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567B1 -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 Google Patents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567B1
KR101591567B1 KR1020130080685A KR20130080685A KR101591567B1 KR 101591567 B1 KR101591567 B1 KR 101591567B1 KR 1020130080685 A KR1020130080685 A KR 1020130080685A KR 20130080685 A KR20130080685 A KR 20130080685A KR 101591567 B1 KR101591567 B1 KR 10159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container
hot water
temperatur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986A (ko
Inventor
정주양
Original Assignee
정주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양 filed Critical 정주양
Priority to KR102013008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5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주, 발아, 청국장 등 발효식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 벽체로 이루어지되 외부와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통풍구가 형성되고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온수를 통해 높이기 위한 가열수단과,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냉수를 통해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과, 컨테이너 내부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수단 및,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여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기 설정온도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Fermentation equipment using hot and cold water}
본 발명은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주, 발아, 청국장 등 발효식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주는 곰팡이에 의하여 발효 숙성되고 청국장은 균에 의하여 발효되며 엿기름 등의 발아는 습도와 온도 조건이 맞으면 싹을 틔우게 된다.
특히 청국장의 경우에는 균이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발효에 필요한 온도와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균이 최적의 환경에서 왕성히 활동해야 단시간에 이미 이취가 없는 최상의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다.
청국장은 균에 의하여 발효되므로 외부 환경에 극히 민감하여 계절에 따른 발효조건의 불안정화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88394호(등록일자 2006. 6. 2)에는 밀폐용 도어를 가지며 외부 환경조건의 영향을 차단하는 단열구조의 밀폐형 케이스에 습도조절장치와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밀폐형 케이스 내부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청국장 발효를 위한 최적의 환경조건을 조성하여 빠른 시간 내에 최상 품질의 청국장을 제조하고, 또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청국장 발효기가 개시된다.
동 공보를 참조하면 종래 청국장 발효기는, 단열벽은 내벽과 외벽의 중간부에 단열재가 충진된 삼중벽으로 구성되고 바닥면에 매설되어 있으며 일단부가 측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와 연결된 도관에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통풍구멍이 형성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밀폐용 도어가 결합된 밀폐형 케이스; 밀폐형 케이스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습도조절장치 및; 밀폐형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밀폐형 케이스의 일측벽에는 가습구멍이 형성되는데, 밀폐형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가습장치의 외측면에 형성된 도출된 습기 배출구가 가습구멍에 삽입되고, 가습장치의 본체는 밀폐형 케이스의 외벽에 나사 결합되며, 이때 습기 배출구는 밀폐형 케이스의 벽 두께보다 길게 형성하여 결합시 밀폐형 케이스의 내부로 약간 돌출됨으로써 이 배출구를 통해 밀폐형 케이스의 내부에 필요한 가습을 하게 되는데, 가습장치는 밀폐형 케이스 내부의 습도조건에 따라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밀폐형 케이스 내부의 벽면에는 온도조절장치의 일부로 가열장치인 히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는데, 밀폐형 케이스의 각 벽면에 히터의 상부와 하부의 굴곡을 잡아주는 고정구를 결합시켜 히터를 고정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종래 청국장 발효기는 온도조절장치를 통하여 밀폐형 케이스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가습장치를 통하여 밀폐형 케이스 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발효과정에서 나타나는 과온 현상을 효과적으로 냉각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청국장의 발효는 40~45℃ 온도조건에서 48~7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데, 균이 왕성하게 활동할 때에는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온도가 60~70℃를 상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청국장 발효기는 청국장의 발효가 개시될 수 있도록 밀폐형 케이스 내의 온도를 적정온도(40~45℃)로 상승시킬 수 있으나 균의 왕성한 활동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이를 적정온도로 냉각 제어할 수 없어 고온에 의해 청국장이 과숙되어 청국장 고유의 맛과 향이 아닌 이미 이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주, 발아, 청국장 등 발효식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청국장의 발효과정에서 나타나는 과온 현상을 효과적으로 냉각 제어하여 이미 이취가 없는 청국장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열 벽체로 이루어지되 외부와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통풍구가 형성되고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온수를 통해 높이기 위한 가열수단과,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냉수를 통해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과, 컨테이너 내부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수단 및,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여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기 설정온도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된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의 가열수단은 컨테이너 바닥에 배설되고 외부로 연장 형성된 온수배관과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보일러 및 생성된 온수를 온수배관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 순환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냉각수단은 컨테이너 내측 벽과 천장에 배설되고 외부로 연장 형성된 냉수배관과 냉수를 담수하기 위한 냉수탱크 및 담수된 냉수를 냉수배관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수 순환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가습수단은 컨테이너 바닥으로 냉수를 일부 흘려보내 온수배관의 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냉수배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배수밸브와 컨테이너 바닥에 잔류하는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과습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바닥에 천공된 배수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컨트롤러는 온도센서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고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온수 순환펌프를 오프시켜 온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이어서 냉수순환펌프를 구동시켜 냉수를 흘려보내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를 기 설정온도로 낮추는 한편 배수밸브를 통해 냉수를 일부 흘려보내 온수배관의 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켜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의 냉각수단은 냉수탱크에서 출수된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냉수배관이 경유하는 보조 냉수탱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의 통풍구는 컨테이너 후벽 하부에 천공된 공기 유입공과 컨테이너 천정에 천공된 공기 배출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주, 발아, 청국장 등 발효식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국장의 발효과정에서 나타나는 과온 현상을 효과적으로 냉각 제어하여 이미 이취가 없는 청국장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는 크게 단열 벽체로 이루어지되 외부와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통풍구(1)가 형성되고 도어(2)에 의해 개폐되는 컨테이너(10)와,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온수를 통해 높이기 위한 가열수단(20)과,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냉수를 통해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30)과, 컨테이너(10)의 내부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수단(40) 및,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여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를 기 설정온도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0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컨테이너(10)는 샌드위치패널 등의 단열 벽체로 양호하게 제작되고, 컨테이너의 전면에 마련된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컨테이너(10)는 발효시 필요로 하는 산소공급과 외기와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통풍구(1)가 형성된다.
가열수단(20)은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온수배관을 배설하여 온수의 흐름을 통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현된다.
냉각수단(30)은 컨테이너(10)의 내부에 냉수배관을 배설하여 냉수의 흐름을 통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구현된다.
가습수단(40)은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발효시 필요로 하는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컨트롤러(100)는 온수배관 내에 온수가 흐르도록 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높이고, 냉수배관 내에 냉수가 흐르도록 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낮춤으로써 발효시 필요로 하는 온도 조건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컨트롤러(100)에 의해 온수배관 내로 온수가 흐름으로써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컨테이너(10)의 내부는 온수에 의한 가열과 삶은 콩 등 발효대상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에 의하여 적정 온도와 습도를 갖는 발효환경이 조성된다.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균의 왕성한 활동으로 발효대상물 자체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발효시 필요로 하는 적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100)는 온수배관 내의 온수 흐름을 차단하고 냉수배관을 통해 냉수가 흐르도록 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발효시 필요로 하는 적정 온도로 낮춘다.
물론, 컨테이너(10)의 내부 습도는 가습수단(40)에 의해 수증기가 공급됨으로써 발효시 필요로 하는 적정 습도를 유지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00)는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온·냉수 순환펌프를 구동 제어하거나 온·냉수배관에 설치된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온도센서를 통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발효개시 후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습장치(40) 역시 컨테이너(10)의 내부 습도를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수증기를 공급하거나 발효개시 후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초기에는 온수에 의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삶은 콩 등 발효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균의 활발한 활동으로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러(100)에 의해 온수가 차단되고 냉수가 흘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로 낮춰져 과숙으로 인한 발효대상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의 가열수단(20)은 컨테이너(10) 바닥에 배설되고 외부로 연장 형성된 온수배관(21)과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보일러(22) 및 생성된 온수를 온수배관(21)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 순환펌프(23)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온수배관(21)은 플라스틱 재질의 엑셀관으로 양호하게 구현되고 컨테이너(10) 바닥에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로 형태로 배설된다.
온수보일러(22)는 온수의 흐름에 따라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70~80℃의 온수를 생성한다.
온수 순환펌프(23)는 온수보일러(22)에서 생성된 온수를 온수배관(21)을 통해 강제로 순환시키게 되는데, 온수 순환펌프(23)의 온/오프에 따라 온수의 흐름이 조절된다. 물론 온수 순환펌프(23)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전자밸브(미도시)가 온수배관(21)에 설치되어 전자밸브의 개폐에 따라 온수의 흐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온수 순환펌프(23)의 구동으로 온수 보일러(22)에 의해 생성된 온수가 컨테이너(10) 내부 바닥에 배설된 온수배관(21)을 따라 흐름으로써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냉각수단(30)은 컨테이너(10) 내측 벽과 천장에 배설되고 외부로 연장 형성된 냉수배관(31), 냉수를 담수하기 위한 냉수탱크(32) 및 담수된 냉수를 냉수배관(31)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수 순환펌프(33)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냉수배관(31)은 플라스틱 재질의 엑셀관으로 양호하게 구현되고 컨테이너(10) 내측 벽(좌·우 측벽, 후벽을 포함한다)과 천장에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로 형태로 배설되어 행거 핀(3)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냉수배관(31)은 컨테이너(10) 벽면에 매립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공지의 수단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냉수탱크(32)는 냉각기에 의해 생성된 냉수 또는 지하수를 냉수로 사용하고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로트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된다. 따라서 냉수탱크(32) 내의 수위가 내려갈 경우 플로트 스위치의 작동으로 냉수탱크(32) 내로 지하수 등의 냉수가 유입되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냉수 순환펌프(33)는 냉수탱크(32)에 담수된 냉수를 냉수배관(31)을 통해 강제로 순환시키게 되는데, 냉수 순환펌프(33)의 온/오프에 따라 냉수의 흐름이 조절된다. 물론 냉수 순환펌프(33)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전자밸브(미도시)가 냉수배관(31)에 설치되어 전자밸브의 개폐에 따라 냉수의 흐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냉수 순환펌프(33)의 구동으로 냉수탱크(32)에 담수된 냉수가 컨테이너(10)의 내측 벽과 천장에 배설된 냉수배관(31)을 따라 흐름으로써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컨트롤러(100)는 온도센서(50)를 통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고 기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온수 순환펌프(23)와 냉수 순환펌프(33)를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발효에 필요한 적정온도로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00)는 온도센서(50)를 통해 검출된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온수 순환펌프(23)를 오프시켜 온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이어서 냉수 순환펌프(33)를 구동시켜 냉수를 흘려보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기 설정온도로 낮추게 된다.
다음, 상기의 냉각수단(30)은 냉수탱크(32)에서 출수된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냉수배관(31)이 경유하는 보조 냉수탱크(34)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냉수가 컨테이너(10)의 내측 벽과 천장에 배설된 냉수배관(31)을 따라 흐르게 되면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기와의 열 교환이 이루어져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낮아지는 대신 냉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냉수의 순환이 계속하여 이루어질 경우 컨테이너(10)를 거쳐 냉수탱크(32)로 유입되는 냉수에 의해 냉수탱크(32) 내의 냉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32)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냉수가 담긴 보조 냉수탱크(34) 내에 냉수배관(31)을 코일 형태로 배치하고, 냉수탱크(32)로부터 출수된 냉수가 보조 냉수탱크(34)를 경유하여 열 교환을 통해 냉수의 온도를 낮춰 냉각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가열수단(20)은 컨테이너(10) 바닥에 배설된 온수배관(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냉각수단(30)은 컨테이너(10) 내측 벽과 천장에 배설된 냉수배관(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가습수단(40)은 컨테이너(10) 바닥으로 냉수를 일부 흘려보내 온수배관(21)의 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냉수배관(31) 소정 위치에 설치된 배수밸브(41) 및 상기의 컨테이너(10) 바닥에 잔류하는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컨트롤러(100)에 의해 온수배관(21) 내로 온수가 흐름으로써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100) 내부는 삶은 콩 등 발효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발효 초기에는 온수에 의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삶은 콩 등 발효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균의 활발한 활동으로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러(100)에 의해 온수의 흐름이 차단되고 냉수배관(31) 내로 냉수가 흘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로 낮춰지게 된다.
또한, 냉수배관(31)을 따라 흐르는 냉수 일부가 배수밸브(41)를 통해 컨테이너(10) 바닥으로 흐르고, 온수배관(21)의 열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하여 컨테이너(10) 내부에 가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컨테이너(10) 내부는 발효에 필요한 적정 온도와 습도로 유지되는 등 일정한 발효환경이 조성된다.
그리고 컨테이너(10) 바닥에 잔류하는 냉수는 배수공(4)을 통해 컨테이너(10)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컨테이너(10) 내부의 과습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컨트롤러(100)는 온도센서(50)를 통해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거나 설정된 시간에 따라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의 통풍구(1)는 컨테이너(10) 후벽 하부에 천공된 공기 유입공(1a)과 컨테이너(10) 천정에 천공된 공기 배출공(1b)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10)의 내부 바닥에 온수배관(21)이 배설되고, 컨테이너(10)의 내측 벽과 천장에 냉수배관(31)이 배설된다.
따라서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균의 활발한 활동으로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러(100)에 의해 온수의 흐름이 차단되고 냉수배관(31)에 냉수가 흐르게 되어 냉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컨테이너(10) 상측 공기가 하부로 이동하고 컨테이너(10) 바닥 근처의 더운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컨테이너(10) 후벽 하부에 천공된 공기 유입공(1a)으로 찬 공기가 유입되고, 컨테이너(10) 천정에 천공된 공기 배출공(1b)을 통해 컨테이너(10)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더욱 활발하게 대류현상이 일어나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되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10)의 내부에는 삶을 콩 등 발효대상물을 바구니에 담아 적재할 수 있도록 여러 단으로 이루어진 선반(5)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효기는 청국장 외에도 컨테이너(10)의 내부 온도 및 습도 조절을 통하여 메주, 엿기름 등의 발아에도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다.
1 : 통풍구
1a: 공기 유입공
1b: 공기 배출공
2 : 도어
3 : 행거 핀
4 : 배수공
5 : 선반
10: 컨테이너
20: 가열수단
21: 온수배관
22: 온수보일러
23: 온수 순환펌프
30: 냉각수단
31: 냉수배관
32: 냉수탱크
33: 냉수 순환펌프
34: 보조 냉수탱크
40: 가습수단
41: 배수밸브
50: 온도센서
100: 컨트롤러

Claims (5)

  1. 단열 벽체로 이루어지되 외부와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통풍구가 형성되고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온수를 통해 높이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냉수를 통해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과,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수단 및, 상기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기 설정온도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된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컨테이너 바닥에 배설되고 외부로 연장 형성된 온수배관과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보일러 및 생성된 온수를 상기 온수배관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 순환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컨테이너 내측 벽과 천장에 배설되고 외부로 연장 형성된 냉수배관과 냉수를 담수하기 위한 냉수탱크 및 담수된 냉수를 상기 냉수배관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수 순환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습수단은 상기 컨테이너 바닥으로 냉수를 일부 흘려보내 상기 온수배관의 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수배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배수밸브와 상기 컨테이너 바닥에 잔류하는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과습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 바닥에 천공된 배수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온수 순환펌프를 오프시켜 온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이어서 상기 냉수순환펌프를 구동시켜 냉수를 흘려보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를 기 설정온도로 낮추는 한편 상기 배수밸브를 통해 냉수를 일부 흘려보내 상기 온수배관의 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켜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냉수탱크에서 출수된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수배관이 경유하는 보조 냉수탱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상기 컨테이너 후벽 하부에 천공된 공기 유입공과 상기 컨테이너 천정에 천공된 공기 배출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KR1020130080685A 2013-07-10 2013-07-10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KR10159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685A KR101591567B1 (ko) 2013-07-10 2013-07-10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685A KR101591567B1 (ko) 2013-07-10 2013-07-10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986A KR20150006986A (ko) 2015-01-20
KR101591567B1 true KR101591567B1 (ko) 2016-02-04

Family

ID=5257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685A KR101591567B1 (ko) 2013-07-10 2013-07-10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671A (ko) 2020-02-21 2021-08-31 홍정민 곡물발효기 및 이를 이용한 곡물 발효방법과 상기 발효방법에 의해 발효된 곡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43Y1 (ko) 1998-05-14 2000-11-01 김강권 버섯재배사의 환기 및 온습도·탄산가스 환경조절장치
KR100588394B1 (ko) * 2005-05-09 2006-06-09 최진태 청국장발효기
KR101132345B1 (ko) 2009-05-13 2012-04-05 김영식 발효온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43Y1 (ko) 1998-05-14 2000-11-01 김강권 버섯재배사의 환기 및 온습도·탄산가스 환경조절장치
KR100588394B1 (ko) * 2005-05-09 2006-06-09 최진태 청국장발효기
KR101132345B1 (ko) 2009-05-13 2012-04-05 김영식 발효온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671A (ko) 2020-02-21 2021-08-31 홍정민 곡물발효기 및 이를 이용한 곡물 발효방법과 상기 발효방법에 의해 발효된 곡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986A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13429B (zh) 空调器杀菌方法及空调器
KR101707045B1 (ko) 유리온실 냉난방시스템
KR100541207B1 (ko) 농산물 저온저장고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KR100934094B1 (ko) 온실용 공기온도 조절장치
KR20100067156A (ko) 온실용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열교환 시스템
KR101591567B1 (ko) 온·냉수를 이용한 발효기
CN111685577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98338B1 (ko) 발효식품 제조 장치
KR200403920Y1 (ko) 고추 건조기
KR101012675B1 (ko) 양만장 내부의 용존산소량 및 실온 보정장치
KR101692008B1 (ko)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CN206575950U (zh) 一种农业大棚自动控温装置
KR20170079662A (ko)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20100002954U (ko) 버섯배지 살균 및 발효 시스템
KR200351095Y1 (ko) 침수식 콩나물 재배기
CN210532599U (zh) 一种节水节能高效智能调节加湿装置
CN210930935U (zh) 具备加湿功能的食材热处理装置
CN110074013B (zh) 一种具有自动控温功能的全自动鹌鹑孵化装置
KR102087400B1 (ko) 축사용 환기 냉/난방 제어시스템
KR20170107234A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및 멸균 시스템
CN219756543U (zh) 一种调温加湿设备及恒温恒湿车间
KR101661167B1 (ko) 에너지 절감형 버섯 재배장치 및 방법
CN107006641A (zh) 一种茶叶发酵用换气式恒温恒湿箱
KR20200002543A (ko) 이중 팬코일부 및 살균소독부를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4

Effective date: 201512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