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519B1 -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519B1
KR101589519B1 KR1020150162671A KR20150162671A KR101589519B1 KR 101589519 B1 KR101589519 B1 KR 101589519B1 KR 1020150162671 A KR1020150162671 A KR 1020150162671A KR 20150162671 A KR20150162671 A KR 20150162671A KR 101589519 B1 KR101589519 B1 KR 10158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linear
polarizer
polariz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열
하시즈메코지
Original Assignee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K9/5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14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polarised light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Y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배향 장치는, 액정을 배향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배향막을 비접촉으로 처리하는 광배향 장치로서, 엘이디 소자를 배열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편광 제어하는 편광부를 포함하고, 광원부는 엘이디 소자가 복수 열로 배열되어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을 형성하고, 편광부는 다수 개의 편광자가 일렬만 배열되어 있으며, 편광부에는 평행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이 상호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입사된다.

Description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PHOTO ALIGNMENT DEVICE USING LED}
본 발명은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시스템과 같은 광조사 장치는 가정, 의료(치과분야) 및 산업용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중에서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광조사 장치는 피조사면 또는 피조사영역에 대해 특정한 파장 및 에너지를 갖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피조사면에서 원하는 변화를 얻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업용 광조사 장치는 광배향 또는 광경화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광배향 장치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글라스의 배향막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해서 러빙 롤러를 배향막에 접촉시켜 기계적으로 문지르는 러빙(rubbing) 방식을 대신하여, 배향막에 일정 파장을 갖는 편광빔을 조사하여 배향을 하는 장치이다. 광배향을 위해서 일정한 세기의 빛을 조사하는 고압의 수은 램프 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은 UV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UV 램프는 불필요한 파장을 조사하지 않기 위해서 파장을 제한하는 광학계가 필요한데, 이 광학계에 의해서 투과율이 손상되기 때문에 배향막에 도달하는 빛의 에너지가 감소하고, 램프가 상당히 고가라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UV 램프는 램프관의 광축에 대한 확산광을 제어하기 위해서 복잡한 반사 미러(mirror)를 설치해야 한다. 배향 상태의 고정밀화를 위해서는 배향막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빛이 필요한데, 확산광을 집광해서 광범위하게 조사하는 UV 램프의 반사 미러의 경우에는 수직으로 입사하는 빛만을 추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의 UV 램프는 온오프(on-off)를 위해서 많은 대기 시간을 요구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장비의 구성이 간소한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조사 장치는, 엘이디 소자가 복수열로 배열되어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을 출력하는 광원부와, 다수 개의 편광자가 일렬만 배열되어 있는 편광부를 포함하고, 엘이디 직선광은 상기 편광부에 상호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입사된 후 상기 편광자에 의해서 편광 제어되어 출력된다.
엘이디 직선광은 평행광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배향 장치는, 액정을 배향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배향막을 비접촉으로 처리하는 광배향 장치로서, 엘이디 소자를 배열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편광 제어하는 편광부를 포함하고, 광원부는 엘이디 소자가 복수 열로 배열되어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을 형성하고, 편광부는 다수 개의 편광자가 일렬만 배열되어 있으며, 편광부에는 평행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이 상호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입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배향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파장으로 선택 배치하여 조사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엘이디 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편광부의 하부를 통과하는 배향막에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에 의해서 받는 광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광원부는 엘이디 광선을 평행광으로 형성하는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편광자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간격의 하부에는 엘이디 광선이 투과하지 않게 하는 차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부재의 폭은 4.5mm 이하일 수 있다.
편광자는 그 중앙이 아닌 회전 중심을 갖고 회전에 의해서 각도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인접하는 편광자의 회전 중심은 상호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배향막에 대한 광배향 장치의 광원부의 상하 방향 높이를 조정해서 배향막의 반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엘이디 직선광이 배향막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형광을 수광하는 형광센서를 구비하고, 형광센서를 이용하여 배향막의 배향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배향 방법은, 복수 개의 엘이디 소자에 의해 형성된 선형 상태의 엘이디 직선광과, 엘이디 직선광을 편광 제어하기 위해서 일렬로만 배열되고 평행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이 상호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입사되는 복수 개의 편광자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한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광배향 장치에서 엘이디(LED) 소자가 배열된 엘이디 모듈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엘이디 소자의 하부에 렌즈가 배치되어 엘이디 직선광을 형성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엘이디 소자와 렌즈 사이의 간격에 따른 집광 정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확산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이 배향막에 도달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이 편광자를 통과하면서 교차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엘이디 모듈에 경사각을 부여하여 엘이디 직선광이 교차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예시된 광배향 장치의 편광부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편광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편광부의 편광자의 조정 전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편광자를 조정한 후의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은 하나의 엘이디 직선광(122)이 출력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도 2는 세 개의 엘이디 직선광(122)이 출력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3은 광배향 장치(100)에서 엘이디(LED) 소자(112)가 배열된 엘이디 모듈(120)을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엘이디 소자(112)의 하부에 렌즈(116)가 배치되어 엘이디 직선광(122)을 형성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엘이디 소자(112)와 렌즈(116) 사이의 간격(a)에 따른 집광 정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는, 복수 개의 엘이디 소자(112)를 구비하여 선형 상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조사하는 광원부(110)와, 엘이디 직선광(122)을 편광 제어하기 위해서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편광자(132)를 구비하는 편광부(130)와, 편광부(130)와 배향막(162)이 형성된 배향막 글라스(160) 사이에 배치된 커버글라스(150)를 포함한다.
광배향 장치(100)는 광원부(110)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편광자(132)에 입사시킨 후 편광시켜 배향막(162)을 배향하는 것으로, 광원부(110)는 광원으로서 복수 개의 엘이디 소자(112)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이디 소자(112)에 의한 광원부(110)는 종래의 UV 램프에 비해서 에너지 소모가 적고, 온오프(on-off)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점등 후 온도 상승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엘이디 소자(112)에 의한 광원부(110)는 길게(예를 들면, 1m)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면적의 배향막 글라스(160)에 대응할 수 있고 콜드 미러(cold mirror) 및 반사경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광원부(110)에는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112)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120)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120)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열로 배열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10)는 세 개의 열로 배열된 엘이디 모듈(120)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각각의 엘이디 모듈(120)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엘이디 모듈(120)은 서로 다른 파장의 엘이디 광선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엘이디 모듈(120)은 피크 파장이 365nm, 다른 엘이디 모듈(120)은 피크 파장이 385nm, 또 다른 엘이디 모듈(120)은 피크 파장이 395nm인 엘이디 광선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엘이디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엘이디 광선의 파장을 다르게 함으로써 배향막(162)의 배향 특성에 최적화된 파장의 엘이디 광선을 출력할 수 있다.
엘이디 모듈(120)은 하나의 보드(11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다수 개의 보드(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이디 모듈(120)이 다수 개의 보드(114)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보드(114)에 실장된 엘이디 소자(112)의 출력 강도 및 파장 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는 복수 개의 편광자(132)가 일렬로 배열된 편광부(130) 상에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122)이 상호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엘이디 직선광(122)이 편광자가 일렬로만 배열된 하나의 편광부를 투과하게 함으로써, 다수 개의 편광부를 사용함으로써 조사면(배향막)에서 배향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엘이디 직선광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조사량을 높여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고하면, 각각의 엘이디 모듈(120) 하부에는 렌즈(116)가 구비되어 있다. 렌즈(116)는 엘이디 소자(112)에서 출력되는 엘이디 광선을 집광하거나 또는 평행광으로 형성한다. 엘이디 광선은 렌즈(116)에 의해서 또는 렌즈(116)에 의하지 않고 그 자체로 엘이디 직선광(122)으로 형성된다. 엘이디 직선광(122)은 스테이지(170)의 주행 방향(도 1 및 도 2의 화살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적이며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광선이다. 엘이디 직선광(122)의 길이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편광자(132)에 모두 포함될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16)는 단면이 원형(도 4 및 도 5 참조)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 렌즈(rod lens)에 해당할 수 있다. 로드 렌즈는 엘이디 모듈(1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도 4와 같이 확산광에 해당하는 엘이디 광선을 평행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16)는 로드 렌즈뿐만 아니라 엘이디 소자(112)에서 출력되는 엘이디 광선을 집광 또는 평행한 빛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엘이디 소자(112)와 로드 렌즈(116) 사이의 간격(a)을 조정함으로써 엘이디 직선광(122)을 확산광 또는 평행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엘이디 소자(112)와 로드 렌즈(116)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엘이디 소자(112)에서 출력된 엘이디 광선이 모두 로드 렌즈(116)에 입사되어 평행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엘이디 소자(112)와 로드 렌즈(116) 사이의 간격(a)을 다소 크게 함으로써 엘이디 소자(112)에서 출력된 엘이디 광선 중 일부(예를 들면, 20%)가 로드 렌즈(116)에 입사하지 않고 확산광으로서 출력되고 나머지 엘이디 광선(예를 들면, 80%)는 로드 렌즈(116)에 입사되어 평행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광원부(110)는 렌즈(116)를 사용하지 않고 확산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엘이디 모듈(120)에 배치된 엘이디 소자(112) 중에서도 렌즈(116)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것을 혼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엘이디 소자(112)에서 출력된 확산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이 배향막(162)에 도달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향막(162)에는 확산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이 도달할 수 있다. 조사 강도가 평균의 5%까지를 유효로 하는 조사 전체 폭(c)이 조사집중부(126) 폭(a)의 2배 이하인 확산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사 전체 폭(c)에서 조사집중부(126)의 폭(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폭(b) 사이에는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
a + 2b = c
2a≥c
도 7은 엘이디 직선광(122)이 편광자(132)를 통과하면서 교차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광원부(110)가 평행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만을 조사하는 경우 빛의 방향 성능은 향상되지만 적산 광량이 저하되어 양산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엘이디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확산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편광자(132)를 투과하면서 상호 교차시켜서 조사 면적을 크게 하고 특히 중앙에 형성되는 조사집중부(126)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도 8은 엘이디 모듈(120)에 경사각을 부여하여 엘이디 직선광(122)이 교차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3개의 엘이디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확산광 형태의 엘이디 직선광(122)을 더욱 집중시키기 위해서, 양측의 엘이디 모듈(120)을 좌우 대칭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조사집중부(126)의 면적 및 집중 광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 그리고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의 편광부(13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1에 예시된 광배향 장치(100)의 편광부(13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편광부(130)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편광부(130)는 광원부(110)에서 출력되는 엘이디 직선광(122)을 편광 제어하는 것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편광자(132)와, 편광자(132) 사이에 형성된 간격(138)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차단부재(140)를 포함한다.
광원부(110)에서 출력된 엘이디 직선광(122)은 편광자(132)를 투과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편광되어 출력된다. 편광자(132)로서 브루스터 편광자 또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브루스터 편광자는 유전 다층막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로서, 브루스터 각도를 사용하여 p파 편광 성분과 s파 편광 성분으로 분리하고 소광비(편광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내부에 배치된 금속 와이어(그리드)의 간극에 의해서 파장 대역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패턴 전사에 의한 간단한 프로세스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 개의 편광자(132)는 일렬로 배열되고 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138)이 형성된다. 편광자(132) 사이에 간격(138)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편광자(132)를 회전시켜서 편광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편광자(132)의 양 단부에는 지지부재(134)가 구비되어 있다.
편광자(132)가 위치하지 않는 간격(138) 하부에는, 편광되지 않은 엘이디 직선광(122)이 배향막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재(140)를 배치한다. 차단부재(140)는 빛이 투과하지 않는 금속 등의 재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간격(138)에 비해서 더 큰 폭을 갖고, 편광자(132)에 비해서 길게 형성된다. 차단부재(140)의 폭은 엘이디 직선광(122)의 투과를 고려하면 4.5mm 이하로 할 수 있다.
차단부재(140)는 편광자(132)에서 일정 간격 하부에 위치하는데, 이는 차단부재(140)에 의해서 편광자(13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편광부(130)의 하부에는 커버글라스(150)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글라스(150)는 배향막(162)에 대한 조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증기(vapor)가 편광자(13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글라스(150)는 엘이디 직선광(122)이 투과하는 유리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글라스(150)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편광부(130)의 편광자(132)가 조정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편광자(132)를 조정한 후의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각각의 편광자(132)는 회전중심(136)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을 할 수 있다. 회전중심(136)은 편광자(132)의 중심이 아니라 그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편광자(132)가 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은 경우 회전중심(136)을 중심으로 각 편광자(132)들을 회전시켜서 도 12와 같이 편광자(132)를 조정할 수 있다.
인접하는 편광자(132)의 회전중심(136)은 상호 반대측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는, 편광자(132) 사이의 간격(138)이 작기 때문에 편광자(132)들끼리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는 광원부(110) 및 편광부(130)를 구비하고 집광을 위해서 별도의 미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하여 배향막(162)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향막(162)에 대한 광배향 장치(100)의 높이 조절을 통해서 배향막(162)에 도달하는 엘이디 직선광(122)의 조사 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배향막(162)의 배향 특성에 최적인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는 엘이디 직선광(122)이 배향막(162)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형광을 수광하는 형광센서(도면 부호 없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는 엘이디 소자(112)를 이용하기 때문에 형광센서에 특정 파장이 불필요 해져서 형광의 수광만으로 배향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배향 장치(100)는 배향막 글라스(160)가 놓여지는 스테이지(170)를 구비하고, 스테이지(170)는 배향막 글라스(160)를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테이지(170) 및 그 구동 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광배향 장치 110: 광원부
112: 엘이디 소자 116: 렌즈
120: 엘이디 모듈 122: 엘이디 직선광
130: 편광부 132: 편광자
140: 차단부재 150: 커버글라스
160: 배향막 글라스

Claims (12)

  1. 엘이디 소자가 복수열로 배열되어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을 출력하는 광원부; 및
    다수 개의 편광자가 일렬만 배열되어 있는 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이디 직선광은 상기 편광부에 상호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입사된 후 상기 편광자에 의해서 편광 제어되어 출력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조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직선광은 평행광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조사 장치.
  3. 액정을 배향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배향막을 비접촉으로 처리하는 광배향 장치로서, 엘이디 소자를 배열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편광 제어하는 편광부를 포함하는 광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엘이디 소자가 복수 열로 배열되어 복수의 엘이디 직선광을 형성하고,
    상기 편광부는 다수 개의 편광자가 일렬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부에는 평행광 형태의 상기 엘이디 직선광이 상호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입사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엘이디 직선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파장으로 선택 배치하여 조사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이디 직선광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엘이디 광선을 평행광으로 형성하는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의 하부에는 엘이디 광선이 투과하지 않게 하는 차단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폭은 4.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회전에 의해서 각도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편광자의 회전 중심은 상호 반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상하 방향 높이를 조정해서 배향막의 반응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직선광이 배향막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형광을 수광하는 형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형광센서를 이용하여 배향막의 배향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KR1020150162671A 2015-11-19 2015-11-19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KR10158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671A KR101589519B1 (ko) 2015-11-19 2015-11-19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671A KR101589519B1 (ko) 2015-11-19 2015-11-19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519B1 true KR101589519B1 (ko) 2016-02-04

Family

ID=5535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671A KR101589519B1 (ko) 2015-11-19 2015-11-19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5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240A (ja) 2005-05-09 2006-11-16 Fuji Photo Film Co Ltd 紫外線照射装置、機能性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323060A (ja) 2005-05-18 2006-11-30 Ushio Inc 偏光光照射装置
JP2013228516A (ja) 2012-04-25 2013-11-07 Iwasaki Electric Co Ltd 偏光紫外線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240A (ja) 2005-05-09 2006-11-16 Fuji Photo Film Co Ltd 紫外線照射装置、機能性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323060A (ja) 2005-05-18 2006-11-30 Ushio Inc 偏光光照射装置
JP2013228516A (ja) 2012-04-25 2013-11-07 Iwasaki Electric Co Ltd 偏光紫外線照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25407B (zh) 光配向装置
JP5704591B2 (ja) 配向処理方法及び配向処理装置
US20130039030A1 (en) Light irradiation apparatus
JP5177266B2 (ja) 偏光素子ユニットおよびこの偏光素子ユニットを用いた光照射装置並びに偏光素子ユニットの透過率設定方法
KR100510891B1 (ko) 액정 배향막의 광 배향용 편광광 조사장치의 편광 소자
KR20150035789A (ko) 노광장치
JP3384346B2 (ja) 液晶表示素子の光配向用偏光光照射装置
KR101589519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광배향 장치
KR20060050911A (ko) 노광용 광원
JP6660144B2 (ja) 光照射装置
CN110196517B (zh) 一种紫外线照射机
JP2015106015A (ja) 偏光光照射装置、偏光光照射方法および偏光光照射プログラム
WO2017049705A1 (zh) 光配向装置及其空间分光棱镜片
TW201407295A (zh) 照明裝置、處理裝置、及元件製造方法
KR101650962B1 (ko) 램프 유닛 및 이 램프 유닛을 구비한 광 조사 장치
JP2004233708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露光照明装置
JP4046427B2 (ja) 大面積偏光板を採り入れた偏光装置
US6532047B1 (en) Irradiation device for polarized light for optical alignment of a liquid crystal cell element
KR20120032426A (ko) 광 조사 장치 및 광 조사 방법
JP2007057861A (ja) 角形状集光用光学系および液晶パネル用紫外線照射装置
CN110998450A (zh) 光取向用曝光装置
KR102007751B1 (ko) 광배향 조사장치
JP7035376B2 (ja) 偏光光照射装置および偏光光照射方法
KR101121470B1 (ko) 노광 장비 용 면 광원
JP7193196B2 (ja) 配向膜露光装置用の測定機構、および配向膜露光装置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