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210B1 -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210B1
KR101595210B1 KR1020150099208A KR20150099208A KR101595210B1 KR 101595210 B1 KR101595210 B1 KR 101595210B1 KR 1020150099208 A KR1020150099208 A KR 1020150099208A KR 20150099208 A KR20150099208 A KR 20150099208A KR 101595210 B1 KR101595210 B1 KR 10159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emical
control panel
dus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희
양윤철
Original Assignee
임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희 filed Critical 임경희
Priority to KR102015009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반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와, 공기공급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제어반 내부로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약품공급부와,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의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약품과 공기의 동시 공급을 통해 제어반 내부에 쌓인 분진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는 일정 주기로 공기 및 약품이 자동 분사되도록 하거나 제어반 내의 각 구성에 설치되는 센싱부를 통해 각 구성에 쌓인 분진의 양을 측정하여 공기 및 약품이 자동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반 내 분진 등의 확인이나 분진 등의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분진이 제거되도록 하여 감전 등의 위험, 제어반의 작동 중지에 의한 손해, 분진 또는 먼지 등에 의한 고장 및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A Dust Removing Device for Control Board}
본 발명은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반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와, 공기공급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제어반 내부로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약품공급부와,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의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약품과 공기의 동시 공급을 통해 제어반 내부에 쌓인 분진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는 일정 주기로 공기 및 약품이 자동 분사되도록 하거나 제어반 내의 각 구성에 설치되는 센싱부를 통해 각 구성에 쌓인 분진의 양을 측정하여 공기 및 약품이 자동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반 내 분진 등의 확인이나 분진 등의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분진이 제거되도록 하여 감전 등의 위험, 제어반의 작동 중지에 의한 손해, 분진 또는 먼지 등에 의한 고장 및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장제어반 또는 PLC제어반에 사용되는 부품은 전자부품으로 구성되어 사용중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 같은 이물질이 쌓여 고장 및 오작동을 발생시킨다.
종래 전자부품 등에 쌓인 먼지나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공기를 분사하여 먼지나 분진 등을 이탈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 전자부품을 넣고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먼지나 비산되는 것을 막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반 내의 구성들은 제어반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제어반 내의 구성 또는 부품 등에 쌓인 먼지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제어반을 열고 먼지나 분진의 유무를 확인하여 공기의 분사 등을 통해 먼지나 분진을 제거하여야 했으며, 현실적으로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워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고장이 난 후에야 사후적 조치를 취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또한, 다수의 구성들을 포함하는 대형 제어반에 있어서는 구성마다 일일이 먼지나 분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으며, 먼지나 분진의 확인 및 제거를 위해서는 제어반을 개방하여야 하는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제어반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365일 지속적인 가동을 필요로 하는 기계장치의 제어반에 있어서는 먼지나 분진의 확인 및 제거작업을 실시하는 것에 의한 손해 및 2차적인 피해가 막대하고, 이에 따라 먼지나 분진에 의한 고장 및 사고가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7935호(2006. 06. 30. 등록) "전자기기 청소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어반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와, 공기공급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제어반 내부로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약품공급부와,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의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약품과 공기의 동시 공급을 통해 제어반 내부에 쌓인 분진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 또는 먼지 등에 의한 고장 및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노즐, 복수의 공기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공기공급관에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공급수단,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를 갖는 공기공급부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약품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품분사노즐, 복수의 약품분사노즐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관, 분진제거용 약품을 저장하며 약품공급관과 연결되는 약품탱크, 약품공급관과 약품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를 갖는 약품공급부를 포함하여 제어반을 열고 분진 또는 먼지를 확인하거나 별도의 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제어반 내의 각각의 구성 또는 부품에 약품 및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반의 작동 중지에 의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을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일정 주기로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반복하도록 하여 별도의 확인 작업 없이 주기적인 분진의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진 또는 먼지에 의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약품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형성되어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쌓이는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하여 분진의 양에 따른 공기와 약품의 분사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분진의 제거와 약품 사용량의 절감을 더욱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센싱부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는 센싱부가 형성되는 각 구성 또는 부품별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복수의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도록 하여 제어반 내의 각 구성에 대한 개별적인 분진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오염정도를 판별하는 오염정도판단모듈을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 및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오염정도판단모듈에 의하여 판단되는 오염정도에 따라 공기만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약품과 공기가 함께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및 약품의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는 제어반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제어반 내부로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약품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의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에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공급수단, 상기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약품공급부는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약품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품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약품분사노즐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관, 분진제거용 약품을 저장하며 상기 약품공급관과 연결되는 약품탱크, 상기 약품공급관과 약품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상기 약품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일정 주기로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는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형성되어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쌓이는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상기 약품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는 상기 센싱부가 형성되는 각 구성 또는 부품별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복수의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오염정도를 판별하는 오염정도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 및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에 의하여 판단되는 오염정도에 따라 공기만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약품과 공기가 함께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반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와, 공기공급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제어반 내부로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약품공급부와,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의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약품과 공기의 동시 공급을 통해 제어반 내부에 쌓인 분진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 또는 먼지 등에 의한 고장 및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노즐, 복수의 공기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공기공급관에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공급수단,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를 갖는 공기공급부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약품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품분사노즐, 복수의 약품분사노즐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관, 분진제거용 약품을 저장하며 약품공급관과 연결되는 약품탱크, 약품공급관과 약품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를 갖는 약품공급부를 포함하여 제어반을 열고 분진 또는 먼지를 확인하거나 별도의 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제어반 내의 각각의 구성 또는 부품에 약품 및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반의 작동 중지에 의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을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일정 주기로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반복하도록 하여 별도의 확인 작업 없이 주기적인 분진의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진 또는 먼지에 의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약품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형성되어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쌓이는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하여 분진의 양에 따른 공기와 약품의 분사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분진의 제거와 약품 사용량의 절감을 더욱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싱부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는 센싱부가 형성되는 각 구성 또는 부품별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복수의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도록 하여 제어반 내의 각 구성에 대한 개별적인 분진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오염정도를 판별하는 오염정도판단모듈을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 및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오염정도판단모듈에 의하여 판단되는 오염정도에 따라 공기만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약품과 공기가 함께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및 약품의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가 설치된 제어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가 설치된 제어반의 측면도
도 3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가 설치된 제어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가 설치된 제어반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는 제어반 내 구성 또는 부품에 쌓인 분진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제어반(C)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공기공급부(1)와, 상기 공기공급부(1)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제어반(C) 내부로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약품공급부(3)와, 상기 공기공급부(1) 및 약품공급부(3)의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반(C) 내에는 각종 전자부품, 스위치, 계기판 등의 구성이 포함되며, 사용에 따라 분진 내지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하 '분진 등'이라 함)이 쌓이게 되어 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시로 제어반을 개방하여 제어반 내에 쌓인 분진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공기 등을 분사하여 분진 등을 제거하도록 하였으며, 분진이 제때 제거되지 못해 기기의 오작동과 각종 고장을 일으키게 되고 분진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감전 등의 위험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제어반에 의해 컨트롤 되는 각종 기기의 작동을 멈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반(C) 내에 쌓인 분진 등을 확인하거나 별도의 제거 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분진 등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진 등에 의한 제어반의 오작동, 고장 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는 압축된 공기와 함께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제어반(C) 내의 분진 등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공급부(1)는 제어반(C) 내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 분사하여 제어반(C) 내의 구성 또는 부품(이하 '구성'이라 함) 등에 쌓인 분진 등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C)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별로 압축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각 구성의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가 설치된 제어반(C)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상기 공기공급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노즐(11),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노즐(11)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3), 상기 공기공급관(13)에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공급수단(15), 상기 공기공급관(13)과 공기공급수단(15)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C)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17)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분사노즐(11)은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여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으로부터 분진 등을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각 구성마다 복수개의 공기분사노즐(11)이 형성되도록 하여 분진 등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공기공급관(13)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공급관(13)은 상기 공기공급수단(15)과 공기분사노즐(11) 사이를 연결하는 관으로, 압축된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노즐(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기공급관(13)에는 복수개의 공기분사노즐(1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공급관(13) 역시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나뉘어 형성되며, 각 구성별로 형성되는 공기공급관(13)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공기공급수단(15)을 통해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형성되는 공기공급관(13)은 상기 공기공급관(13)이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수단(15)까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튜브 등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공급수단(15)은 상기 공기공급관(13)과 연결되며,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공기공급관(1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콤프레셔(Compressor) 등의 압축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수단(15)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공급밸브(17)에 의하여 그 공급이 조절된다.
상기 공기공급밸브(17)는 상기 공기공급관(13)과 공기공급수단(15) 사이, 또는 상기 공기공급관(13) 상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솔밸브(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밸브(17)는 상기 제어부(5)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이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 제어반 또는 제어반 내 구성의 종류 등에 따라 주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공기공급밸브(17)의 개방빈도, 즉 압축공기에 의한 분진 등의 제거작업 빈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품공급부(3)는 상기 공기공급부(1)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함께 분진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약품을 공급하도록 하여 분진 등의 제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약품공급부(3)는 상기 공기공급부(1)와 마찬가지로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약품을 공급하도록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약품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품분사노즐(31), 상기 복수의 약품분사노즐(31)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관(33), 분진제거용 약품을 저장하며 상기 약품공급관(33)과 연결되는 약품탱크(35), 상기 약품공급관(33)과 약품탱크(35)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C) 내부로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37)를 포함한다.
상기 약품분사노즐(31)은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약품을 분사하여 압축공기에 의한 분진 등의 제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 구성마다 복수개의 약품분사노즐(3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약품공급관(33)에 연결되어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받는다.
상기 약품공급관(33)은 상기 약품탱크(35)와 약품분사노즐(31) 사이를 연결하는 관으로, 분지젠거용 약품이 상기 약품분사노즐(3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약품공급관(33)에는 복수개의 약품분사노즐(31)이 형성된다. 상기 약품공급관(33)은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나뉘어 형성되며, 각 구성별로 형성되는 약품공급관(33)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약품탱크(35)로부터 약품을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형성되는 약품공급관(33)은 상기 공기공급관(13)과 마찬가지로 상기 약품공급관(33)이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튜브 등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약품탱크(35)는 분진제거용 약품을 저장하며, 상기 약품공급관(33)과 연결되어 분진제거용 약품이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약품공급밸브(37)에 의하여 그 공급이 조절된다.
상기 약품공급밸브(37)는 상기 약품공급관(33)과 약품탱크(35) 사이, 또는 상기 약품공급관(33)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솔밸브(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될 수 있고, 그 밖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약품공급밸브(37)는 상기 제어부(5)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이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약품이 공급되는 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공기공급부(1)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보다는 긴 주기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약품의 사용량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5)는 분진제거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공기공급부(1)에 의한 공기의 공급 및 상기 약품공급부(3)에 의한 약품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공급밸브(17)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과, 상기 약품공급밸브(37)의 개폐를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은 상기 공기공급밸브(17)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상기 공기공급밸브(17)를 개폐하여 상기 공기공급수단(15)으로부터 상기 공기분사노즐(11)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조절한다.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에 의하여 상기 공기공급밸브(17)를 개방하는 신호가 상기 공기공급밸브(17)에 전달되면, 상기 공기공급밸브(17)가 개방되어 상기 공기공급수단(15)으로부터 상기 공기분사노즐(11)로 압축공기가 공급,분사됨으로써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쌓인 분진 등이 이탈되어 제거되고,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은 일정 주기로 상기 공기공급밸브(17)를 개방하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의 분사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밸브(17)를 개방하는 주기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및 구성을 갖는 제어반에 적용되어 분진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은 상기 약품공급밸브(37)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상기 약품공급밸브(37)를 개폐하여 분진제거용 약품의 공급을 조절한다.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에 의하여 상기 약품공급밸브(37)를 개방하는 신호가 상기 약품공급밸브(37)에 전달되면, 상기 약품공급밸브(37)가 개방되어 상기 약품탱크(35)로부터 상기 약품분사노즐(31)로 분진제거용 약품이 공급, 분사됨으로써 상기 공기분사노즐(11)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분진의 제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은 일정 주기로 상기 약품공급밸브(37)를 개방하여 약품이 공급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약품의 분사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은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에 의하여 공기공급밸브(17)를 개방하는 주기보다 더 긴 주기를 갖도록 하여 소모되는 약품의 양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압축공기는 자주 분사하여 제어반(C) 내에 분진 등이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고, 가끔씩 분진제거용 약품을 분사하여 압축공기만으로 제거되지 않는 분진 등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약품의 사용량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공기공급부(1), 약품공급부(3), 제어부(5)의 구성을 포함하나, 제어반 내의 각 구성에 형성되어 각 구성에 쌓이는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센싱부(7)를 추가로 포함하여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 또는 약품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공급부(1), 약품공급부(3)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다만 상기 센싱부(7)가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별개로 형성되어 각 구성의 분진 등의 양을 측정하도록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밸브(17) 및 약품공급밸브(37)가 각 구성에 연결되는 공기공급관(13) 및 약품공급관(33)에 별도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각 공기공급밸브(17) 및 약품공급밸브(37)가 별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을 포함하나 일정 주기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공급밸브(17) 및 약품공급밸브(37)의 개폐를 조절하며, 각 공기공급관(13) 및 약품공급관(33) 별로 형성되는 공기공급밸브(17) 및 약품공급밸브(37)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오염정도를 판별하는 오염정도판단모듈(55)과 상기 센싱부(7) 또는 상기 공기공급밸브(17), 약품공급밸브(37)와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모듈(57)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은 상기 공기공급밸브(17)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 등의 양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밸브(17)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하고, 각 공기공급관(13) 상에 형성되는 각 공기공급밸브(17)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 효율적인 분진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은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에 의하여 판단되는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 오염정도에 따라 공기공급밸브(17)를 개방하도록 하며, 오염정도가 일정 수준 이상, 즉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이 일정 정도 이상인 경우에만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은 상기 약품공급밸브(37)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 등의 양에 따라 상기 약품공급밸브(37)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하고, 각 약품공급관(33) 상에 형성되는 각 약품공급밸브(37)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분진 등의 양에 따라 약품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와 약품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은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에 의하여 판단되는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 오염정도에 따라 약품공급밸브(37)를 개방하도록 하며,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에 의하여 공기공급밸브(17)가 개방되는 정도의 오염정도보다 높은 수준의 오염정도에서 약품이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오염정도가 상기 공기공급밸브(17)가 개방되는 수준을 넘으면 압축공기만이 분사되며, 그보다 높은 일정 수준의 오염정도를 넘으면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에 의해 약품공급밸브(37)가 개방되어 약품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약품은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많은 경우에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약품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은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 등의 양에 따라 제어반(C) 내 각 구성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설치된 센싱부(7)로부터 분진 등의 양을 수신하여 각 구성별로 오염정도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에 의하여 판단되는 오염정도는 3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일정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공급부(1)와 약품공급부(3)가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게 되고, 오염정도가 일정 정도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밸브(17)가 개방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밸브(17)가 개방되는 오염정도를 넘어 더 높은 일정 수준의 오염정도에 도달하면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에 의해 상기 약품공급밸브(37)가 개방되어 압축된 공기와 함께 분진제거용 약품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소모되는 동력, 약품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효율적인 분진 등의 제거가 가능한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7)은 상기 센싱부(7) 또는 공기공급밸브(17), 약품공급밸브(37)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유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와 설치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7)로부터 무선으로 분진 등의 양을 측정한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공기공급밸브(17), 약품공급밸브(37)와도 무선으로 개폐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7)는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형성되어 각 구성에 쌓이는 분진 등의 양을 측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분진 또는 먼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 등을 제거할 필요할 있는 제어반(C) 내의 각 구성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분진 등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전송된 각 구성별 분진 등의 양은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에 의해 오염정도가 판단되어 상기 공기공급부(1) 또는 상기 약품공급부(3)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7)는 지속적으로 분진 등의 양을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로 분진 등의 양을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7)에 의하여 측정된 분진 등의 양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5)로 전송되며,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진제거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어반(C) 내의 각 구성별로 형성되는 센싱부(7)를 통해 각 구성에 쌓이는 분진 등의 양이 측정되고, 측정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5)로 전송된다. 상기 통신모듈(57)을 통해 각 구성에 쌓인 분진 등의 양을 전송받은 제어부(5)는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에 의해 각 구성의 분진 등에 의한 오염정도를 판단하게 되고, 오염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부(1) 또는 약품공급부(3)를 작동시키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에 의하여 판단된 제어반(C) 내 특정 구성의 오염정도가 설정된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51)에 의해 해당 구성과 연결된 공기공급밸브(17)가 개방되어 공기분사노즐(11)을 통해 해당 구성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또한,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55)에 의하여 판단된 오염정도가 상기 공기공급밸브(17)가 개방되는 수준보다 높게 설정된 오염정도에 도달하면 상기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53)에 의해 해당 구성과 연결된 약품공급밸브(37)가 개방되어 약품분사노즐(31)을 통해 분진제거용 약품이 분사된다. 따라서, 압축공기만으로 제거되지 않는 분진을 약품과 함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공기공급부
11: 공기분사노즐 13: 공기공급관 15: 공기공급수단
17: 공기공급밸브
3: 약품공급부
31: 약품분사노즐 33: 약품공급관 35: 약품탱크
37: 약품공급밸브
5: 제어부
51: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 53: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
55: 오염정도판단모듈 57: 통신모듈
7: 센싱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어반에 내부에 설치되는 분진제거장치에 있어서,
    제어반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제어반 내부로 분진제거용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약품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의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형성되어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쌓이는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부는,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에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공급수단, 상기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공급부는,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에 약품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품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약품분사노즐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관, 분진제거용 약품을 저장하며 상기 약품공급관과 연결되는 약품탱크, 상기 약품공급관과 약품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반 내부로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상기 약품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 또는 약품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제어반 내의 각 구성 또는 부품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는 상기 센싱부가 형성되는 각 구성 또는 부품별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과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복수의 공기공급부 및 약품공급부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오염정도를 판별하는 오염정도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밸브조절모듈 및 약품공급밸브조절모듈은 상기 오염정도판단모듈에 의하여 판단되는 오염정도에 따라 공기만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약품과 공기가 함께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KR1020150099208A 2015-07-13 2015-07-13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KR10159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208A KR101595210B1 (ko) 2015-07-13 2015-07-13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208A KR101595210B1 (ko) 2015-07-13 2015-07-13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210B1 true KR101595210B1 (ko) 2016-02-18

Family

ID=5545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208A KR101595210B1 (ko) 2015-07-13 2015-07-13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3984A (zh) * 2020-06-08 2020-09-01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低压成套配电设备远程维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935B1 (ko) * 2004-05-06 2006-07-13 박영수 전자기기 청소장치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KR20120117161A (ko) * 2011-04-14 2012-10-24 대신파워텍 (주) 염해 방지 및 내부온도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935B1 (ko) * 2004-05-06 2006-07-13 박영수 전자기기 청소장치
KR20120117161A (ko) * 2011-04-14 2012-10-24 대신파워텍 (주) 염해 방지 및 내부온도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3984A (zh) * 2020-06-08 2020-09-01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低压成套配电设备远程维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218B2 (en) Air-flushing method, air-flush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00036219A (ko) 흡착센서 콘트롤러 및 그것을 이용한 흡착반송장치
JP2011504836A (ja) 航空機のタンクシステムをテスト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20061185A1 (en) Bushing lubricator and system
KR20090102048A (ko)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9438B1 (ko) 정전기 제거부스
KR101595210B1 (ko)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WO201509074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optischen eintrittsfensters eines brandmelders
KR20150022143A (ko) 선박의 밀폐 공간 가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JP2009137590A (ja) 液体自動供給装置における弁開閉カウント方法
KR20020034924A (ko) 용액 공급장치
WO2011004982A2 (ko) 콘크리트 공급 설비의 안전 운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방법
KR100880843B1 (ko) Tft-lcd패널 어레이 테스트 장비의 에어 클리닝시스템 및 모듈레이터 에어 클리닝 머신
KR101018653B1 (ko) 공기호흡기용 용기의 잔류공기 제거장치
KR20180112456A (ko) 공작 기계용 쿨런트 탱크의 필터 세척 장치
KR101466496B1 (ko) 분사 노즐 시험 장치
KR101509009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US20160223324A1 (en) Device for the pneumatic measurement of an object
JP6870644B2 (ja) 離型剤噴霧装置および離型剤噴霧方法
KR102023594B1 (ko) 실포트의 안전장치
JP2006007136A (ja) アスファルト乳剤散布ノズル目詰まり除去装置
KR200446431Y1 (ko) 압연공정용 지역패널 결로방지장치
KR20160020732A (ko) 분사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15210B1 (ko) 비산 먼지 자동 제거 시스템
JP4309679B2 (ja) 塗装ブース処理水槽の水位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