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675B1 - 휴대용 접이식 우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이식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675B1
KR101594675B1 KR1020140065624A KR20140065624A KR101594675B1 KR 101594675 B1 KR101594675 B1 KR 101594675B1 KR 1020140065624 A KR1020140065624 A KR 1020140065624A KR 20140065624 A KR20140065624 A KR 20140065624A KR 101594675 B1 KR101594675 B1 KR 10159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ortion
body portion
folding lin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563A (ko
Inventor
곽백수
Original Assignee
곽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백수 filed Critical 곽백수
Priority to KR102014006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복수의 접힘선이 형성되고 복수의 접힘선에 의해 복수의 부분평면구조물로 구분되는 몸체부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고,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1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1 접촉부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인접하고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2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상기 복수의 접힘선 및/또는 상기 제1 접힘선 및/또는 제2 접힘선을 따라 접히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평면구조물 또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한 개의 층을 이루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겹층평면구조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가 우산/양산의 가림막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에 따라 각각 하방으로 접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각각의 외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몸체부의 내면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우산{Portable folder type umbrella}
본 발명은 휴대용 접이식 우산에 관련된다.
사람들은 비나 햇빛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우산 또는 양산(이하 '우산/양산'이라 표시한다)을 사용한다.
기존의 우산 또는 양산 등은 공개특허 제2011-0068569호와 같이 그 내부에 구조물을 유지하기 위한 우산대와 우산살이 형성된다. 하지만 우산 또는 양산의 우산대와 우산살은 금속 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무게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다. 이러한 우산 또는 양산은 휴대 시 가방, 주머니 등에 보관하기 쉽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 분실의 위험이 높다. 또한 우산대와 우산살의 구조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고장이 나고 한번 일부분이 망가지면 고쳐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은 고장의 염려가 없고 가벼운 평면 구조물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 사용 상태 및 보관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우산/양산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김줄을 이용한 간단한 방식으로 우산/양산 형태를 보다 안정감 있게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복수의 접힘선이 형성되고 복수의 접힘선에 의해 복수의 부분평면구조물로 구분되는 몸체부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고,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1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1 접촉부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인접하고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2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상기 복수의 접힘선 및/또는 상기 제1 접힘선 및/또는 제2 접힘선을 따라 접히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평면구조물 또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한 개의 층을 이루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겹층평면구조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가 우산/양산의 가림막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에 따라 각각 내면 방향으로 접혀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의 외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몸체부의 내면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비를 차단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이 맞닿는 연접선의 양편 중 어느 한편에 소정의 거리로 위치하여 연접선을 덮는 덮개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접선을 기준으로 상기 덮개가 고정된 위치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지점에 상기 덮개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덮개결합부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맞닿아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고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라스틱, 비닐, 방수포, 폴리에스테르 등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자외선 차단 물질이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야광물질을 입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및/또는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우산/양산의 가림막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 외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몸체부 외면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김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은, 상기 몸체부 외면을 가로지르는 제1 당김줄과, 일단은 제1 당김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 외면의 테두리 중 일부분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당김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은 고무, 라텍스 등 탄성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생산비용이 적게 들고 생산과정도 간단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저비용 우산/양산을 공급 및 구입할 수 있고, 고장의 염려가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은 단면적이 작은 겹층평면구조물로 접기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가방 등에 항상 휴대할 수 있게 되어 급작스런 비나 뙤약볕 등을 대처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은 평면구조물인 만큼 다른 우산/양산과 달리 광고 문구나 원하는 문구, 그림 등을 표시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고 유용한 공간을 제공하여 우산/양산의 기능성을 더욱 높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2는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몸체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복수의 접힘선 및/또는 제1 접힘선 및/또는 제2 접힘선을 따라 접혀 적어도 둘 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진 겹층평면구조물을 형성한 상태, 즉 보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가 손잡이부를 형성한 상태, 즉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사용 상태에 따른 당김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사용 상태 시 당김줄이 몸체부에 가하는 힘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사용 상태 시 몸체부의 외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사용 상태 시 몸체부의 내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식 접이식 우산/양산의 사용 상태 시 덮개가 연접선을 덮고 덮개결합부에 의하여 덮개의 일부분이 몸체부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은 비나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은 내면(110)과 외면(120)을 가지는 평면구조물(100)인 몸체부(210),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로 구성된다.
몸체부(210)는 복수의 접힘선(410)이 형성된 내면(110)과 외면(120)을 가지는 평면구조물(100)로서, 복수의 접힘선(410)에 의하여 복수의 부분평면구조물로 구분되고 복수의 접힘선(410)을 따라 내면(110) 또는 외면(120) 방향으로 접혀진다. 하나의 부분평면구조물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접힘선(410)이 각 변을 이루는 다각형으로, 예를 들어 정사각형, 마름모,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형태를 띤다. 본 발명 제1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정사각형 부분평면구조물들과 6개의 이등변삼각형 부분평면구조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촉부(220)는 내면(110)과 외면(120)을 가지는 평면구조물(100)로서 몸체부(2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다. 제1 접촉부(220)와 몸체부(210)가 이어진 부분에는 제1 접힘선(4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접촉부(220)는 제1 접힘선(420)에 의하여 내면(110) 또는 외면(120) 방향으로 접혀진다.
제2 접촉부(230)는 내면(110)과 외면(120)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제1 접촉부(220)와 인접하고 몸체부(2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다. 제2 접촉부(230)와 몸체부(210)가 이어진 부분에는 제2 접힘선(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접촉부(230)는 제2 접힘선(430)에 의하여 내면(110) 또는 외면(120) 방향으로 접혀진다.
이 때,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의 외면(221, 231)이 맞닿아 손잡이부(510)를 형성한 상태, 즉 사용 상태 시 사용자의 몸체가 위치하는 방향이 내면(110)이고, 비를 맞거나 햇빛을 받는 반대 방향이 외면(120)이다.
도 1에서 빗금이 없는 부분이 몸체부(210),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 방향으로 기울어진 빗금이 있는 부분이 제1 접촉부(220), 오른쪽 상단에서 왼쪽 하단 방향으로 기울어진 빗금이 있는 부분이 제2 접촉부(230)에 해당한다.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는 동일한 형태의 도형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도형일 수도 있으며, 제1 접촉부(220)의 일단과 제2 접촉부(230)의 일단은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는 각 등변사다리꼴이다.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의 평행하지 않는 한 쌍의 대변 중 한 변은 서로 연접하고,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의 평행하는 한 쌍의 대변 중 긴 변은 각각 제1 접힘선(420)과 제2 접힘선(430)으로 몸체부(210)와 연결되며,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는 연결되어 'V'자 형태를 형성한다.
도 1과 같이 몸체부(210),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경우, 본 발명은 카드섹션 응원도구, 방석, 깔개 등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 상태 시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의 외면(221, 231)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700)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700)를 이용할 경우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두 접촉부를 붙일 수 있어,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 사이로 비가 새지 않으며,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를 더욱 잘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700)는 단추, 벨크로, 똑딱이 단추, 고리 등 다양한 접착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제1 실시예에는 제1 접촉부(220), 제2 접촉부(230)에 똑딱이 단추 형태의 네 개의 고정부(700)가 구비된다. 이때, 사용 상태 시 마주보며 짝을 이루는 고정부(700) 한 쌍 중 하나는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다른 하나는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형태의 고정부(700)가 삽입홈 형태의 고정부(700)에 삽입됨으로써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가 서로 고정된다.
또한, 몸체부(21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빗물이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 한 부분에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따기 처리는 잘라진 모양이 삼각형이 되도록 꼭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위치하는 직선을 따라 잘라, 날카로운 꼭지점을 비스듬하게 깎는 처리를 말한다.
또한, 제1 접촉부(220) 및/또는 제2 접촉부(230)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홀(800)이 구비될 수 있다. 파지홀(800)은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제1 접촉부(220) 및/또는 제2 접촉부(230)의 일부분을 뚫은 부분으로, 파지홀(800)이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사용 상태 시 파지홀(800)에 일부 손가락을 통과시킨 후 버스 손잡이를 잡듯이 손잡이부(510)를 파지할 수 있어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를 집게와 같이 손가락으로 집어 사용하는 파지홀(800)이 없는 경우보다 손가락의 부담이 줄어듦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파지홀을 이용하여 손잡이부(510)를 파지할 경우 집게 형식으로 집는 경우보다 우산/양산을 더욱 강하게 지지할 수 있어 바람이 불 때에도 비 또는 햇빛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파지홀(800)은 장공 형태, 인체 손가락의 단면 형태, 지름이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는 다섯 개의 원 형태의 홀이 서로 일정 영역이 겹치면서 연속되는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에는 제1 접촉부(220), 제2 접촉부(230)의 중앙 부분에 장공 형태의 파지홀(80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2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라스틱, 비닐, 방수포, 폴리에스테르 등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수 재질로 형성되어 낙하하는 물, 비나 눈 등과 같은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210)는 상기의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낙하하는 수분 성분을 차폐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자외선 차단 물질이 포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2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야광물질을 입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야광물질을 이용하여 몸체부(210)에 광고를 삽입하여 판촉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우산의 경우 야광물질을 입히면 비가 내리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쉽게 눈에 띄어 교통사고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에는 몸체부(210)가 상기 우산/양산의 가림막(520)을 형성하는 경우, 즉 사용 상태 시 몸체부(210) 외면(12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몸체부(210) 외면(120)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김줄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당김줄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하기 도 7 및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다.
도 2는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몸체부(210), 제1 및 제2 접촉부(230)가 복수의 접힘선(410) 및/또는 제1 접힘선(420) 및/또는 제2 접힘선(430)을 따라 접혀 적어도 둘 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진 겹층평면구조물(300)을 형성한 상태, 즉 보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도 2 및 도 3의 순서대로 몸체부(210), 제1 및 제2 접촉부(230)를 복수의 접힘선(410) 및/또는 제1 접힘선(420) 및/또는 제2 접힘선(430)을 따라 내면측(110) 또는 외면측(120)으로 가력하여 부분평면구조물 또는 제1접촉부 또는 제2접촉부가 포개지도록 접는 경우,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은 도 4a 또는 도 4b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 또는 제1 접촉부(22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접촉부(230)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한 개의 층을 이루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겹층평면구조물(300)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 제1 실시예를 도 2, 도 3의 순서대로 접었을 경우, 각각 하나의 접힘선(410)을 경계로 이어진 정사각형 부분평면구조물과 이등변삼각형 부분평면구조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과 각각 하나의 이등변삼각형 부분평면구조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 총 네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세 부분 형성되고(300a, 300b, 300c)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가 각각 한 개의 층을 이루게 된다(300d). 따라서 본 발명 제1 실시예를 도 4a의 형태로 접었을 경우 14개 층을 가진 겹층평면구조물(300)이 형성된다.
도 4a 형태로 접혀진 본 발명을 상기 서로 이어진 정사각형 부분평면구조물과 이등변삼각형 부분평면구조물 사이의 접힘선(410)을 기준으로 한 번 더 접어 도 4b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총 28개 층을 가진 겹층평면구조물(3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겹층평면구조물(300)의 한 층은 상기 사다리꼴(정사각형 부분평면구조물과 이등변삼각형 부분평면구조물이 이어져 한 층을 이루는 경우 등), 이등변삼각형, 정사각형 형태 외에도 다양한 다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산살이 없어 도 4a, 도 4b와 같이 평평하고 단면적이 작은 겹층평면구조물(300)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평소에 본 발명을 가방이나 옷 등에 넣어 쉽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형태인 점을 이용하여 접힘선(410), 제1 접힘선(420) 및 제2 접힘선(430)이 모두 펴져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운동경기장이나 공연장 등에서 카드섹션 응원도구, 방석, 깔개 등 다양한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가 손잡이부(510)를 형성한 상태, 즉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의 외면(221, 231)이 서로 맞닿도록 제1 접힘선(420), 제2 접힘선(430)이 접혀져 몸체부(210)의 내면(110) 방향으로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가 손잡이부(510)를 형성하는 경우, 몸체부(210)는 더 이상 평면구조물(100) 형태를 유지할 수 없고 한 꼭지점을 중심으로 외면(120)이 내면(110) 방향으로 내려 앉아 우산/양산의 가림막(520) 역할을 하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의 외면(221, 231)을 서로 맞닿게 하면서 몸체부(210)의 외면(120)이 복수의 부분평면구조물로 이루어진 세 개의 평면 영역으로 나뉘어 내면(110) 방향으로 내려앉도록 제1 접힘선(420), 제2 접힘선(430), 그리고 일부 접힘선(410)들을 접은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접었을 경우 본 발명 제1 실시예는 3개의 평면이 옆면을 구성하고 밑면은 없는 삼각뿔 형태가 되고,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는 상기 삼각뿔 내부공간(530)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510)를 형성한다. 이 때 삼각뿔의 옆면을 구성하는 3개의 평면은 서로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을 이용하는 모습, 즉 우산/양산이 도 5와 같은 사용 상태일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손잡이부(510)를 파지한 후 머리 위에 우산/양산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가림막(520) 안쪽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530)에 위치하여 비 또는 햇빛을 피할 수 있다. 파지홀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파지홀을 이용하여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우산/양산의 사용 상태에 따른 당김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몸체부(210)에는 몸체부(210)가 상기 우산/양산의 가림막(520)을 형성하는 경우 몸체부(210)의 외면(12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몸체부(210)의 외면(120)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김줄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당김줄(910, 921, 922)은 몸체부(210)의 외면(120)을 가로지르는 제1 당김줄(910)과 일단은 제1 당김줄(9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210)의 외면(120)의 테두리 중 일부분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당김줄부(921, 92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당김줄(910, 921, 922)은 도 1과 같이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와 인접하면서도 몸체부(210)의 외면(120)을 가로지르는 제1 당김줄(910)과 서로 평행하면서 제1 당김줄(910)과 90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도록 일단은 제1 당김줄(9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210) 외면(120)의 테두리 중 일부분에 결합되는 두 개의 제2 당김줄부(921, 922)로 구성된다.
당김줄(910, 921, 922)은 당김줄(910, 921, 922)의 양 끝단 또는 한 끝단이 몸체부(210)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된 몸체부(210)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결합홀(931, 932, 933, 934)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몸체부(21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당김줄(910)의 일단은 제1 결합홀(931)에 삽입되어 통과한 후 인접한 몸체부(210)의 테두리 일부분을 두른 후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제1 결합홀(931)과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제2 결합홀(932)에 삽입되어 통과한 후 인접한 몸체부(210) 테두리의 일부분을 두른 후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제2 결합홀(932)과 결합될 수 있다. 두 제2 당김줄부(921, 922)의 각 일단은 상기와 같이 제3 결합홀(933), 제4 결합홀(934)과 각각 결합되고, 각 타단은 각각 제1 당김줄(910)과 연결되어 매듭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몸체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당김줄(910, 921, 922)이 몸체부(210)와 결합되는 방법, 결합되는 지점의 개수 및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김줄(910, 921, 922)은 본딩, 와이어를 통한 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이 사용 상태 형상인 경우, 당김줄(910, 921, 922)이 몸체부(210)에 가하는 힘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의 외면(221, 231)이 서로 맞닿아 몸체부(210)의 내면(110) 방향으로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가 손잡이부(510)를 형성하며 몸체부(210)의 외면(120)이 내면(110) 방향으로 내려 앉아 우산/양산의 가림막(520) 역할을 하는 형상, 즉 사용 상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몸체부(210)의 외면(120)과 접촉되게 위치하도록 몸체부(210)와 결합한 당김줄(910, 921, 922)은 몸체부(210)의 외면(120)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사용 상태 형상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비가 많이 오거나 바람이 불 경우에도 우산/양산의 사용 상태 형상이 쉽게 망가지지 않고 안정감 있게 유지되어 사용자는 비나 햇빛으로부터 머리 및 몸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당김줄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서처럼 평면구조물로서 펼쳐져 있는 경우의 당김줄 길이에 비해 도7 및 도8에서처럼 평면구조물이 우산/양산의 가림막(520) 역할을 위해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에의 당김줄 길이는 더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당김줄을 고무, 라텍스 등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면 몸체부(210)와 결합한 당김줄(910, 921, 922)은 몸체부(210)의 외면(120)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사용 상태 형상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함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물론, 당김줄에 탄성이 없는 경우도 적용가능하다. 즉, 도 1에서처럼 평면구조물로서 펼쳐져 있는 경우에는 당김줄의 양 끝단을 평면구조물에 모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두었다가(한 끝단만 연결하고), 도7 및 도8에서처럼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에 다른 끝단을 연결하여 사용 상태 형상의 변형을 막을 수도 있다.
제1 접촉부(220), 제2 접촉부(230)는 몸체부(2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질 수 있는데,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에 대한 세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시예 a는 제1 접촉부(220a) 및 제2 접촉부(230a)가 각각 몸체부(210)의 두 개의 정사각형 부분평면구조물과 이어진 경우로, 실시예 a의 제1 접촉부(220a) 및 제2 접촉부(230a)는 각각 빗금 부분 외곽 테두리를 경계로 하는(빗금 부분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실시예 b는 제1 접촉부(220b) 및 제2 접촉부(230b)가 각각 몸체부(210)의 한 개의 정사각형 부분평면구조물과 이어진 경우로, 실시예 b의 제1 접촉부(220b) 및 제2 접촉부(230b)는 빗금이 없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즉 실시예 a의 제1 접촉부(220a) 및 제2 접촉부(230a)에서 빗금부분을 제거한 후 남은 작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실시예 c는 제1 접촉부(220c) 및 제2 접촉부(230c)가 각각 몸체부(210)의 한 개의 정사각형 부분평면구조물의 일부와 이어진 경우로, 실시예 c의 제1 접촉부(220c) 및 제2 접촉부(230c)는 실시예 b의 제1 접촉부(220b) 및 제2 접촉부(230b)에서 점선 바깥 부분의 작은 이등변사각형을 제거한 후 남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도 9B는 상기 도 9A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 시 몸체부(210)의 외면(120)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외면(120) 방향에서 바라보는 형상은 제1 접촉부(220) 및 제2 접촉부(230) 형상과 상관없이 동일하다.
도 9C는 상기 도 9A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 시 몸체부(210)의 내면(11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510a는 실시예 a에 따른, 510b는 실시예 b에 따른, 510c는 실시예 c에 따른 손잡이부(510a, 510b, 510c)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 시 덮개(620)가 연접선(610)을 덮고 덮개(620)의 일부분이 덮개결합부(630)에 의하여 몸체부(210)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우산으로 사용할 경우, 손잡이부(510)를 형성하는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의 맞닿은 사이로 비가 샐 수 있다. 이때 제1 접힘선(420) 및 제2 접힘선(430)이 맞닿는 연접선(610)의 양편 중 어느 한편에 소정의 거리로 위치하여 연접선(610)을 덮을 수 있는 덮개(620)를 이용하여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 사이로 비가 새지 않도록 만들 수 있다.
덮개(620)는 연접선(610)과 연접선(610) 양편의 소정의 거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몸체부(210)에 실, 접착제 등으로 탈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단추, 벨크로, 똑딱이 단추, 고리, 자석 등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0은 실을 이용하여 점선 부분을 꿰맴으로써 탈착이 불가능하도록 덮개(620)를 몸체부(210)에 고정한 실시예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연접선(610)을 기준으로 덮개(620)가 고정된 위치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지점에 덮개(620)의 적어도 일부분을 몸체부(210)에 고정시키는 덮개결합부(630)가 구성될 수 있다. 덮개결합부(630)를 이용하여 고정되지 않은 덮개(620) 부분 또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우산을 움직이거나 바람이 불더라도 덮개(620)가 연접선(610)을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덮개결합부(630)는 단추, 벨크로, 똑딱이 단추, 고리, 자석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620) 및 덮개결합부(630)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700)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부(700)가 덮개(620) 및 덮개결합부(630)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를 보여준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평면구조물 110 : 내면
120 : 외면 210 : 몸체부
220, 220a, 220b, 220c : 제1 접촉부 221: 제 1접촉부 외면
230, 230a, 230b, 230c : 제2 접촉부 231: 제 2접촉부 외면
300 : 겹층평면구조물
300a, 300b, 300c, 300d: 겹층평면구조물 층
410 : 복수의 접힘선 420 : 제1 접힘선
430 : 제2 접힘선 510, 510a, 510b, 510c : 손잡이부
520 : 가림막 530 : 내부공간
610 : 연접선 620 : 덮개
630 : 덮개결합부 700 : 고정부
800 : 파지홀 910 : 제1 당김줄
921, 922 : 제2 당김줄부 931 : 제1 결합홀
932 : 제2 결합홀 933 : 제3 결합홀
934 : 제4 결합홀

Claims (12)

  1. 휴대용 접이식 우산에 있어서,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복수의 접힘선이 형성되고 복수의 접힘선에 의해 복수의 부분평면구조물로 구분되는 몸체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고,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1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인접하고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2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상기 복수의 접힘선 및/또는 상기 제1 접힘선 및/또는 제2 접힘선을 따라 접히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평면구조물 또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한 개의 층을 이루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겹층평면구조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가 우산의 가림막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에 따라 각각 하방으로 접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각각의 외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몸체부의 내면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이 맞닿는 연접선의 양편 중 어느 한편에 소정의 거리로 위치하여 연접선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덮개가 위치한 편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덮개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맞닿아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라스틱, 비닐, 방수포, 폴리에스테르 등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수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자외선 차단 물질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야광물질을 입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모따기 처리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및/또는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홀을 구비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10. 휴대용 접이식 우산에 있어서,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복수의 접힘선이 형성되고 복수의 접힘선에 의해 복수의 부분평면구조물로 구분되는 몸체부;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고,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1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평면구조물로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인접하고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평면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와 이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부와 이어진 부분에 제2 접힘선이 형성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상기 복수의 접힘선 및/또는 상기 제1 접힘선 및/또는 제2 접힘선을 따라 접히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평면구조물 또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한 개의 층을 이루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들로 이루어지는 겹층평면구조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가 우산의 가림막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에 따라 각각 하방으로 접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각각의 외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몸체부의 내면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가 상기 우산의 가림막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 외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몸체부 외면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김줄을 포함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은,
    상기 몸체부 외면을 가로지르는 제1 당김줄;
    일단은 제1 당김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 외면의 테두리 중 일부분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당김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접이식 우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은 고무, 라텍스 등 탄성을 가지는 소재인 것이 특징인 휴대용 접이식 우산.













KR1020140065624A 2014-05-30 2014-05-30 휴대용 접이식 우산 KR101594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624A KR101594675B1 (ko) 2014-05-30 2014-05-30 휴대용 접이식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624A KR101594675B1 (ko) 2014-05-30 2014-05-30 휴대용 접이식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63A KR20150137563A (ko) 2015-12-09
KR101594675B1 true KR101594675B1 (ko) 2016-02-16

Family

ID=5487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624A KR101594675B1 (ko) 2014-05-30 2014-05-30 휴대용 접이식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71U (ko) 2019-09-11 2021-03-19 경민수 지갑형 휴대용 우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679A (en) 1987-04-23 1989-04-11 Rex James R Disposable umbrella
JP3177242B2 (ja) * 1990-03-02 2001-06-18 イーエム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記憶装置における書込みオペレーション識別子の不揮発性メモリ記憶
JP4274386B1 (ja) * 2008-10-11 2009-06-03 道浩 森野 組立式簡易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3406A (ja) * 1988-08-30 1990-03-02 C Daburu J:Kk 板紙製折畳み傘
JP2729093B2 (ja) * 1989-12-07 1998-03-1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679A (en) 1987-04-23 1989-04-11 Rex James R Disposable umbrella
JP3177242B2 (ja) * 1990-03-02 2001-06-18 イーエム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記憶装置における書込みオペレーション識別子の不揮発性メモリ記憶
JP4274386B1 (ja) * 2008-10-11 2009-06-03 道浩 森野 組立式簡易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71U (ko) 2019-09-11 2021-03-19 경민수 지갑형 휴대용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63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0570U (ja) 逆折り式傘
KR101594675B1 (ko) 휴대용 접이식 우산
US9986776B2 (en) Fabric flower maker
US20150052662A1 (en) Foldable and Flexible Head Shade
US11278091B1 (en) Umbrella repair assembly
US4754773A (en) Disposable umbrella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212448U (ja) 傘袋
JP6159006B1 (ja) 柄付き円形扇子
JP2008062544A (ja) 粘着式紐状しおり
US20110269373A1 (en) Collapsible structures with carrying feature
JP2003129309A (ja) 簡易レインコート
US20170349321A1 (en) Packaging box
JP2004075088A (ja) 手袋つき袋
JP3119627U (ja)
JP5731583B2 (ja) 交差紐背負い袋
KR101364753B1 (ko) 모자우산
KR20180040109A (ko) 강화 스트립을 구비한 백용 잠금 클립
JP4601526B2 (ja) 傘布収束具
JP2018187279A (ja)
JPH0753653Y2 (ja) 野球用グラブの芯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野球用グラブ
CN204218174U (zh) 折叠包
KR101774881B1 (ko) 우산
JP3033536U (ja) 手提げ用紙袋
JP6511660B2 (ja) テント
KR20120000301U (ko) 묶음고정이 용이한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