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008B1 -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Google Patents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008B1 KR101692008B1 KR1020160099638A KR20160099638A KR101692008B1 KR 101692008 B1 KR101692008 B1 KR 101692008B1 KR 1020160099638 A KR1020160099638 A KR 1020160099638A KR 20160099638 A KR20160099638 A KR 20160099638A KR 101692008 B1 KR101692008 B1 KR 1016920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air
- path
- housing
-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22—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내측 하우징(111)과 외측 하우징(113)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냉각유로(114)를 포함하는 제1 경로와,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환기부(115)를 통하여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를 거쳐 상기 냉각유로(114)로 연통되는 제2 경로의 개폐를 각각 제어하는 구조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는 유로제어부(120)가,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연통시키는 제1 작동상태;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간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간을 연통시키는 제2 작동상태;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 및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간의 연통 정도를 상호 반비례하도록 제어하는 제3 작동상태; 및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폐쇄시키는 제4 작동상태;로 작동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돈농장의 축사용 사료저장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후 약 10주 동안 성장되는 자돈의 배합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에 관한 것이다.
돼지의 성장은 자돈기, 육성기 및 비육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돈기는 포유기로부터 무게 약 30kg 전후까지 생장하는 시기로서 생후 약 10주까지를 이른다. 자돈은 생후 약 7일령을 전후하여 반드시 입질사료를 급여하여야 하며, 생후 7일령을 전후하여 입질사료를 급여하는 경우 이유 후 사료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으로 사료 섭취량 및 성장율이 빨라 진다. 이 때 입질사료는 소량씩 자주 급여하여 특히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육성기는 무게 약 30kg 내지 50kg 전후로서 육성기 돼지의 성장속도는 사료섭취량 보다 훨씬 높으며, 높은 아미노산을 공급하더라도 그 아미노산을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충분하지 못하면 정육 생산에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므로 최대의 성장효과를 위해서는 고에너지사료를 적용한다.
비육기는 무게 약 50kg 내지 110kg 전후로서생체중 50kg 이후부터는 지방 축적량이 점차 증가하므로, 이때에도 육성돈 사료를 계속 급여하면 출하일령은 약간 단축되나 kg증체당 사료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체등급 하락에 의해 오히려 농가이윤이 감소한다.
돼지는 이와 같은 생육과정을 통하여 생산되며, 각 시기마다 적절한 배합사료를 통하여 생육상태 및 생산효율을 최적화시키게 된다. 특히 자돈의 경우 스트레스 및 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시기이며, 배합사료의 신선도 또한 매우 중요하다.
도 1에 종래의 사료 저장소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료저장조(10p)는 내부에 사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p)을 구비하고, 하우징(100p)은 지지부(310)를 통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된 상태로 지지된다. 사용자는 사료 투입구(110p)를 통하여 배합 사료 등을 일시에 투입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배출부(190)를 통하여 배합사료를 인출하여 돼지 등의 가축들에게 공급한다.
이때 일반적인 사료저장조(10p)는 보온효과로 인하여 외부의 온도에 비하여 높게 상승하게 되어 내부에 저장된 배합 사료가 변질될 수 있으며, 주변의 습도 조건에 따라 이러한 부패 속도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돈 용 배합사료를 보관하는 저장소의 경우에도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저장된 배합사료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변질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주변의 습도 및 온도 등의 환경에 따라 냉각 및 환기의 공기 순환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 저장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환경을 이용하여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사료 저장조를 제공한다.
내측 하우징(111)과 외측 하우징(113)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냉각유로(114)를 포함하는 제1 경로와,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환기부(115)를 통하여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를 거쳐 상기 냉각유로(114)로 연통되는 제2 경로의 개폐를 각각 제어하는 구조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는 유로제어부(120)가,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연통시키는 제1 작동상태;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간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간을 연통시키는 제2 작동상태;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 및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간의 연통 정도를 상호 반비례하도록 제어하는 제3 작동상태; 및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폐쇄시키는 제4 작동상태;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외측 하우징(1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유로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냉각유로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 유출입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하우징(111)은 내부에 상기 배합사료의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와 상기 냉각유로(114)를 연통시키는 제2 연통홀(h3)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부(115)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관통된 형상의 관통구(h4)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제어부(120)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 유출입부(h1)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로(114)와 연통되는 제1 연통부(h2)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환기부(115)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유로제어부 하우징(129); 상기 유로제어부 하우징(129)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제어부 하우징(129)의 내부와 상기 환기부(115)의 내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조절공(P2)이 형성되는 제2 가로막이 부재(123); 상기 유로제어부 하우징(129)의 내측 공간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부를 관통하는 제1 조절공(P1)이 형성되는 제1 가로막이 부재(124); 및 상기 유로제어부(120)는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회전 실린더부(12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승하여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통부(h2)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를 모두 개방시키고, 상기 제2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통부(h2)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경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경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제3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연통부(h2)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의 간격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의 일부를 각각 개방시키고, 상기 제4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공(p1)과 상기 제2 조절공(P2)이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 경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출입부 및 상기 제2 유출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를 상하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부(1203, 13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1203, 135)는, 대기 온도가 상기 배합사료의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에 비하여 높은 경우 상기 제1 유출입부 및 상기 제2 유출입부 중 부근의 온도가 낮은 공기를 유입시키고, 대기 온도가 상기 배합사료의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에 비하여 높은 경우 상기 제1 유출입부 및 상기 제2 유출입부 중 부근의 온도가 높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1203, 135)는, 하절기 일조시간에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하절기 일몰시간에는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동절기 일조시간에는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동절기 일몰시간에는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부(115)는 하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h4)는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h4)는 상기 배합사료의 최대 저장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저장조를 이용하는 경우 하절기에는 사료 저장조 내부에 존재하는 고습·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배제함으로써 사료의 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료의 고온부패를 억제할 수 있어 비타민을 포함한 필수영양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 저장조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순환과 사료 저장조 내부의 환기를 위한 공기의 순환을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사료의 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절기에는 저장조 벽면 내외에 결로가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사료 저장조에 장입된 사료의 괴상화(덩어리로 변하는 현상)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료저장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절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유로제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유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외측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절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유로제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유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외측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료저장조(10)는 하우징(100), 지지부(310), 사료 배출구(190), 사료 투입구(110), 유로 제어부(120) 및 제2 유출입부(13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배합사료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배합사료를 하우징(100)의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합사료를 사료 배출구(190)를 통하여 유출시킨 후 자돈에 공급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하우징(10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의 구성들을 그대로 도입할 수 있으며, 지지부(310)의 구성 및 연결관계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사다리(330)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사료 투입구(110)에 접근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유로 제어부(120)를 중심으로 사료 저장조의 냉각 구조 및 환기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의 구체적인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용 사료저장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절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유로제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의 하우징은 내측 하우징(111)과 외측 하우징(113)을 포함한다.
내측 하우징(111)은 내부에 상기 배합사료의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내측 하우징(111)은 개폐 가능한 사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연통되어 있으며 관리자는 사료 투입구(110)를 개방한 후 배합사료를 투입하여 내측 하우징(111)의 내측에 배합사료를 저장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3)은 내측 하우징(1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내측 하우징(111)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즉, 외측 하우징(113)은 내측 하우징(111)의 외부에 구비되어 전체 하우징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 하우징(111)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내측 하우징(111)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각유로(114)라 정의한다.
냉각유로(114)는 제1 연통부(h2)를 통하여 후술할 유로 제어부(120)와 연통되며, 내측 하우징(111)의 상부에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연통홀 (h3)을 통하여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115)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환기부(115)에는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관통하는 관통구(h4)가 다수 형성된다. 환기부(115)는 유로 제어부(120)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하우징(111)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구비되며, 환기부(115)의 길이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길게 배치된다. 환기부(115)는 후술할 유로 제어부(120)와 연통되고,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와 연통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환기부(115)의 하단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부(115)의 하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 배합 사료가 배출되지 못하고 장기간 환기부(115) 내에 보존됨으로써 부패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h4)는 환기부(115)의 길이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관통구(h4)는 적어도 배합사료의 최대 저장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출입부(130)는 외측 하우징(113)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상술한 냉각유로(114)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냉각유로(114)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유출입부(130)는 상술한 냉각유로(114)와 연통되는 제2 유출입 유로(131)를 구비하며, 제2 유출입 유로(131)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 송풍부(135)를 포함한다.
제2 송풍부(135)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정방향 회전이라 함은 냉각유로(114)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역방향 회전이라 함은 냉각유로(114)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2 송풍부(135)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함으로써 공기의 순환 방향을 바꾸게 된다.
유로 제어부(120)는 제1 유출입부(h1)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의 유로들을 각각 연통시키거나 폐쇄시킴으로써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유로 제어부(120)는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을 구비한다.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의 상단부는 외측 하우징(113)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의 하단부는 내측 하우징(111)의 내측으로 위치하고 앞서 설명한 환기부(115)와 연결된다.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은 환기부(115)와 연통됨으로써 내부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유로 제어부(120)의 측면에는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관통된 형상의 제1 연통부(h2)가 다수 형성된다. 제1 연통부(h2)를 통하여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와 냉각 유로(114)가 연통된다.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의 상부에는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제1 유출입부(h1)가 형성된다. 제1 유출입부(h1)의 상부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1201)가 구비된다.
커버부(1201)의 하부에는 회전 실린더부(121)가 구비된다. 회전 실린더부(121)는 제1 송풍부(1203)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승강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부이다.
제1 송풍부(1203)는 제1 유출입부(h1)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제1 유출입부(h1)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구성부이다. 제1 송풍부(1203)는 앞서 설명한 제2 송풍부(135)와 마찬가지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제1 송풍부(1203)는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송풍부(135)와 함께 외부의 공기를 제1 유출입부(h1)를 통하여 유입시켜 제2 유출입부(13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송풍부(1203)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송풍부(135)와 함께 외부의 공기를 제2 유출입부(130)를 통하여 유입시켜 제1 유출입부(h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로막이 부재(124)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가로막이 부재(124)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의 제1 조절공(P1)이 형성된다. 제1 조절공(P1)은 일주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가로막이 부재(123)는 상술한 제1 가로막이 부재(12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가로막이 부재(123)는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의 저면에 위치한다. 즉, 제2 가로막이 부재(123)는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과 환기부(115)가 형성하는 유로를 가로막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에 형성된 제2 조절공(P2)을 통하여 유로가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제1 가로막이 부재(1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실린더부(121)에 의하여 승강(D1)하거나 회전(D2)한다. 제1 가로막이 부재(124)는 승강함에 따라 제1 연통부(h2)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제1 연통부(h2)의 일부만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제2 가로막이 부재(123)의 상부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제1조절공(P1)과 제2 조절공(P2)의 위치에 따라 유로가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조절공(P1)과 제2 조절공(P2)의 겹치는 경우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의 내부와 환기부(115)의 내부가 연통되며, 반대로 제1 조절공(P1)과 제2 조절공(P2)이 어긋나도록 하는 경우 유로 제어부 하우징(129)의 내부와 환기부(115)의 내부가 연통되지 못함으로써 유로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료 저장조는 2가지의 공기의 이동 경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출입부(h1), 유로 제어부(120)의 내부 공간, 제1 연통부(h2), 냉각유로(114) 및 제2 유출입부(130)로 이어지는 제1 경로가 구비되며, 유로 제어부(120), 환기부(115),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 제2 연통홀(h3) 및 냉각유로(114)로 이어지는 제2 경로가 구비된다.
제1 경로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내측 하우징(111)과 외측 하우징(113)의 사이로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하우징(111)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경로이며, 제2 경로는 일부의 공기를 내측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사료가 저장되는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환기를 시키기 위한 경로이다. 유로 제어부(120)는 이러한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의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냉각순환과 환기순환을 시키게 된다.
한편, 외측 하우징(113)은 내측 하우징(111)의 외측에 빔부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부에 의한 작동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유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는 4가지의 유로 형성을 하기 위한 유로 제어부의 작동 상태와 2가지의 공기 순환 방향의 조합에 의하여 총 8가지의 공기 순환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유로 제어부(120)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이 4가지를 포함한다.
제1 작동상태에서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유출입부(h1)와 냉각유로(114) 간을 연통시키고,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연통시킨다. 즉, 제1 작동상태에서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최 상단으로 이동하여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통부(h2)를 개방시킴으로써 상술한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모두 개방시킨다.
제2 작동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출입부(h1)와 냉각유로(114)간을 폐쇄시키고, 제1 유출입부(h1)와 환기부(115)간을 연통시킨다. 즉, 제2 작동상태에서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이동하여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연통부(h2)를 폐쇄시킴으로써 상술한 제1 경로를 폐쇄하고 제2 경로를 개방시킨다.
제3 작동상태에서는 제1 유출입부(h1)와 냉각유로(114) 간 및 제1 유출입부(h1)와 환기부(115)간의 연통 정도를 상호 반비례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3 작동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이동하여 제1 연통부(h2)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의 간격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의 일부를 각각 개방시킨다. 이 경우 제1 경로의 유로의 단면적 넓이가 증가하면 제2 경로의 유로의 단면적 넓이가 줄어드는 반비례 관계가 된다.
제4 작동상태에서는 제1 유출입부(h1)와 냉각유로(114)간을 연통시키고, 제1 유출입부(h1)와 환기부(115) 간을 폐쇄시킨다. 즉, 제4 작동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조절공(p1)과 제2 조절공(P2)이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제1 경로를 개방시키고 제2 경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작동상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작동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조절공(p1)과 제2 조절공(P2)이 겹치도록 함으로써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모두 개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로 제어부(120)에 따른 4가지 작동 상태와 송풍부에 따른 2가지의 바람의 방향을 조합하여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공기 순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온도가 상기 배합사료의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에 비하여 높은 경우 송풍부는 제1 유출입부 및 제2 유출입부 중 부근의 온도가 낮은 공기를 유입시키고, 대기 온도가 상기 배합사료의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에 비하여 높은 경우 상기 제1 유출입부 및 상기 제2 유출입부 중 부근의 온도가 높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온도의 높낮이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나, 계절 및 시간에 따라 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송풍부는 하절기 일조시간에 제1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하절기 일몰시간에는 제2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동절기 일조시간에는 제2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동절기 일몰시간에는 제1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순환의 방향과 더불어 습도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단순히 하우징의 냉각만 수행할 것인 것 또는 냉각과 더불어 하우징 내부의 환기까지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개폐함으로써 다양한 공기 순환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습도가 높아서 내측 하우징의 환기가 불리한 경우에는 제2 경로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공기 순화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하우징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외측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한편, 외측 하우징은 순환 공기의 습기 제거를 위한 기능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하우징의 상부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의 외측 하우징(113b)를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빔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빔부재(115)는 내측 하우징(111)과 외측 하우징(113)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 하우징(111)과 외측 하우징(113)을 고정시킨다. 빔부재(115)는 길이 방향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내측 하우징(11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외측 하우징(113b)은 투습 지지층(1131b), 투습 단열층(1132b) 및 흡습층(1133b)을 포함한다.
투습 지지층(1131b)는 최 내곽층을 형성하고, 빔부재(115)에 연결되어 외측 하우징(113b) 자체의 형상을 형성한다. 투습 지지층(1131b)은 내외측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구(1135)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습 단열층(1132b)는 외측 하우징 지지체(1131b)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투습이 가능한 단열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습 단열층(1132b)는 재료 자체의 투습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종래의 단열재에 공기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투습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습층(1133b)은 단열층(1132b)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흡습층(1133b)은 예를 들어 고흡수성 폴리머 재질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흡습층(1133b)은 새벽이나 우천 시 외부의 습기를 흡수하여 일조 시간에 외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습층(1133b)은 투습 지지층(1131b)와 투습 단열층(1132b)을 통하여 냉각 유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여름의 일조 시간에는 흡습층(1133b)이 햇빛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물을 상부로 증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흡습층(1133b)은 냉각 유로 내의 공기로부터 습기를 흡수하게 되며, 이는 일조 시간이 지속되는 동안 반복된다. 즉,
일반농가의 경우 외부온도가 32일 때 사료통내 온도는 50 이상으로 올라가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사료저장조 내의 온도는 30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고온 다습한 환경 하에서의 곰팡이균에 의한 사료의 부패 및 가스발생을 예방하고 사료의 저장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자돈농장용 배합사료저장조
100: 하우징
110: 사료투입부
111: 내측 하우징
113: 외측 하우징
130: 제2 유출입부
120: 유로제어부
310: 지지부
123: 제2 가로막이 부재
124: 제1 가로막이 부재
1131b: 투습 지지층
1132b: 투습 단열층
1133b: 흡습층
100: 하우징
110: 사료투입부
111: 내측 하우징
113: 외측 하우징
130: 제2 유출입부
120: 유로제어부
310: 지지부
123: 제2 가로막이 부재
124: 제1 가로막이 부재
1131b: 투습 지지층
1132b: 투습 단열층
1133b: 흡습층
Claims (10)
- 배합사료가 저장되는 내측 하우징(111)과 상기 내측 하우징을 둘러 싸는 외측 하우징(113)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냉각유로(114)를 포함하는 제1 경로와,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환기부(115)를 통하여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를 거쳐 상기 냉각유로(114)로 연통되는 제2 경로의 개폐를 각각 제어하는 구조로서,
유로제어부(120)가,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연통시키는 제1 작동상태;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연통시키는 제2 작동상태;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 및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의 연통 정도를 상호 반비례하도록 제어하는 제3 작동상태; 및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냉각유로(114) 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유출입부(h1)와 상기 환기부(115) 간을 폐쇄시키는 제4 작동상태;로 작동되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1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유로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냉각유로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 유출입부(130);가 구비되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111)은 내부에 상기 배합사료의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내부와 상기 냉각유로(114)를 연통시키는 제2 연통홀(h3)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부(115)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관통된 형상의 관통구(h4)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111)의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구비되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제어부(120)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 유출입부(h1)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로(114)와 연통되는 제1 연통부(h2)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환기부(115)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유로제어부 하우징(129);
상기 유로제어부 하우징(129)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제어부 하우징(129)의 내부와 상기 환기부(115)의 내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조절공(P2)이 형성되는 제2 가로막이 부재(123);
상기 유로제어부 하우징(129)의 내측 공간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부를 관통하는 제1 조절공(P1)이 형성되는 제1 가로막이 부재(124); 및
상기 유로제어부(120)는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회전 실린더부(12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승하여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통부(h2)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를 모두 개방시키고,
상기 제2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통부(h2)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경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경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제3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연통부(h2)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의 간격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의 일부를 각각 개방시키고,
상기 제4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막이 부재(124)가 상기 제2 가로막이 부재(123)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공(p1)과 상기 제2 조절공(P2)이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 경로를 폐쇄시키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입부 및 상기 제2 유출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를 상하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부(1203, 135)를 구비하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1203, 135)는,
대기 온도가 상기 배합사료의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에 비하여 높은 경우 상기 제1 유출입부 및 상기 제2 유출입부 중 부근의 온도가 낮은 공기를 유입시키고,
대기 온도가 상기 배합사료의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에 비하여 높은 경우 상기 제1 유출입부 및 상기 제2 유출입부 중 부근의 온도가 높은 공기를 유입시키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1203, 135)는,
하절기 일조시간에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하절기 일몰시간에는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동절기 일조시간에는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고,
동절기 일몰시간에는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115)는 하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115)는 방사상으로 관통된 관통구(h4)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h4)는 외주면의 일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h4)는 상기 배합사료의 최대 저장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자돈농장 축사용 사료저장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638A KR101692008B1 (ko) | 2016-08-04 | 2016-08-04 |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638A KR101692008B1 (ko) | 2016-08-04 | 2016-08-04 |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2008B1 true KR101692008B1 (ko) | 2017-01-03 |
Family
ID=5779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9638A KR101692008B1 (ko) | 2016-08-04 | 2016-08-04 |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00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72303A (zh) * | 2017-07-13 | 2017-11-24 | 怀宁县牧之金畜禽实业有限责任公司 | 一种食用型乳猪的养殖方法 |
CN108184450A (zh) * | 2018-03-19 | 2018-06-22 | 河南工业大学 | 大直径立筒仓通风降温系统和方法 |
CN112567985A (zh) * | 2020-12-16 | 2021-03-30 | 湖北盛琪达工程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多级排湿散热结构的批式循环谷物干燥粮仓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1210Y1 (ko) * | 2000-02-24 | 2000-08-16 | 박영희 |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 |
KR200204058Y1 (ko) * | 2000-07-04 | 2000-11-15 | 박장춘 | 사료저장탱크의 열식힘구조 |
KR200207877Y1 (ko) * | 2000-07-19 | 2000-12-15 | 최수식 | 사료 저장조 |
-
2016
- 2016-08-04 KR KR1020160099638A patent/KR1016920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1210Y1 (ko) * | 2000-02-24 | 2000-08-16 | 박영희 |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 |
KR200204058Y1 (ko) * | 2000-07-04 | 2000-11-15 | 박장춘 | 사료저장탱크의 열식힘구조 |
KR200207877Y1 (ko) * | 2000-07-19 | 2000-12-15 | 최수식 | 사료 저장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72303A (zh) * | 2017-07-13 | 2017-11-24 | 怀宁县牧之金畜禽实业有限责任公司 | 一种食用型乳猪的养殖方法 |
CN108184450A (zh) * | 2018-03-19 | 2018-06-22 | 河南工业大学 | 大直径立筒仓通风降温系统和方法 |
CN108184450B (zh) * | 2018-03-19 | 2024-04-09 | 河南工业大学 | 大直径立筒仓通风降温系统和方法 |
CN112567985A (zh) * | 2020-12-16 | 2021-03-30 | 湖北盛琪达工程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多级排湿散热结构的批式循环谷物干燥粮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2301B1 (ko) |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
KR101692008B1 (ko) |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
KR101692006B1 (ko) |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
US20140208642A1 (en) | Grow Box and Method of Making a Grow Box | |
KR100795362B1 (ko) | 축사 구축물 | |
CN211931910U (zh) | 一种温度可控楼房式畜禽舍精准通风结构 | |
KR101976264B1 (ko) |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 |
CN204443542U (zh) | 悬空通风动物房舍 | |
KR20060118035A (ko) | 버섯재배사 환기 장치 | |
KR20080111739A (ko) | 돈사의 환기방법과 그 시스템 | |
JP2021010356A (ja) | 人工養殖用温調水産温室 | |
KR101012675B1 (ko) | 양만장 내부의 용존산소량 및 실온 보정장치 | |
KR200333829Y1 (ko) | 돈사의 환기시스템 | |
CN205511423U (zh) | 改良式春、秋、冬季通风猪用养殖舍 | |
KR200351889Y1 (ko) | 돈사의 환기시스템 | |
KR200392394Y1 (ko) | 버섯재배사 환기 장치 | |
KR200487259Y1 (ko) |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 |
KR200179667Y1 (ko) | 난 부화기 | |
CN205623309U (zh) | 内环流控温、调质、熏蒸三合一系统 | |
CN114716270A (zh) | 一种循环农牧业废弃物预处理系统 | |
CN208047741U (zh) | 一种雏鸡孵化装置 | |
KR101936016B1 (ko) | 부패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자돈농장용 배합사료 저장조 | |
CN114586688A (zh) | 一种农业畜牧和养殖用自动通风散热装置 | |
CN107223494A (zh) | 一种动、植、微生物生长机控温通风系统 | |
CN207083836U (zh) | 一种中小型循环风道式孵化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