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007B1 -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007B1
KR101591007B1 KR1020150107159A KR20150107159A KR101591007B1 KR 101591007 B1 KR101591007 B1 KR 101591007B1 KR 1020150107159 A KR1020150107159 A KR 1020150107159A KR 20150107159 A KR20150107159 A KR 20150107159A KR 101591007 B1 KR101591007 B1 KR 10159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tridge
raw water
partition wall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동
이재익
황필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휘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15010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07B1/ko
Priority to EP16165285.4A priority patent/EP3124439B1/en
Priority to US15/139,877 priority patent/US10016703B2/en
Priority to CN201610592575.6A priority patent/CN10639055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B01D27/142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01D2313/105Supply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01D2313/125Discharge manifo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는, 복수개의 필터체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을 구비하는 필터부; 및 수직으로 돌출되는 정수관 둘레를 원수관이 감싸는 구조로 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이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정수관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되는 카트리지 헤더;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여과용 필터체를 동시에 사용가능한 병렬방식의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헤더를 구비하여 여과능력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필터카트리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Filter Cartridge with Parallel Water Path}
본 발명은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여과용 필터체를 동시에 사용가능한 병렬방식의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헤더를 구비하여 여과능력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병렬 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침전필터, 카본필터, 맴브레인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용도에 따라 정수기 내부에 연결설치되어 물이 필터를 경유하면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과정을 거치게 되어 정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의 구조는 필터의 헤드에 물이 주입되는 인렛(inlet)과 물이 배출되는 아웃렛(outlet)이 형성되어 각각의 인렛과 아웃렉에 연결관을 결합하여 여러개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를 연결하여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수하여 정수기의 물탱크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다수개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 내에는 전처리 침전필터(1), 선카본 필터(2), 맴브레인 필터(3), 및 후카본 필터(4)등의 필터카트리지가 탑재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침전 필터(1)는 유동체(Water)내에 포함된 이물질(모래, 중금속 등등)을 일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선카본 필터(2)는 유동체 내에 용해되어 있는 염소성분, 트리할로메탄, 및 유기화학물질등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멤브레인 필터(3)는 정수기의 핵심 필터로서 중금속, 바이러스, 박테리아, 유기화학 물질등으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초정밀 반투막을 통한 역삼투압방식에 의해 최종적으로 필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후카본 필터(4)는 유동체 내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성분과 냄새성분을 필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개개의 필터(1,2,3,4)는 사용중 개개의 필터마다 다른 교환주기를 가지기 때문에 필터헤드에서 필터카트리지를 각각 별도로 교체 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필터카트리지를 서로 다른 교체주기를 갖는 필터별로 각각 별도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가 어렵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체주기에 상관없이 동시에 여러개의 필터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유지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카트리지의 경우에는 단일의 필터헤드에 하나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용량을 늘리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필터카트리지의 필터체를 제외하고도 필터헤드에 결합되기 위한 다양한 부속품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고 필터카트리지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용량을 늘릴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적용이 가능한 필터카트리지에 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 0412929호(공고일, 2004년5월31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여과용 필터체를 동시에 사용가능한 병렬방식의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헤더를 구비하여 여과능력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필터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는, 복수개의 필터체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을 구비하는 필터부; 및 수직으로 돌출되는 정수관 둘레를 원수관이 감싸는 구조로 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이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정수관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되는 카트리지 헤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헤더는, 하부면에 상기 각 필터체의 헤드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관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을 형성하고, 상부면상에서 상기 정수된 물과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각각 이동하게 하는 카트리지 확장유닛과;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는 원수유입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으로 원수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정수관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이패스유닛; 및 상기 바이패스유닛의 상기 정수관 둘레를 감싸는 원수관을 상부면상 중심부에 형성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가장자리가 두 개 이상의 반원형상을 가지게 형성되며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는 내부격벽 및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외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여 상기 내부격벽의 중심측으로는 상기 정수된 물이 이동하게 하며 상기 내부격벽과 상기 외부격벽 사이에는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게 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부면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을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단턱의 내측으로 상기 원수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원수유입공간의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각각의 반원형상 가장자리에는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으로 원수를 이동시키는 원수배출공이 복수개씩 형성되고, 상기 원수유입공간의 중심부에는 상기 정수관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는, 상기 바이패스유닛의 상부단턱에 대응되는 수밀격벽을 하부면상에 형성하여 상기 정수관 외측면 및 상기 원수관 내측면 사이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게 하고, 외측 둘레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외부격벽을 둘러싸며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상기 내부격벽의 두 개이상의 반원형상 가장자리 내측으로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수유입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 및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사이에서 상기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부배출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의 원수배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정수관 끝단이 카트리지 상부커버에 형성된 원수관 끝단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면상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격벽을 구비하며,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에 형성된 상기 원수관 끝단 둘레, 및 상기 바이패스 유닛에 형성된 정수관 끝단 둘레에 각각 고리모양의 실링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원수관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두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두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두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두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반원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두 개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세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원호 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세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서로 가장자리가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삼각형상으로 연결되는 세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둘레가 원호로 연결되어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어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반원 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세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네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원호 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네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네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둘레가 원호로 연결되어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ㅧ' 형상을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전체적으로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는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원호 형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둘레가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네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여과용 필터체를 동시에 사용가능한 병렬방식의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헤더를 구비하여 여과능력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원수유입구와 단일의 정수배출구로 이루어진 카트리지 헤더에 다수개의 여과용 필터체를 결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다수개의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에 결합하기 위한 부속품을 추가로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 및 자원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개의 필터체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정수가 가능한 병렬방식의 유로를 내장한 카트리지 헤더를 이용함으로써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수용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헤더에 병렬유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상부면상에 내부격벽과 외부격벽을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원가절감으로 인해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원수관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어 호환성이 좋아 다양한 종류의 필터 어셈블리에 채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다수개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형 세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트라이앵글형 세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형 네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렉탱귤러형 네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필터부(100)와 카트리지 헤더(2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부(100)는, 복수개의 필터체(110)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110)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1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1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서 상기 복수개의 필터하우징(120)은 각각 분리된 채 상기 각각의 필터체(110)와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되었으나, 상기 각각의 필터체(1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하면서 외측 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하우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 2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헤더(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단일의 정수관(201) 둘레를 단일의 원수관(202)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1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120)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2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헤더(200) 내부에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2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203)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110)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단일의 정수관(201)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카트지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202) 끝단 둘레, 및 단일의 정수관(201) 끝단 둘레에 각각 고리모양의 실링부재(240)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단일의 원수관(202)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250)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적용된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카트리지 헤더(200) 내부의 세부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헤더(200)는, 카트리지 확장유닛(210)과 바이패스유닛(2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은, 양단 가장자리가 반원형상을 가지게 형성되며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는 내부격벽(211) 및 상기 내부격벽(2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외부격벽(212)을 상부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격벽(211)의 중심측으로는 정수된 물이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격벽(211)과 외부격벽(212) 사이에는 단일의 원수관(2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은, 하부면에 상기 각 필터체(110)의 헤드(111)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관(204)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203)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은, 상기 내부격벽(211)의 양단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가장자리 내측으로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203) 중심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수유입관(204)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은, 상기 내부격벽(211) 및 외부격벽(212)사이에서 상기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2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의 원수배출공(2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은, 상부면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221)을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단턱(221)의 내측으로 단일의 원수관(2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는 원수유입공간(2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유입공간(222)의 가장자리 양단에는,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203) 외측 둘레에 대응되게 각각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으로 원수를 이동시키는 원수배출공(223)이 복수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공간(222)의 중심부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단일의 정수관(201)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은,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201) 끝단이 후술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230)에 형성된 단일의 원수관(202) 끝단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은, 하부면상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내부격벽(211) 및 외부격벽(21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격벽(211-1,212-1)을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도 3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201) 둘레를 감싸는 단일의 원수관(202)을 상부면상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닛(220)의 상부단턱(221)에 대응되는 수밀격벽(221-1)을 하부면상에 형성하며 하부면 외측 둘레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외부격벽을 둘러싸며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2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230)에 의하여 상기 단일의 정수관(201) 외측면 및 상기 단일의 원수관(202) 내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헤더(200)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의한 정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230)를 구성하는 단일의 원수관(202)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에 형성된 원수유입공간(222)과 원수배출공(223)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원수유입부(214)로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원수유입부(214)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수용관(203)에 결합된 필터부(100)의 필터체(110)를 통과하여 정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상기 필터체(110)의 헤드(11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상기 필터수용관(203)의 정수유입관(204)을 통해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정수배출부(213)로 배출되면, 상기 정수된 물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내부격벽(211)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상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에 형성된 정수관(201)을 통해 배출된다.
즉, 이와 같은 병렬유로구조를 갖는 정수과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하부면에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필터수용관(203)을 이웃하게 형성하여 두 개의 필터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상부면은 상기 두 개의 필터수용관(203)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상의 상기 두 개의 필터수용관(230)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정수배출부(2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은, 상기 두 개의 정수배출부(213)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211)을 상부면상에 형성하여 정수된 물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은, 상기 내부격벽(211)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2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212)을 형성하며 상술한 카트리지 상부커버(2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바이패스유닛(220)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은, 상기 내부격벽(211) 및 외부격벽 (212)사이의 상기 두 개 정수배출부(213) 외측으로 반원현상을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원수 유입부(2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은,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2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2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유닛(220)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210)의 두 개 원수 유입부(2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22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형으로 세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필터부(300)와 카트리지 헤더(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부(300)는, 복수개의 필터체(310)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310)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3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3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헤더(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단일의 정수관(401) 둘레를 단일의 원수관(402)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3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320)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30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4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헤더(400) 내부에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4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403)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310)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단일의 정수관(401)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카트지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402) 끝단 둘레, 및 단일의 정수관(401) 끝단 둘레에 각각 고리모양의 실링부재(440)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단일의 원수관(402)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450)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적용된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카트리지 헤더(400) 내부의 세부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헤더(400)는, 카트리지 확장유닛(410)과 바이패스유닛(4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은, 양단 가장자리가 반원형상을 가지게 형성되며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는 내부격벽(411) 및 상기 내부격벽(2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외부격벽(412)을 상부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격벽(411)의 중심측으로는 정수된 물이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격벽(411)과 외부격벽(212) 사이에는 단일의 원수관(4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은, 하부면에 상기 각 필터체(310)의 헤드(311)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관(404)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403)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은, 상기 내부격벽(411)의 양단 가장자리 내측 및 중심측의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403) 중심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수유입관(404)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은, 상기 내부격벽(411) 및 외부격벽(412)사이에서 상기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4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의 원수배출공(4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4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격벽(411)의 양단 가장자리 외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원수유입부(414)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격벽(411)의 중심 외측 둘레에는 두 쌍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원수유입부(214)가 원호를 형성하며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은, 상부면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421)을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단턱(421)의 내측으로 단일의 원수관(4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는 원수유입공간(4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유입공간(422)의 가장자리 양단 및 중심부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403) 외측 둘레에 대응되게 각각 반원형상 및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으로 원수를 이동시키는 원수배출공(423)이 복수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공간(422)의 중심부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단일의 정수관(401)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은,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401) 끝단이 후술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430)에 형성된 단일의 원수관(402) 끝단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은, 하부면상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내부격벽(411) 및 외부격벽(41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격벽(411-1,412-1)을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도 7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401) 둘레를 감싸는 단일의 원수관(402)을 상부면상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닛(420)의 상부단턱(421)에 대응되는 수밀격벽(421-1)을 하부면상에 형성하며 하부면 외측 둘레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외부격벽을 둘러싸며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4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430)에 의하여 상기 단일의 정수관(401) 외측면 및 상기 단일의 원수관(402) 내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헤더(400)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의한 정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430)를 구성하는 단일의 원수관(402)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에 형성된 원수유입공간(422)과 원수배출공(423)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원수유입부(414)로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원수유입부(414)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수용관(403)에 결합된 필터부(300)의 필터체(310)를 통과하여 정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상기 필터체(310)의 헤드(31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상기 필터수용관(403)의 정수유입관(404)을 통해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정수배출부(413)로 배출되면, 상기 정수된 물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내부격벽(411)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상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에 형성된 정수관(401)을 통해 배출된다.
즉, 이와 같은 병렬유로구조를 갖는 정수과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00)의 하부면에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세 개의 필터수용관(403)을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 형성하여 세 개의 필터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상부면은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403)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상의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403)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정수배출부(4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은,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413)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411)을 상부면상에 형성하여 정수된 물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은, 상기 내부격벽(411)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4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412)을 형성하며 상술한 카트리지 상부커버(4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바이패스유닛(420)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은, 상기 내부격벽(411) 및 외부격벽 (412)사이의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413)가 배치된 내부격벽(411)의 외측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각각 반원형상 및 원호형상을 갖는 세 개의 원수 유입부(4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은,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42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4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유닛(420)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410)의 세 개의 원수 유입부(4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42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트라이앵글형으로 세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필터부(500)와 카트리지 헤더(6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부(500)는, 복수개의 필터체(510)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510)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5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5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헤더(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단일의 정수관(601) 둘레를 단일의 원수관(602)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5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520)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50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6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헤더(600) 내부에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6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603)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510)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단일의 정수관(601)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필터카트지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602) 끝단 둘레, 및 단일의 정수관(601) 끝단 둘레에 각각 고리모양의 실링부재(640)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단일의 원수관(602)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650)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앵글형 필터카트리지에 적용된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카트리지 헤더(600) 내부의 세부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헤더(600)는, 카트리지 확장유닛(610)과 바이패스유닛(6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은, 가장자리가 반원형상을 가지게 형성되며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어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갖는 내부격벽(611) 및 상기 내부격벽(6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외부격벽(612)을 상부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격벽(611)의 중심측으로는 정수된 물이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격벽(611)과 외부격벽(612) 사이에는 단일의 원수관(6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은, 하부면에 상기 각 필터체(510)의 헤드(511)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관(604)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603)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은, 상기 내부격벽(611)의 가장자리 내측의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603) 중심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수유입관(604)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6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은, 상기 내부격벽(611) 및 외부격벽(612)사이에서 상기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6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의 원수배출공(6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6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격벽(611)의 세잎 클로버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가장자리 외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원수유입부(614)가 반원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은, 상부면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621)을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단턱(621)의 내측으로 단일의 원수관(6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는 원수유입공간(6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유입공간(62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603) 외측 둘레에 대응되게 각각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으로 원수를 이동시키는 원수배출공(623)이 복수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공간(622)의 중심부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단일의 정수관(601)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은,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601) 끝단이 후술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630)에 형성된 단일의 원수관(602) 끝단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은, 하부면상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내부격벽(611) 및 외부격벽(61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격벽(611-1,612-1)을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도 11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601) 둘레를 감싸는 단일의 원수관(602)을 상부면상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닛(620)의 상부단턱(621)에 대응되는 수밀격벽(621-1)을 하부면상에 형성하며 하부면 외측 둘레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외부격벽을 둘러싸며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6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630)에 의하여 상기 단일의 정수관(601) 외측면 및 상기 단일의 원수관(602) 내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헤더(400)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의한 정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630)를 구성하는 단일의 원수관(602)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에 형성된 원수유입공간(622)과 원수배출공(623)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원수유입부(614)로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원수유입부(614)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수용관(603)에 결합된 필터부(500)의 필터체(510)를 통과하여 정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상기 필터체(510)의 헤드(51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상기 필터수용관(603)의 정수유입관(604)을 통해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정수배출부(613)로 배출되면, 상기 정수된 물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내부격벽(611)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상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에 형성된 정수관(601)을 통해 배출된다.
즉, 이와 같은 병렬유로구조를 갖는 정수과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00)의 하부면에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삼각형상으로 연결되고 가장자리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세 개의 필터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상부면은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604)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둘레가 원호로 연결되어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상의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603)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정수배출부(6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은,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413)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는 내부격벽(611)을 상부면상에 형성하여 정수된 물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은, 상기 내부격벽(6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는 외부격벽(612)을 형성하며 상술한 카트리지 상부커버(6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바이패스유닛(620)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은, 상기 내부격벽(611) 및 외부격벽 (612)사이의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613)가 배치된 내부격벽(611)의 외측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각각 반원형상을 갖는 세 개의 원수 유입부(6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은,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62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6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유닛(620)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610)의 세 개의 원수 유입부(6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62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형으로 네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필터부(700)와 카트리지 헤더(8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부(700)는, 복수개의 필터체(710)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710)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7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7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헤더(8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단일의 정수관(801) 둘레를 단일의 원수관(802)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7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720)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70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8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헤더(800) 내부에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8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803)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710)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단일의 정수관(801)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필터카트지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802) 끝단 둘레, 및 단일의 정수관(801) 끝단 둘레에 각각 고리모양의 실링부재(840)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단일의 원수관(802)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850)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적용된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카트리지 헤더(800) 내부의 세부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헤더(800)는, 카트리지 확장유닛(810)과 바이패스유닛(8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은, 양단 가장자리가 반원형상을 가지게 형성되며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는 내부격벽(811) 및 상기 내부격벽(8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외부격벽(812)을 상부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격벽(811)의 중심측으로는 정수된 물이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격벽(811)과 외부격벽(812) 사이에는 단일의 원수관(8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은, 하부면에 상기 각 필터체(710)의 헤드(711)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관(804)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803)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은, 상기 내부격벽(811)의 양단 가장자리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803) 중심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수유입관(804)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8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은, 상기 내부격벽(811) 및 외부격벽(812)사이에서 상기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8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의 원수배출공(8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8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격벽(811)의 양단 가장자리 외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원수유입부(814)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수관(801) 주위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격벽(811)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두 쌍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214)는 각각 원호를 형성하며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은, 상부면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821)을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단턱(821)의 내측으로 단일의 원수관(8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는 원수유입공간(8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유입공간(822)의 가장자리 양단 및 상기 정수관(801) 주위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803) 외측 둘레에 대응되게 각각 반원형상 및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으로 원수를 이동시키는 원수배출공(823)이 복수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공간(822)의 중심부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단일의 정수관(801)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은,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801) 끝단이 후술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830)에 형성된 단일의 원수관(802) 끝단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은, 하부면상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내부격벽(811) 및 외부격벽(81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격벽(811-1,812-1)을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도 15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801) 둘레를 감싸는 단일의 원수관(802)을 상부면상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닛(820)의 상부단턱(821)에 대응되는 수밀격벽(821-1)을 하부면상에 형성하며 하부면 외측 둘레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외부격벽을 둘러싸며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8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830)에 의하여 상기 단일의 정수관(801) 외측면 및 상기 단일의 원수관(802) 내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헤더(800)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의한 정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830)를 구성하는 단일의 원수관(802)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에 형성된 원수유입공간(822)과 원수배출공(423)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원수유입부(814)로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원수유입부(814)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수용관(803)에 결합된 필터부(700)의 필터체(710)를 통과하여 정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상기 필터체(710)의 헤드(71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상기 필터수용관(803)의 정수유입관(804)을 통해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정수배출부(813)로 배출되면, 상기 정수된 물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내부격벽(811)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상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에 형성된 정수관(801)을 통해 배출된다.
즉, 이와 같은 병렬유로구조를 갖는 정수과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00)의 하부면에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4 개의 필터수용관(803)을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 형성하여 네 개의 필터부(7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상부면은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803)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상의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803)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정수배출부(8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은,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813)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811)을 상부면상에 형성하여 정수된 물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은, 상기 내부격벽(811)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8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812)을 형성하며 상술한 카트리지 상부커버(8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바이패스유닛(820)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은, 상기 내부격벽(811) 및 외부격벽 (812)사이의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813)가 배치된 내부격벽(811)의 외측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각각 반원형상 및 원호형상을 갖는 네 개의 원수 유입부(8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은,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82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8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유닛(820)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810)의 네 개의 원수 유입부(8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82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렉탱귤러형으로 세 개의 필터체를 구비한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필터부(900)와 카트리지 헤더(10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부(900)는, 복수개의 필터체(910)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910)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9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9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헤더(10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단일의 정수관(1001) 둘레를 단일의 원수관(1002)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9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920)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90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10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헤더(1000) 내부에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10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1003)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910)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단일의 정수관(1001)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필터카트지는, 상기 단일의 원수관(1002) 끝단 둘레, 및 단일의 정수관(1001) 끝단 둘레에 각각 고리모양의 실링부재(1040)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단일의 원수관(1002)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1050)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헤더 내부에 형성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와 단면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렉탱귤러형 필터카트리지에 적용된 병렬구조방식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카트리지 헤더(1000) 내부의 세부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헤더(1000)는,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과 바이패스유닛(10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은, 가장자리가 반원형상을 가지게 형성되며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어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갖는 내부격벽(1011) 및 상기 내부격벽(10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외부격벽(1012)을 상부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격벽(1011)의 중심측으로는 정수된 물이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격벽(1011)과 외부격벽(1012) 사이에는 단일의 원수관(10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은, 하부면에 상기 각 필터체(1010)의 헤드(1011)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관(1004)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1003)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은, 상기 내부격벽(1011)의 가장자리 내측의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1003) 중심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수유입관(1004)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10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은, 상기 내부격벽(1011) 및 외부격벽(1012)사이에서 상기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10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의 원수배출공(10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10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격벽(1011)의 가장자리 외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원수유입부(1014)가 반원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은, 상부면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1021)을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단턱(1021)의 내측으로 단일의 원수관(1002)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는 원수유입공간(10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유입공간(102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1003) 외측 둘레에 대응되게 각각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으로 원수를 이동시키는 원수배출공(1023)이 복수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공간(1022)의 중심부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단일의 정수관(1001)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은,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1001) 끝단이 후술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1030)에 형성된 단일의 원수관(1002) 끝단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은, 하부면상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내부격벽(1011) 및 외부격벽(101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격벽(1011-1,1012-1)을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도 19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에 형성된 단일의 정수관(1001) 둘레를 감싸는 단일의 원수관(1002)을 상부면상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닛(1020)의 상부단턱(1021)에 대응되는 수밀격벽(1021-1)을 하부면상에 형성하며 하부면 외측 둘레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외부격벽을 둘러싸며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10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1030)에 의하여 상기 단일의 정수관(1001) 외측면 및 상기 단일의 원수관(1002) 내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헤더(1000)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에 의한 정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1030)를 구성하는 단일의 원수관(1002)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에 형성된 원수유입공간(1022)과 원수배출공(1023)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원수유입부(1014)로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원수유입부(1014)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수용관(1003)에 결합된 필터부(900)의 필터체(910)를 통과하여 정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상기 필터체(910)의 헤드(91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상기 필터수용관(1003)의 정수유입관(1004)을 통해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정수배출부(1013)로 배출되면, 상기 정수된 물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내부격벽(1011)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상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에 형성된 정수관(1001)을 통해 배출된다.
즉, 이와 같은 병렬유로구조를 갖는 정수과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병렬유로형 필터카트리지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00)의 하부면에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사각형상으로 연결되고 가장자리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네 개의 필터부(9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상부면은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1003)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둘레가 원호로 연결되어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상의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1003)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정수배출부(10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은,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1013)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X'자 형상을 갖는 내부격벽(1011)을 상부면상에 형성하여 정수된 물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은, 상기 내부격벽(10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는 외부격벽(1012)을 형성하며 상술한 카트리지 상부커버(10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바이패스유닛(1020)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은, 상기 내부격벽(1011) 및 외부격벽 (1012)사이의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1013)가 배치된 내부격벽(1011)의 외측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각각 반원형상을 갖는 네 개의 원수 유입부(10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은,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1021)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10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유닛(1020)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1010)의 네 개의 원수 유입부(10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102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여과용 필터체를 동시에 사용가능한 병렬방식의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헤더를 구비하여 여과능력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원수유입구와 단일의 정수배출구로 이루어진 카트리지 헤더에 다수개의 여과용 필터체를 결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다수개의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에 결합하기 위한 부속품을 추가로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 및 자원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개의 필터체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정수가 가능한 병렬방식의 유로를 내장한 카트리지 헤더를 이용함으로써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수용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헤더에 병렬유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상부면상에 내부격벽과 외부격벽을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원가절감으로 인해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원수관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어 호환성이 좋아 다양한 종류의 필터 어셈블리에 채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300,500,700,900 : 필터부
110,310,510,710,910 : 필터체
111,311,511,711,911 : 헤드
120,320,520,720,920 : 필터하우징
200,400,600,800,1000 : 카트리지 헤더
201,401,601,801,1001 : 정수관
202,402,602,802,1002 : 원수관
203,403,603,803,1003 : 필터수용관
204,404,604,804,1004 : 정수유입관
210,410,610,810,1010 : 카트리지 확장유닛
211,411,611,811,1011 : 내부격벽
211-1, 212-1,411-1,412-1,611-1,612-1,811-1,812-1,1011-1,1012-1 : 격벽
212,412,612,812,1012 : 외부격벽
213,413,613,813,1013 : 정수배출부
214,414,614,814,1014 : 원수유입부
220,420,620,820,1020 : 바이패스유닛
221,421,621,821,1021 : 상부단턱
221-1,421-1,621-1,821-1,1021-1 : 수밀격벽(카트리지 상부커버)
222,422,622,822,1022 : 원수유입공간
223,423,623,823,1023 : 원수배출공
230,430,630,830,1030 : 카트리지 상부커버
240,440,640,840,1040 : 실링부재
250,450,650,850,1050 : 끼움홈

Claims (11)

  1. 복수개의 필터체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에 대응되어 각각의 필터체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을 구비하는 필터부; 및
    수직으로 돌출되는 정수관 둘레를 원수관이 감싸는 구조로 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필터하우징 상단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이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에 동시에 유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필터체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상기 정수관을 통해 배출되게하는 병렬구조방식의 유로가 형성되는 카트리지 헤더;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헤더는,
    하부면에 상기 각 필터체의 헤드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관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터수용관을 형성하고, 상부면상에서 상기 정수된 물과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각각 이동하게 하는 카트리지 확장유닛과;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는 원수유입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으로 원수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정수관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이패스유닛; 및
    상기 바이패스유닛의 상기 정수관 둘레를 감싸는 원수관을 상부면상 중심부에 형성하는 카트리지 상부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는 내부격벽 및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외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여 상기 내부격벽의 중심측으로는 상기 정수된 물이 이동하게 하며 상기 내부격벽과 상기 외부격벽 사이에는 상기 원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하게 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부면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을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단턱의 내측으로 상기 원수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원수유입공간의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으로 원수를 이동시키는 원수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수유입공간의 중심부에는 상기 정수관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는, 상기 바이패스유닛의 상부단턱에 대응되는 수밀격벽을 하부면상에 형성하여 상기 정수관 외측면 및 상기 원수관 내측면 사이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게 하고, 외측 둘레가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외부격벽을 둘러싸며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격벽은 가장자리가 두 개 이상의 반원형상을 가지게 형성되고,
    상기 원수배출공은 상기 원수유입공간의 상기 복수개 필터수용관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각각의 반원형상 가장자리에 복수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상기 내부격벽의 두 개이상의 반원형상 가장자리 내측으로 상기 복수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수유입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배출부; 및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사이에서 상기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수부배출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의 원수배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원수유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정수관 끝단이 카트리지 상부커버에 형성된 원수관 끝단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면상에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격벽을 구비하며,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상부커버에 형성된 상기 원수관 끝단 둘레, 및 상기 바이패스 유닛에 형성된 정수관 끝단 둘레에 각각 고리모양의 실링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원수관 둘레에 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헤드부에 방향성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두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두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두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두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반원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두 개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세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원호 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세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서로 가장자리가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삼각형상으로 연결되는 세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둘레가 원호로 연결되어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세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어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세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반원 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세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세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네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둘레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에 대응되는 형태의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원호 현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네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은,
    순차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네 개의 필터수용관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둘레가 원호로 연결되어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상의 상기 네 개의 필터수용관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일의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며 평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ㅧ' 형상을 갖는 내부격벽을 상부면상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전체적으로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는 외부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격벽 및 외부격벽 사이의 상기 네 개의 정수배출부 외측으로 원호 형상을 가지게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원수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전체적으로 둘레가 네잎 클로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내부격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는 구조의 외부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확장유닛의 네 개의 원수 유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원수배출공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KR1020150107159A 2015-07-29 2015-07-29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KR10159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59A KR101591007B1 (ko) 2015-07-29 2015-07-29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EP16165285.4A EP3124439B1 (en) 2015-07-29 2016-04-14 Parallel flow channel type filter cartridge
US15/139,877 US10016703B2 (en) 2015-07-29 2016-04-27 Parallel flow channel type filter cartridge
CN201610592575.6A CN106390559B (zh) 2015-07-29 2016-07-25 平行流动通道型滤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59A KR101591007B1 (ko) 2015-07-29 2015-07-29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007B1 true KR101591007B1 (ko) 2016-02-02

Family

ID=5535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159A KR101591007B1 (ko) 2015-07-29 2015-07-29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16703B2 (ko)
EP (1) EP3124439B1 (ko)
KR (1) KR101591007B1 (ko)
CN (1) CN10639055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3559A1 (de) * 2016-05-13 2017-11-15 Deere & Company Filteranordnung
WO2021182939A1 (ko) * 2020-03-10 202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6443A (zh) * 2020-06-23 2020-09-01 佛山市顺德区阿波罗环保器材有限公司 滤芯组件和净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332A (en) 1995-05-25 1997-01-07 Omnipure Filter Co. Filter assembly with automatic shut-off and quick-connect filter cartridge
JP2000117013A (ja) * 1998-10-14 2000-04-25 Marusei Heavy Industry Works Ltd 海水等を濾過する超微細型フィルタ−
KR200224599Y1 (ko) 1999-02-03 2001-05-15 백승진 가구조립장치
US6379560B1 (en) * 2000-03-08 2002-04-30 Barnstead/Thermodyne Corporatio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CN1219572C (zh) * 2002-03-06 2005-09-21 前田贝壳零件服务株式会社 过滤器装置
GB2436076B (en) * 2006-03-17 2011-07-13 Fairey Ceramics Fluid treatment assemblies
CN201073570Y (zh) * 2007-08-16 2008-06-18 周奇迪 饮用水过滤装置
JP5775091B2 (ja) * 2009-11-20 2015-09-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防滴機構を備えた濾過器カートリッジ
US8877057B2 (en) * 2011-04-29 2014-11-04 Donaldson Company, Inc. Manifold and filter arrangement for bulk fluid filtration
IL219645A (en) * 2011-05-12 2016-10-31 Strauss Water Ltd Water filtration device
CN202465437U (zh) * 2012-02-16 2012-10-03 邹国南 一种纯水机
US20140158590A1 (en) * 2012-12-07 2014-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a parallel flow manifold system for water filt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3559A1 (de) * 2016-05-13 2017-11-15 Deere & Company Filteranordnung
US10471376B2 (en) 2016-05-13 2019-11-12 Deere & Company Filter assembly
WO2021182939A1 (ko) * 2020-03-10 202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90559A (zh) 2017-02-15
US20170028319A1 (en) 2017-02-02
EP3124439A1 (en) 2017-02-01
US10016703B2 (en) 2018-07-10
EP3124439B1 (en) 2020-06-24
CN106390559B (zh)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007B1 (ko) 병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EP3069772B1 (en) Filter assembly
KR101807185B1 (ko)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EP2891512B1 (en) Reverse-washing-type filtration device provided with a filter element structure
KR101591008B1 (ko) 직렬유로형 필터 카트리지
KR101131672B1 (ko) 정수 성능을 개선한 정수기용 카본 필터
US20150068970A1 (en) Water-Treatment Membrane Module Unit
JP3148509U (ja) 水浄化装置
JP6028185B2 (ja) 濾過装置
CN210186544U (zh) 复合滤芯和具有其的水处理设备
KR102177390B1 (ko) 유체 내 비자성-자성 물질의 여과를 위한 유체 필터링용 복합 여과 장치
CN102895818A (zh) 净水器的密封结构
CN112062317A (zh) 一种复合滤芯结构和净水机
CN216259542U (zh) 一种复合过滤器、净水机
KR20170036294A (ko) 중공사막 모듈
CN210176522U (zh) 过滤器
KR20140051542A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RU2714642C1 (ru) Фильтр сетчатый жидкостной
CN216764617U (zh) 一种结构简单的净水器滤芯
RU2396103C1 (ru) Патронный фильтр
JP2011206613A (ja) セラミックフィルタモジュール
CN210044921U (zh) 复合滤芯组件
KR200211447Y1 (ko) 정수기용 활성탄 필터하우징
KR100881812B1 (ko) 금속선을 이용한 분리막
CN110721590A (zh) 一种ro膜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