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990B1 -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990B1
KR101594990B1 KR1020100031839A KR20100031839A KR101594990B1 KR 101594990 B1 KR101594990 B1 KR 101594990B1 KR 1020100031839 A KR1020100031839 A KR 1020100031839A KR 20100031839 A KR20100031839 A KR 20100031839A KR 101594990 B1 KR101594990 B1 KR 10159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tank member
contact
manifold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626A (ko
Inventor
박영조
김정훈
우경민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99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플과 탱크부재의 결합강도의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유체의 누설 내지 유체로 인한 부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탱크부재와 튜브의 결합 부분에서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탱크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배플을 가진 열교환기용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에는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타면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접촉단부가 틈새를 통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접촉단부는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배플의 상단이 끼워져 상기 배플의 상단과 접촉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매니폴드{MANIFOLD F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2 이상의 유체통로로 구획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 내에는 응축기,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오일쿨러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용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열교환기는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가지고, 이러한 유로를 통해 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동안 주위의 유체(공기, 냉각수 등)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열교환기는 그 형상 내지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 핀 앤 튜브 타입(fin and tube type)의 차량용 열교환기는 열교환매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튜브(tube) 및 이러한 튜브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핀(fin)을 가진 열교환기로서, 각 핀은 주름진 구조(corrugated)로 구성되며, 핀의 표면을 따라 공기가 통과하면서 각 튜브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복수의 튜브는 2열의 튜브군이 서로 병렬로 배치된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2열의 튜브군들에 대응하여 매니폴드는 탱크부재 및 탱크부재의 중간부에 설치된 배플로 구성된다. 이에, 탱크부재의 내부공간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배플에 의해 2개의 유체통로가 구획된다.
하지만, 종래의 매니폴드는 배플이 탱크부재의 내부에 조립됨에 있어서 그 조립작업성이 매우 취약하고, 배플과 탱크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접촉면적이 협소하여 그 결합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체의 누설 내지 유체로 인한 부식 발생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매니폴드는 탱크부재와 튜브의 결합부분에서 탱크부재 내의 압력변화로 인해 탱크부재와 튜브의 결합부분에서 응력이 크게 발생하고, 이에 탱크부재와 튜브의 결합부분에서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이 쉽게 발생하여 유체의 누설이 문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플과 탱크부재의 결합강도의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유체의 누설 내지 유체로 인한 부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부재와 튜브의 결합 부분에서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탱크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배플을 가진 열교환기용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에는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타면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접촉단부가 틈새를 통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접촉단부는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배플의 상단이 끼워져 상기 배플의 상단과 접촉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의 상부에는 상기 탱크부재에 대한 배플의 상측 위치를 결정하는 상부 위치결정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위치결정구조는 상기 배플의 좌우 양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접촉단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위치결정구조는는 상기 배플의 좌우 양측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 돌출부는 상기 접촉단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의 중앙부에는 배플의 하단이 수용되는 배플 수용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 수용구조는 상기 탱크부재 일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단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끼움단턱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끼움단턱들의 이격틈새에 상기 배플의 하단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 수용구조는 상기 탱크부재 일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배플의 하단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의 하부에는 상기 탱크부재에 대한 상기 튜브의 상측 위치를 결정하는 하부 위치결정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위치결정구조는 상기 배플의 하부 좌우양측에 배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슬롯 내에 삽입되는 각 튜브의 상단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에는 제1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타면에는 제2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부재의 좌우 양측면에는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면부의 반경은 상기 제2곡면부의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곡면부의 반경은 5~18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부의 길이는 10~15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플과 탱크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그 결합강도의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유체의 누설 내지 유체로 인한 부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부재와 튜브의 결합되는 부분에서 응력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탱크부재와 튜브의 결합 부분에서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에서 제2곡률부의 반경(R2)의 변화에 따른 탱크부재 및 튜브의 응력값을 나타낸 결과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에서 직선부의 길이(L)의 변화에 따른 탱크부재 및 튜브의 응력값을 나타낸 결과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탱크부재(10), 탱크부재(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18, 19), 탱크부재(10)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배플(30)을 포함한다.
탱크부재(10)는 그 일면에 복수의 슬롯(11, 12)이 형성되고, 그 타면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접촉단부(10a, 10b)가 틈새(10c)를 통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복수의 슬롯(11, 12)에는 복수의 튜브(41, 42)들이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슬롯(11, 12)들은 탱크부재(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2열로 구분되어 배치되고, 각 열의 슬롯(11, 12)들은 탱크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틈새(10c)측에는 배플(30)의 상단이 끼워짐으로써 배플(30)의 상단과 접촉단부(10a, 10b)들은 접촉하고, 배플(30)의 상단 양측면은 접촉단부(10a, 10b)측에 브레이징 등을 통해 결합된다. 한편, 한 쌍의 접촉단부(10a, 10b)는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재(10)의 일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됨으로써 배플(30)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배플(30)은 탱크부재(10)의 중앙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탱크부재(10)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유체통로(16, 17)로 구획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플(30)의 상단은 접촉단부(10a, 10b) 사이의 틈새(13)에 끼워짐으로써 탱크부재(10)의 접촉단부(10a, 10b)와 접촉한다. 배플(30)의 하단은 탱크부재(10)의 슬롯(11, 12)들 사이에 브레이징 등을 통해 결합된다. 그리고, 배플(30)에는 제1 및 제2 유체통로(16, 17)를 소통시키는 복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플(30)의 상부에는 탱크부재(10)에 대한 배플(30)의 상측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함과 더불어 배플(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위치결정구조(33, 34; upper locating structure)가 형성된다.
본 제1실시예의 상부 위치결정구조는 배플(30)의 상부 좌우 양측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33)로 구성된다. 복수의 돌기(33)는 배플(30)의 좌우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위치결정용 돌기(33)들은 접촉단부(10a, 10b)의 하면과 접촉함에 따라 배플(30)의 상측이 탱크부재(10)의 접촉단부(10a, 10b)와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그 위치를 결정하고, 이에 배플(30)의 상단은 접촉단부(10a, 10b)의 상부로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마감부재(18, 19)는 탱크부재(10)의 양단개구 측에 결합되고, 각 마감부재(18, 19)의 중앙부에는 배플(30)에 대응하는 구획부(18a, 19a)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탱크부재(10)의 접촉단부(10a, 10b)를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배플(30)과 탱크부재(1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배플(30)의 결합력 향상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유체통로(16, 17) 사이의 유체 누설 및 유체로 인한 부식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및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제2실시예의 상부 위치결정구조는 배플(30)의 상부 좌우 양측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34, extended protrusion)로 구성되고, 연장 돌출부(34)는 배플(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구성된다. 연장 돌출부(34)의 상면은 탱크부재(10)의 접촉단부(10a, 10b) 하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연장 돌출부(34)는 접촉단부(10a, 10b)의 하면과 접촉함에 따라 배플(30)의 상측이 탱크부재(10)의 접촉단부(10a, 10b)와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그 위치를 결정하고, 이에 배플(30)의 상단은 접촉단부(10a, 10b)의 상부로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은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본 제2실시예의 매니폴드는 탱크부재(10)의 일면 즉, 슬롯(11, 12)이 형성된 일면의 중앙부 상면에는 배플(30)의 하단을 수용하는 배플 수용구조(baffle receiving structure)가 형성되고, 이 배플 수용구조에 의해 배플(30)의 하단과 탱크부재(10)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본 제3실시예의 배플 수용구조는 탱크부재(10)의 일면 중앙부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단턱(51, 52)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끼움단턱(51, 52)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이러한 끼움단턱(51, 52)의 이격틈새에 배플(30)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배플(30)은 탱크부재(10)와의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유체 누설 및 유체로 인한 부식 발생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은 선행하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본 제4실시예의 배플 수용구조는 탱크부재(10)의 일면(슬롯(11, 12)이 형성된 부분)의 중앙부 상면에 엠보싱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53)로 구성되고, 이 홈부(53)에 배플(30)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배플(30)은 탱크부재(10)와의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유체 누설 및 유체로 인한 부식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은 선행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본 제5실시예는, 배플(30)의 하부 측에 배플(30)에 대한 튜브(41, 42)의 상측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하부 위치결정구조(38, lower locating structure)를 구비한다.
본 제5실시예의 하부 위치결정구조(38)는 배플(30) 하부 좌우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연장 돌출부로 구성되고, 연장 돌출부는 배플(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 돌출부의 하면은 각 슬롯(11, 12) 내에 삽입되는 각 튜브(41, 42)의 상단 일측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튜브(41, 42)의 상측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은 선행하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니폴드(10)는 탱크부재(10)의 일면에 제1곡면부(13)가 형성되고, 탱크부재(10)의 타면에는 제2곡면부(14)가 형성되며, 탱크부재(10)의 좌우 양측면에는 직선부(15)가 형성된다. 제1곡면부(13)의 반경(R1)은 제2곡면부(14)의 반경(R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곡면부(13)는 그 슬롯(11, 12)에 튜브(41, 42)가 결합됨에 따라 튜브(41, 42)와 슬롯(11, 12) 사이의 응력변형을 최소화하고자 되도록이면 완만한 곡률반경(R1)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탱크부재(10)의 양측면에는 직선부(15)가 형성되고, 직선부(15)는 소정 길이(L)를 가지며, 이 직선부(15)에 의해 제2곡면부(14)의 곡률반경(R2)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될 수 있다.
한편, 탱크부재(10)의 슬롯(11, 12)측에 삽입된 튜브(41, 42)는 브레이징 용접결합되어 있다. 이에 탱크부재(10)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탱크부재(10)가 변형하면서 튜브(41, 42)측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의 결합 부분에서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실제 자동차에 장착한 열교환기의 냉방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매니폴드 내에 냉매를 유동시켜 매니폴드의 형상에 따른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의 결합 부분에서의 결함 발생 관계를 구체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탱크부재(1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에 걸리는 응력값과 크랙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여부를 관찰한 결과, 탱크부재(10)에 걸리는 응력값이 250㎫ 이하이고, 튜브(41, 42)에 걸리는 응력값이 150㎫ 이하이며,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의 차이가 90㎫ 이하일 경우에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의 결합 부분에서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탱크부재(10)의 형상 중에서도 제2곡면부(14)의 반경(R2)과 직선부(15)의 길이(L)가 상기 탱크부재(10) 및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아래의 실험예를 통해 탱크부재(10)의 제1곡면부(13), 제2곡면부(14), 직선부(15)의 각 치수가 크랙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예 1]
도 6은 제1곡면부(13)의 반경(R1)과 직선부(15)의 길이(L)를 특정값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곡면부(14)의 반경(R2)을 변화시켰을 때 나타난 응력값의 결과그래프이다.
도 6은 제1곡면부(13)의 반경(R1)을 100mm, 직선부(15)의 길이(L)를 10mm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곡면부(14)의 반경(R2)을 3~30mm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면서,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탱크부재(10)의 폭은 35~45mm 범위 내로 설정하였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제2곡면부(14)의 반경(R2)가 5~18mm인 경우는 탱크부재(10)에 걸리는 응력값이 250㎫ 이하이고, 튜브(41, 42)에 걸리는 응력값이 150㎫ 이하이며,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의 차이가 90㎫ 이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크랙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되지 않았다.
반면에, 제2곡면부(14)의 반경(R2)가 5mm 미만이거나, 18mm를 초과한 경우는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의 차이가 90㎫ 이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크랙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즉, 제2곡면부(14)의 반경(R2)이 5~18mm의 범위 내에서 탱크부재(10) 및 튜브(41, 42)들의 각 응력값 뿐만 아니라 탱크부재(10)의 응력값과 튜브(41, 42) 사이의 응력값 차이가 최소화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도 7은 제1곡면부(13)의 반경(R1)과 제2곡면부(14)의 반경(R2)을 특정값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직선부(15)의 길이(L)를 변화시킴에 따라 나타난 응력값의 결과그래프이다.
도 7은 제1곡면부(13)의 반경(R1)을 100mm로, 제2곡면부(14)의 반경(R2)를 15mm로 고정한 상태에서, 직선부(15)의 길이(L)을 3~20mm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면서,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탱크부재(10)의 폭은 35~45mm 범위 내로 설정하였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직선부(15)의 길이(L)가 10~15mm인 경우는 탱크부재(10)에 걸리는 응력값이 250㎫ 이하이고, 튜브(41, 42)에 걸리는 응력값이 150㎫ 이하이며,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의 차이가 90㎫ 이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크랙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되지 않았다.
반면에, 직선부(15)의 길이(L)가 10mm 미만이거나, 15mm를 초과한 경우는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걸리는 응력값의 차이가 90㎫ 이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에 크랙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즉, 직선부(15)의 길이(L)가 10~15mm의 범위 내에서 탱크부재(10) 및 튜브(41, 42)들의 각 응력값 뿐만 아니라 탱크부재(10)와 튜브(41, 42) 사이의 응력값 차이가 최소화됨을 알 수 있었다.
10: 탱크부재 10a, 10b: 접촉단부
10c: 틈새 11, 12 : 슬롯
13: 제1곡면부 14: 제2곡면부
15: 직선부 30: 배플
33, 34: 상부 위치결정구조 38:하부위치결정구조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탱크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배플을 가진 열교환기용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에는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타면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접촉단부가 틈새를 통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접촉단부는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배플의 상단이 끼워져 상기 배플의 상단과 접촉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의 중앙부에는 배플의 하단이 수용되는 배플 수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배플 수용구조는 상기 탱크부재 일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단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끼움단턱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끼움단턱들의 이격틈새에 상기 배플의 하단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상부에는 상기 탱크부재에 대한 배플의 상측 위치를 결정하는 상부 위치결정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치결정구조는 상기 배플의 좌우 양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접촉단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치결정구조는 상기 배플의 좌우 양측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 돌출부는 상기 접촉단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5. 삭제
  6. 삭제
  7.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탱크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 상기 탱크부재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배플을 가진 열교환기용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에는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타면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접촉단부가 틈새를 통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접촉단부는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배플의 상단이 끼워져 상기 배플의 상단과 접촉단부가 상호 접촉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의 중앙부에는 배플의 하단이 수용되는 배플 수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배플 수용구조는 상기 탱크부재 일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배플의 하단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하부에는 상기 탱크부재에 대한 상기 튜브의 상측 위치를 결정하는 하부 위치결정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위치결정구조는 상기 배플의 하부 좌우양측에 배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슬롯 내에 삽입되는 각 튜브의 상단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재의 일면에는 제1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부재의 타면에는 제2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부재의 좌우 양측면에는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면부의 반경은 상기 제2곡면부의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곡면부의 반경은 5~18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길이는 10~15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KR1020100031839A 2010-04-07 2010-04-07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KR10159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39A KR101594990B1 (ko) 2010-04-07 2010-04-07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39A KR101594990B1 (ko) 2010-04-07 2010-04-07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26A KR20110112626A (ko) 2011-10-13
KR101594990B1 true KR101594990B1 (ko) 2016-02-17

Family

ID=4502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839A KR101594990B1 (ko) 2010-04-07 2010-04-07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1701A (zh) * 2015-12-10 2017-06-20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换热器
CN106871700A (zh) * 2015-12-10 2017-06-20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用于换热器的集流管和换热器
CN106918166B (zh) * 2015-12-24 2023-03-03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换热器和空调系统
CN107305108A (zh) * 2016-04-25 2017-10-31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隔板和端盖组件、集流管组件和换热器
IT202000024268A1 (it) * 2020-10-14 2022-04-14 Hudson Italiana Fbm Sistema testata-fascio tubiero per la distribuzione ottimizzata del fluido in un dispositivo aerorefrigeran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34B1 (ko) * 2007-10-22 2014-03-1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 히터코어용 열교환기 및 이에 따른 제작방법
US20100044010A1 (en) * 2008-08-21 2010-02-25 Corser Don C Manifold with multiple passages and cross-counterflow heat exchanger incorpo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26A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9183B (zh) 热交换器
US10921068B2 (en) Integrated heat exchanger
KR101594990B1 (ko)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US20150168080A1 (en) Heat exchanger
WO2017018127A1 (ja) 熱交換器
US7823630B2 (en) Tube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ube
US20170198975A1 (en) Heat Exchanger Construction
US20080000627A1 (en) Heat exchanger
KR20180077188A (ko) 열 교환기
JPH09126685A (ja) 熱交換器
JPWO2017013918A1 (ja) 熱交換器
JP3823584B2 (ja) 熱交換器
KR101580233B1 (ko) 열교환기
KR100336847B1 (ko) 열교환기의헤더및탱크구조
JP2007127347A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JP5187047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
JP2016080236A (ja) 熱交換器
CN112432537B (zh) 换热器及其制造方法
KR100666927B1 (ko) 헤더형 열교환기
KR102350040B1 (ko) 열교환기용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JP6083272B2 (ja) 熱交換器
JP2009008347A (ja) 熱交換器
KR20180005405A (ko) 열교환기용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JP2008232481A (ja) 熱交換器
KR20170044965A (ko) 열교환기용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