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872A -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872A
KR19990083872A KR1019990035150A KR19990035150A KR19990083872A KR 19990083872 A KR19990083872 A KR 19990083872A KR 1019990035150 A KR1019990035150 A KR 1019990035150A KR 19990035150 A KR19990035150 A KR 19990035150A KR 19990083872 A KR19990083872 A KR 19990083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electrode
filter assembly
electro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113B1 (ko
Inventor
문홍모
Original Assignee
문홍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홍모 filed Critical 문홍모
Priority to KR101999003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1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뒷좌석 후방에 설치된 리어패키지의 내측에 공기청정기를 매입 설치하여 승용차의 후방 리어패키지의 공간이 축소되지 않게 하면서, 공기청정기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카본필터와 전기집진필터가 결합된 필터결합체에서 정화시킨 뒤에 이온발생장치에서 정화된 공기를 이온화시켜 배출하여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자동차의 리어패키지(1)의 저면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다수의 나사체결부(3)를 구비한 상부케이스(2)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4)측 하방에는 필터결합체(6)가 서랍식으로 출몰되도록 가이드레일(7)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레일(7)의 양측에는 필터결합체(6)의 "+"전극체(13)와 "-" 전극체(14)와 접촉하는 전극접촉단자(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결합체(6)는 상측에 카본필터(9)와 하측에 전기집진필터(10)를 설치하되, 전기집진필터(10)는 다수개의 "+"전극(11)과 "-"전극(12)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배열설치한 "+"전극체(13)와 "-"전극체(14)가 소정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 되면서 "+"전극체(13)와 "-"전극체(14)의 외측이 노출되어 상기 각각의 전극접촉단자(8)와 접촉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의 하측에는 하부케이스(15)가 결합되고, 이 하부케이스(15)는 필터결합체(6)의 하측에 달팽이 형상의 송풍공간부(18)를 형성하며, 이 송풍공간부(18)에는 하측에 브러쉬레스모터(19)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20)이 설치되면서 송풍공간부(18)의 상측에는 흡입구(16)를 구비한 팬커버(17)가 송풍공간부(18)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송풍공간부(18)의 개구부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2)의 배출구(5)와 통하는 배출유로(21)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 소정위치에는 고전압 트랜스포머(22)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핀(2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청정기{The air purifie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뒷좌석 후방에 설치된 리어패키지의 내측에 공기청정기를 매입 설치하여 승용차의 후방 리어패키지의 공간이 축소되지 않게 하면서, 공기청정기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카본필터와 전기집진필터가 결합된 필터결합체에서 정화시킨 뒤에 이온발생장치에서 정화된 공기를 이온화시켜 배출하며, 공기유로를 저항이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내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설치하고, 팬의 상측에는 팬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를 설치하여 자동차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자동차의 실내에 별도의 악세사리형태로 돌출되게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서, 자동차의 협소한 공간을 더욱 더 협소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으며, 오염된 공기의 정화가 필터에 의해서만 이루지도록 되어서 비교적 큰 먼지만 여과시킬 수 있었으나, 미세한 먼지나 세균, 냄새는 정화시키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뒷좌석 후방에 설치된 리어패키지의 내측에 공기청정기를 매입 설치하여 승용차의 후방 리어패키지의 공간이 축소되지 않게 하면서, 공기청정기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카본필터와 전기집진필터가 결합된 필터결합체에서 정화시킨 뒤에 이온발생장치에서 정화된 공기를 이온화시켜 배출하여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자동차의 리어패키지의 저면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다수의 나사체결부를 구비한 상부케이스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측 하방에는 필터결합체가 서랍식으로 출몰되도록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레일의 양측에는 필터결합체의 "+"전극체와 "-" 전극체와 접촉하는 전극접촉단자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결합체는 상측에 카본필터와 하측에 전기집진필터를 설치하되, 전기집진필터는 다수개의 "+"전극과 "-"전극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배열설치한 "+"전극체와 "-"전극체가 소정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 되면서 "+"전극체와 "-"전극체의 외측에 노출되어 상기 각각의 전극접촉단자와 접촉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는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며, 이 하부케이스는 필터결합체의 하측에 달팽이 형상의 송풍공간부를 형성하며, 이 송풍공간부에는 하측에 브러쉬레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이 설치되면서 송풍공간부의 상측에는 흡입구를 구비한 팬커버가 송풍공간부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송풍공간부의 개구부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배출구와 통하는 배출유로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 소정위치에는 고전압 트랜스포머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핀이 설치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단면도.
도 6은 하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7은 상부케이스의 저면도로서, 필터결합체의 착탈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8은 필터결합체의 구조를 타나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패키지 2 : 상부케이스 3 : 나사체결부
4 : 유입구 5 : 배출구 6 : 필터결합체
7 : 가이드레일 8 : 전극접촉단자 9 : 카본필터
10 : 전기집진필터 11 : "+"전극 12 : "-"전극
13 : "+"전극체 14 : "-"전극체 15 : 하부케이스
16 : 흡입구 17 : 팬커버 18 : 송풍공간부
19 : 브러쉬레스모터 20 : 시로코팬 21 : 배출유로
22 : 고전압 트랜스포머 23 : 이온핀 24 : 공기청정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도 9에서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뒷좌석 후방에 설치된 리어패키지(1)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하부 케이스(2)(15)로 이루어 진다.
상기 상부케이스(2)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24)가 자동차의 리어패키지(1)의 저면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다수의 나사체결부(3)를 구비하였으며, 이 상부케이스(2)의 상면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를 각각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배출구(5)의 후방측 부위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4)측 하방에는 도 1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터결합체(6)가 서랍식으로 출몰되도록 가이드레일(7)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레일(7)의 양측에는 필터결합체(6)의 "+"전극체(13) 및 "-"전극체(14)와 접촉하여 필터결합체(6)의 전기집진필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접촉단자(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결합체(6)는 도 4 및 도 7,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 카본필터(9)와 하측에 전기집진필터(10)를 설치하되, 전기집진필터(10)는 다수개의 "+"전극(11)과 "-"전극(12)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배열설치된 "+"전극체(13)와 "-"전극체(14)가 소정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 되면서, "+"전극체(13)와 "-"전극체(14)의 외측이 노출되어 상기 각각의 전극접촉단자(8)와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13a"와 "14a"는 양측 전극접촉단자(8)와 접촉되도록 노출된 부분이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의 하측에는 하부케이스(15)가 결합된다. 이 하부케이스(15)는 도 2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터결합체(6)의 하측에 달팽이 형상의 송풍공간부(18)가 형성되며, 이 송풍공간부(18)에는 하측에 브러쉬레스모터(19)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20)이 설치되면서 송풍공간부(18)의 상측에는 흡입구(16)를 구비한 팬커버(17)가 송풍공간부(18)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송풍공간부(18)의 개구부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2)의 배출구(5)와 통하는 배출유로(21)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 소정위치에는 고전압 트랜스포머(22)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핀(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청정기 운전용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밧데리의 전원이 브러쉬레스모터(19)와 고전압 트랜스포머(22)에 인가되면서 브러쉬레스모터(19)가 회전하고 고전압 트랜스포머(22)에서 고전압이 발생되게 되며, 고전압 트랜스포머(22)에서 발생된 고전압은 이온핀(23)과 전기집진필터(1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브러쉬레스모터(19)가 회전함에 따라 브러쉬레스모터(19)에 설치된 시로코팬(2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시로코팬(20)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어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유입구(4)를 통하여 송풍공간부(18)측으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구(4)를 통하여 송풍공간부(18)측으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제일 먼저, 카본필터(9)에서 오염된 공기중의 큰 먼지와 냄새를 흡착하게 되며, 그 다음 단계로 카본필터(9)에서 큰 먼지와 냄새를 흡착되어 비교적 깨끗해진 공기가 전기집진필터(1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전기집진필터(10)로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전극체(13)와 "-"전극체(14)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으며 고전압(+DC4.0KV, -DC4.0KV)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전극체(13)의 "+"전극(11)과 "-"전극체(14)의 "-"전극(12)의 사이에 전하를 띤 작은 먼지입자가 있을 경우에 그 것을 어느 한쪽으로 당기게 된다. 즉, 집진전극을 음극으로 방전전극을 양극으로 하면 코로나(corona)방전이 발생하여 연기 속의 미립자는 양극에 대전되게 되고, 이것을 음극으로 되어 있는 집진전극에 끌어당겨 표면에 부착시켜서 미세한 먼지입자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기집진필터(10)에서 미세먼지까지 포집된 공기는 송풍공간부(18)의 상측을 커버토록 설치된 팬커버(17)의 흡입구(16)를 통하여 시로코팬(20)의 흡입력으로 송풍공간부(18)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달팽이형태로 형성된 송풍공간부(18)에서 배출유로(21)를 통하여 배출구(5)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21)와 배출구(5)에는 공기의 흐름시 저항이 발생하지 않고 원만하게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공간부(18)의 개구부와 달팽이 형태로 부드럽게 연결되어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카본필터(9)와 전기집진필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유로(21)를 통하여 배출구(5)측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유로(21)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온핀(23)에서 "-"전하가 공기중에 방출되어 공기중에 존재하는 분자(O₂, H₂, N₂…)등의 분자와 이온결합하여 공기중의 분자는 음이온화(O-, H-, N- …)되어 방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카본필터(9)에서 일차로 큰 먼지와 냄새가 흡착하여 제거되고, 이차로 미세먼지가 전기집진필터(10)에서 포집되며 삼차로 이온핀(23)에서 음이온화되어 방출되므로 인체에 유익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를 장기간 사용하여 카본필터(9)와 전기집진필터(10)에 먼지가 다량 흡착 및 포집된 경우에는 자동차의 트렁크를 열고, 도 7에서와 같이 카본필터(9)와 전기집진필터(10)가 설치된 필터결합체(6)를 슬라이드식으로 빼내어 카본필터(9)를 교환하고 전기집진필터(10)는 세척한 뒤에 상부케이스(2)의 가이드레일(7)에 서랍식으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결합체(6)를 가이드레일(7)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삽입시키기만 하면, 양측 가이드레일(7)에 각각 설치된 전극접촉단자(8)가 필터결합체(6)의 양측에 노출된 "+"전극체(13)와 "-"전극체(14)와 자동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져 전극연결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카본필터에서 일차로 큰 먼지와 냄새가 흡착하여 제거되고, 이차로 미세먼지가 전기집진필터에서 포집되며 삼차로 이온핀에서 음이온화되어 방출되므로 인체에 유익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공기를 흡입하는데 사용되는 시로코팬은 종래의 크로스팬에 비해 풍량이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모터는 종래의 일반적인 모터의 수명이 약 2,000시간인데 비하여 본 발명에서 채용하고 있는 브러쉬레스모터는 그 수명이 약 40,000시간으로 수명이 대폭 연장되어 공기청정기의 고장발생율이 극히 낮은 장점과, 소음이 없는 특징이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자동차 뒷좌석의 리어패키지 내측에 매입 설치되므로서, 자동차 실내의 협소한 공간을 축소시키지 않으면서도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자동차의 리어패키지(1)의 저면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다수의 나사체결부(3)를 구비한 상부케이스(2)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4)측 하방에는 필터결합체(6)가 서랍식으로 출몰되도록 가이드레일(7)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레일(7)의 양측에는 필터결합체(6)의 "+"전극체(13)와 "-" 전극체(14)와 각각 접촉하는 전극접촉단자(8)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결합체(6)는 상측에 카본필터(9)와 하측에 전기집진필터(10)를 설치하되, 전기집진필터(10)는 다수개의 "+"전극(11)과 "-"전극(12)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배열설치된 "+"전극체(13)와 "-"전극체(14)가 소정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 되면서 "+"전극체(13)와 "-"전극체(14)가 각각의 전극접촉단자(8)와 접촉되도록 외측이 노출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의 하측에는 하부케이스(15)가 결합되고, 이 하부케이스(15)는 필터결합체(6)의 하측에 달팽이 형상의 송풍공간부(18)를 형성하며, 이 송풍공간부(18)에는 하측에 브러쉬레스모터(19)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20)이 설치되면서 송풍공간부(18)의 상측에는 흡입구(16)를 구비한 팬커버(17)가 송풍공간부(18)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송풍공간부(18)의 개구부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2)의 배출구(5)와 통하는 배출유로(21)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 소정위치에는 고전압 트랜스포머(22)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핀(2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1019990035150A 1999-08-24 1999-08-24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10032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150A KR100323113B1 (ko) 1999-08-24 1999-08-24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150A KR100323113B1 (ko) 1999-08-24 1999-08-24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72A true KR19990083872A (ko) 1999-12-06
KR100323113B1 KR100323113B1 (ko) 2002-02-04

Family

ID=3746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150A KR100323113B1 (ko) 1999-08-24 1999-08-24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1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55B1 (ko) * 2005-07-01 2006-12-05 주식회사 일광 차량의 리어셀프에 설치되는 내장형 공기청정기
KR100665926B1 (ko) * 2005-07-29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공기청정기
KR100710672B1 (ko) * 2005-07-05 2007-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WO2007078135A1 (en) * 2005-12-30 2007-07-12 Halla Climate Control Corp. Vehicle air purifier with a negative and positive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588833B1 (ko) * 2014-08-28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160084756A (ko) * 2015-01-06 2016-07-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US11225127B2 (en) 2015-01-06 2022-01-18 Hanon Systems Air blower device of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having electric dust collec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8509A (zh) * 2013-08-29 2013-12-11 福尔斯通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车载空气净化器
CN103759340A (zh) * 2014-01-06 2014-04-30 浙江明烁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55B1 (ko) * 2005-07-01 2006-12-05 주식회사 일광 차량의 리어셀프에 설치되는 내장형 공기청정기
KR100710672B1 (ko) * 2005-07-05 2007-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0665926B1 (ko) * 2005-07-29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공기청정기
WO2007078135A1 (en) * 2005-12-30 2007-07-12 Halla Climate Control Corp. Vehicle air purifier with a negative and positive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588833B1 (ko) * 2014-08-28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160084756A (ko) * 2015-01-06 2016-07-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US11225127B2 (en) 2015-01-06 2022-01-18 Hanon Systems Air blower device of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having electric dust collec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113B1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170B1 (ko) 공기정화기
US3853512A (en) Air purifier
KR100323113B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CN107694755A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KR20160084756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KR101187134B1 (ko) 차량용 공기정화 필터구조
CN206996842U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CN216300717U (zh) 车载净化器
JP2006112767A (ja) 空気調和機の空気清浄装置
CN2204735Y (zh) 空气滤清器
JP3521278B2 (ja) 空気清浄機
KR970004576Y1 (ko) 가습기의 공기청정장치
CN216300716U (zh) 车载空气净化器
JPH10244832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CN218033575U (zh) 一种便携式空气净化器
JPS6233566A (ja) 小型空気清浄機
KR20090084430A (ko) 음이온 및 양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공기정화장치
JP3630875B2 (ja) 空気清浄機
JPH03238015A (ja) 車載用空気清浄器
KR200330827Y1 (ko) 기차 객실용 음이온 발생 공기청정기
KR100654345B1 (ko) 공기청정기
JPS60187357A (ja) 空気清浄器
JPH05169972A (ja) 自動車用空気清浄装置
KR19990036666U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JPS5843943Y2 (ja) 自動車用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