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26B1 -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26B1
KR101590326B1 KR1020140090229A KR20140090229A KR101590326B1 KR 101590326 B1 KR101590326 B1 KR 101590326B1 KR 1020140090229 A KR1020140090229 A KR 1020140090229A KR 20140090229 A KR20140090229 A KR 20140090229A KR 101590326 B1 KR101590326 B1 KR 10159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information
data
databas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850A (ko
Inventor
김영진
강신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14009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 공공데이터 수집 단계(S100)와;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질병코드, 질병정보, 보험판례, 연구논문, 통계정보 및 질병코딩사례로 각각 분류하여 2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2차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하는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S200) 및; HTML 또는 CSS 언어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웹 플랫폼을 이용하여 키워드 검색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웹 플랫폼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반사용자 또는 보험사 및 전운 의료인에게 정확한 질병코드와, 질병코드와 관련된 다양한 신뢰성 있는 정보가 종합적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Method of Diseas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본 발명은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인 또는 일반인에게 질병코드에 기반한 질병의 명칭과 관련 의료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의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한국표준질병분류코드(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 이하 '질병코드'라 한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질병코드는 병원 등에서 의사 등의 전문 인력이 진단을 내리고 관련 정보(진단 사례 및 논문 등)를 검색하기 위한 용도와, 보험사 및 일반 사용자가 적정의 보험료를 산정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검색되고 있다.
즉,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먼저, 알고 있는 질병명을 이용하여 정확한 질병코드를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질병코드를 이용하여 다시 관련된 진단 사례 및 연구 논문과 보험료 적용 사례 등의 목적에 맞추어 검색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검색자가 관련된 전문 지식과 검색 노하우가 결여된 경우에는 인터넷(웹서핑)을 이용하여 질병코드를 검색한 다음, 검색 목적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아울러 이렇게 검색된 정보의 신뢰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0781210호의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검출방법 및 장치는 의사가 임상표준문서 내의 의무기록지에 기입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질병코드를 검출하고자 할 때, 질병코드를 자동 검색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질병코드를 검색하고, 이를 의료 서술문에 자동 기입하는 것으로, 이는 의사와 같은 전문 의료인이 사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보험사 및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제약이 있고, 아울러 질병코드가 검색되더라도 다시 이와 관련된 연구논문이나 진단 사례 및 보험료 산성 사례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검색 목적에 맞추어 추가로 검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KR 10-0781210 B1 KR 10-1234455 B1 KR 10-1200367 B1 KR 10-0739570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문 의료인과 일반사용자 및 보험관련 종사자가 쉽게 질병코드를 검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질병코드가 검색됨과 동시에 검색된 질병코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색되어 목적에 맞는 정보를 추가로 검색하지 않고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방법을, 통계청 데이터베이스,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 공공데이터 수집 단계와,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질병코드, 질병정보, 보험판례, 연구논문, 통계정보 및 질병코딩사례로 각각 분류하여 2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2차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 및 HTML 또는 CSS 언어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웹 플랫폼을 이용하여 키워드 검색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2차 데이터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웹 플랫폼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 키워드로서 질병명 또는 질병코드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가 질병명인 경우에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질병명에 맞추어 정확한 질병코드와 통계정보를 검색하는 질병코드 검색 단계와, 질병코드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질병코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연관 정보를 검색하는 연관 정보 검색 단계 및 검색된 질병코드와 연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에 의해 검색과 검색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가 질병코드인 경우에는, 입력된 질병코드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질병코드 데이터를 대비하여 질병코드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질병코드 검증 단계와, 질병코드 검증 단계에서 검증된 질병코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연관 정보를 검색하는 연관 정보 검색 단계 및 검색된 질병코드와 연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에 의해 검색과 검색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병코드 또는 질병명과 관련된 질병코드, 질병정보, 보험판례, 연구논문, 통계정보 및 질병코딩사례로 분류되어 출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때, DBMS를 이용하여 저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웹 플랫폼은 모바일 플랫폼과 PC 플랫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문 의료인과 일반사용자 및 보험관련 종사자가 질병코드 또는 질병명을 이용하여 질병코드와 함께 각종 통계정보와, 연구논문 및 보험 사례와 질병코딩사례 등의 신뢰성이 있는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자체 서버 내의 독립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질병명이나 질병코드를 이용하여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공공 데이터를 다시 수집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아울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관 정보를 종합하여 제공하므로 여러 번 반복하여 검색하지 않고도 한 번에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가 질병명인 경우의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를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가 질병코드인 경우의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를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문 의료인과 일반사용자 및 보험관련 종사자가 질병명 또는 질병코드를 이용하여 신뢰성이 있는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데이터 수집 단계(S100),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S200) 및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S300)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각각의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공공데이터 수집 단계(S100)
이 단계는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웹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질병명 또는 질병코드를 이용하여 질병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쉽게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여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사전에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공공데이터의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데이터수집부(10)를 이용하여 질병명과 질병코드 정보와 각종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통계청 데이터베이스(DB)와, 질병코드에 기반한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DB) 및 질병코드별 보험료 산정 사례 정보가 제공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DB)에 접속하여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때 데이터수집부(10)는 웹스크래핑 프로그램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이트의 공공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한 다음, 후술하는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작업자가 별도로 업데이트하지 않고도 최신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2)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S200)
이 단계는 공공데이터 수집 단계(S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키워드 검색에 의해 더욱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2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2차 데이터를 서버에 내장된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21)를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DBMS(21)는 대량의 데이터를 추가, 변경, 삭제 및 검색이 가능하도록 정리하고 관리하는 종합 소프트웨어이며, 이에 의해 2차 데이터가 분류별 저장된 다음, 효율적으로 관리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워드에 대응하여 보다 신속하게 검색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2차 데이터는 질병코드, 질병정보, 보험판례, 연구논문, 통계정보 및 질병코딩사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전문 의료인과 보험사 관련자 및 일반 사용자가 주로 질병정보를 검색하는 목적에 따른 것이다.
(3)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S300)
이 단계는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질병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웹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면 DBMS(21)에 의해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화면으로 검색된 정보들을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호환성을 위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CSS(cascading style sheets) 언어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웹 플랫폼이 구축되는데, 이때 웹 플랫폼은 사용자가 모바일(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플랫폼과 PC 플랫폼으로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키워드 입력부(31)도 함께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웹 플랫폼(30)의 키워드 입력부(31)에 사용자가 질병명 또는 질병코드를 입력하면,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로부터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웹 플랫폼(30)의 화면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가 질병명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데이터 중에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질병명에 맞추어 정확한 질병코드와 통계정보를 먼저 검색한 다음(S310), 검색된 질병코드를 검색 키워드로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S320), 이렇게 검색된 질병코드와 연관 정보가 웹 플랫폼(30)의 결과화면(40)으로 출력하게 된다(S330).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가 질병코드인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질병코드와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질병코드 데이터를 대비하여 질병코드의 정확성을 먼저 검증한다(S310').
이때 입력된 질병코드가 정확한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로 진행되며, 질병코드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재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질병코드를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에는 질병명으로 키워드를 재입력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질병명 검색 과정에 의해 연관된 정보들이 검색된다.
그리고 질병코드가 정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정확한 질병코드가 재입력된 경우에는 이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질병코드와 연관 정보는 웹 플랫폼(30)의 결과화면(40)으로 출력된다(S330').
한편, 웹 플랫폼(30)을 통해 출력되는 결과화면(40)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병코드 또는 질병명과 관련된 질병코드, 질병정보, 보험판례, 연구논문, 통계정보 및 질병코딩사례로 분류되어 각각 출력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포괄수가제관련 질병코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병코드 또는 질병명과 관련하여 포괄수과제 적용 질병코드가 함께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공데이터 수집 단계(S100)에서 포괄수과제 적용 질병코드 정보를 함께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S200)에서 질병코드 또는 질병명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질병코드 또는 질병명에 대하여 검색을 행하는 경우, 서버 내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내에서 검색하여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공공데이터 수집단계(S100)에서 보험사별 보험적용 질병코드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일반인이나 보험사의 보험담당자가 해당 질병의 보험 적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자체 서버 내의 독립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질병명이나 질병코드를 이용하여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공공 데이터를 다시 수집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아울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관 정보를 종합하여 제공하므로 여러 번 반복하여 검색하지 않고도 한 번에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
10: 데이터수집부 20: 데이터저장부
21: DBMS 30: 웹 플랫폼
31: 키워드 입력부 40: 결과화면

Claims (7)

  1. 유무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된 공공데이터와 보험사별 보험적용 질병코드를 수집하는 공공데이터 수집 단계(S100)와;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질병코드, 질병정보, 보험판례, 연구논문, 통계정보 및 질병코딩사례로 각각 분류하여 2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2차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하는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S200) 및;
    HTML 또는 CSS 언어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웹 플랫폼을 이용하여 키워드 검색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웹 플랫폼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S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S3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 키워드로서 질병명 또는 질병코드가 입력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검색 키워드가 질병명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질병명에 맞추어 정확한 질병코드와 통계정보를 검색하는 질병코드 검색 단계(S310)와; 상기 질병코드 검색 단계(S310)에서 검색된 질병코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0)에 저장된 2차 데이터 중에서 상기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연관 정보를 검색하는 연관 정보 검색 단계(S320) 및; 검색된 질병코드와 함께 보험판례 및 질병코딩사례를 포함한 연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S330)에 의해 검색과 검색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검색 키워드가 질병코드인 경우에는 입력된 질병코드와 상기 데이터저장부(20)의 2차 데이터 중에서 통계청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질병코드 데이터를 대비하여 질병코드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질병코드 검증 단계(S310')와; 상기 질병코드 검증 단계(S310')에서 검증된 질병코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0)의 2차 데이터 중에서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연관 정보를 검색하는 연관 정보 검색 단계(S320') 및; 검색된 질병코드와 연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S330')에 의해 검색과 검색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검색 및 출력 단계(S30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병코드 또는 질병명과 관련된 질병코드, 질병정보, 보험판례, 연구논문, 통계정보 및 질병코딩사례로 분류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류 및 저장 단계(S2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때, DBMS를 이용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플랫폼은 모바일 플랫폼과 PC 플랫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KR1020140090229A 2014-07-17 2014-07-17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KR10159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29A KR101590326B1 (ko) 2014-07-17 2014-07-17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29A KR101590326B1 (ko) 2014-07-17 2014-07-17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50A KR20160009850A (ko) 2016-01-27
KR101590326B1 true KR101590326B1 (ko) 2016-02-01

Family

ID=5530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229A KR101590326B1 (ko) 2014-07-17 2014-07-17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18B1 (ko) * 2016-10-12 2018-05-2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질병 정보 제공 방법
KR101954029B1 (ko) * 2018-09-19 2019-03-04 김성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건강보험 심사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4030B1 (ko) * 2018-09-19 2019-05-22 김성림 희귀 상병 환자를 고려할 수 있는 건강보험 심사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958B1 (ko) * 2020-05-22 2023-01-1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진단도구 생성방법 및 진단도구를 통해 진단하는 진단시스템
KR102394888B1 (ko) * 2020-11-05 2022-05-06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알릴 의무가 있는 병력 누락을 방지하는 방법
KR102297620B1 (ko) * 2021-04-30 2021-09-02 박효정 게임 내 성희롱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3783A (ja) 2006-09-26 2008-04-10 Oki Electric Ind Co Ltd レセプト処理装置
KR101239213B1 (ko) 2011-06-22 2013-03-05 (주)솔트웍스 의료 정보 제안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986A (ko) * 2000-04-03 2001-10-31 김진태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KR20020010293A (ko) * 2000-07-29 2002-02-04 조응준 토탈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39570B1 (ko) 2006-03-07 2007-07-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81210B1 (ko) 2006-03-09 2007-1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KR101200367B1 (ko) 2010-08-31 2012-11-14 대한민국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34455B1 (ko) 2011-04-20 2013-02-18 이승주 질병분류코드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운동처방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3783A (ja) 2006-09-26 2008-04-10 Oki Electric Ind Co Ltd レセプト処理装置
KR101239213B1 (ko) 2011-06-22 2013-03-05 (주)솔트웍스 의료 정보 제안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18B1 (ko) * 2016-10-12 2018-05-2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질병 정보 제공 방법
KR101954029B1 (ko) * 2018-09-19 2019-03-04 김성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건강보험 심사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4030B1 (ko) * 2018-09-19 2019-05-22 김성림 희귀 상병 환자를 고려할 수 있는 건강보험 심사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50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326B1 (ko)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US20190362821A1 (en) Medical information navigation engine (mine) system
KR101815455B1 (ko) 개인 건강정보 기반의 건강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Orellana et al. What do we know about care home managers? Findings of a scoping review
Duftschmid et al. The EHR-ARCHE project: Satisfying clinical information needs in a Shared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based on IHE XDS and Archetypes
Maes et al. Demonstrating the clinical pharmacist’s activity: validation of an intervention 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Lunny et al. Validation of five search filters for retrieval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roduced low precision
CN113948168A (zh) 医疗数据评价实际应用系统及医疗数据评价实际应用方法
Mashoufi et al. Data quality in health care: main concepts and assessment methodologies
Lopez‐Olivo et al. Outcomes reported in prospective long‐term observational studies and registries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orldwide: an Outcome Measures in Rheumatology systematic review
JP4987490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及びカルテ情報取得プログラム
RU105759U1 (ru) Система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поиск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KR102330148B1 (ko)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214931B2 (ja)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及び診療支援システム
Dygaszewicz Transition from traditional census to combined and registers based census
Leslie et al. Archetypes 101
Reid et al. Identifying reasons for delays in acute hospitals using the Day-of-Care Survey method
Hong et al. Visual FHIR: an interactive browser to navigate HL7 FHIR specification
KR20120076291A (ko) 생활, 장애 및 건강 분류 정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raylor et al. Does the journal impact factor reflect the impact of German medical guideline contributions?
US2017017779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Patient Notes with Inherited Preferences
JP5276819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
Hong et al. The quality of injury data from hospital records in Vietnam
Franco et al. Search strategies (filters) to identify systematic reviews in MEDLINE and Embase
KR102578899B1 (ko) 의료 컨텐츠 검색을 위한 쿼리 확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