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833B1 - 차량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833B1
KR101588833B1 KR1020140113449A KR20140113449A KR101588833B1 KR 101588833 B1 KR101588833 B1 KR 101588833B1 KR 1020140113449 A KR1020140113449 A KR 1020140113449A KR 20140113449 A KR20140113449 A KR 20140113449A KR 101588833 B1 KR101588833 B1 KR 10158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discharge
air outl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이광희
유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또는 하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를 갖으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원심팬과; 공기흡입방향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과; 공기흡입구와 원심팬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와; 블로워와 공기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와; 공기유동방향으로 블로워와 이온발생기 사이에 배치된 토출필터를 포함하여,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청정되고 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차실로 고르게 퍼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청정기{Air clea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설치되어 차실의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실 내의 공기를 청정시키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가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차실의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걸러진 후 차실로 다시 토출되어 차실을 청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청정기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이온은 차실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KR 10-1174520 (2012년08월16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가 케이스의 한 면에 함께 형성되어 케이스 내부의 유로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 내부의 유로 저항이 크고,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음/양이온 발생기 및 그 주변으로 넓게 퍼지지 않을 경우,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차실로 고르게 확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면 또는 하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를 갖으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원심팬과; 공기흡입방향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원심팬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와; 상기 블로워와 공기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와;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블로워와 이온발생기 사이에 배치된 토출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 각각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대전전극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전극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둘레부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 상부에 설치된 탑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탑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탑 커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탑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를 승강시켜 상기 대전전극과 정전필터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커버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센서와; 상기 청정도 센서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라 상기 커버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필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는 상기 이온발생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센서와; 상기 청정도 센서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른 신호값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값에 따라 청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제1공기토출구와 제2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를 갖으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공기토출구와 제2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원심팬과; 공기흡입방향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원심팬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와; 상기 제1공기 토출구와 블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와; 상기 블로워와 이온발생기 사이에 배치된 제1토출필터와; 상기 제2공기토출구와 블로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필터보다 크기가 큰 제1토출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대전전극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전극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필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는 상기 이온발생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를 갖으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좌측 공기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로 분산하는 원심팬과; 공기흡입방향으로 상기 공기흡입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원심팬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와; 상기 좌측 공기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 중 어느 하나와 블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와; 상기 블로워와 이온발생기 사이에 배치된 토출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좌측 공기토출구 및 우측 공기토출구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대전전극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전극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필터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이온발생기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유로 저항이 최소화되어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청정하여 토출할 수 있고, 대전전극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정전필터에 집진효율 높게 집진될 수 있어 공기청정 성능이 높으며, 블로워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필터에 의해 정렬되어 이온발생기 및 이온발생기의 주변으로 유동되므로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이온이 고르게 퍼지면서 차실로 확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유동방향으로 원심팬의 전류에 위치한 대전전극 및 정전필와, 공기유동방향으로 원심팬의 후류에 위치한 토출필터가 공기를 보다 효율 좋게 다단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상이한 제1토출필터와 제2토출필터가 이온발생기와 함께 케이스 내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컴팩트화가 가능하면서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최대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2실시예의 탑 커버가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2실시예의 탑 커버가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2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1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공기흡입구(2)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토출구(4)(6)로 토출하는 원심팬(20)과;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하는 집진부(30)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원심팬(20) 및 이온발생기(40)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차량의 루프나 뒷자석 후방의 선반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면 또는 하면에 공기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고, 둘레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둘레부는 케이스(10)의 상면과 하면 이외의 부분으로서, 전면부와, 후면부와, 좌측면부와, 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운전자가 차실에 설치된 룸 미러를 통해 차량의 후방을 볼 때,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높이(H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최대한 박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높이가 낮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폭은 케이스(10)의 높이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하 방향 폭(H1)이 전후 방향 폭(L2) 보다 작을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하 방향 폭(H1)이 좌우 방향 폭(L3) 보다 작을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폭(H1)은 공기토출구(4)(6)의 길이(L4) 보다 짧을 수 있다. 공기토출구(4)(6)는 공기토출방향(A)과 직교한 방향으로 장방향 길이(L4)와 단방향 길이(L5)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장방향 길이(L4)는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된 전체 영역의 수평 방향 최대 길이일 수 있다. 단방향 길이(L5)는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된 전체 영역의 수직 방향 최대 길이일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폭(H1) 보다 긴 공기토출구(4)(6)의 길이(L4)는 공기토출구(4)(6)의 장방향 길이(L4)와 단방향 길이(L5) 중 장방향의 길이(L4)일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폭(H1)은 공기토출구(4)(6)의 장방향 길이(L4) 보다 짧고, 공기토출구(4)(6)의 단방향 길이(L5) 보다 길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좌측 공기토출구(4)와 우측 공기토출구(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공기토출구(4)와 우측 공기토출구(6) 각각은 케이스(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폭(H1)은 좌측 공기토출구(4) 및 우측 공기토출구(6)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L4)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폭(H1)은 좌측 공기토출구(4) 및 우측 공기토출구(6) 각각의 상하 방향 길이(L5) 보다 길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의 루프에 매달리게 설치될 경우 그 하면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주변의 적어도 2 방향으로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하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좌,우 양측면 각각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되거나 전,후 양측면 각각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2)는 하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2)는 하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전면에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면에 리어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의 뒷자석 후방의 선반에 설치될 경우, 그 상면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주변의 적어도 2 방향으로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상면에 공기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고, 좌,우 양측면 각각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2)는 상면에 공기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고,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베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된 케이스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베이스(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둘레부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케이스 바디(14)의 상부에 설치된 탑 커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는 케이스 바디(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2)는 케이스 바디(14)의 저면을 막을 수 있다. 베이스(12)에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에 후크 방식으로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12)에는 차량에 탄성 장착될 수 있는 후크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2)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전,후,좌,우 둘레면 각각이 수직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탑 커버(16)의 하부에 개구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5)는 탑 커버(16)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상면판(14A)과, 전면판(14B), 후면판(14C), 좌측면판(14D), 우측면판(14E)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14B), 후면판(14C), 좌측면판(14D), 우측면판(14E)은 케이스(10)의 둘레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전면판(14B)은 케이스(10)의 전면부를 구성할 수 있고, 후면판(14C)은 케이스(10)의 후면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좌측면판(14D)은 케이스(10)의 좌측면부를 구성할 수 있고, 우측면판(14E)는 케이스(10)의 우측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전면판(14B), 후면판(14C), 좌측면판(14D), 우측면판(14E)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상면판(14A)에 개구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전면판(14B)과 후면판(14C) 각각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되며, 좌측면판(14D)과 우측면판(14E)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상면판(14A)에 개구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좌측면판(14D)과 우측면판(14E) 각각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되며, 전면판(14B)과 후면판(14C)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뒷자석 후방의 선반에 설치될 경우, 케이스 바디(14) 중 좌측면판(14D)과 우측면판(14E) 각각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를 좌우 분산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 루프에 설치될 경우, 케이스 바디(14) 중 좌측면판(14D)과 우측면판(14E) 각각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되거나, 케이스 바디(14) 중 전면판(14B)과 후면판(14C) 각각에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후술하는 토출필터(60)(62)를 마주보는 위치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그릴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4)(6)는 케이스 바디(14)에 형성된 토출그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4)는 케이스(10)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케이스(10) 내부에서 차실로 토출되는 토출바디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탑 커버(16)에 공기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고, 차실의 공기는 탑 커버(16)를 통과하여 탑 커버(16) 하측으로 흡인될 수 있다. 탑 커버(16)는 후술하는 정전필터(34)의 상부 위치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흡입그릴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는 탑 커버(16)에 형성된 흡입그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6)는 차실의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바디일 수 있다.
탑 커버(16)는 개구부(15) 보다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15)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다. 탑 커버(16)는 케이스 바디(14)에서 착탈될 수 있다. 탑 커버(16)는 케이스 바디(14)에 후크 등의 착탈수단으로 장착될 있고, 후술하는 정전필터(34)의 서비스시 케이스 바디(14)에서 분리될 수 있다. 탑 커버(16)는 저면에 후크(17)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케이스 바디(14)에는 후크(17)가 탄성적으로 휘면서 장착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원심팬(20)은 수직 중심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22)를 갖을 수 있다. 원심팬(20)은 공기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좌측 공기토출구(4)와 우측 공기 토출구(6)로 분산할 수 있다.
블로워(22)는 시로코팬과 터보팬 중 하나일 수 있다.
원심팬(20)은 블로워(22)의 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팬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23)은 블로워(2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토출부(27)(2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부(27)(28)는 블로워(22)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토출부(27)와, 블로워(22)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토출부(28)을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23)은 좌측 토출부(27)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스크롤부(23A)와, 우측 토출부(28)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스크롤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원심팬(20)은 블로워(22)를 향해 흡인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오리피스(2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25)는 정전필터(34)와 블로워(22) 사이에 공기가 원심팬(20)으로 흡인되는 흡입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원심팬(20)은 블로워(22)를 회전시키는 모터(29)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9)는 팬하우징(23) 또는 베이스(12)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29)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9)의 회전축은 블로워(22)의 회전 중심축(21)에 연결될 수 잇다.
집진부(30)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원심팬(20) 이전에 위치되어 원심팬(20)을 향해 흡인되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제1청정부일 수 있다. 집진부(30)는 공기흡입구(2)와 공기토출구(4)(6) 중 공기흡입구(2)에 더 근접하게 설치된 공기흡입구측 청정부일 수 있다.
집진부(30)는 공기흡입방향으로 공기 흡입구(2)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32)과; 공기흡입구(2)와 원심팬(20)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카본 파이버 전극(35)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대전전극(32)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전극 관통공(19)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케이스 바디(14)에 설치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케이스 바디(1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적어도 일부가 공기흡입방향으로 공기흡입구(2) 이전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대전전극(32)은 케이스(10) 외부에서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킬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상단이 케이스(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하단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공기유동방향으로 공기흡입구(2) 이전에 위치된 부분에서 확산 대전을 이용하여 이온을 방출할 수 있고 먼지 입자를 대전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코로나 방전을 하는 브러시 형상의 카본 파이버 전극(35)을 포함할 수 있고, 와이어 형상의 방전선과 접지전극으로 구성된 대전부의 경우 보다 오존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온 발생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카본 파이버 전극(35)이 케이스(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카본 파이버 전극(35)은 공기 흡입방향으로 공기흡입구(2) 이전일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고전압 발생기(미도시)에서 발생된 고전압에 의해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확산대전기(33)가 설치될 수 있고, 대전전극(32)은 확산대전기(33)에서 전극 관통공(19)을 관통하여 케이스(1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확산대전기(33)는 고전압 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대전기(33)는 고전압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시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피시비에 연결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피시비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6)와; 와이어(36)의 타단에 형성된 카본 파이버 전극(35)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와이어(36) 및 카본 파이버 전극(35)을 보호할 수 있는 전극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전극 커버는 카본 파이버 전극(35)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는 확산대전기(33)의 케이스(33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피시비는 카본 파이버 전극(35)이 방전할 수 있도록 와이어(36)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회로이다. 피시비는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피시비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설치된 각종 전자소자들을 포함한다. 피시비는 고전압의 교류전류, 양극 또는 음극 직류전류, 펄스 직류전류 등을 발생하여 와이어(36)에 공급할 수 있다. 피시비는 음극 직류전류를 발생하는 정전압 회로일 수 있고, -7kVp ㅁ 8%의 출력전압과 100Hz ㅁ 10%의 출력 주파수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36)는 피시비에서 인가된 고전압을 카본 파이버 전극(35)에 전달하는 도선과, 도선의 외부를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피복체를 포함한다. 와이어(36)는 피시비와 카본 파이버 전극(35)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와이어(36)는 2개 내지 4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5)은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할 수 있고, OH-, O- 등의 음이온 또는 H+ 등의 양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5)은 복수개의 카본 파이버를 포함할 수 있고,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이온을 발생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5)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직경을 갖는 극세의 카본 파이버 복수개가 브러시 다발로 와이어(36)에 묶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파이버 전극(35)은 직경 7 ㎛의 카본 파이버가 1000 여개 정도 모인 브러시 다발일 수 있다. 복수개 카본 파이버는 오존(O3) 발생량이 작고, 고농도 이온을 발생시켜 미세 입자를 대전시킬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복수개가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전극(32)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대전전극(32)은 피시비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대전전극(32) 각각은 복수개의 카본 파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전극(32)에서 발생한 이온은 이물질을 대전한다. 음이온은 이물질에 전자를 제공하여 이물질을 음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양이온은 이물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이물질을 양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대전전극(32)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이 집진될 수 있다. 정전필터(24)는 정전 필터(24)는 필터체와, 필터체(61)가 설치되는 필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체는 그 제조시 정전기가 부여된 정전 필터체이고, 대전된 이물질은 필터체의 정전기에 의해 필터체에 부착될 수 있다. 필터체는 얇은 필름이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그 서비스를 위해 케이스(10)에 상하 방향으로 출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그 제조시 정전력을 갖도록 제조된 필터체를 포함하므로, 장시간 사용된 경우에는 새 것으로 교체되어야 집진 성능이 높을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탑 커버(16)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탑 커버(16)의 분리시 외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보이게 배치될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케이스 바디(14)의 상면판(14A)에 장착될 수 있고, 케이스 바디(14)의 상면판(14A)에서 상측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탑 커버(16)의 하부에 위치되게 탑 커버(16)에 장착될 수 있고, 탑 커버(16)에서 하측 방향 또는 옆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원심팬(20)의 상부 특히, 오리피스(25)에 장착될 수 있고, 오리피스(25)에서 상측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필터(34)는 오리피스(25)의 흡입홀(26) 상측에 위치되게 오리피스(25)에 착탈될 수 있다.
정전필터(34)는 케이스(10)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공기는 정전필터(34) 상측에서 하강되어 정전필터(34)를 통과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40)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원심팬(20) 이후에 위치되어 원심팬(20)에서 송풍된 공기에 이온을 포함시키는 제2청정부일 수 있다. 집진부(30)는 공기흡입구(2)와 공기토출구(6) 중 공기토출구(6)에 더 근접하게 설치된 공기토출구측 청정부일 수 있다.
이온발생기(40)는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발생기(40)는 공기토출구(6)와 블로워(22)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발생기(40)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 중 어느 하나(6)와 블로워(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40)는 하우징(42)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이온발생모듈(미도시)과, 이온발생모듈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2)은 이온이 유출되는 이온 유출구(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온 유출구(43)는 하우징(42)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온 유출구(43)는 양이온이 유출되는 양이온 유출구와 음이온이 유출되는 음이온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양이온 유출구와 음이온 유출구는 하우징(42)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온발생모듈은 고전압발생기와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고전압 발생기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발생모듈은 고전압발생기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음이온과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발생모듈은 유전체 기판에 방전전극과 접지전극을 구성하고 방전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 직류 펄스 고전압을 인가하여 이온을 생성할 수 있고, 미생물을 산화시킬 수 있다. 유전체 기판은 세라믹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세라믹 소재 보다 저가인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등의 합성수지 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온발생모듈은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전 침을 갖는 동 방전전극이 배치될 수 있고, 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접지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방전전극은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동판의 일부가 에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전전극은 유전체 기판의 일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방전전극은 이너 방전전극부와, 이너 방전전극부를 둘러싸게 위치되고 아우터 방전전극부와 이격되는 아우터 방전전극부와, 이너 방전전극부와 아우터 방전전극부를 잇는 방전전극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방전전극부와 아우터 방전전극부 각각은 방전 침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전극은 하나의 유전체 기판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이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은 일부가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방전전극일 수 있고, 나머지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방전전극일 수 있다. 동 방전전극은 하나의 유전체 기판 일면에 4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2개가 양이온 방전전극일 수 있고, 2개가 음이온 방전전극일 수 있다.
접지전극은 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방전전극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지전극은 방전전극과 마찬가지로 에칭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전체 기판의의 타면에 형성된 동판의 일부가 에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지전극은 유전체 기판의 타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전극은 유전체 기판에 방전전극과 대응되는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접지전극은 양이온 방전전극과 대응되는 양이온 접지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과 대응되는 음이온 접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40)의 고전압 발생기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코일 형상으로 감긴 권선식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40)의 고전압 발생기는 이온발생모듈과 함께 하우징(42)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온발생기(40)의 고전압 발생기는 하우징(42)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온발생기(40)의 고전압 발생기는 확산대전기(33)의 케이스(33A) 내부에 설치되고, 이온발생기(40)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블로워(22)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토출가이드(50)(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50)(52)는 케이스(10)와 원심팬(2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10)와 원심팬(20) 각각과 별도로 구성된 후 원심팬(20)와 케이스(1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토출가이드(50)(5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50)(52)는 원심팬(20)에서 송풍된 공기를 좌측 공기토출구(4)로 토출 안내하는 좌측 토출가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토출가이드(50)는 좌측 토출부(27)로 안내된 공기를 좌측 공기토출구(4)로 안내할 수 있다. 좌측 토출가이드(50)는 좌측 토출부(27)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토출가이드(50)는 좌측 토출부(27)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좌측 토출가이드(50)는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토출가이드(50)(52)는 원심팬(20)에서 송풍된 공기를 우측 공기토출구(6)로 안내하는 우측 토출가이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측 토출가이드(52)는 우측 토출부(28)로 안내된 공기를 우측 공기토출구(6)로 안내할 수 있다. 우측 토출가이드(52)는 우측 토출부(28)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토출가이드(52)는 우측 토출부(28)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우측 토출가이드(52)는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토출가이드(50)(52)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52)에 이온발생기(40) 및 탈취필터(50)가 함께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 중 다른 하나(50)에 다른 탈취필터(52)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하나의 이온발생기(40)와 2개의 탈취필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50)(52) 중 이온발생기(40)가 설치되는 토출가이드는 점차 확장되는 유로를 갖는 이너 가이드부(53)와, 이너 가이드부(53)에서 연장되고 이너 가이드부(53) 보다 크기가 큰 아우터 가이드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부(54)는 그 전후 방향 길이가 이너 가이드부(53) 보다 길 수 있다. 이너 가이드부(53)에는 후술하는 토출틸터(60)가 배치될 수 있고, 아우터 가이드부(54)에는 이온발생기(40)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공기유동방향으로 블로워(22)와 이온발생기(40) 사이에 배치된 토출필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필터(60)는 원심팬(20)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필터(60)를 지나면서 고르게 정렬된 후 이온발생기(40) 주변으로 유동되게 도울 수 있다.
토출필터(60)의 공기토출방향(A)과 직교한 방향 길이(L6)는 이온발생기(50)의 공기토출방향(A)과 직교한 방향 길이(L7) 보다 길 수 있다.
토출필터(60) 및 이온발생기(50) 각각이 전후 방향으로 길 경우, 토출필터(60)의 젼후 방향 길이(L6)는 이온발생기(50)의 전후방향 길이(L7) 보다 길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복수개의 토출필터(60)(6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필터(60)(62)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길 수 있고, 케이스(10) 내부에 수직하게 세워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필터(60)(62) 각각은 그 양면 중 공기가 흡입되는 면이 원심팬(20)을 향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면이 케이스 바디(14)의 내둘레면을 향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필터(60)(62)는 적어도 하나가 탈취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탈취필터는 공기 중의 냄세 입자가 주로 걸러질 수 있는 탈취필터일 수 있다. 토출필터는 활성판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필터(60)(62) 중 어느 하나(60)는 이온발생기(40)와 블로워(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필터(60)(62)는 둘 중 하나가 이온발생기(40)와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40)와 근접한 토출필터(60)의 길이(L6)는 이온발생기(40)와 더 먼 토출필터(62)의 길이(L8) 보다 짧을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6)가 제1공기토출구(6)와 제2공기토출구(4)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토출필터(60)(62)가 제1토출필터(60)와 제2토출필터(62)로 구성될 경우, 이온발생기(40)는 제1공기토출구(6)와 블로워(22)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토출필터(60)는 블로워(22)와 이온발생기(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토출필터(62)는 제2공기토출구(4)와 블로워(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토출필터(60)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제1토출필터(60)는 이온발생기(60)를 향해 송풍되는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최대한 넓게 퍼지도록 정렬시킬 수 있고, 동시에 냄세 입자를 포집할 수 있는 필터로서, 크기가 작은 공기정렬 및 탈취 필터일 수 있다.
제1토출필터(60)와 이온발생기(40)는 토출가이드(52)의 이너 가이드부(53) 내부와 아우터 가이드(54) 내부에 분산배치될 수 있다. 제1토출필터(60)는 이너 가이드부(5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온발생기(40)는 아우터 가이드부(5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토출필터(62)는 공기 중의 냄세 입자를 포집할 수 있는 필터로서, 크기가 큰 탈취필터일 수 있다.
한편,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센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조작하는 조작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공기 청정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정도 센서(70)는 청정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공기가 청정도 센서(70) 주변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홀(72)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홀(72)은 케이스 바디(14)에 형성될 수 잇다. 케이스 바디(14)의 전면판(14B)에는 공기홀(72)을 형성하는 그릴이 형성될 수 있다. 청정도 센서(70)는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청정도센서(70)는 공기의 청정도를 설정 주기(C분)로 감지할 수 잇다. 청정도센서(70)는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제어부(100)는 청정도센서(70)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들여 청정도를 판단한다. 청정도센서(70)는 가스센서나 먼지센서 등과 같이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청정도센서(70)가 가스센서로 구성될 경우, 가스센서는 기체 중에 함유된 특정 화학물질(CO나 VOC 등)을 검지하여 그 농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케이스(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는 버튼(82)과, 버튼(82)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버튼(82)과 스위치 셋트의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케이스 바디(14)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80)는 케이스 바디(14)의 전면판(14B)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80)는 사용자가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운전,정지시킬 수 있는 운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사용자가 이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온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사용자가 집진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집진능력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케이스(10)에 설치된 표시창(92)과, 표시창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엘이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케이스 바디(14)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케이스 바디(14)의 상면판(14A)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청정도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청정도를 다단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청정도가 낮을 때, 적색 등의 제1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청정도가 중간정도일때, 노란색이나 오랜지색 등의 제2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청정도가 높을때, 청색 등의 제3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원심팬(20)과, 확산대전기(33)와, 이온발생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조작부(80)의 조작에 따라 원심팬(20)과, 확산대전기(33)와, 이온발생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청정도 센서(70)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른 신호값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제어부(80)에서 출력된 신호값에 따라 청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2실시예의 탑 커버가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2실시예의 탑 커버가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2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탑 커버(16)에 대전전극(32')이 설치될 수 있다. 대전전극(32')은 탑 커버(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는 탑 커버(16)에 형성될 수 있고, 대전전극(32')은 공기흡입구(2) 아래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흡입구(2')를 통과한 후 대전전극(32')의 주변을 통과할 수 있고, 대전전극(32')에 의해 먼지 입자가 대전될 수 있다. 즉, 공기는 탑 커버(16)의 하부에서 대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탑 커버(16)를 승강시켜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커버 승강기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대전전극(32') 및 커버 승강기구(11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 승강기구(110)는 모터 등의 구동원(112)와, 구동원(112)의 구동력을 탑 커버(16)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114)(116)을 포함할 수 잇다. 동력전달부재(114)(116)는 구동원(112)에 설치된 회전축에 설치된 제1기어(114)와, 제1기어(114)에 치합되고 탑 커버(16)에 연결되어 제1기어(114)의 회전시 탑 커버(16)를 승강시키는 제2기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114)는 구동원(112)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기어(116)는 피니언이 치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부재는 구동원(112)의 회전축에 연결된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탑 커버(16)를 승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동력전달부재(114)(116)는 구동원(11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탑 커버(16)에 접촉된 캠으로 구성되어 탑 커버(16)를 승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대전전극(32')와 정전필터(34)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대전시켜서 집진하는 집진부로 구성될 수 있고,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 사이의 거리에 따라 먼지 입자의 집진율은 상이할 수 있다.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 사이의 거리가 제1거리일 때, 먼지 입자의 집진율이 제1집진율이고,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 사이의 거리가 제2거리일 때, 먼지 입자의 집진율이 제1집진율 보다 낮은 제2집진율일 경우, 차량용 공기청정도 장치는 차실의 오염도에 따라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 사이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실 내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의 거리를 집진율이 가장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차실 내의 오염도가 낮을 경우,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의 거리를 집진율이 가장 낮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탑 커버(16)는 운전자의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해 가능하면 낮은 높이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탑 커버(16)가 최대한 높게 상승되었을 때,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수 있고, 이 때, 정전필터(34)의 집진율이 가장 높을 수 있다. 반면에,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탑 커버(16)가 최대한 낮게 하강되었을 때, 대전전극(32')과 정전필터(34)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수 있고, 이 때, 정전필터(34)의 집진율이 가장 낮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청정도 센서(70)가 차실 내의 청정도를 감지할 수 있고, 청정도 센서(70)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라 탑 커버(16)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초기시, 차실 내의 청정도는 낮게 감지될 수 있고, 제어부(100)는 커버 승강기구(110)를 고집진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커버 승강기구(110)는 고집진 모드시, 기설정된 제1높이로 탑 커버(16)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높이는 정전필터(34)에 집진되는 먼지량의 많은 높이일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실 내의 먼지 입자는 정전필터(34)에 점차 포집될 수 있고, 차실의 청정도는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실의 정정도가 낮아지면, 커버 승강기구(110)를 저집진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커버 승강기구(110)는 저집진 모드시, 기설정된 제2높이로 탑 커버(16)를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높이는 정전필터(34)에 집진되는 먼지량이 많지 않은 높이일 수 있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의 주행 도중 가능하면 탑 커버(16)의 높이를 낮게 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최적의 집진모드로 차실 내의 먼지 입자를 집진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실의 정정도가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면, 커버 승강기구(110)를 청정오프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커버 승강기구(110)는 청정오프모드시, 기설정된 제3높이로 탑 커버(16)를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높이는 탑 커버(16)의 높이가 가장 낮게 설정된 높일 수 있고, 운전자의 후방 시야는 최대로 확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 바디(14)와 탑 커버(16')의 사이에 공기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6')의 모서리는 케이스 바디(14)와 이격될 수 있고, 공기흡입구(2')는 탑 커버(16')의 모서리와 케이스 바디(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1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탑 커버(16')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흡입그릴이 형성되지 않은 판체 형상일 수 있다. 탑 커버(16')는 그 전체가 평평한 판체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탑 커버(16')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판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탑 커버(16')에는 사용자가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조작하는 조작부(80')가 장착될 수 있다.
2,2': 공기흡입구 4,6: 공기토출구
10: 케이스 12: 베이스
14: 케이스 바디 16,16': 탑 커버
20: 원심팬 22: 블로워
29: 모터 32,32': 대전전극
34: 정전필터 40: 이온발생기
60: 토출필터 70: 청정도 센서
100: 제어부 110: 커버 승강기구

Claims (20)

  1. 상면 또는 하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를 갖으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원심팬과;
    공기흡입방향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원심팬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와;
    상기 블로워와 공기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와;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블로워와 이온발생기 사이에 배치된 토출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둘레부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 상부에 설치된 탑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탑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를 승강시켜 상기 대전전극과 정전필터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커버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짧은 차량용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 각각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대전전극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전극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탑 커버에 형성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센서와;
    상기 청정도 센서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라 상기 커버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필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는 상기 이온발생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긴 차량용 공기청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센서와;
    상기 청정도 센서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른 신호값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값에 따라 청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13. 상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제1공기토출구와 제2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를 갖으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공기토출구와 제2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원심팬과;
    공기흡입방향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원심팬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와;
    상기 제1공기 토출구와 블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와;
    상기 블로워와 이온발생기 사이에 배치된 제1토출필터와;
    상기 제2공기토출구와 블로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필터보다 크기가 큰 제2토출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둘레부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 상부에 설치된 탑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탑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를 승강시켜 상기 대전전극과 정전필터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커버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짧은 차량용 공기청정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대전전극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전극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필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는 상기 이온발생기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 방향 길이 보다 긴 차량용 공기청정기.
  17. 상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로워를 갖으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좌측 공기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로 분산하는 원심팬과;
    공기흡입방향으로 상기 공기흡입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되어 먼지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전극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원심팬 사이에 위치되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정전필터와;
    상기 좌측 공기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 중 어느 하나와 블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와;
    상기 블로워와 이온발생기 사이에 배치된 토출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둘레부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 상부에 설치된 탑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탑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를 승강시켜 상기 대전전극과 정전필터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커버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좌측 공기토출구 및 우측 공기토출구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짧은 차량용 공기청정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대전전극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전극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필터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이온발생기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긴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20140113449A 2014-08-28 2014-08-28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1588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449A KR101588833B1 (ko) 2014-08-28 2014-08-28 차량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449A KR101588833B1 (ko) 2014-08-28 2014-08-28 차량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833B1 true KR101588833B1 (ko) 2016-01-26

Family

ID=5530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449A KR101588833B1 (ko) 2014-08-28 2014-08-28 차량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8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7755A (zh) * 2018-05-15 2018-08-24 江西虔东稀土科技协同创新有限公司 一种精准即时显示颗粒物浓度的车载空气净化器
CN108790710A (zh) * 2018-06-12 2018-11-13 江苏柏锐斯特车业有限公司 车内空气净化装置
CN110356202A (zh) * 2019-07-17 2019-10-22 王喆 车载新风系统
KR20200058401A (ko) * 2017-10-02 2020-05-27 블루에어 에이비 한정된 공간에서 공기를 처리하기 적합한 공기 처리 장치
KR20200075412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허니아이티 차량용 공기청정기
IT202000011512A1 (it) * 2020-05-19 2021-11-19 Ste Sanitizing Tech And Equipments Societa A Responsabilita Limitata Sistema di sanificazione microbiologica e purificazione dell'aria per impianto hvac di veicolo ferroviario
KR20220010346A (ko) * 2020-07-17 2022-01-25 유한회사 오성그룹 미세먼지 필터
CN114198898A (zh) * 2021-12-20 2022-03-18 北京深思数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底座及空气净化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247B2 (ja) * 1990-02-15 1995-05-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用空気清浄器
JPH0739248B2 (ja) * 1990-03-16 1995-05-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用空気清浄器
KR19990083872A (ko) * 1999-08-24 1999-12-06 문홍모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JP2000140087A (ja) * 1998-11-16 2000-05-23 Sugiyama Seisaku Kk 殺菌脱臭装置
KR101174520B1 (ko) 2005-12-30 2012-08-16 한라공조주식회사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247B2 (ja) * 1990-02-15 1995-05-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用空気清浄器
JPH0739248B2 (ja) * 1990-03-16 1995-05-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用空気清浄器
JP2000140087A (ja) * 1998-11-16 2000-05-23 Sugiyama Seisaku Kk 殺菌脱臭装置
KR19990083872A (ko) * 1999-08-24 1999-12-06 문홍모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101174520B1 (ko) 2005-12-30 2012-08-16 한라공조주식회사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401A (ko) * 2017-10-02 2020-05-27 블루에어 에이비 한정된 공간에서 공기를 처리하기 적합한 공기 처리 장치
KR102617752B1 (ko) * 2017-10-02 2023-12-27 블루에어 에이비 한정된 공간에서 공기를 처리하기 적합한 공기 처리 장치
CN108437755A (zh) * 2018-05-15 2018-08-24 江西虔东稀土科技协同创新有限公司 一种精准即时显示颗粒物浓度的车载空气净化器
CN108790710A (zh) * 2018-06-12 2018-11-13 江苏柏锐斯特车业有限公司 车内空气净化装置
KR20200075412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허니아이티 차량용 공기청정기
CN110356202A (zh) * 2019-07-17 2019-10-22 王喆 车载新风系统
WO2021234439A1 (en) * 2020-05-19 2021-11-25 A.F. Frigo Clima Impianti S.R.L. Microbiological sanitiza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for a hvac system of a rail vehicle
WO2021234529A1 (en) * 2020-05-19 2021-11-25 A.F. Frigo Clima Impianti S.R.L. Microbiological sanitiza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for hvac system of a railway vehicle
IT202000011512A1 (it) * 2020-05-19 2021-11-19 Ste Sanitizing Tech And Equipments Societa A Responsabilita Limitata Sistema di sanificazione microbiologica e purificazione dell'aria per impianto hvac di veicolo ferroviario
KR20220010346A (ko) * 2020-07-17 2022-01-25 유한회사 오성그룹 미세먼지 필터
KR102492141B1 (ko) * 2020-07-17 2023-01-30 조원준 미세먼지 필터
CN114198898A (zh) * 2021-12-20 2022-03-18 北京深思数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底座及空气净化系统
CN114198898B (zh) * 2021-12-20 2023-08-01 北京深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底座及空气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833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US7291207B2 (en) Air treatment apparatus with attachable grill
US7846227B2 (en) Vehicle-mounted air purifier
KR102102759B1 (ko)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7146B1 (ko) 공기청정장치
JP4657168B2 (ja) 空気処理装置
KR1020858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SG178800A1 (en) Ion detecting apparatus and ion generating apparatus
KR20170051173A (ko)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
JP6956714B2 (ja) 空気清浄装置
WO2011102026A1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イオンの有無判定方法
KR102013835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0459A (ko) 공기체류시간을 연장한 공기청정기
JP5819702B2 (ja) イオン送出装置
JP5273733B2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KR200414980Y1 (ko) 이오나이저 구비 팬 필터 장치
JP6179471B2 (ja) 空気清浄機
WO2006060741A2 (e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individually removable driver electrodes
CN103586130B (zh) 静电空气净化装置
CN103307659B (zh) 带有空气净化装置的空气调节器
JPH0330847A (ja) 電気集塵式空気清浄器
CN202951366U (zh) 自锁滤网式空气净化器
CN212252963U (zh) 多离子净化器
JP6252634B2 (ja) 空気清浄機
KR20210000004U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