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613A -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613A
KR20230151613A KR1020220051148A KR20220051148A KR20230151613A KR 20230151613 A KR20230151613 A KR 20230151613A KR 1020220051148 A KR1020220051148 A KR 1020220051148A KR 20220051148 A KR20220051148 A KR 20220051148A KR 20230151613 A KR20230151613 A KR 20230151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xhaust gas
filtration
demister
pur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엽정화
Original Assignee
엽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엽정화 filed Critical 엽정화
Priority to KR102022005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613A/ko
Publication of KR2023015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흡착 및 여과 처리할 수 있도록 단일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는 이중자켓 형태의 챔버로 이루어지고 몸체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가 설치되며 몸체 상단부에는 배출덕트가 형성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는 1차여과로가 형성된 내부몸체 및 내부몸체와 외부몸체 사이에는 2차여과로가 형성되어 U턴 형태의 여과로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1차여과로와 2차여과로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습식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 설치된 세정수 분사노즐 및 연무노즐과; 상기 내부몸체의 1차여과로와 상부 배출덕트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여과 및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식 데미스터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유입된 배기가스가 여과탱크 내에서 세정수와의 접촉 시간을 길게하고 회전식 데미스터필터와 연무노즐 및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습식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식 데미스터필터에 의해 여과 효율을 증대시킨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Wet purifier of harmful exhaust gas with rotary filtration filter}
본 발명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흡착 및 여과 처리할 수 있도록 단일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폐기물소각장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열병합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폐기물 건조장치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산업보일러를 사용하는 제지공장, 시멘트생산공장, 아스콘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분진 및 배기가스, 화물선, 여객선, 원양어선 등 각종 선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여과탱크 내에서 세정수와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고 회전식 데미스터필터와 연무노즐 및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습식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식 데미스터필터에 의해 여과 효율을 증대시킨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처리장치는 건식과 습식 정화장치로 이루어진다.
건식 정화장치는 그 효율이 정화장치 내부에 가스제거 성능이 양호한 중화 흡착제 등을 충전하여 가스를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가스제거효율이 우수하고 유입가스 농도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반면에 충진층의 두께에 의하여 압력손실이 크고, 충진층 내부에서 편류현상이 발생하여 가스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농도의 가스가 유입되는 공정에서는 그 수명이 짧아 중화 흡착제나 충진제를 자주 교체해야 하며 대형화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폐기물이 다량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습식 정화장치는 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가스가 충진물 또는 판에 의한 액막과 분사되는 액적에 의해 흡수되어 악취,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때 사용되는 세정액은 물 또는 중화 흡착액이 사용된다.
습식 정화장치는 제거원리에 따라 분무탑, 충전탑, 싸이클론 스크러버, 벤츄리 스크러버 등으로 구분된다.
분무탑은 가장 간단한 형태로 상승하는 오염가스와 상부에서 분무되는 세정액의 액적 사이에 충분한 접촉시간으로 분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압력손실이 낮으나 제거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충전탑은 효율이 양호하여 유해가스처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충진재에 스케일이 형성되어 압력손실이 증가하며 고농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설비가 대형화되며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 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000723호(등록일자 2010년12월07일)의 "면접촉식 기상 물질 흡수처리장치"(이하 "선행기술" 이라 한다)는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공급구 및 가스배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가스유입구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지그재그 형상의 분할플레이트 및 상기 가스유입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디바이더캡을 갖는 제1가스분산유닛; 상기 제1가스분산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스분산유닛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오일을 낙하시키는 오일공급유닛; 상기 오일공급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가스분산유닛; 상기 제2가스분산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가스분산유닛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상부분할영역에는 상기 오일공급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오일을 제공받아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표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양측에 오일배출홈을 갖는 오일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하부분할영역에는 상기 오일배출홈을 통해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수용부가 구비된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세정수와 오일을 이용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총탄화수소, 기타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총탄화수소, 기타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1가스분산유닛(30)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수용부(39) 및 오일배출부(37)는 오일가이드(70)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오일공급유닛(40)을 통해 낙하되는 오일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분할플레이트(32)의 표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가스분산유닛(30)은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성분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총탄화수소(THC) 및 기타 화합물 등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세정수분사유닛(60)은 제2가스분산유닛(50)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 또는 유해가스 등과 같은 유해성분을 포집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정수분사유닛(60)은 세정수펌프(26)를 통해 세정수저장조(27)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으며, 세정수분사유닛(60)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는 제2가스분산유닛(50)을 통해 세정수저장조(27)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본체의 하부에는 오일공급유닛을 통해 낙하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조 가 구비되고, 상부의 세정수분사유닛을 통해 분사된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저장조가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오일저장조의 내부에는 오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먼저 배기가스를 여과처리하기 위해서는 세정수와 오일로 이원화하고 있으며, 이의 이원화된 세정수와 오일을 구동시기기 위한 내부의 구성 역시 이원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관리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사용시 필터를 세척하여 재활용하지 못하고 버려야 함으로 제2의 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은 하부에 설치되는 분할플레이트의 하부분할영역에는 오일배출홈을 통해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수용부가 구비되어야 함으로 오일을 별도로 세심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누유에의해 세정수저장조의 세정수에 혼입되어 수질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오일을 이용하여 배기가스내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45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기물소각장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또는 열병합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제철소 및 산업용보일러를 사용하는 제지공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를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여과탱크 내에 여과로를 U턴 방식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데미스터필터와 다수의 연무노즐 및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배기가스와 세정수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를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 다른 목적으로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여과탱크의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하나의 탱크에서 배기가스를 원시스템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 열병합발전소, 폐기물건조장치, 제철소, 산업용보일러 뿐만 아니라 화물선, 여객선, 원양어선 등의 좁은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배기가스의 정화 효율은 증대되고, 설치면적은 작게 소요되도록 함으로 경제성이 향상된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몸체는 이중 재킷 형태의 챔버로 이루어지고 몸체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가 설치되며 몸체 상단부에는 배출덕트가 형성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는 1차여과로가 형성된 내부몸체 및 내부몸체와 외부몸체 사이에는 2차여과로가 형성되어 U턴 형태의 여과로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1차여과로와 2차여과로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습식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 설치된 세정수 분사노즐 및 연무노즐과;
상기 내부몸체의 1차여과로와 상부 배출덕트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여과 및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식 데미스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여과로와 2차여과로에 다수 설치된 연무노즐은 복수로 설치된 분사노즐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몸체의 1차여과로에 설치된 데미스터필터는 상하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데미스터필터는 모터에 의해 흡착수저장부 측으로 공기를 불어주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덕트 내에 설치된 데미스터필터는 상하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데미스터필터는 모터에 의해 외기로 공기를 불어주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미스터필터는 링브라켓 상면에 수평데미스터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테미스터핑터 저면에 다수개로 이루어진 임펠러테미스터필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폐기물소각장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또는 열병합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산업보일러를 사용하는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를 내부몸체의 1차 여과로에 설치된 연무노즐과 분사노즐에 의해 습식여과되는 동시에 회전 데미스터필터에 의해 배기가스가 2차 여과로를 거쳐 배출턱트의 회전데미스터필터에 의해 흡착 및 여과 후 배기됨으로서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하나의 여과탱크에서 원시스템으로 미세분진 및 배기가스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좁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데미스터필터를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정화 효율은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탱크 내에 1차여과로는 수직하강하고 2차여과로는 수직상승되는 U턴 형태의 여과로를 형성하여 여과탱크의 한정된 길이에서 여과로의 길이를 2배로 하는 동시에 세정수와 배기가스의 접촉시간을 2배로 길게하여 정화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배출가스 습식처리장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U턴 형태의 배기가스정화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탱크의 1차여과로와 2차여과로에 설치된 분사노즐 및 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발췌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여과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 내의 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발췌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데미스터필터에 모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테미스터필터의 임펠러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출덕트에 설치되는 임펠러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내부몸체의 1차여과로에 설치되는 임펠러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정화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탱크의 1차여과로와 2차여과로에 설치된 분사노즐 및 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발췌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여과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 내의 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발췌도이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장치(100)는, 이중자켓 형태의 챔버로 이루어지고 몸체(111)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116)가 설치되며 몸체(111) 상단부에는 배출덕트(120)가 형성된 여과탱크(110)와;
상기 여과탱크(110)는 1차여과로(114)가 형성된 내부몸체(112) 및 내부몸체(112)와 외부몸체(113) 사이에는 2차여과로(115)가 형성된 몸체(111)와;
상기 1차여과로(114)와 2차여과로(115)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습식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 설치된 세정수 연무노즐(130) 및 분사노즐(131)과;
상기 내부몸체(112)의 1차여과로(114)와 상부 배출덕트(120)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흡착 및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식 데미스터필터(1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장치(100)는 폐기물소각장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열병합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폐기물 건조장치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산업보일러를 사용하는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분진 및 배기가스, 화물선, 여객선, 원양어선 등 각종 선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등을 회전식 데미스터필터(140)와 연무노즐(130) 및 분사노즐(131)을 이용하여 습식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정화장치(100)의 유입구(116)와 연결되고 유입구(116)는 여과탱크(110)의 내부몸체(112) 상단부와 연결되어 유입구(116)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가 1차여과로(114)의 하단부로 이동된다.
이때 1차여과로(114)에는 상하 소정의 간격으로 연무노즐(130)과 복수의 분사노즐(115)이 설치되고 상하 설치된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 사이와 그 하단에는 데미스터필터(14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로 공급되는 세정수는 여과탱크(110)의 몸체(111) 일측에 설치된 모터펌프(170)에 의해 세정수를 공급받아 연무와 분사 방식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1차여과로(114)를 지나가는 배기가스와 접촉되어 배기가스내에 혼입된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를 흡착시켜 하단의 흡착수저장부(118)로 낙하 저장된다.
이때 내부몸체(112)의 1차여과로(114) 및 2차여과(115)로 상하부에 설치된 연무노즐(130)와 분사노즐(131)은 원형으로 설치된 배관 저부에 다수 설치되어 세정수를 하향으로 분사한다.
상기 연무노즐(130)은 분사노즐(131) 상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안개분무하고 분사노즐(131)은 연무노즐(130) 저부에 설치된 세정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분사노즐(131)에서는 세정수가 분사되고 세정수가 분사되는 상부에는 연무노즐(130)에서 안개와 같이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안개와 같은 막이 형성되어 1차여과로에서 역류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하는 동시에 배기가스와의 접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1차여과로(114)를 따라서 이동하는 배기가스에 혼입된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는 분사노즐(131)에 의해 분사되는 세정수와 접촉되어 흡착된 다음 하향으로 낙하된다.
상기 연무노즐(130)은 세정수를 안개분무하는 것으로서 미세한 입자가 배출가스에 혼입된 유해가스와 미세분진을 효울적으로 접촉시켜 여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116)와 내부몸체(112) 상단부가 연결되는 유입구(116) 내측에는 복수의 분사노즐(131) 또는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세정수가 접촉하여 미세분진 또는 유해가스를 1차로 흡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1차여과로(114)를 지나가는 배기가스는 내부몸체(112)의 1차여과로(114) 내의 상하에 설치된 데미스터필터(140)의 회전에 의해 배기가스는 하향으로 이동되고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는 세정수에 흡착된 상태에서 일부는 흡착구저장부(118)로 낙하되고 일부는 데미스터필터(140)의 수평데미스터필터(141) 및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에 흡착된다.
상기 1차여과로(114) 및 2차여과로(115)에 설치된 연무노즐(130)과 복수의 분사노즐(131)의 배관에 공급되는 세정수는 외부몸체(113) 일측에 설치된 모터펌프(170)에 의해 공급되며 모터펌프(170)는 일측에 연결된 세정수공급관(119)과 세정수공급라인(171)으로 부터 공급 받는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120)는 유입구(116)에서 1차여과로(114) 및 2차여과로(115)를 통하여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덕트(120) 내에는 상하로 데미스터필터(140)가 설치되어 2차여과로(115)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배출덕트(120 통하여 외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1차여과로(114)에 설치된 데미스터필터(140)는 모터(150)에 의해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가 회전되어 배기가스를 1차여과로(114)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덕트(120)에 설치된 데미스터필터(140)는 배기가스가 1차여과로(114)와 2차여과로(115)를 거쳐 배출덕트(12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회전한다.
즉 내부몸체(112)와 배출덕트(120) 설치된 데미스터필터(140)는 수평데미스터필터(141)가 설치된 링브라켓(143) 상부에 설치된 상부지지부재(160) 중앙에 모터(150)가 설치되고 모터축은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베어링(151)에 끼워지고 베어링(151)은 하부지지부재(16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데미스터필터(140)는 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수평데미스터필터(141)와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가 회전하면서 배기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어 유해가스 및 미세분진은 모터(150)의 회전력으로 내부몸체(112)에 부딪치면서 흘러내려 흡착수에 흡착되고 미세분진을 흡착한 흡착수(117)은 낙하되고 정화된 배기가스는 배출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데미스터필터에 모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테미스터 필터의 임펠러데미스터필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출덕트에 설치되는 임펠러데미스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내부몸체 1차 여과로에 설치되는 임펠러데미스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데미스터필터(140)는 링브라켓(143) 상면에 수평데미스터필터(141)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테미스터필터(141) 저면에 다수개로 이루어지 임펠러테미스터필터(142)가 설치되어 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미스터필터(140)는 수평데미스터필터(141)와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는 동일한 메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수평데미스터(141)와 임펠러데미스터(142)중 어느 하나는 메쉬가 더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5는 링브라켓(143) 상에 수평데미스터필터(141)가 설치되고, 그 저면 중앙부에 원형파이프와 같이 중공된 모터축하우징(144)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하우징(144)의 외주면에는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 일측단부가 용착되고 타측단 상단부는 링브라켓(143) 내측에 용착된다.
상기 모터축하우징(144) 내에는 모터축이 끼워져 고정키 등으로 고정되어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축이 회전되면서 데미스터필터(140)를 회전하여 분사되는 세정수 및 배기가스와 접촉 및 흡착된다,
이때 내부몸체(112)의 1차여과로(114)에 설치된 복수의 데미스터필터(140)는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의 날개 각이 바람을 아래로 불어주도록 형성되고, 배출덕트(120)에 형성된 데미스터필터(140)의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의 날개 각은 바람이 상부로 불어주도록 형성된다.
또한 데미스터필터(140)를 구동시키는 모터(150)는 링브라켓(143) 상부에 설치된 상부지지대(160)에 설치되고 모터축 하단부는 하부에 설치된 하부지지대(161)의 베어링(15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151)은 하부지지대(161)에 고정지지된다.
상기 상부지지대(161)와 하부지지대(161)는 데미스터필터(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5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데미스터필터(140) 상부에 상부지지대(160)가 설치되어 모터(150)를 고정하고, 하부지지대(161)는 데미스터필터(140)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축 하단부를 고정한 베어링(151)을 지지하고 모터축은 베어링(151)에 의해 회전만하게 된다.
이때 모터축은 모터축하우징(14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므로 모터(150)가 구동하면 모터축하우징(144)에 용착된 임펠러데미스터(142)가 회전된다.
상기 상부지지대(160)와 하부지지대(161)는 내부몸체(112)의 내벽과 배출덕트(120)의 내벽에 +자 또는 ×자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50)가 데미스터필터(140)를 회전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없으며, 모터(150)는 수중모터와 같은 방수 모터를 사용함으로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에 접촉되더라도 누전 및 쇼트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몸체(112)의 1차여과로(114)와 내부몸체(112)와 외부몸체(113) 사이의 2차여과로(115)에 설치된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은 링타입으로 설치된 배관에 하향으로 설치되며 배관은 내부몸체(112)와 외부몸체(113) 내측에 소정의 길이로 지지대(도시없음)에 고정된다.
상기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이 설치된 배관은 여과탱크(110)의 몸체(111) 일측에 설치된 모터펌프(170)와 연결되고 모터펌프(170)는 일측에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공급관(119)과 연결된다.
이때 세정수공급관(119)는 일측에 연결된 세정수공급라인(171)을 통하여 세정수가 공급된다.
또한 여과탱크(110) 하단 일측에는 흡착수저장부(118)와 연결되도록 드레인밸브(180)가 설치되어 흡착수저장부(118)의 흡착수(117)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폐기물소각장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열병합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폐기물 건조장치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분진, 산업보일러를 사용하는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미세분진 및 배기가스, 화물선, 여객선, 원양어선등 각종 선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등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여과탱크(110) 상단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6)에 연결시켜 유입구(116) 내에 설치된 연무노즐(130) 또는 분사노즐(131)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배기가스 내의 미세분진과 유해가스가 1차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기 유입구(116)에서 세정수분사에 의해 1차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가 흡착된 후 배기가스는 1차여과로(114)를 통과면서 다수의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에 의해 2차 흡착이 이루어지고 복수의 데미스터필터(140)와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때 데미스터필터(140)의 수평데미스터필터(141)와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에 배기가스가 부딪치면서 세정수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가 흡착된 흡착수(117) 일부는 흡착수저장부(118)로 낙하되고 일부는 수평데미스터필터(141)와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에 접촉되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미세분진이 뭉쳐져 슬러지되어 흡착수저장부(118)로 낙하되고 일부는 수평데미스터필터(141)와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에 잔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데미스터필터(140) 일정주기 마다 모터(150)를 역회전시키면서 분사노즐(131)의 세정수를 분사하면 수평데미스터필터(141)와 임펠러데미스터필터(142)에 잔류된 미세분진이 세정수에 흡착되어 흡착수저장부(118)로 낙하 됨으로 일측에 설치된 드레인밸브(180)를 이용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장치(100)는 내부몸체(112)에 1차여과로(114)를 형성하고 그 외측 내부몸체(112)와 외부몸체(113)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2차여과로(115)를 형성하여 1차여과로(114)와 2차여과(115)로 하단의 흡착수(117)이 저장된 흡착수저장부(118) 상에서 공간부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 배기가스는 1차여과로(114)오 하강한 후 흡착수저장부(118)에서 U턴하여 2차여과로(115)를 통하여 상부 배출덕트(120)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여과탱크(110)의 한정된 길이에서 2배의 여과로를 형성함으로서 배기가스가 연무노즐(130)과 분사노즐(131)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와의 접촉시간과 접촉 면적이 2배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가스정화장치(100)는 사용중에 청소가 필요할때 마다 세정수를 이용하여 데미스터필터(140)와 흡착수저장부(118)를 청소할 수 있게 됨으로 청소를 위한 별도의 교체가 필요 없고 수명이 길어 관리에 경제적인 이득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탱크(110)의 내부몸체(112)와 외부몸체(113) 및 배출덕트(12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필요시 분리하여 수리 교체 및 청소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연무노즐(130), 분사노즐(131) 및 데미스터필터(140)를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 대기오염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단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이 당연할 것이다.
100:배기가스정화장치 110:여과탱크
111:몸체 112:내부몸체
113:외부몸체 114:1차여과로
115:2차여과로 116:유입구
117:흡착수 118:흡착수저장부
119:서정수공급관 120:배출덕트
130:연무노즐 131:분사노즐
140:데미스터필터 141:수평데미스터필터
142:임펠러데미스터필터 143:링브라켓
144:모터축하우징 150:모터
151:베어링 160:상부지지대
161:하부지지대 170:모터펌프
171:세정수고급라인 180:드레인밸브

Claims (6)

  1.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몸체는 이중자켓 형태의 챔버로 이루어지고 몸체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가 설치되며 몸체 상단부에는 배출덕트가 형성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는 1차여과로가 형성된 내부몸체 및 내부몸체와 외부몸체 사이에 2차여과로가 형성되어 U턴 형태의 여과로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1차여과로와 2차여과로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습식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 설치된 세정수 분사노즐 및 연무노즐과;
    상기 내부몸체의 1차여과로와 상부 배출덕트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여과 및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식 데미스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의 1차여과로에 설치된 데미스터필터는 상하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데미스터필터는 모터에 의해 흡착수저장부 측으로 공기를 불어주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여과로와 2차여과로에 다수 설치된 연무노즐은 복수로 설치된 분사노즐 상부에 설치되어 안개 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 내에 설치된 데미스터필터는 상하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데미스터필터는 모터에 의해 외기로 공기를 불어주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미스터필터는 링브라켓 상면에 수평데미스터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테미스터필터 저면에 다수개로 이루어진 임펠러데미스터필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단부 내측에는 연무노즐과 분사노즐 또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세정수로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를 흡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의 습식 정화장치.
KR1020220051148A 2022-04-26 2022-04-26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KR20230151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48A KR20230151613A (ko) 2022-04-26 2022-04-26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48A KR20230151613A (ko) 2022-04-26 2022-04-26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13A true KR20230151613A (ko) 2023-11-02

Family

ID=8874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148A KR20230151613A (ko) 2022-04-26 2022-04-26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6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5165A (zh) * 2023-11-14 2023-12-15 山东米乐奇轮胎有限公司 一种轮胎硫化系统的废气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7339336A (zh) * 2023-12-05 2024-01-05 福建英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分流式洗涤塔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63B1 (ko) 2003-04-11 2005-04-20 (주)우리텍 유해가스 및 미세분진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배출가스정화용 스크러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63B1 (ko) 2003-04-11 2005-04-20 (주)우리텍 유해가스 및 미세분진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배출가스정화용 스크러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5165A (zh) * 2023-11-14 2023-12-15 山东米乐奇轮胎有限公司 一种轮胎硫化系统的废气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7225165B (zh) * 2023-11-14 2024-01-30 山东米乐奇轮胎有限公司 一种轮胎硫化系统的废气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7339336A (zh) * 2023-12-05 2024-01-05 福建英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分流式洗涤塔及其使用方法
CN117339336B (zh) * 2023-12-05 2024-03-05 福建英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分流式洗涤塔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6664C2 (ru) Мокрый скруббер для очистки отходящего газа
US8523987B2 (en) Dust arrester and method for removing dust particles from air
KR20230151613A (ko) 회전 여과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US94688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t desulfurization spray towers
JP5631985B2 (ja) 改良されたガス洗浄装置および方法
JP2015020169A (ja) 湿式スクラバノズル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ガスを浄化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KR100519986B1 (ko) 고성능 멀티콘 스크러버
KR101443157B1 (ko) 오염가스 정화장치
KR20160049782A (ko) 선박용 스크러버
KR101382140B1 (ko) 분진 세정 및 가스 흡수가 효율적인 다기능 대기오염처리장치
KR100858355B1 (ko)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KR102505327B1 (ko) 다수의 플러드형 스크러버 헤드들을 갖는 다중 레벨 가스 스크러버
KR101638803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000012164A (ko) 다이옥신및유해가스오염기체의정화방법및그장치
CN105056678A (zh) 脱硫脱硝、脱汞除尘一体化烟气净化器
CN102527180A (zh) 工业粉尘及恶臭气体的一体化净化装置
CN211098371U (zh) 一种喷洒均匀的脱硫塔
KR20230119342A (ko) 여과회전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CN214130920U (zh) 一种复合型工业废气处理净化装置
KR200148745Y1 (ko) 탈 가스 세정기
KR102589114B1 (ko)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KR100717716B1 (ko) 공기정화시스템
CN207102344U (zh) 一种烟气脱硫脱硝设备线
KR102499692B1 (ko) 물분자 여과방식을 이용한 소각 연소가스 복합 정화 필터장치
KR19990014496A (ko) 오염가스 정화용 복합 세정 및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