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261B1 - 습식 스크러빙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스크러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261B1
KR101589261B1 KR1020150087350A KR20150087350A KR101589261B1 KR 101589261 B1 KR101589261 B1 KR 101589261B1 KR 1020150087350 A KR1020150087350 A KR 1020150087350A KR 20150087350 A KR20150087350 A KR 20150087350A KR 101589261 B1 KR101589261 B1 KR 10158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flow
outle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억
김명순
정형진
정여진
Original Assignee
정재억
김명순
정형진
정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억, 김명순, 정형진, 정여진 filed Critical 정재억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20Intercepting solids by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60Intercepting solids using settling/precipitation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 유입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유입구를 통하여 기체가 유입되고, 저장공간 내 액체에 침지되게 돌출되고, 유입된 기체가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유동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노즐부와, 유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기체가 충돌하게 하여 액체 내에서 아토마이징시키는 충돌수단을 포함하는 아토마이징 모듈 및 액체의 수면 위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아토마이징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여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기체의 기류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회전하며, 회전에 의하여 액체의 수면 위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을 가이드하여 부유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저장공간 내 미스트와 충돌하여 미스트를 응집 및 성장시켜 낙하되도록 하는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을 통하여 스크러빙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질을 배출함으로써 산소와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동 가이드수단을 통하여 기액접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스크러빙 장치 {Wet type scrubb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습식 스크러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물질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스크러빙 유체와 산소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연료를 비롯하여 환경 오염물질인 폐유 및 각종 쓰레기 등을 열원으로 이용하거나 소각시키는 산업용 보일러와 소각로에서는 연소 또는 소각 시 많은 유해가스와 매연 및 각종 이물질이 배출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배기가스 및 매연들은 대기오염을 매우 가속화하기 때문에 생태계 파괴는 물론 인간생활의 여러 분야를 침해한다.
이에, 상기한 각종 악취가스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가스 스크러빙 장치는, 상기한 악취가스 중에 악취를 유발하는 악취원인물질을 물에 용해시켜 처리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와,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켜 처리하는 버닝 스크러빙장치 등이 있다. 이 중 습식 스크러빙 장치는, 타 방식에 비하여 효과가 우수하고, 공정상 그 경제성이 우수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습식 스크러빙 장치의 예로, 반응가스가 유입되는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과 연결되며 상기 유입된 반응가스를 플라즈마화 시키는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 내에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반응가스를 스크러빙하는 가스 스크러빙 장치 및 가스 스크러빙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습식 스크러빙 장치는, 악취가스 내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나, 오일, 슬러리 등이 스크러빙 유체에 부유하면서 스크러빙 유체 수면에서의 공기와의 접촉을 방해하여 스크러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부유 물질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배기가스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의 동력을 더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6430호
본 발명은, 스크러빙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질을 배출되게 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늘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기체가 유입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 상기 액체에 침지되게 돌출되고, 유입된 상기 기체가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기체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유동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노즐부와, 상기 유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기체가 충돌하게 하여 상기 액체 내에서 아토마이징시키는 충돌수단을 포함하는 아토마이징 모듈; 및 상기 액체의 수면 위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기체의 기류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회전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액체의 수면 위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을 가이드하여 상기 부유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저장공간 내 미스트와 충돌하여 상기 미스트를 낙하되도록 하는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스크러빙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을 통하여 스크러빙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질을 배출함으로써 공기(특히, 산소)와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이 저장공간 내 기류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별도의 회전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 저감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셋째,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이 부유물질 배출뿐만 아니라 표면으로 저장공간 내 미스트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흡입장치의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처리 공정의 효율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유동 가이드수단을 통하여 기체 및 액체의 회전순환을 유도하여 유동 정체시간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기액 접촉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유동 가이드수단을 통하여 미세화 된 기체(마이크로 버블)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분배바를 통하여 기체의 세밍화는 물론 기체끼리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부유물질이 제거되어, 배기가스를 유동시키는 흡입장치(예, 송풍팬)의 동력이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스크러빙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습식 스크러빙 장치에서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습식 스크러빙 장치에서 충돌수단과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습식 스크러빙 장치에서 아토마이징 모듈과 유동 가이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스크러빙 장치(600)는, 기체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스크러빙 액체(물;1)를 이용하여 제거하며, 몸체(100)와, 아토마이징 모듈(200)과,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과, 유동 가이드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상기 액체가 배출되고,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을 통하여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오버플로우 출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상기 저장공간은 기체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물(1)을 수용하는 서브공간(111)과, 상기 서브공간(111)과 연통되어 상기 기체가 유입되고 상측으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오버플로우 출구(1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이 설치되어 있는 메인공간(112)으로 각각 구분되어 있다.
이에 상기 습식 스크러빙 장치(600)는, 운전 전에는 상기 메인공간(112)의 수위가 내려가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지만, 상기 흡입장치(500)가 작동하면서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메인공간(112)이 상기 흡입장치(500)의 흡입력에 의하여 음(-)압 상태가 되어 상기 서브공간(111)의 물(1)이 상기 메인공간(112)으로 유입되어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이 잠길 정도로 물(1)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은, 노즐부(210)와, 충돌수단(220)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210)는, 일측으로 상기 유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가 유입되는 공급구(201)가 형성되며, 타측으로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유출구(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공간(112) 내 상기 액체에 침지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210)는, 상기 유입구(10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기체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유동 통과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가스유로(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돌수단(220)은, 상기 유출구(202)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부(210)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기체가 하면에 충돌하게 하여 상기 액체 내에서 아토마이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충돌수단(220)은, 상하방향으로 다단구조를 이루도록 제1충돌플레이트(221)와, 제2충돌플레이트(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221)는, 상기 유출구(202)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210)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기체가 하면에 충돌하면서 측면으로 퍼져나가게 하고 상기 기체를 미세화시킨다.
상기 제2충돌플레이트(222)는,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221)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221)의 측면으로부터 퍼져 나와 상부 방향으로 유출되는 상기 기체가 하면에 충돌하여 측면으로 퍼져 나가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충돌플레이트(22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221)의 양측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221)로부터 유출되는 기체가 양측부와 사이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충돌수단(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충돌플레이트(222)를 포함한 2단구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3단, 4단 등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습식 스크러빙 장치(600)는, 상기 충돌수단(220)의 하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기체를 미세화하는 복수개의 분배바(450)를 구비한다. 상기 분배바(450)는 상기 충돌수단(220)을 통하여 미세화 된 상기 기체를 분배하여 세밍화되도록 하며, 미세화된 기체가 서로 합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액체의 수면 위 상기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액체의 수면 위에 존재하는 부유물질(2)을 상기 오버플로우 출구(103)로 가이드하여 상기 부유물질(2)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저장공간 내 미스트와 충돌하여 상기 미스트를 응집 및 성장되게 한 후 하중에 의하여 낙하되도록 하여 상기 미스트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질(2)은 부유된 오일, 슬러리를 포함하여, 악취가스 내에 함유되어 있는 액상 또는 고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 상기 물(1)과 산소의 접촉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말한다.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기체의 기류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따라 상기 액체의 수면 위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을 상기 오버플로우 출구로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충돌수단(220)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기체의 기류에 영향을 받도록, 상기 충돌수단(220)의 일측 단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충돌수단(220)의 양측 단부로 유출되는 기체의 기류에 영향을 받도록 상기 충돌수단(220)의 일측 단부 상측과, 타측 단부 상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충돌수단(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몸체(100) 내에 제1가이드수단(310)과, 제2가이드수단(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수단(310)은, 상기 충돌수단(220)의 일측 단부 상측에 위치하고, 도면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출구(103)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부유물질(2)이 상기 오버플로우 출구(103)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수단(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돌수단(220)과 충돌하여 유출되는 기체의 기류에 영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우 출구(103)는 상기 제1가이드수단(31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도면에서 상기 몸체(10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가이드수단(320)은, 상기 제1가이드수단(310)과 이격되게 상기 액체의 수면을 따라 상기 충돌수단(220)의 타측 단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충돌수단(220)과 충돌하여 유출되는 기체의 기류에 영향을 받아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회전축(311,321)과, 회전날개(312,32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311,321)은 상기 액체의 수면 위에 상기 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11,321)은 상기 몸체(10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공지의 회전베어링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회전축과 베어링의 결합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311,3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로부터 유출되는 기체의 기류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 아닌, 구동모터(미도시)와 축연결되어 동력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몸체(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어 상기 회전축(311,32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311,321)의 구성은 공지의 구동축결합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날개(312,322)는,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311,321)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311,3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부유물질(2)을 상기 오버플로우 출구(103)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312,32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상기 저장공간(111) 내 미스트가 충돌 후 응집 및 성장하여 자유낙하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회전날개(312,322)는, 복수개가 상기 회전축(311,3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공간(111)의 크기와, 유출되는 기체의 유속 등을 고려하여 그 개수와 크기는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로부터 유출되는 기체의 기류에 영향을 받도록 너비 방향에 대하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몸체(100)의 너비 방향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311,321)의 위치(c)가 상기 충돌수단(220)의 단부(b) 외측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회전날개(312,322)의 노출단부(d)는 상기 충돌수단(220)의 양측 단부(a,b) 사이에 위치한다.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몸체(100)의 너비 방향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311,321)의 위치(c)가 상기 충돌수단(220)의 양측 단부(a,b)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회전날개(312,322)의 노출단부(d)는 상기 충돌수단(220)의 단부(b) 외측 바깥쪽에 위치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수단(310)과 상기 제2가이드수단(320)이 각각 회전축(311,321)이 상기 충돌수단(220)의 외측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날개(321,322)의 노출단부는 상기 충돌수단(220)의 양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축(311,321)을 상기 충돌수단(220)의 양측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회전날개(321,322)의 노출단부를 상기 충돌수단(220)의 외측 바깥쪽에 위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수단(310)과 상기 제2가이드수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충돌수단(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면 위 상기 저장공간(111) 내에서 기체의 기류에 영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는 곳이라면 다양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면 위 부유하는 부유물질(2)을 상기 오버플로우 출구(103)로 가이드하여 상기 부유조(130)의 공간(131)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수면에서 물이 부유물질(2)로 인한 산소접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별도의 회전 구동장치의 설치 없이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200)로부터 유출되는 기체 기류를 통하여 무동력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회전날개(312,322)의 표면으로 상기 저장공간(111) 내 미스트와 충돌하여 상기 미스트를 상기 회전날개(312,322)의 표면에서 응집 및 성장되게 한 후 하중에 의하여 낙하되도록 하여 상기 미스트를 제거하고, 이를 통해 흡입장치(5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처리 공정의 효율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수단(400)은, 상기 충돌수단(220)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가 상기 충돌수단(220)에 의하여 충돌 후 회전 순환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액체 내 상기 기체의 유동 정체시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 가이드수단(400)은, 가이드돌기(410)와, 가이드바(420)와, 가이드 플레이트(430)와, 순환돌기(22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돌기(410)는, 상기 유출구(202)의 상측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충돌수단(2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202)로부터 유출된 기체의 유동을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기체의 원활한 흐름은 물론, 상기 충돌수단(220)과의 마찰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410)는, 유동저항이나 마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202)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가이드돌기(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체가 좌우 방향으로 원활하게 갈라져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손실 저감 및 유동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면 유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바(420)는,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3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 벽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아토마이징 시 상기 물(1)이 회전하여 순환 유동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가이드바(420)는 주로 기체의 회전순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바(420)를 액체에 침지되게 위치시켜 기체뿐만 아니라 액체의 회전순환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30)는, 상기 충돌수단(22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가 하방으로 선회하면서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기체가 회전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순환돌기(223)는, 상기 충돌수단(220)의 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토마이징 시 상기 기체와 상기 몸체(100) 내벽과의 마찰손실을 줄이고, 미세화 된 기체가 측면을 타고 회전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돌기(2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실시예로 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마이크로버블의 유동 흐름을 고려하여 그 형상 등은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습식 스크러빙 장치(600)는, 상기한 유동 가이드수단(400)을 통하여, 기체의 마찰손실을 줄이고 유체의 유동을 회전 순환하도록 유도하여, 유동 정체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를 통해 기액접촉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체의 열량을 보다 많이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01... 유입구
102... 배출구 103... 오버플로우 출구
111... 서브공간 112... 메인공간
200... 아토마이징 모듈 210... 노즐부
220... 충돌수단 300... 부유물질 가이드수단
310... 제1가이드수단 311,321... 회전축
312,322... 회전날개 320... 제2가이드수단
400... 유동 가이드수단 410... 가이드돌기
420... 가이드바 430... 가이드 플레이트
500... 흡입장치 600... 습식 스크러빙 장치

Claims (11)

  1.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기체가 유입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 상기 액체에 침지되게 돌출되고, 유입된 상기 기체가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기체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유동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노즐부와, 상기 유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기체가 충돌하게 하여 상기 액체 내에서 아토마이징시키는 충돌수단을 포함하는 아토마이징 모듈; 및
    상기 액체의 수면 위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기체의 기류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회전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액체의 수면 위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을 가이드하여 상기 부유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저장공간 내 미스트와 충돌하여 상기 미스트를 낙하되도록 하는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부유물질 가이드수단은,
    상기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기체의 기류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아토마이징 모듈로부터 유출되는 기류에 영향을 받도록 상기 몸체의 너비 방향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충돌수단의 단부 외측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노출단부는 상기 충돌수단의 양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수단은,
    상하방향으로 다단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유출구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횡 방향으로 배치 된 제1충돌플레이트와,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충돌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퍼져 나와 상부 방향으로 유출되는 상기 기체가 하면에 충돌하여 측면으로 퍼져 나가게 하는 제2충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수단의 하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기체를 미세화하는 복수개의 분배바를 더 구비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가 상기 충돌수단에 의하여 충돌 후 회전 순환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액체 내 상기 기체의 유동 정체시간을 증가시키는 유동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유출구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충돌수단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 유동을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충돌수단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가 회전순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수단은,
    일측은 상기 몸체의 내측 벽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아토마이징 시 상기 액체가 회전하여 순환 유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충돌수단의 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내벽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토마이징 시 상기 기체가 측면을 타고 회전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돌기를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빙 장치.
KR1020150087350A 2015-03-31 2015-06-19 습식 스크러빙 장치 KR101589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4844 2015-03-31
KR1020150044844 2015-03-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918A Division KR101586187B1 (ko) 2015-03-31 2015-10-29 습식 스크러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261B1 true KR101589261B1 (ko) 2016-01-28

Family

ID=553081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350A KR101589261B1 (ko) 2015-03-31 2015-06-19 습식 스크러빙 장치
KR1020150150918A KR101586187B1 (ko) 2015-03-31 2015-10-29 습식 스크러빙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918A KR101586187B1 (ko) 2015-03-31 2015-10-29 습식 스크러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892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17B1 (ko) 2017-06-23 2017-11-27 박정길 미세먼지 포집기
KR20190097647A (ko) * 2018-02-13 2019-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텐터시설의 유증기 처리용 세정집진기
KR102027895B1 (ko) * 2019-02-12 2019-11-14 동연환경기술㈜ 진공압을 이용한 와류형 기액 혼합식 스크러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7594A (zh) * 2020-12-08 2021-04-30 李金原 一种保健品生产用高效除尘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664B2 (ja) * 1989-12-05 1994-10-05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トロント、イノヴェーションズ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ガス―液体接触を効果的に行う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46430A (ko) 2008-10-27 2010-05-07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가스 스크러빙 장치 및 가스 스크러빙 방법
KR101003874B1 (ko) * 2010-07-05 2011-01-10 정재억 폭기 장치
KR101122909B1 (ko) * 2011-12-12 2012-06-20 정재억 냉각 탈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664B2 (ja) * 1989-12-05 1994-10-05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トロント、イノヴェーションズ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ガス―液体接触を効果的に行う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46430A (ko) 2008-10-27 2010-05-07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가스 스크러빙 장치 및 가스 스크러빙 방법
KR101003874B1 (ko) * 2010-07-05 2011-01-10 정재억 폭기 장치
KR101122909B1 (ko) * 2011-12-12 2012-06-20 정재억 냉각 탈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17B1 (ko) 2017-06-23 2017-11-27 박정길 미세먼지 포집기
KR20190097647A (ko) * 2018-02-13 2019-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텐터시설의 유증기 처리용 세정집진기
KR102018383B1 (ko) 2018-02-13 2019-09-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텐터시설의 유증기 처리용 세정집진기
KR102027895B1 (ko) * 2019-02-12 2019-11-14 동연환경기술㈜ 진공압을 이용한 와류형 기액 혼합식 스크러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187B1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261B1 (ko) 습식 스크러빙 장치
US6764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gas
KR102143836B1 (ko) 아토마이징 장치
KR100789719B1 (ko) 급속 회전 충돌식 오염가스 정화장치
WO2007066443A1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と湿式排煙脱硫方法
KR101857216B1 (ko)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JP7389107B2 (ja) 気体流と液体流を接触させるための装置
KR20030039305A (ko) 스크러버
CN102949925A (zh) 尾气脱硫除尘装置
KR101179253B1 (ko) 스크류 유도방식을 갖는 오염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KR101395604B1 (ko) 회전식 건조장치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20230151613A (ko)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KR101520299B1 (ko) 아토마이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빙 모듈 및 폭기장치
KR100742131B1 (ko) 세정 집진기
US3299621A (en) Rotary flow gas washer
KR2010013371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정집진기
CN111271784A (zh) 湿法空气处理装置和方法
JP6891446B2 (ja) 排煙脱硫装置
JPWO2020183537A1 (ja) 排ガス浄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排ガス除害装置
KR100312816B1 (ko) 회전식 세정 집진기
KR101647419B1 (ko) 습식 스크러빙 장치
CN203002195U (zh) 尾气脱硫除尘装置
JP2011019790A (ja) 液体微細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KR100717716B1 (ko) 공기정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