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53B1 - 그무개 - Google Patents

그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53B1
KR101592153B1 KR1020150165345A KR20150165345A KR101592153B1 KR 101592153 B1 KR101592153 B1 KR 101592153B1 KR 1020150165345 A KR1020150165345 A KR 1020150165345A KR 20150165345 A KR20150165345 A KR 20150165345A KR 101592153 B1 KR101592153 B1 KR 10159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od
support body
present
displa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문
김재흥
Original Assignee
이준문
김재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문, 김재흥 filed Critical 이준문
Priority to KR102015016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9/00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8Straightedges with arrangements for attaching additional drawing equipment, e.g. for hatching, do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무개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에 이동로드(20)가 삽입되는 이동로드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윗면에는 고정볼트(12)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몸통(10)와; 상기 지지몸통(10)의 이동로드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통(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로드(20)와; 이동로드(20)의 우측 일단부에 형성된 조정축 설치공(25)에 삽입되고 상기 상기 지지몸통(10)의 조정축 체결공(13)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몸통(10)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이동로드(20)의 돌출부분 길이 L1을조정하는 미세 조정축(30)과; 상기 이동로드(20)의 좌측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목형(110)에 선을 표시하는 표시날물(40)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이동로드의 조정축 삽입공과 지지몸통의 조정축 삽입공에 동시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로드가 지지몸통의 이동로드 관통공을 통해 돌출하는 돌출부의 길이를 원하는 정밀도로 예를 들면 0.1 ㎜ 정밀도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그무개는 제1 실시예의 그무개 2개를 서로 수직으로 부착하여 목형에 수평과 수직으로 동시에 선을 그을 수 있다.

Description

그무개{marking gauge}
본 발명은 그무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를 이용하여 모형을 제작할 때 치수를 재거나 표시하여 목재의 자른면이 양호하도록 목재를 자르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목형의 윗면과 밑면 및 측면에 3차원으로 선을 표시할 수 있는 그무개에 관한 것이다.
기계부품이나 물품의 모형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목형을 만들 때에 치수를 표시하거나 길이를 측정하거나 선을 긋는데 그무개라는 공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일정치수를 그무개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눈금이 새겨진 일반자를 이용함으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오차발생에 의한 정확도가 떨어져 목형제조공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0905호에 그무개의 이동로드에 눈금을 구성시키고, 상기 눈금을 기준으로 일정치의 수축율을 갖는 눈금을 추가로 구성시키며, 상기 눈금들은 마그네틱선을 이용함으로써 몸체내부에 착설된 센서 및 마이컴에 의해 자동으로 수치절환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수치절환용 그무개"가 제안되었다.
도 1에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그무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가 도시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그무개는 중심부에 일정크기의 통공(1b)이 구비되며 일측부에는 스토퍼(1a)가 착설되어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10)에 구비된 통공(1b)의 근접부에 착설되며 이동로드 및 깊이 측정게이지(9)에 구비된 마그네틱선(8)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와, 상기 위치감지센서(4)에 접속되며 위치감지센서(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비교연산하는 마이컴(5)과, 상기 마이컴(5)에 접속되며 마이컴(5)으로부터 인가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6)와, 상기 마이컴(5)에 접속되며 디스플레이부(6)에 디스플레이된 치수를 제로 상태로 클리어시키는 영점버튼(1c)과, 상기 몸체(1)에 구비된 홀(1b)에 삽설되며 좌우 이동하는 이동로드(2)와, 상기 이동로드(2)의 일측부에 착설되며, 각각의 재질에 해당하는 다종의 눈금이 구비되는 마그네틱선(8)과, 상기 이동로드(2)의 일측끝단에 착설되는 돌기(3)와, 상기 마이컴(5)에 접속되며 측정할 각 재질에 따른 눈금을 선택하는 선택버튼(7)과, 상기 이동로드(2)의 돌기(3)와 반대방향인 반대측 끝단에 설치되며 깊이 등을 측정하는 깊이측정게이지(9)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그무개는 몸체내부에 착설된 센서 및 마이컴에 의해 자동으로 수치절환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하지만, 마이콤과 디스플레이 등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단가 높고 외부충격에 약하여 고장이 자주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0905호(1998.06.17. 등록)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448호(2003.12.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의 자른면이 양호하도록 목재를 자르는 것이 가능하고, 미세 조정축을 이동로드와 평행하게 설치하여 미세 조정축의 나사 피치에 따라 원하는 정밀도로 이동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그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무개 2개를 서로 수직으로 부착하여 목형에 수평과 수직으로 동시에 선을 그을 수 있는 그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무개의 지지몸통에 상하로 평행하게 2개의 상,하부 이동로드를 삽입하고 하부 이동로드에 설치되는 하부 표시날물은 거꾸로 설치함으로써 목형의 윗면과 아랫면에 동시에 선을 표시할 수 있는 그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상,하부 이동로드가 설치된 그무개의 상부 이동로드의 좌측단부에 그무개를 수직으로 부착하여 상부 표시날물과 하부 표시날물 사이에 삽입되는 목형에 윗면과 아랫면 그리고 목형의 측면에 선을 3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는 그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의 그무개는 중심부에 이동로드가 삽입되는 이동로드 관통공이 형성되며 윗면에는 상기 이동로드를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몸통과; 상기 지지몸통의 이동로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통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로드와; 상기 이동로드의 우측 일단부에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된 조정축 설치공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몸통의 조정축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몸통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이동로드의 돌출부분 길이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축과; 상기 이동로드의 좌측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목형에 선을 표시하는 표시날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구멍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고정구멍의 나사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로드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세조정축에 의해 이동로드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로드 관통공에서 관통되어 돌출된 돌출부분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표시날물에 의해 목형의 원하는 부분에 일정하게 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로드의 일단부에 후방으로 "ㄱ"자 형태로 꺾여져 돌출되어 꺽임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꺽임 돌출부에는 미세 조정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세 조정축은 상기 이동로드의 조정축 삽입공과 지지몸통의 조정축 삽입공에 동시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로드가 지지몸통의 이동로드 관통공을 통해 돌출하는 돌추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로드의 윗면에는 길이를 잴수 있는 눈금자가 꺽임 돌출부에서부터 표시날물까지 형성되어 상기 표시날물부터 상기 지지몸통까지 돌출부분의 길이를 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로드의 타단부 윗면에는 상기 표시날물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표시날물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로드의 돌출부분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날물의 표시날로 목형에 선을 그어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세 조정축은 상기 이동로드의 길이보다 긴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나사부에서 나사부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조정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미세 조정축은 이동로드의 조정축 삽입공과 상기 지지몸통의 조정축 삽입공에 동시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로드가 지지몸통의 이동로드 관통공을 통해 돌출하는 돌출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그무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그무개 2개를 서로 수직으로 부착하여 목형에 수평과 수직으로 선을 그을 수 있도록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개의 그무개 중 하나의 이동로드의 일단부에 2번째 그무개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로드에 대해 수직으로 전,후방 그무개 설치대를 형성하고 상기 2번째 그무개의 지지몸통의 밑면을 전,후방 그무개 설치대에 부착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그무개는 상하로 평행하게 2개의 상,하부 이동로드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몸통과; 상기 상,하부 이동로드 관통공에 삽입되는 상,하부 이동로드와; 상기 상,하부 이동로드의 일단부에 돌출된 돌출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몸통의 조정축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몸통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상,하부 이동로드의 돌출부분 길이를 각각 조정하는 미세 조정축과; 상기 상부 이동로드의 타단 돌출부에 설치되는 상부 표시날물과; 상기 하부 이동로드의 타단 돌출부에 거꾸로 설치되는 하부 표시날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몸통의 윗면과 밑면에는 상부 이동로드와 하부 이동로드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상부 고정볼트와 하부 고정볼트가 고정구멍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하부 이동로드를 가압하여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그무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그무개를 상기 제 3 실시예의 그무개를 구성하는 상부 이동로드의 일단 돌출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이동로드에 대해 수직으로 전,후방 그무개 설치대를 부착하고 상기 제 1 실시예의 그무개의 지지몸통의 밑면을 상기 전,후방 그무개 설치대에 부착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그무개는 이동로드의 조정축 삽입공과 지지몸통의 조정축 삽입공에 동시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로드가 지지몸통의 이동로드 관통공을 통해 돌출하는 돌출부의 길이를 원하는 정밀도로 예를 들면 0.1 ㎜ 정밀도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그무개는 제1 실시예의 그무개 2개를 서로 수직으로 부착하여 목형에 수평과 수직으로 동시에 선을 그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그무개는 지지몸통에 상하로 평행하게 2개의 상,하부 이동로드가 삽입되고 하부 이동로드에 설치되는 하부 표시날물은 거꾸로 설치되어 목형의 윗면과 아랫면에 동시에 상부 표시날물과 하부 표시날물에 의해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그무개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의 상부 이동로드의 좌측단부에 제 1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를 부착하여 제 3 실시예의 상부 표시날물과 하부 표시날물 사이에 삽입되는 목형은 윗면과 아랫면 및 측면에 3 차원으로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그무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그무개의 제1 실시예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그무개의 제1 실시예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4와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그무개에 다른 그무개를 수직으로 조립 전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해 이동로드와 미세조정축을 각각 2개 구비한 그무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그무개를 제 2 실시예의 그무개에 설치된 상부 이동로드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부착시킨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그무개의 제1 실시예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 에 본 발명에 의한 그무개의 제1 실시예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무개(100)는 중심부에 이동로드(20)가 삽입되는 이동로드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윗면에는 고정볼트(12)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몸통(10)와; 상기 지지몸통(10)의 이동로드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통(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로드(20)와; 이동로드(20)의 우측 일단부에 형성된 조정축 설치공(25)에 삽입되고 상기 상기 지지몸통(10)의 조정축 체결공(13)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몸통(10)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이동로드(20)의 돌출부분 길이 L1을조정하는 미세 조정축(30)과; 상기 이동로드(20)의 좌측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목형(110)에 선을 표시하는 표시날물(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몸통(10)과 이동로드(20)는 서로 직각관계이며, 이동로드(20)와 표시날물(40)은 서로 직각관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몸통(10)은 좌,우 폭이 좁은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좌우로 관통된 사각형태의 이동로드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이동로드(20)가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몸통(10)의 윗면에는 상기 이동로드 관통공(11)에 삽입된 이동로드(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2)가 고정구멍(12a)을 통해 삽입되며, 고정구멍(12a)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고정볼트(12)가 고정구멍(12a)의 나사에 체결되어 오른나사인 경우 오른쪽으로 돌려 이동로드(2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동로드 관통공(11)의 맞은편 근방에 지지몸통(10)을 좌우로 관통하는 조정축 삽입공(13)이 형성되어 미세 조정축(30)이 삽입되고, 조정축 삽입공(13)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미세 조정축(30)의 나사와 체결되어 미세 조정축(30)의 회전에 따라 미세 조정축(30)이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로드(2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미세조정축(30)에 의해 이동로드(20)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이동로드 관통공(11)에서 관통되어 돌출된 돌출부분의 길이 L1을 조정하여 표시날물(40)의 표시날(41)에 의해 목형(110)의 원하는 부분에 일정하게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로드(20)는 좌,우로 길게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통(10)의 이동로드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면은 이동로드 관통공(11)의 형태와 동일하여 이동로드(20)가 지지몸통(10)의 이동로드 관통공(11)에 꼭 맞게 삽입된다.
이동로드(20)의 우측단부에 후방(그무개(100)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ㄱ"자 형태로 꺽어져 길이 L2 만큼 꺾여져 돌출되어 꺽임 돌출부(21)를 형성하고 있으며, 꺽임 돌출부(21)에는 미세 조정축(30)이 삽입되는 조정축 삽입공(25)이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 조정축(30)은 이동로드(20)의 조정축 삽입공(25)과 지지몸통(10)의 조정축 삽입공(13)에 동시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로드(20)가 지지몸통(10)의 이동로드 관통공(11)을 통해 돌출하는 돌추부의 길이 L1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동로드(20)의 윗면에는 길이를 잴수 있는 눈금자(22)가 꺽임 돌출부(21)에서부터 표시날물(40)까지 형성되어 표시날물(40)부터 지지몸통(10)까지 돌출부분의 길이 L1이 얼마나 되는지 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로드(20)의 좌측 단부 윗면에는 표시날물(4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표시날물 삽입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로드(20)의 표시날물(40)부터 지지몸통(10)까지 돌출부분의 길이 L1을 원하는 길이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날물(40)의 표시날(41)로 목형(110)에 선을 그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 조정축(30)은 이동로드(20)의 길이 L0 보다 긴 나사부(31)를 가지며 나사부(31)에서 우측으로 길이 L3 만큼 연장되어 조정 손잡이(32)가 형성된다. 미세 조정축(30)은 이동로드(20)의 조정축 삽입공(25)과 지지몸통(10)의 조정축 삽입공(13)에 동시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로드(20)가 지지몸통(10)의 이동로드 관통공(11)을 통해 돌출하는 돌출부의 길이 L1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미세 조정축(30)의 나사부(31)는 나사의 피치 간격을 0.5㎝ 로 형성하면 미세 조정축(30)의 오른쪽 1회전에 의해 이동로드 관통공(11)에서 관통되어 돌출된 돌출부분의 길이 L1을 0.5㎝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왼쪽으로 1회전에 의해 이동로드 관통공(11)에서 관통되어 돌출된 돌출부분의 길이 L1을 0.5㎝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부(31)는 나사의 피치 간격을 더 미세하게(예를 들면 0.1 ㎜) 로 설정하면 미세 조정축(30)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1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로드 관통공(11)에서 관통되어 돌출된 돌출부분의 길이 L1을 미세하게(예를 들면 0.1 ㎜ 씩) 조정할 수 있다.
도 4와 도 5 에 본 발명에 의한 그무개에 다른 그무개를 수직으로 조립 전후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그무개(300)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100) 2개를 서로 수직으로 부착하여 목형에 수평과 수직으로 선을 그을 수 있도록 조립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그무개(300)는 제 1 그무개(100)의 이동로드(20)의 좌측단부에 제 2 그무개(2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이동로드(20)에 대해 수직으로 전,후방 그무개 설치대(26, 27)를 형성하고 각각에 상하로 나사구멍(26a, 26b)(27a, 27b)을 형성하여 제 2 그무개(200)의 지지몸통(10)의 밑면을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부착하여 제작한다.
제 1 그무개(100)의 이동로드(20)와 제2 그무개(200)의 이동로드(20)는 수직을 이루며, 제 1 그무개(100)의 이동로드(20)에 제 2 그무개(200)의 지지몸통(10)이 부착되므로 제 1 그무개(100)의 이동로드(20)를 이동시킴에 따라 제 2 그무개(200)도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제 1 그무개(100)로 목형의 제 1 면(예를 들면 윗면)에 제 1 선을 긋고 제 2 그무개(200)로 제 1 면에 대해 수직인 제 2 면(좌,우측면 및 전,후측면 등)에 제 2 선을 정확하게 그을 수 있다.
또한 제 1 그무개(100)의 미세조정축(30)을 조정하면 제 1 면 에 대해 수직이면서 서로 평행하고 계단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 면(좌,우측면 및 전,후측면 등)에 제 2 선을 정확하게 그을 수 있다.
도 6에 본 발명에 의해 이동로드와 미세조정축을 각각 2개 구비한 그무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그무개(400)는 지지몸통(60)에 상하로 평행하게 2개의 상,하부 이동로드 관통공(61, 6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이동로드 관통공(6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 이동로드(20)에 설치되는 하부 표시날물(40)은 거꾸로 설치된다.
지지몸통(60)의 윗면과 밑면에는 상부 이동로드(20)와 하부 이동로드(20)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고정볼트(12)와 하부 고정볼트(12)가 고정구멍(12a)을 통해 삽입되어 상,하부 이동로드(20, 20)를 가압하여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상,하부 미세 조정축(30, 30)은 상,하부 이동로드(20, 20)의 조정축 삽입공(25)과 지지몸통(60)의 상,하부 조정축 삽입공(63, 64)에 동시에 각각 체결되어 각각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상,하부 이동로드(20, 20)가 지지몸통(60)의 상,하부 이동로드 관통공(61, 62)을 통해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상부 이동로드(20)와 하부 이동로드(20)에 설치되는 상부 표시날물(40)과 하부 표시날물(40)은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 표시날물(40)과 하부 표시날물(40) 사이에 삽입되는 목형(110)은 윗면과 아랫면에 동시에 상부 표시날물(40)과 하부 표시날물(40)에 의해 선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미세조정축(30)과 하부 미세조정축(30)을 서로 다르게 조정하여 목형(110)의 윗면과 아랫면에 표시되는 선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고, 상부 미세조정축(30)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부 미세조정축(30)을 조정하여 목형(110)의 밑면에 다수의 평행한 선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하부 미세조정축(30)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 미세조정축(30)을 조정하여 목형(110)의 윗면에 다수의 평행한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그무개를 제 3 실시예의 그무개에 설치된 상부 이동로드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부착시킨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그무개(500)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400)의 상부 이동로드(20)의 좌측단부에 제 1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1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부 이동로드(20)에 대해 수직으로 전,후방 그무개 설치대(26, 27)를 형성하고 각각에 상하로 나사구멍(26a, 26b)(27a, 27b)을 형성하여 제 1 실시예의 그무개(100)의 지지몸통(10)의 밑면을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부착하여 제작한다.
제 1 실시예의 그무개(100)의 이동로드(20)와 제 3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400)의 상,하부 이동로드(20, 20)는 서로 수직을 이루며, 제 3 실시예의 그무개(400)의 상부 이동로드(20)에 제 1 실시예의 그무개(100)의 지지몸통(10)이 부착되므로 제 3 실시예의 그무개(400)의 상부 이동로드(20)를 이동시킴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그무개(100)도 함께 이동한다.
제 3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400)의 상부 이동로드(20)와 하부 이동로드(20)에 설치되는 상부 표시날물(40)과 하부 표시날물(40)은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 표시날물(40)과 하부 표시날물(40) 사이에 삽입되는 목형(110)은 윗면과 아랫면에 동시에 상부 표시날물(40)과 하부 표시날물(40)에 의해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그무개(100)의 표시날물(40)이 상기 목형(110)의 측면에 선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400)의 상부 이동로드(20)에 설치된 표시날물(40)에 의해 목형의 제 1 면(예를 들면 윗면)에 제 1 선을 긋고 제 3 실시예에 의한 그무개(400)의 하부 이동로드(20)에 설치된 표시날물(40)에 의해 제 1 면에 대해 평행한 제 2 면(밑면)에 제 2 선을 정확하게 그을 수 있으며, 동시에 목형의 측면에도 제 1 실시예의 그무개(100)의 표시날물(40)이 선을 표시함으로써 3차원으로 목형에 선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지지몸통 11: 이동로드 관통공
12: 고정볼트 13: 조정축 삽입공
20: 이동로드 21: 꺽임 돌출부
22: 눈금자 23: 표시날물 삽입공
25: 조정축 삽입공 30: 미세 조정축
31: 나사부 32: 조정 손잡이
40: 표시날물 41: 표시날
60: 지지몸통 61,62: 상,하부 이동로드 관통공
63,64: 상,하부 조정축 삽입공
100, 200, 300, 400, 500: 그무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하로 평행하게 2개의 상,하부 이동로드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몸통과;
    상기 상,하부 이동로드 관통공에 삽입되는 상,하부 이동로드와;
    상기 상,하부 이동로드의 일단부에 돌출된 돌출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몸통의 조정축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몸통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상,하부 이동로드의 돌출부분 길이를 각각 조정하는 미세 조정축과;
    상기 상부 이동로드의 타단 돌출부에 설치되는 상부 표시날물과;
    상기 하부 이동로드의 타단 돌출부에 거꾸로 설치되는 하부 표시날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무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65345A 2015-11-25 2015-11-25 그무개 KR10159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45A KR101592153B1 (ko) 2015-11-25 2015-11-25 그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45A KR101592153B1 (ko) 2015-11-25 2015-11-25 그무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153B1 true KR101592153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45A KR101592153B1 (ko) 2015-11-25 2015-11-25 그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04U (ko) 2020-01-03 2021-07-13 우익동 정밀 측정 눈금자를 구비하는 그무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448Y1 (ko) 2003-09-17 2003-12-18 김완배 눈금자가 형성된 그무개
KR200443230Y1 (ko) 2007-07-26 2009-01-28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설치용 포스트에의 스터드볼트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448Y1 (ko) 2003-09-17 2003-12-18 김완배 눈금자가 형성된 그무개
KR200443230Y1 (ko) 2007-07-26 2009-01-28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설치용 포스트에의 스터드볼트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04U (ko) 2020-01-03 2021-07-13 우익동 정밀 측정 눈금자를 구비하는 그무개
KR200496104Y1 (ko) * 2020-01-03 2022-11-01 우익동 정밀 측정 눈금자를 구비하는 그무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8185A (en) Leveling tool
CN105806197B (zh) 一种壁板类零件弯曲及翘曲变形量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KR20120110526A (ko) 인장시험편 표점거리 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표점거리 표시방법
KR101592153B1 (ko) 그무개
CN2870513Y (zh) 一种肩斜度测量尺
CN105387790A (zh) 一种测头可变换的测厚仪及测试方法
CN215338115U (zh) 面差测量工具和测量装置
JP2021517075A (ja) マークまたは切断するプロセスを補助するためのツール
US8522445B1 (en) Marking gauge for electronic measurement and display
CN113405503A (zh) 一种多功能测量仪
KR20180107493A (ko) 두께 측정장치
KR200336448Y1 (ko) 눈금자가 형성된 그무개
JPH0415401B2 (ko)
CN215177622U (zh) 一种多功能测量仪
JP7012335B2 (ja) 曲げ角度測定装置
CN115218746A (zh) 一种线镗机刀具伸出量的测量方法及装置
KR102451083B1 (ko) 가변형 조기대
JP6936951B2 (ja) 曲げ角度測定装置
CN203418903U (zh) 量具
CN207050626U (zh) 厚度测量装置及测量组件
CN214748085U (zh) 一种用于趋近式测量仪表的探头校准仪
CN209727079U (zh) 一种用于刮板细度计的检定装置
KR200473240Y1 (ko) 엔드바 길이 측정장치
US1001986A (en) Protractor surface-gage.
KR10049212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