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210B1 -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210B1
KR100781210B1 KR1020060022207A KR20060022207A KR100781210B1 KR 100781210 B1 KR100781210 B1 KR 100781210B1 KR 1020060022207 A KR1020060022207 A KR 1020060022207A KR 20060022207 A KR20060022207 A KR 20060022207A KR 100781210 B1 KR100781210 B1 KR 10078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statement
standard code
kml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860A (ko
Inventor
조훈
김화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2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2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80Generating trains of sinusoidal osci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 H02P9/2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9/3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9/30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상표준문서 내의 의무기록지에 기입된 의료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검출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은, 다수의 의료 서술문에 각각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어느 한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검색 요청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장치는, 다수의 의료 서술문에 각각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시스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어느 한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검색 요청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코드 맵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무기록정보, KMLS

Description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HOSPITAL INFORMATION}
도 1은 의무기록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의무기록정보의 구조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의료정보 표준코드 맵핑부의 구성도.
도 6 내지 도 7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무기록정보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상표준문서내의 의무기록지에 기입된 의료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검출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의료 환경의 변화는 의료정보 서비스의 급진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병원 정보 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은 의사 처방 전달 시스템 (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AL RECORD; EMR) 및 의료영상 저장전달 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PACS)의 3가지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한 HIS에는 의학과 외과적 시술, 환자의 호소 그리고 진단을 설명하는 있어 보편화 및 표준화를 위해 반드시 표준용어코드를 사용한다.
상기한 표준용어코드로는 진단명 분류에 사용되는 국제질환분류체계 계열의 열 번째 개정판인 ICD-10(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of Tenth Revision), 수술 및 처치를 위한 9번째 개정확장판 ICD-9-CM(ICD, 9th Revision, Clinical Modification), 의미망 기반으로 개념을 구조화하는 통합의학용어체계인 UMLS(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 1999년 미국병리학회(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와 영국의 National Health Service가 기존의 SNOMED Reference Terminology(SNOMED RT)와 Clinical Terms Version 3(CTV3)를 통합해서 만든 표준 의학 용어 체계인 SNOMED CT(Systematized Nomenclature of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Clinical Term), 헤모글로빈(Blood Hemoglobin), 혈청 칼슘(Serum potassium), 활력증후(Vital Signs)와 같은 진단검사결과 분류 및 문서의 특징에 사용하는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 Names and Codes(LOINC)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컴퓨터 과학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의사 등이 기재한 의료서술문을 표준화된 의료용어와 매핑하지 못하여 수기로 입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도 1을 참조하면, 의사 등은 컴퓨터 등을 통해 환자의 임상표준문서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내의 의무기록지에 해당 환자의 의료정보인 의료 서술문(a)을 기입하며, 문서관리자는 상기 기입된 의료 서술문(a)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b)를 찾아 상기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수기로 기입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상표준문서내의 의무기록지에 기입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찾아 수기로 기입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의료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삽입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또한 의료서술문의 중심단어(키워드)를 중심으로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검색함으로써,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색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기술의 개발도 절실히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상표준문서 내의 의무기록지에 기입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검출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료 서술문의 중심단어를 중심으로 표준용어코드를 검색함으로써, 표준용어코드 검색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은, 다수의 의료 서술문에 각각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어느 한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검색 요청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의료정보 표준코드는, KMLS(KOREAN MEDICAL LANGUAGE SYSTEM) 표준코드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은, 상기 의료 서술문에 포함된 중심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독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 요청은, 의료정보 표준코드가 기입되지 않은 의무기록정보의 입력시, 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검색 요청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의료 서술문 중 동의어 또는 유의어에 대한 의료 서술문들은 동일한 의료정보 표준코드가 대응되게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장치는, 다수의 의료 서술문에 각각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시스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어느 한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검색 요청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출력하 는 코드 맵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상표준문서내의 의무기록지에 기입된 의료서술문에 대응되는 표준용어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의무기록지에 삽입함으로써, 의무기록지 작성의 편이성을 배가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의료 서술문을 한글임상용어 서버 및 분류 규칙에 의거KMLS(KOREAN MEDICAL LANGUAGE SYSTEM) 표준 코드로 변환함으로써 KCD(KOREAN CLASSIFICATION OF DISEASE)를 기본으로 하는 의료 정보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의 분류기(102)는 분류법칙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분류법칙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의무기록정보 또는 쿼리(QUERY)를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의무기록정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에는 환자 식별정보(ID), 병원코드 등이 포함되고, 바디에는 진료에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된다. 상기 쿼리는 소정 진료정보에 대응되는 의료정보코드에 대한 질의가 될 수 있다.
상기 분류기(RULE BASED CLASSIFIER)(102)는 상기 의무기록정보에서 코드화된 헤더 부분과 코드화되지 않은 의료 서술문이 포함된 바디 부분을 분류하여 코드맵핑부에 제공하고, 상기 쿼리는 그대로 코드 맵핑부(106)에 제공된다.
코드 맵핑부(106)는 분류기(102)로부터 제공되는 프리 텍스트 컨셉(바디부분)과 구조화된 데이터 컨셉(헤더) 중 프리 텍스트 컨셉(바디)에 포함된 코드화되지 않은 의료 서술문으로부터 중심단어(key word)를 추출하고,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LMS 코드를 검출하고, 상기 KMLS 표준코드를 상기 의무기록정보에 삽입하여 CDA 처리부(112)로 제공한다. 또한 코드 맵핑부(106)는 분류기(102)로부터 제공되는 쿼리에 포함된 코드화되지 않은 의료 서술문으로부터 중심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를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서 분류기(102)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 제공한다.
KMLS 어휘 툴(110) 및 KMLS 치환 및 커스터미제이션부(108)는 상기 코드 맵핑부(106)의 다양한 종류의 중심단어와 KMLS 표준코드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CDA 처리부(112)는 CDA 오브젝트(114), CDA 파서(116), CDA(118)로 구성되어, 상기 코드 맵핑부(106)로부터의 의무기록정보를 CDA로 변환하여 의무기록정보 어뎁터(ELECTRONIC MEDIAL RECORD ADAPTER)를 통해 진료정보 저장부(CLINICAL INFORMATION REPOSITORY)에 저장한다.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은 코드화되지 않은 의료 서술문에 대한 KMLS 표준코드의 검출을 문의하고 해당 의료 서술문에 대한 KMLS 표준코드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쿼리 엔진(202)과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구비한다.
상기한 임상표준문서 처리 시스템의 구성 중 코드 맵핑부(106)의 제1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코드 맵핑부(106)는 파서(306) 및 임시 저장매체(302)를 구비한다.
의무기록정보(300)는 임시 저장매체(302)를 통해 상기 파서(306)로 제공되며, 상기 파서(106)는 상기 의무기록정보를 프리 텍스트 컨셉(바디부분)과 구조화된 데이터 컨셉(헤더) 중 프리 텍스트 컨셉(바디)에 포함된 코드화되지 않은 의료 서술문으로부터 중심단어(key word)를 추출하고,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LMS 코드를 검출하고, 상기 KMLS 표준코드를 상기 의무기록정보에 삽입하여 CDA 처리부(304)로 제공한다.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의 검출은 KMLS 치환 및 커스터미제이션부(308)를 통해 해당 중심단어에 대응되게 저장된 KMLS 표준코드의 독출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KMLS 치환 및 커스터미제이션부(308)는 유의어 및 동의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KMLS 표준코드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메모리 할당영역을 감소시킴은 물론이며 코드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중 코드 맵핑부(106)의 제2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코드 맵핑부(106)는 서칭 엔진(400)과 임시 저장매체(406,408)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쿼리(404,408)는 코드화되지 않은 의료 서술문에 대한 쿼리로서,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을 통해 입력된다.
상기 제1 및 제2쿼리(404,408)는 각각 임시 저장매체들(406,408)을 통해 서 칭엔진(400)으로 제공되며, 상기 서칭 엔진(400)은 상기 제1 및 제2쿼리(404,408)에 포함된 코드화되지 않은 의료 서술문으로부터 중심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LMS 코드를 검출하고, 상기 KMLS 표준코드를 임시 저장매체들(406,408)을 통해 크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특히 상기 KMLS 치환 및 커스터미제이션부(308)는 유의어 및 동의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KLMS 코드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메모리 할당영역을 감소시킴은 물론이며 코드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6 및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204)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좌측에는 진단(DIAGNOSIS)에 대한 의료 서술문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한 화면을 통해 진단에 대한 의료 서술문의 선택 또는 입력이 이행되면 코드 맵핑부(106)는 해당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KLMS 코드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의무기록정보에 삽입한다.
도 6의 우측에는 형태학적 진단(MORPHOLOGY)에 대한 의료 서술문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한 화면을 통해 형태학적 진단에 대한 의료 서술문의 선택 또는 입력이 이행되면 코드 맵핑부(106)는 해당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KLMS 코드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의무기록정보에 삽입한다.
도 7은 수술 및 처치(PROCEDURE)에 대한 의료 서술문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한 화면을 통해 수술 및 처치에 대한 의료 서술문의 선택 또는 입력이 이행되면, 코드 맵핑부(106)는 해당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의무기록정보에 삽입한다.
상기한 도 6 내지 도 7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쿼리 엔진(202)을 통해 소정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를 검출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코드 맵핑부(106)는 KMLS 표준코드가 삽입되지 않은 의무기록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무기록정보에 포함된 의료 서술문에 대한 KMLS 표준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의무기록정보에 자동으로 삽입한다.
도 8은 쿼리 엔진(202)을 통해 KMLS 표준코드를 검출하여 삽입되었거나, 의료 서술문에 대한 KMLS 표준코드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삽입된 의무기록정보의 출력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의무기록정보에는 본 발명에 의해 KMLS 표준코드를 검출하여 삽입되었거나, 의료 서술문에 대한 KMLS 표준코드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삽입되므로 수기 작성없이도 의무기록지의 작성을 완료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상표준문서내의 의무기록지에 기입된 의료 서술문에 대응되는 표준용어코드를 검출하여, 수기 기입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 서술문의 중심단어를 중심으로 표준용어코드를 검색함으로써, 표준용어코드 검색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KCD(KOREAN CLASSIFICATION OF DISEASE)를 기본으로 하는 KMLS(KOREAN MEDICAL LANGUAGE SYSTEM) 코드의 검출 및 기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임상 의사 결정 지원이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되므로, 세계적 기술동향에 발맞춘 유비쿼터스, e-Health care, 휴대용 진단기, 휴대형 생체신호 계측, 의료 응용 분야 등의 주요한 응용분야로 관련 기술을 연장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단 정보 통신 기술과 의료 시스템을 접목하여 신개념의 e-Health 보건의료정보시스템 개발을 통해 미래형 진료 시스템을 국가의 새로운 성장 동력 산업으로 발전시킴과 동시에 고품질의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함으로서 보건의료복지사회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의료 서술문의 중심단어들 각각 대응되게 KMLS(KOREAN MEDICAL LANGUAGE SYSTEM) 표준코드들을 저장하며,
    상기 중심단어들 중 동의어 또는 유의어에 대한 의료 서술문들은 동일한 KMLS 표준코드가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어느 한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검색 요청된 의료 서술문에 포함된 중심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 요청은,
    KMLS 표준코드가 기입되지 않은 의무기록정보의 입력시,
    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검색 요청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5. 삭제
  6.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의료 서술문의 중심단어들 각각 대응되게 KMLS(KOREAN MEDICAL LANGUAGE SYSTEM) 표준코드들을 저장하며,
    상기 중심단어들 중 동의어 또는 유의어에 대한 의료 서술문들은 동일한 KMLS 표준코드가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시스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어느 한 의료 서술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검색요청된 의료 서술문에서 중심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중심단어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사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코드 맵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의무기록정보를 저장하는 의료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드 맵핑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KMLS 표준코드가 기입되지 않은 의무기록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의무기록정보에 대응되는 KMLS 표준코드를 상기 의무기록정보에 삽입하여 상기 의료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장치.
  10. 삭제
KR1020060022207A 2006-03-09 2006-03-09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78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207A KR100781210B1 (ko) 2006-03-09 2006-03-09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207A KR100781210B1 (ko) 2006-03-09 2006-03-09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860A KR20070092860A (ko) 2007-09-14
KR100781210B1 true KR100781210B1 (ko) 2007-11-30

Family

ID=3869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207A KR100781210B1 (ko) 2006-03-09 2006-03-09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850A (ko) 2014-07-17 2016-01-27 주식회사 에프에스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459B1 (ko) * 2012-02-28 2014-04-08 주식회사 유비케어 비급여 코드 표준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923A (ko) * 2003-07-14 2005-01-24 이지케어텍(주) 의료 정보의 전산 표준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923A (ko) * 2003-07-14 2005-01-24 이지케어텍(주) 의료 정보의 전산 표준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850A (ko) 2014-07-17 2016-01-27 주식회사 에프에스 질병정보 해석 시스템 구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860A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06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patient information
JP5952835B2 (ja) 撮像プロトコルの更新及び/又はリコメンダ
US7610192B1 (en) Process and system for high precision coding of free text documents against a standard lexicon
US63666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mage analysis information
US8086468B2 (en) Method for computerising and standardizing medical information
CN102844761B (zh) 用于查看描述放射学图像的医学报告的方法和报告查看器
RU2686627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оздание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на показатели продольной области для просмотра показателей пациента
US7580831B2 (en) Dynamic dictionary and term repository system
KR100739570B1 (ko)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8537227A (ja) 医療データを解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5122002A2 (ja) 構造化文書作成方法ならびに装置
KR20100129016A (ko) 의료정보 검색방법 및 시스템
EP3596620A1 (en) Interoperable record matching process
US201802762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retrieving de-identified medical images from a database
Hammond The role of standards in creating a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KR100781210B1 (ko) 의료정보 표준코드 검출방법 및 장치
JP6434449B2 (ja) 研究情報管理システム
US8756234B1 (en) Information theory entropy reduction program
KR102451066B1 (ko)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중요검사결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0532A (ko) 임상 데이터 조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Orthuber Collection of medical original data with search engine for decision support
CN112699669B (zh) 流行病学调查报告的自然语言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140415B2 (ja) 看護支援装置、看護支援方法、プログラム
US20080183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ategorization of Reference Exams
TW202226260A (zh) 智慧化影像診斷報告轉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