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813B1 -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813B1
KR101593813B1 KR1020140098767A KR20140098767A KR101593813B1 KR 101593813 B1 KR101593813 B1 KR 101593813B1 KR 1020140098767 A KR1020140098767 A KR 1020140098767A KR 20140098767 A KR20140098767 A KR 20140098767A KR 101593813 B1 KR101593813 B1 KR 10159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witch
operating device
backward
vehicle sea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9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으로 회전 또는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는 휠 스위치; 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럼버서포트 또는 파워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파워시트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또는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에 파워시트를 구동시키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휠 스위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트 및 럼버서포트를 조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의 각 부분 즉, 시트 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 등에 구동장치를 적용하여 전동식으로 시트의 각 부분을 구동할 수 있는 전동식 시트에는 그러한 시트의 각 부분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가 전자직 스위치의 형태로 구비된다.
종래의 시트조작장치는 시트 형상의 돌출된 버튼을 다수 구비하고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시켜 승객이 원하는 대로 시트의 각 부분의 조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트 형상스위치는 복잡한 기구물로 구성되고, 모든 구동부를 형상화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고 복수의 스위치에 의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2736616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휠 버튼 스위치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파워시트 또는 럼버서포트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조작장치는 전후방으로 회전 또는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는 휠 스위치; 상기 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럼버서포트 또는 파워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럼버서포트는 시트백 내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럼버서포트는 내부 상단에 마련된 제1 플레이트, 내부 중앙에 마련된 제2 플레이트 또는 내부 하단에 마련된 제3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승객의 등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전방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하방으로 누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후방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럼버서포트에 포함된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경우 해당 플레이트는 상기 휠 스위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럼버서포트에 포함된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후, 상기 제어기는 상기 휠 스위치가 하방으로 누름 조작될 시 상기 럼버서포트의 이동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면, 상기 휠 스위치가 조작되는 시간 동안 상기 럼버서포트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파워시트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또는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기 파워시트를 구동시키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시트쿠션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1 터치센서, 시트백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2 터치센서 또는 헤드레스트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3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센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시트쿠션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센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시트백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리클라이닝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터치센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파워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경우 해당 파워시트는 상기 휠 스위치가 하방으로 누름 조작될 시 이동 제어가 종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조작장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하여 파워시트 또는 럼버스위치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트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구성을 휠 스위치와 터치센서로 단순화함으로써 승객이 직관적으로 차량의 파워시트 또는 럼버서포트를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휠 스위치만으로 시트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적용 개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조작장치의 럼버서포트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조작장치의 파워시트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조작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조작장치의 럼버서포트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조작장치의 파워시트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시트조작장치는 전후방으로 회전 또는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는 휠 스위치(100); 상기 휠 스위치(100)의 조작에 따라 럼버서포트(200) 또는 파워시트(500,600,70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휠 스위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또는 누름 조작가능하고 차량의 도어, 콘솔 또는 암레스트 등 설계자에 따라 운전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비치할 수 있다. 또한, 휠 스위치(100)의 회전량에 따라 럼버서포트(200) 또는 파워시트(500,600,700)의 구동시간이 조절되며, 미세조절 가능하도록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럼버서포트(200) 또는 파워시트(500,600,7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럼버서포트(20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파워시트(500,600,70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연결되고, 휠 스위치(100) 조작에 따라 이러한 구동장치들에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럼버서포트(200) 또는 파워시트(500,600,7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이때, 럼버서포트(200)는 시트백(500) 내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럼버서포트(200)는 내부 상단에 마련된 제1 플레이트(210), 내부 중앙에 마련된 제2 플레이트(220) 또는 내부 하단에 마련된 제3 플레이트(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승객의 등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제어되는,
즉, 럼버서포트(200)는 승객이 시트에 착석하였을 경우 승객의 등, 허리 측에 위치하도록 시트백(500) 내부의 하방에 마련된다. 특히, 럼버서포트(200)의 상부, 중앙 또는 하부의 전후방향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플레이트(210), 제2 플레이트(220) 또는 제3 플레이트(23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승객의 등 형상에 따른 알맞은 럼버서포트(200)의 전후방향 높낮이를 럼버서포트(2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휠 스위치(100)가 초기 조작 시 전방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의 이동을 제어하고, 휠 스위치(100)가 초기 조작 시 하방으로 누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이동을 제어하며, 휠 스위치(100)가 초기 조작 시 후방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3 플레이트(2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휠 스위치(100) 초기 조작시 휠 스위치(100)의 조작에 따라 럼버서포트(200)의 조작 위치를 상단, 중앙, 하단 중 하나를 선택설정하여 조작한다.
여기서, 휠 스위치(100)를 초기 조작하는 시점은 차량 시동 후 휠 스위치(100)를 처음으로 조작하기 시작한 시점 또는 휠 스위치(100)를 이용한 럼버스위치(200) 또는 파워시트(500,600,700)의 이동 제어가 종료된 후 처음으로 휠 스위치(100)를 조작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럼버서포트에 포함된 플레이트들(210,220,2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경우 해당 플레이트(210,220,230)는 상기 휠 스위치(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승객은 휠 스위치(100)의 초기 조작으로 럼버서포트(200)에 포함된 플레이트들(210,220,230)들 중 어느 하나의 제어를 선택한 후 휠 스위치(1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미세조절할 수 있다.
또한, 럼버서포트에 포함된 플레이트들(210,220,2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후, 상기 제어기(300)는 상기 휠 스위치(100)가 하방으로 누름 조작될 시 상기 럼버서포트(200)의 이동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즉, 휠 스위치(100)를 이용한 럼버서포트(200)의 이동 제어는 휠 스위치(100)가 초기 조작된 후 휠 스위치(100)를 하방으로 누름 조작하기 전까지 수행된다. 한편, 휠 스위치(100)가 초기 조작된 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휠 스위치(100)에 대한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제어가 종료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제어부(300)는 상기 휠 스위치(100)가 초기 조작 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면, 상기 휠 스위치(100)가 조작되는 시간 동안 상기 럼버서포트(200)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에는, 휠 스위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하방으로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승객이 누름 상태를 중단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럼버서포트(200)의 이동제어가 중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파워시트(500,600,700)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또는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파워시트(500,600,700)를 구동시키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부(400)는 시트쿠션(600)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1 터치센서(410), 시트백(500)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2 터치센서(420) 또는 헤드레스트(700)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3 터치센서(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트백(500), 시트쿠션(600) 또는 헤드레스트(700)의 일측면에 터치 또는 드래그가 가능한 센서부(400)가 각각 마련되어 승객이 파워시트(500,600,700) 중 조작을 원하는 구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제1 터치센서(410)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100)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시트쿠션(6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제2 터치센서(420)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100)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시트백(5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리클라이닝 이동시키며, 상기 제3 터치센서(430)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100)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헤드레스트(7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파워시트(500,600,70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경우 해당 파워시트(500,600,700)는 상기 휠 스위치가 하방으로 누름 조작될 시 이동 제어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승객에 의해 센서부(400)의 조작이 수행된 경우에는 휠 스위치(100)의 전후방 회전에 따라 파워시트(500,600,700)의 이동이 제어되고, 센서부(400)의 입력없이 휠 스위치(100)의 조작이 수행된 경우에는 휠 스위치(100)의 전후방 회전에 따라 럼버서포트(200)의 이동이 제어된다. 또는 휠 스위치(100)를 복수로 마련하여 파워시트(500,600,700) 또는 럼버서포트(2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조작장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하여 파워시트 또는 럼버스위치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트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구성을 휠 스위치와 터치센서로 단순화함으로써 승객이 직관적으로 차량의 파워시트 또는 럼버서포트를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휠 스위치만으로 시트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적용 개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휠 스위치 200 : 럼버서포트
210 : 제1 플레이트 220 : 제2 플레이트
230 : 제3 플레이트 300 : 제어부
400 : 센서부 410 : 제1 터치센서
420 : 제2 터치센서 430 : 제3 터치센서
500 : 시트백 600 : 시트쿠션
700 : 헤드레스트

Claims (14)

  1. 전후방으로 회전 또는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는 휠 스위치;
    상기 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럼버서포트 또는 파워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파워시트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또는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기 파워시트를 구동시키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럼버서포트는 시트백 내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럼버서포트는 내부 상단에 마련된 제1 플레이트, 내부 중앙에 마련된 제2 플레이트 또는 내부 하단에 마련된 제3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승객의 등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제어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전방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하방으로 누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후방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럼버서포트에 포함된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경우 해당 플레이트는 상기 휠 스위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럼버서포트에 포함된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 스위치가 하방으로 누름 조작될 시 상기 럼버서포트의 이동 제어를 종료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 스위치가 초기 조작 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면, 상기 휠 스위치가 조작되는 시간 동안 상기 럼버서포트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시트쿠션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1 터치센서, 시트백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2 터치센서 또는 헤드레스트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3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센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시트쿠션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센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시트백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리클라이닝 이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터치센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휠 스위치의 전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시작된 경우 해당 파워시트는 상기 휠 스위치가 하방으로 누름 조작될 시 이동 제어가 종료되는,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KR1020140098767A 2014-08-01 2014-08-01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KR101593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67A KR101593813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67A KR101593813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813B1 true KR101593813B1 (ko) 2016-02-15

Family

ID=5535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767A KR101593813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8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6435A (ja) 2013-01-15 2014-07-28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6435A (ja) 2013-01-15 2014-07-28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6833B1 (en) Interface for vehicle function control via touch screen
US10029585B2 (en) Vehicle seat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JP3257631B2 (ja) 自動乗物の少なくとも2つの要素の位置を調節するシステム
CN104972931B (zh) 用于声控座椅调节的系统和方法
JP611260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WO2018008508A1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JP2017210204A (ja) 車両用シート調節装置
CN110281859A (zh) 控制机动车辆座椅的电动可调腰部支撑件的操作者控制单元
EP2735469A1 (en) Vehicle seat part selection arrangement
CN104742761A (zh) 可自动调整状态的汽车座椅
KR101593813B1 (ko) 차량용 시트조작장치
JP6089797B2 (ja) 操作スイッチ
WO2017013900A1 (ja) 車両用シート
KR101818357B1 (ko) 차량 시트의 후석 레그서포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3244886A (ja) 車両用シート
JP2017149196A (ja) 車両のスイッチ部材
CN104943572A (zh) 车用座椅姿态调整装置和车用座椅
JP2011148450A (ja)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KR101409153B1 (ko) 속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조정 장치
CN109476233B (zh) 用于机动车的操作装置和借助操作装置操作机动车的方法
CN111038341A (zh) 电动座椅联动控制装置和方法
JP2020011538A (ja) 車両シート制御装置
JP2018016135A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JP2018008598A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