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413B1 -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413B1
KR101593413B1 KR1020140058173A KR20140058173A KR101593413B1 KR 101593413 B1 KR101593413 B1 KR 101593413B1 KR 1020140058173 A KR1020140058173 A KR 1020140058173A KR 20140058173 A KR20140058173 A KR 20140058173A KR 101593413 B1 KR101593413 B1 KR 10159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am
fastening
clip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628A (ko
Inventor
남상욱
Original Assignee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4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체결홀을 구비한 범퍼빔;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마운팅 클립; 상기 체결홀 주변에 덧대어지는 형태로 부착 고정되고, 상기 마운팅 클립에 선(先) 고정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상기 마운팅 클립이 고정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가 상기 범퍼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운팅 클립을 범퍼빔에 예속되지 않고 별개의 구조물로 고정케 함으로써 범퍼빔의 재질에 구속받지 않으므로 설계자유도가 증가되며, 고정구조를 더욱 더 튼실하게 할 수 있어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CLIP FIXING STRUCTURE FOR MOUNT BUMPER BEAM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빔의 재질, 성형성(성형자유도) 등과 무관하게 견고하고 정확히 체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범퍼 시스템은 자동차의 저속 충돌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자동차의 물리적인 손상을 최초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 전,후방에 배치되는 완충수단이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자동차용 범퍼빔 시스템은 범퍼커버(1)와 범퍼빔(2) 사이에 충격에너지의 흡수를 위한 에너지업소버(3)가 개재되며, 스테이(4)에 의해 범퍼빔(2)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자동차 충돌시 범퍼커버(1)로부터 전달된 충격은 먼저 에너지업소버(3)에서 탄성적으로 흡수된 후 다음 강성을 갖는 범퍼빔(2)에 의해 차단되며, 이를 통해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범퍼 시스템에 대한 법규는 매우 엄격하며, 특히 유럽 시장의 경우에는 요구사항이 매우 까다롭고 더 엄격하다.
이러한 범퍼빔(2)을 차체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도 2의 (a),(b)에서와 같이, 마운팅 클립(20)을 사용하게 되는데, 마운팅 클립(20)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범퍼빔(2)의 체결홀(H) 주변에 형성된 사각홀(30)과 결합편(32)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고정되고, 그 상태에서 볼트를 통해 차체와 조립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사각홀(30)과 결합편(32) 등을 성형할 수 있는 재질의 범퍼빔(2)에서만 가능하고, 성형이 어려운 재질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서와 같이, 범퍼빔(2)에 인서트너트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마운팅 클립(20)을 대체할 수 있는 체결구(20')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인서트 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한정될 뿐만 아니라, 원형이다 보니 체결시 체결구(20')가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여 체결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1. 등록특허 제0256721호 2. 공개특허 제1998-00851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범퍼빔의 재질과 상관없이 마운팅 클립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차체와의 조립성을 좋게 하게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결홀을 구비한 범퍼빔;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마운팅 클립; 상기 체결홀 주변에 덧대어지는 형태로 부착 고정되고, 상기 마운팅 클립에 선(先) 고정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상기 마운팅 클립이 고정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가 상기 범퍼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운팅 클립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곡된 부분 중 수직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마운팅 클립 보다 큰 체결유도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도홀의 일부에는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체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범퍼빔에 볼트, 나사, 리벳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체에는 고정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기준표시가 구비되고, 범퍼빔의 대응개소에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조립 체결시 상호 선(先) 맞춤을 통해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위치기준표시와 인디케이터는 암,수 조립 구조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준표시와 인디케이터는 돌기와 구멍 혹은 돌기와 홈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운팅 클립을 범퍼빔에 예속되지 않고 별개의 구조물로 고정케 함으로써 범퍼빔의 재질에 구속받지 않으므로 설계자유도가 증가되며, 고정구조를 더욱 더 튼실하게 할 수 있어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범퍼빔 시스템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범퍼빔 마운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는 마운팅 클립(100)을 범퍼빔(200)에 예속되지 않게 별개의 고정체(110)에 고정시킨 후 이 고정체(110)를 범퍼빔(200)에 체결함으로써 마운팅 클립(100)의 설계자유도를 현격히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때문에, 상기 범퍼빔(200)에는 기존과 동일한 체결 지점에 단순히 체결홀(H)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체결홀(H)과 대응되게 상기 마운팅 클립(100)에도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홀(Hole)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며, 이는 종래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 클립(100) 체결을 위해 상기 범퍼빔(200)이 특정재질이나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경우 다양한 재질의 범퍼빔(200)을 사용하더라도 체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설계자유도가 매우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운팅 클립(100) 체결을 위해 별도의 고정체(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체(110)가 상기 범퍼빔(200)에 부착될 대응개소의 형상대로 가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110)에는 상기 마운팅 클립(100)을 고정하기 위해 끼울 수 있는 체결유도홀(112)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유도홀(112)의 폭은 상기 마운팅 클립(100) 보다 커야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유도홀(112)의 일측에는 마운팅 클립(100)이 측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는 체결편(114)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114)은 상기 체결유도홀(112)의 가로 길이의 중앙쯤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마운팅 클립(100)이 끼워졌을 때 상기 마운팅 클립(100)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체결홀(H)과 일치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마운팅 클립(100)은 'ㄷ'형상으로서, 상기 체결편(114)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절곡된 부분 중 수직 부분에는 상기 체결편(114)의 두께보다 큰 슬릿(slit)(미도시)이 절개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조립되면 인서트 너트 형태가 아닌 클립 형태이므로 볼트 체결시 공회전이 방지되며, 조립성도 향상되고, 작업효율도 증대되는 장점을 얻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체(110)는 별개로 가공되는 것으로 체결부위의 형상에 맞춰 합성수지를 간단히 성형하면 된다.
때문에, 기존처럼 성형이 불가능한 일은 생기지 않으며, 성형이 쉽고 자유로워 설계 자유도가 증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체(110)은 별물로서 별도의 보강재 역할도 하게 되므로 볼트 체결부위의 강도도 향상된다.
다만, 별물 구성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저렴한 합성수지를 단순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가 상승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나아가 중대 증대의 개념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고정체(110)는 별도의 고정부재(116)를 통해 범퍼빔(200)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견고한 고정을 위해 볼트, 나사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리벳팅이 특히 바람직하다.
덧붙여, 고정체(110)의 고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초기 설치위치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위치기준표시(미도시)를 상기 고정체(110)에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기준표시와 대향되는 위치의 범퍼빔(200)에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기준표시와 인디케이터는 암,수형태의 대향 결합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돌기와 홈 혹은 돌기와 구멍 형태이다.
이렇게 하면, 조립 체결에 따른 시간을 더욱 더 단축할 수 있다.
100: 마운팅 클립 110: 고정체
200: 범퍼빔

Claims (6)

  1. 삭제
  2. 체결홀을 구비한 범퍼빔;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마운팅 클립; 상기 체결홀 주변에 덧대어지는 형태로 부착 고정되고, 상기 마운팅 클립에 선(先) 고정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상기 마운팅 클립이 고정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가 상기 범퍼빔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클립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곡된 부분 중 수직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마운팅 클립 보다 큰 체결유도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도홀의 일부에는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체결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범퍼빔에 볼트, 나사, 리벳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고정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기준표시가 구비되고, 범퍼빔의 대응개소에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조립 체결시 상호 선(先) 맞춤을 통해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준표시와 인디케이터는 암,수 조립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준표시와 인디케이터는 돌기와 구멍 혹은 돌기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KR1020140058173A 2014-05-15 2014-05-15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KR10159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73A KR101593413B1 (ko) 2014-05-15 2014-05-15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73A KR101593413B1 (ko) 2014-05-15 2014-05-15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628A KR20150132628A (ko) 2015-11-26
KR101593413B1 true KR101593413B1 (ko) 2016-02-15

Family

ID=5484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173A KR101593413B1 (ko) 2014-05-15 2014-05-15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4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440A (ja) 2004-02-16 2005-08-25 Nissan Motor Co Ltd バンパ取付構造
JP2006044308A (ja) * 2004-07-30 2006-02-16 Honda Motor Co Ltd バンパービームの組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440A (ja) 2004-02-16 2005-08-25 Nissan Motor Co Ltd バンパ取付構造
JP2006044308A (ja) * 2004-07-30 2006-02-16 Honda Motor Co Ltd バンパービームの組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628A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76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US9718394B2 (en) Headlight-affixing structure
US9688123B2 (en) Load transmission member
US1044237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8453946B2 (en) Front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WO2012062280A3 (de) Kühlergitter für ein kraftfahrzeug
US9738241B2 (en) Bumper absorber attachment structure
JP6369391B2 (ja) ポンプ保護部材
US20160023623A1 (en) Front-end module
KR101788134B1 (ko) 가혹한 내구평가 만족을 위한 언더커버 마운팅 강성 보완구조
JP6552527B2 (ja) 自動車の構造要素と機能要素のアセンブリ
US20160245148A1 (en) Device for Accommodating a Muffler for a Two-Wheel Vehicle
US9027683B2 (en) Elastically deformable air inlet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KR101593413B1 (ko) 자동차의 범퍼빔 마운팅용 클립 체결구조
KR20140030754A (ko) 차량용 에어가드 유닛과 그 제조방법
US20050093310A1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01964236B1 (ko) 자동차용 프런트 범퍼의 설치구조
KR101450608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브라켓 설치구조
US10894518B2 (en) Door trim
US11091140B2 (en) Holding assembly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JP2017088082A (ja) 車両用外装部品の衝撃吸収構造
KR10133804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EP3075578B1 (en) Towing pipe assembly
EP3426525B1 (en) Vehicle bumper cover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