루부(53)가 안착부(110)의 이동 중에 흔들리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동방지탈착부(213)가 스크루부삽입홈부(212)에 장착되면, 이동부재(300)를 이용하여 안착부재(100)와 함께 압연롤러하강부(50)를 이동시킨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압연기용 작업대차(1)는, 압연롤러하강부(50), 구체적으로 스크루부(53)와 너트부(51)의 탈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스크루부(53)와 너트부(51)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압연기용 작업대차(1)는 유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동부재(300)를 이용하여 안착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중량의 압연롤러하강부(5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압연기용 작업대차 10: 압연기
15: 압연기프레임 20: 압연롤러
21: 상측압연롤러 22: 상측압연베어링
23: 하측압연롤러 30: 압연롤러안착부
40: 승강실린더 50: 압연롤러하강부
51: 너트부 52: 키플레이트
53: 스크루부 54: 스크루부구동부
57: 가압블럭 60: 기중기
70: 고정물 80: 레일부
100: 안착부재 110: 안착부
130: 바퀴부 150: 이동부결합부
200: 유동방지부재 210: 유동방지부
211: 유동방지판 212: 스크루부삽입홈부
213: 유동방지탈착부 215: 완충부재
217: 유동방지체인 218: 난간
230: 유동방지프레임부 250: 이동계단부
300: 이동부재 310: 유압실린더
330: 로드부

Claims (7)

  1. 압연기의 내측으로 출입하며, 수직하게 세워진 압연롤러하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압연롤러하강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압연롤러하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부; 및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측부에 접하여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상기 유동방지부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동방지부를 지지하는 유동방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유동방지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압연롤러하강부가 삽입되는 스크루부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유동방지판;
    상기 스크루부삽입홈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탈착부;
    상기 유동방지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난간; 및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난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압연롤러하강부의 전도를 방지하는 유동방지체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작업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러하강부는,
    압연롤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압연기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압연롤러를 이동시키는 스크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작업대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판 또는 상기 유동방지탈착부에는 상기 스크루부와 대향되는 면에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작업대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고정물에 고정되며,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의 유압이 변동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공간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의 유압변동에 연동하여 상기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로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작업대차.
KR1020140188159A 2014-12-24 2014-12-24 압연기용 작업대차 KR10163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59A KR101639138B1 (ko) 2014-12-24 2014-12-24 압연기용 작업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59A KR101639138B1 (ko) 2014-12-24 2014-12-24 압연기용 작업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01A KR20160077801A (ko) 2016-07-04
KR101639138B1 true KR101639138B1 (ko) 2016-07-12

Family

ID=5650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159A KR101639138B1 (ko) 2014-12-24 2014-12-24 압연기용 작업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3956B (zh) * 2016-07-07 2019-09-03 天津市宇润德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轧机辅助治具
CN110814042B (zh) * 2019-10-30 2024-05-31 中重科技(天津)股份有限公司 机架可移动轧机伸缩式过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199Y1 (ko) * 2000-09-09 2001-03-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킨패스 밀 설비의 롤 교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861A (ko) * 2011-06-24 2013-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샤프트 탑재용 대차
KR101496001B1 (ko) * 2013-05-06 2015-02-25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199Y1 (ko) * 2000-09-09 2001-03-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킨패스 밀 설비의 롤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01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2616B (zh) 轧辊轴承座拆装机
KR101639138B1 (ko) 압연기용 작업대차
KR101290464B1 (ko) 롤 조립용 너트 체결 장치
CN102179408B (zh) 用于万能轧机的轧辊组
KR20060074450A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KR101185775B1 (ko)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CN201304413Y (zh) 热轧万能粗轧机机架辊与下导卫更换系统
KR101254124B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KR101794206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101320759B1 (ko) 압연기의 스핀들 분리용 장치
KR100530052B1 (ko) 조정너트와 링 캐리어의 분해조립장치
KR101258520B1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KR101520371B1 (ko) 베어링블록 이송장치
KR200455417Y1 (ko)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CN203712229U (zh) 一种轴承拆装机
CN210060982U (zh) 一种更换烧结机台车轮轴承的装置
KR101330551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CN203711479U (zh) 轧辊轴承座拆装机
KR200441613Y1 (ko) 피니언 스탠드 연결구조체의 이송용 지그
CN207155684U (zh) 一种链条销子拆装工具
CN202741429U (zh) 铝板带箔轧机机架内的拆卸升降装置
KR100422786B1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감속기 수리작업대
CN105619310A (zh) 一种半自动换辊车
KR101291545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CN213924910U (zh) 一种立式轧辊感应加热时效专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