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877B1 -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877B1
KR101590877B1 KR1020150063380A KR20150063380A KR101590877B1 KR 101590877 B1 KR101590877 B1 KR 101590877B1 KR 1020150063380 A KR1020150063380 A KR 1020150063380A KR 20150063380 A KR20150063380 A KR 20150063380A KR 101590877 B1 KR101590877 B1 KR 101590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icro
bubble
un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이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석 filed Critical 이호석
Priority to KR102015006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nano) 또는 마이크로(Micro) 크기의 워터 버블(이하 "미세 워터 버블"이라 함)을 생성하는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위에서는 워터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고, 물속에서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는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Control method of fine wate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with water screen function and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나노(nano) 또는 마이크로(Micro) 크기의 워터 버블(이하 "미세 워터 버블"이라 함)을 생성하는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위에서는 워터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고, 물속에서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는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하천에는 녹조현상이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녹조현상이란 부영양화된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부유성의 조류(식물플랑크톤)가 대량 증식하여 수면에 집적함으로써 물색을 현저하게 녹색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녹조현상으로 부영양화된 수역에서 종 다양성이 사라지고, 1종 또는 적은 수의 남조류가 우점하여 발생하게 됨으로써 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녹조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황산화알루미늄 등의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담수를 정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황토를 뿌려 생물학적으로 담수를 정화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약품을 투입하는 방식은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고, 황토를 투입하는 방식은 일일이 사람들이 배를 타고 뿌려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두 방식은 사후적인 처리 방식으로 사전에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녹조현상 발생 시에도 녹조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미세한 크기의 버블, 즉 나노(nano) 및 마이크로(micro) 단위의 미세 워터 버블을 이용한 세탁, 세척 및 정화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 미세 워터 버블은 빨래의 세탁, 반도체 세척 등과 같이 더러운 물질을 분해하여 정화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블의 효과를 이용하여 담수를 정화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으나, 세탁기, 정수장 및 반도체 세정기 등을 위한 워터 버블 생성장치만 개발되어 있어, 담수의 물을 미세 워터 버블을 이용하여 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84397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위에서는 워터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고, 물속에서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는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는: 내측으로는 이동체가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수면 위로 일정 높이 이상 올라오고, 하단부는 물속으로 일정 깊이 이상 잠기도록 배치되는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상기 이동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가이드부의 상단부 또는 일정 깊이 이상의 물속에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여 분사하는 상기 이동체인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은,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이벤트의 발생 시 워터스크린 기능모드인지 정화 기능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워터스크린 기능모드에서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워터스크린을 만들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고, 정화 기능 모드에서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일정 깊이 이상의 물속으로 이동하여 물속에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스크류 가이드; 및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워터 버블 생성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은 상기 이동공간에 삽입 시 상기 스크류 가이드에 접촉하여 모터에 의해 상기 스크류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스크류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은, 워터 및 공기를 공급받아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여 분사하는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가이드부와 접속되는 상기 스크류 이송부에 의해 상기 스크류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이동 가이드부의 상단 및 하단 사이를 왕복하는 가이드부재; 및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이벤트의 발생 시 워터스크린 기능모드인지 정화 기능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워터스크린 기능모드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이동 가이드부의 상단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를 통해 워터스크린을 만들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정화 기능 모드에서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일정 깊이 이상의 물속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를 통해 물속에서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는, 내측이 관통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을 공급받는 워터 공급로 및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 공급로를 포함하는 메인 관; 상기 메인 관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공기와 물을 공급받아 반응시키고 미세하게 분쇄하여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여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블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 생성 모듈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와 물을 공급받아 반응시켜 버블을 생성하여 분사하는 버블 생성부; 및 미세한 채 형상으로 구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버블 생성부에서 분사되는 버블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 생성 모듈은, 공급되는 공기를 빠르게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깔때기 형상의 중심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워터가 빠르게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워터 공급부; 상기 워터 공급로에서 워터 공급부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 펌프; 상기 공기 공급로에서 공기 공급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깔때기 형상의 꼭지부분에 형성되어 공기 공급부와 워터 공급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공기가 반응하어 버블이 생성되도록 물과 공기를 토출하는 버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생성부의 버블 토출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생성 모듈을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시브의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로 워터를 공급하는 펌프 구동부; 팬과 연결되어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팬 구동부; 상기 스크류 가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부; 및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이벤트의 발생 시 워터스크린 기능모드인지 정화 기능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워터스크린 기능모드에서는 상기 제2모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를 이동 가이드부의 상단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를 통해 워터스크린을 만들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정화 기능 모드에서는 상기 제2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일정 깊이 이상의 물속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를 통해 물속에서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어모듈이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인지 정화기능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과정; 및 제어모듈이 판단결과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이면 이동 가이드부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워터스크린을 만들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고, 정화 기능 모드이면 상기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일정 깊이 이상의 물속으로 이동하여 물속에 미세 워터 버블을 분사하는 미세 워터 버블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판단 과정은, 현재의 시각정보를 획득하는 시각정보 획득단계; 획득된 현재 시각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워터스크린 기능 수행 시간인지, 정화 기능 수행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시간 판단 단계; 및 획득된 상기 시각이 워터스크린 기능 수행 시간대이면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시각이 정화기능 수행 시간대이면 정화 기능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판단 과정은, 통신부를 통해 동작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동작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 명령 신호가 워터스크린 기능 수행 명령인지 정화 기능 수행 명령인지를 검사하여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터 버블 생성 과정은, 펌프를 구동하여 워터를 깔때기 형상의 버블 생성부의 워터 공급부로 공급하는 워터 공급 단계; 팬을 구동하여 공기를 깔때기 형상의 버블 생성부의 공기 공급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 단계; 및 시브를 회전시켜 상기 버블 생성부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워터 공급부로 공급된 공기와 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워터 버블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터 버블 생성 과정은,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버블 생성부의 분출구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워터 온도 상승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는 워터스크린 기능과 정화기능 둘 모두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람들에게 복수의 유익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회전하는 시브(채)를 이용하므로 시스템의 생산단가를 낮추면서도 보다 미세한(나노) 워터 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팽창에 의한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미세한 워터 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단계에 걸쳐 버블을 분쇄하므로 더 미세한 워터 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는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 이동 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이동 가이드부(500)는 담수 등과 같은 물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이때 이동 가이드부(500)는 상부가 수면위로 일정 높이 이상 올라오고, 물속으로 일정 깊이 이상 가라앉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00)는 적정한 부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물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이동 가이드부(500)를 따라 고정부재(600)에 의해 물속의 바닥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강관 등이 될 수도 있고, 밧줄 또는 케이블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 가이드부(500)는 내측 중심부에 공간(이하 "이동공간"이라 함)이 형성되어 적어도 저면부가 막힌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의 상하의 길이방향으로 스크류 가이드부(510)가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 가이드부(510)가 구성되지 않은 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이 외부로 돌출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는 워터 버블 생성부 가이드부(520)를 포함한다.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은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와 정화 기능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한다.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500)의 이동공간에 배치되어 이동 가이드부(500)의 스크류 가이드부(510) 및 워터 버블 생성부 가이드부(520)를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모드에 따른 특정 위치에서 미세 워터 버블 생성하여 수면의 공중 또는 물속에 분사한다.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은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4m 이상의 물속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은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 가이드 부재(20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는 나도(nano) 또는 마이크로(micro)의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여 분출한다.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200)는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가 일정 각도에서 상하 회전할 수 있도록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와 결합되고, 일측면에 제2모터(303)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 가이드부(510)에 맞물리도록 접촉되는 스크류 이송부(301)를 포함하여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를 가이드 이동부(50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시킨다. 또한, 반대로 이동 가이드부(500)의 스크류 가이드부(510)를 회전시키고, 스크류 이송부(301)가 상기 스크류 가이드부(510)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모듈(300)은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내측에 고정 구성되어, 가이드 부재(200)가 가이드 이동부(50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가 하늘을 향하도록 하거나, 물속 바닥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하며, 미세 워터 버블의 생성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300)의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는 하나 이상의 버블 생성 모듈(40)과 메인 관(90)을 포함한다.
버블 생성 모듈(40)은 버블 생성부(10) 및 시브(sieve)(3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히터(2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90)은 물이 공급되는 워터 공급로(70) 및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로(8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워터 공급로(70)가 중심부에 구성될 수 있고, 공기 공급로(80)가 내주면 측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 공급로(80)의 시작단은 도 1의 공기 흡입관(110)과 연결되고, 상기 워터 공급로(70)의 펌프(14)는 물 흡입관(120)과 연결될 것이다. 또한 공기 공급로(80)에서 버블 생성부(1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홈(81)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 홈(81)은 공기 분사 노즐(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 공급 홈(81)에는 팬(13)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워터 공급로(70)에는 물 흡입관(120)을 통해 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14)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버블 생성부(10)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꼭짓점이 잘린 원뿔, 즉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은 관통되어 상기 메인 관(90)의 공기 공급로(80)로부터 공기를 유입받는 공기 공급부(11), 워터 공급로(7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워터 공급부(12) 및 상기 공급받은 물과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토출하는 토출구(15)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11)의 토출구(15)는 도 3의 확대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기 공급부(11)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둘(11-1, 11-2) 이상으로 나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공기의 이동 속도를 더 빠르게 하여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시브(30)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체로서 상기 버블 생성부(10)의 토출구(15)에 의해 생성된 버블을 미세하게 분쇄한다. 시브(30)는 버블을 더 미세하게 분세하기 위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확대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시브(30)는 원형의 체(31) 외주면을 따라 기어(32)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33)를 회전시키는 제3모터(35)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참조된 부호 34는 제3모터(35)의 회전축으로 기어(33)와 연결되어 기어(33)를 회전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히터(20)는 온도가 높으면 물과 공기의 반응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이용하기 위해 토출구(15)의 물과 공기의 반응 구간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버블 생성부(10)는 물과 공기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버블 생성부(10) 또한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시브(30)와 같이 기어와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고, 공기 공급로(80)에서 공기 공급 홈(81)을 통해 공기 공급부(11)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공급부(11)의 측면을 치면서 들어가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기 및 물이 치는 힘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버블 생성부(10)의 회전 방향은 시브(3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생성된 버블의 움직임을 시브(30)의 회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활성화시켜 시브(30)에서 더 미세하게 분쇄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제어모듈(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모듈(3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모듈(300)은 제어부(310), 저장부(320), 통신부(330), 펌프 구동부(340), 팬 구동부(350), 히터 구동부(360) 및 모터 구동부(37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10)의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 시간 및 정화 기능 모드 시간을 저장한다.
통신부(330)는 원격지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330)는 원격지의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332) 및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331)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 제어 전용 단말기로 일반적인 무선 및 유선 제어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적용하는 경우, 스마트기기에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331)는 3G 및 4G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여야 하며,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제어모듈(300)로 제어데이터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펌프 구동부(340)는 워터 펌프(14)와 연결되고,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워터 펌프(14)를 구동하거나 오프시킨다.
팬 구동부(350)는 팬(13)과 연결되고,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팬(13)을 구동하거나 오프시킨다.
히터 구동부(360)는 히터(20)와 연결되고,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히터(20)로 가열전류를 공급하여 히터(20)를 가열시키거나 오프시킨다.
모터 구동부(370)는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모터들로 모터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모터로는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를 상하로 이동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제1모터(302), 스크류 이송부(301)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303), 시브(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3모터(35)가 있다. 또한, 버블 생성부(10)를 회전시키고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모터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4모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모터 구동부(370)는 제1모터(302)를 구동하는 제1모터 구동부(371), 제2모터(303)를 구동하는 제2모터 구동부(372), 제3모터(35)를 구동하는 제3모터 구동부(373)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310)는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현재 시각을 획득한다(S111).
현재 시각이 획득되면 제어부(310)는 현재 시각이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 시간대인지(S113), 정화 기능 모드 시간대인지(S115) 아니면 통신부(330)를 통해 동작 명령 신호(제어신호)가 수신되었는지(S117)를 검사하여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획득된 시각정보가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 시간이거나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동작 명령 신호가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 동작 신호이면 제어부(310)는 제2모터(303)를 구동하여 워터스크린 구동 위치인 이동 가이드부(500)의 상단부로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을 이동시킨(S121) 후, 제1모터(302)를 구동하여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가 상측 방향을 향햐도록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의 각도를 높인다(S122).
반면, 획득된 시각이 정화 기능 모드 시간대이거나 정화 기능 모드 동작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10)는 제2모터(303)를 제어하여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을 물속으로 일정 깊이 이상 이동시킨(S123) 후, 제1모터(302)를 구동하여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의 각도를 적정하게 조절한다(S124).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400)의 위치 및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100)의 각도가 결정되면 펌프 구동부(340), 팬 구동부(350), 히터 구동부(360) 및 제3모터 구동부(373)의 구동에 의한 시브(30)를 회전시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여 공중 또는 물속이 분사한다(S12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버블 생성부 11: 공기 공급부
12: 워터 공급부 13: 팬
14: 펌프 15: 토출구
20: 히터 30: 시브
40: 버블 생성 모듈 70: 워터 공급로
80: 공기 공급로 81: 공기 공급 홈
90: 메인 관
100: 미세 워터 버블 생성부 110: 공기 흡입관
120: 워터 흡입관 200: 가이드 부재
300: 제어모듈 301: 스크류 이송부
302: 제1모터 303: 제2모터
310: 제어부 320: 저장부
330: 통신부 340: 펌프 구동부
350: 팬 구동부 360: 히터 구동부
370: 모터 구동부 400: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
500: 이동 가이드부
510: 스크류 가이드 520: 워터 버블 생성부 가이드부
600: 고정부재

Claims (1)

  1. 제어모듈이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인지 정화기능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과정; 및
    제어모듈이 판단결과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이면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을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수면 위의 상단부로 이동한 후, 물과 공기를 반응시켜 워터 버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워터 버블을 시브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워터스크린을 만들기 위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여 분사하고, 정화 기능 모드이면 상기 미세 워터 버블 생성 모듈을 상기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일정 깊이 이상의 물속으로 이동하여 물속에서 미세 워터 버블을 생성하여 분사하는 미세 워터 버블 생성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모드 판단 과정은,
    현재의 시각정보를 획득하는 시각정보 획득단계;
    획득된 현재 시각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워터스크린 기능 수행 시간인지, 정화 기능 수행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시간 판단 단계; 및
    획득된 상기 시각이 워터스크린 기능 수행 시간대이면 워터스크린 기능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시각이 정화기능 수행 시간대이면 정화 기능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50063380A 2015-05-06 2015-05-06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590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80A KR101590877B1 (ko) 2015-05-06 2015-05-06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80A KR101590877B1 (ko) 2015-05-06 2015-05-06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874A Division KR101541250B1 (ko) 2014-09-12 2014-09-12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877B1 true KR101590877B1 (ko) 2016-02-04

Family

ID=5535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380A KR101590877B1 (ko) 2015-05-06 2015-05-06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127A (ko) 2016-12-29 2018-07-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KR101907262B1 (ko) * 2016-09-02 2018-10-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조방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997A (ja) * 1998-10-15 2000-06-16 Wet Enterprises Inc 装飾照明ウォ―タ・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997A (ja) * 1998-10-15 2000-06-16 Wet Enterprises Inc 装飾照明ウォ―タ・ディスプレ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262B1 (ko) * 2016-09-02 2018-10-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조방제 장치
KR20180078127A (ko) 2016-12-29 2018-07-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KR20190096323A (ko) 2016-12-29 2019-08-19 주식회사 미라클스페샬시스템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877B1 (ko)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JP4815032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と気液混合タンク
JP2008126145A (ja) 沈砂池の集砂装置
EP3046688B1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88165B1 (ko)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541250B1 (ko)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76422B1 (ko) 워터스크린 겸용 미세 워터 버블 생성 장치
JP2005059002A (ja) 多段階混合分散機能付き水中曝気装置
US11584669B2 (en) Gas-dissolved liquid manufacturing device
KR20190069020A (ko) 대기 중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워터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유물질 차단 방법
JP6345545B2 (ja) 曝気撹拌装置
KR101647707B1 (ko) 미세 기포 분사형 세정장치
JP2011072903A (ja) バブル生成方法及び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処理装置
KR101767442B1 (ko) 폐수 정화용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102280983B1 (ko) 플라즈마와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JP2004089759A (ja) 生化学反応装置
JP2014079696A (ja) 揚砂装置
KR101910251B1 (ko) 태양광 물순환 장치
KR20160044895A (ko) 마이크로버블 오존을 사용한 수질정화장치
CN208200501U (zh) 一种多区间曝气池
KR200497208Y1 (ko) 미세 기포 발생기
JP2005052751A (ja) 浮遊物回収装置及びその回収方法
KR20170070723A (ko) 공동화 원리를 이용한 대형 기판의 세정장치
JP3851178B2 (ja) ばっ気装置及びばっ気方法
KR100834712B1 (ko) 카세트 세정용 산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세트의 세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