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192B1 -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 Google Patents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192B1
KR101588192B1 KR1020150054449A KR20150054449A KR101588192B1 KR 101588192 B1 KR101588192 B1 KR 101588192B1 KR 1020150054449 A KR1020150054449 A KR 1020150054449A KR 20150054449 A KR20150054449 A KR 20150054449A KR 101588192 B1 KR101588192 B1 KR 101588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moving
roller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192B9 (ko
Inventor
신한옥
Original Assignee
신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옥 filed Critical 신한옥
Priority to KR1020150054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192B1/ko
Publication of KR10158819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19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1/62
    • B31B1/64
    • B31B1/74
    • B31B2201/627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컨베이어 및 수직컨베이어로 이루어진 3중의 이송건베이어장치를 통해 바닥면과 양측면이 안정되게 안착 이송되는 종이박스의 일측 덮개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접히게 됨과 동시에, 종이박스의 타측 덮개가 가이드부재 사이를 통해 가이드 되면서 핫멜트분사장치 영역으로 이송되어, 접혀진 일측 덮개 영역으로 핫멜트가 분사 도포되고, 종이박스의 타측 덮개가 가이드부재를 통해 가이드 되어 점차적으로 일측 덮개로 접힘과 동시에 접착컨베이어장치에 의해 눌러져 종이박스의 덮개가 깔끔하게 마무리 접착할 수 있어, 중소 영세 기업 등에서 적은 인력 및 비용으로 최소한의 장소로 많은 량의 종이박스를 접착 포장할 수 있으며, 또한 종이박스의 폭에 따라 수직컨베이어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박스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부재, 핫멜트건 및 접착컨베이어장치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Hotmelt Using Paper box Bonding Machine}
본 발명은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3중 이송건베이어장치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종이박스의 덮개에 핫멜트분사장치로써 핫멜트를 분사 도포하고, 이 종이박스의 덮개를 수평컨베이어 및 수직컨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눌러 접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박스는 물건 등을 수납하거나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포장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이박스가 제조되는 과정은 평판타발기의 선단에 위치하는 종이지급기로부터 낱장의 지류가 공급되면 평판타발기에서는 공급된 종이를 조립할 수 있는 상태(전개된 상태)로 가공하여 배출하고, 가공 배출된 종이는 작업자(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거나, 또는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박스로 조립하고 있다.
이러한 종이박스는 종이박스를 조립할 때 종전에는 스테플러 등을 이용하여 박스지의 접합을 달성하였으나, 요즘은 환경규제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핫멜트(Hot Melt)등을 이용하여 종이박스를 접합시켜 조립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이박스의 선행기술에는 공개특허 10-2001-0004699호(발명의 명칭 : 제품 포장용 포장박스), 공개특허 10-2012-0079932호(발명의 명칭 : 포장박스) 및 공개특허 10-2013-0029497호(발명의 명칭 : 포장용 박스)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공개특허 10-2001-0004699호는 제품 수납시 발생하는 포장박스 내의 불필요한 빈공간을 없애므로써, 동일 사이즈의 제품 포장시 소요되는 포장재료의 양을 줄여 포장박스의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공개특허 10-2012-0079932호는 개방형의 지지부재 구조의 적용으로 포장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포장박스 본체와 내부의 지지부재가 분리 가능하여 포장박스의 적층공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며, 공개특허 10-2013-0029497호는 구매자가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박스의 덮개부를 쉽게 봉할 수 있고, 개봉 후에도 박스의 덮개부를 임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미관상 보기 좋고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포장박스의 덮개면을 접고 포장시 작업자가 일일이 접착제 및 접착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생산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포장박스를 평면상태로 제작한 다음 이를 접착제 및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일일이 접어 조립 제작함에 따라 많은 불편함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평컨베이어 및 수직컨베이어로 이루어진 3중 이송건베이어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종이박스의 덮개에 핫멜트분사장치로써 접착제를 분사 도포하고, 이 종이박스의 덮개를 수평컨베이어 및 수직건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가이드 되어 순차로 접히면서 눌러 접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박스의 크기, 즉 폭에 따라 수직컨베이어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종이박스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부재, 핫멜트건 및 접착컨베이어장치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한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작업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어, 종이박스의 바닥면이 안정되게 안착 이송되도록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수평컨베이어와, 이 수평컨베이어의 중앙 영역 양측에 수직으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종이박스의 양측면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직컨베이어로 이루어진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와;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의 수직컨베이어 중앙 상부영역에 구비되고, 이송되는 종이박스의 일측 덮개가 접혀지고, 접혀진 일측 덮개 영역으로 타측 덮개가 점차적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타측 덮개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접혀진 종이박스의 일측 덮개 영역으로 핫멜트를 분사도포 하기 위한 핫멜트분사장치와; 핫멜트분사장치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 되는 종이박스의 타측 덮개를 핫멜트가 분사 도포된 일측 덮개 영역으로 눌러 접착하기 위한 접착컨베이어장치와; 작업테이블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한 장치들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컨베이어 및 수직컨베이어로 이루어진 3중의 이송건베이어장치를 통해 바닥면과 양측면이 안정되게 안착 이송되는 종이박스의 일측 덮개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접히게 됨과 동시에, 종이박스의 타측 덮개가 가이드부재 사이를 통해 가이드 되면서 핫멜트분사장치 영역으로 이송되어, 접혀진 일측 덮개 영역으로 핫멜트가 분사 도포되고, 종이박스의 타측 덮개가 가이드부재를 통해 가이드 되어 점차로 일측 덮개로 접힘과 동시에 접착컨베이어장치에 의해 눌러져 종이박스의 덮개가 깔끔하게 마무리 접착할 수 있어, 중소 영세 기업 등에서 적은 인력 및 비용으로 최소한의 장소로 많은 량의 종이박스를 접착 포장할 수 있으며, 또한 종이박스의 폭에 따라 수직컨베이어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박스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부재, 핫멜트건 및 접착컨베이어장치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측면 및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수평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요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수직구동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좌우이동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도 8의 동작상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상하이동수단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핫멜트분사장치 및 핫멜트건이동부재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상하이동수단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동작상태로서, a는 종이박스가 수평컨베이어벨트 상부에 올려진 상태도이고, b는 도 4의 A-A선에서 종이박스가 이송되는 상태도이며, c는 도 4의 B-B선에서 종이박스가 이송되는 상태도이고, d는 도 4의 C-C선에서 종이박스가 이송되는 상태도이며, e는 도 4의 D-D선에서 종이박스가 이송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의 측면 및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는,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작업테이블(3)의 상부에 구비되어, 종이박스(2)의 바닥면이 안정되게 안착 이송되도록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수평컨베이어(10)와, 수평컨베이어(10)의 중앙 영역 양측에 수직으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종이박스(2)의 양측면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직컨베이어(30)로 이루어진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1)와;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1)의 수직컨베이어(30) 중앙 상부영역에 구비되고, 이송되는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가 접혀지고, 접혀진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타측 덮개(2b)가 점차적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타측 덮개(2b)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70)와; 가이드부재(70)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70)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접혀진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핫멜트를 분사도포 하기 위한 핫멜트분사장치(90)와; 핫멜트분사장치(90)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70)에 의해 가이드 되는 종이박스(2) 타측 덮개(2b)를 핫멜트가 분사 도포된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눌러 접착하기 위한 접착컨베이어장치(200)와; 작업테이블(3)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한 장치들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장치(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컨베이어(10)는 작업테이블(3)의 상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전,후방에 마감구(11)(12)가 구비된 수평지지대(13)(14)와; 마감구(11)(12)의 전후방에 롤러축(15)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후방수평롤러(16)(17)와; 전,후방수평롤러(16)(17) 사이에 감겨져 상부에 종이박스(2)의 바닥면이 안착 이송되는 수평컨베이어벨트(18)와; 후방수평롤러(17)의 롤러축(15)과 작업테이블(3) 후방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수평컨베이어벨트(18)를 수평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구동수단(20)은 후방수평롤러(17)의 롤러축(15)에 축설된 롤러스프로켓(21)과; 롤러스프로켓(21)과 대응되게 모터스프로켓(22)이 축설되고, 작업테이블(3) 후방 하부에 장착된 구동모터(23)와; 롤러스프로켓(21)과 모터스프로켓(22)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3)의 회전력을 후방수평롤러(17)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롤러스프로켓(21), 모터스프로켓(22) 및 체인(24)은 후방 일측의 마감구(12)에 장착되는 보관함(26)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된다.
상기 수직컨베이어(30)는 수평지지대(13)의 상부 중앙 영역에 좌우이동수단(60)으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이동 하부플레이트(31)와; 이동 하부플레이트(31)와 대응되게 수평지지대(14)의 상부 중앙 영역에 체결 고정된 고정 하부플레이트(32)와; 이동 하부플레이트(31) 및 고정 하부플레이트(32)의 전방 양측에 하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수직롤러(34)(35)와; 전방수직롤러(34)(35)의 상부 롤러축(33)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이동 하부플레이트(31) 및 고정 하부플레이트(32)와 동일하게 형성된 이동 상부플레이트(36) 및 고정 상부플레이트(37)와; 이동 상부플레이트(36) 후방에 상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하부 롤러축(33)이 작업테이블(3) 내측 하부에 구비된 사각보관함(38) 내부에 수직 위치되는 후방종동수직롤러(39)와; 고정 상부플레이트(37) 후방에 상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하부 롤러축(33)이 고정 하부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됨과 동시에 사각보관함(38) 내부에 수직 위치되는 후방구동수직롤러(40)와; 전방수직롤러(34), 후방종동수직롤러(39) 및 전방수직롤러(35), 후방구동수직롤러(40) 사이에 수직으로 감겨져 종이박스(1)의 양측면이 지지되는 수직컨베이어벨트(41)(42)와; 후방종동수직롤러(39) 및 후방구동수직롤러(40)의 하부 롤러축(33)과 사각보관함(38) 내부에 구비되어 수직컨베이어벨트(41)(42)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직구동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방수직롤러(34)(35)의 상,하부 롤러축(33)은 이동 하부플레이트(31), 이동 상부플레이트(36) 및 고정 하부플레이트(32), 고정 상부플레이트(37)의 전방 상하부로부터 각각 체결되는 수평체결장볼트(44)에 의해 체결이 유지된다.
상기 수직구동수단(50)은 후방구동수직롤러(40)의 하부 롤러축(33) 하단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51)과; 사각보관함(38)의 수평분리벽(52)을 통과하여 구동스프로켓(51)과 수직으로 축설되는 모터연결축(53)이 구비되고, 사각보관함(38) 내부 하단에 장착된 구동모터(54)와; 구동스프로켓(51) 좌측의 수평분리벽(52) 상부에 연결축(55a)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연결스프로켓(55)과; 후방종동수직롤러(39) 하부의 롤러축(33) 하단에 축설된 종동스프로켓(56)과; 종동스프로켓(56) 좌측의 수평분리벽(52) 상부에 형성된 수평이동공(57a-1)에 마감축(57a)으로써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마감스프로켓(57)과; 구동스프로켓(51), 연결스프로켓(55), 종동스프로켓(56) 및 마감스프로켓(57)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모터(54)의 회전력을 후방구동수직롤러(40) 및 후방종동수직롤러(39)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체인(5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체인(58)은 도 7에서와 같이 구동스프로켓(51), 연결스프로켓(55) 및 마감스프로켓(57) 사이에 트랙이 유지되도록 내측이 연결되고, 종동스프로켓(56)에는 외측이 연결되어 후방종동수직롤러(40)의 회전방향이 후방구동수직롤러(40)와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각보관함(38)의 좌측 영역에는 좌우이동수단(60)의 동작으로 수직컨베이어벨트(41)(42) 사이의 간격 조절시 동력전달체인(58)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체인장력조절부재(59)가 구비된다.
상기 체인장력조절부재(59)는 마감스프로켓(57) 좌측의 수평분리벽(52) 상부에 체결 고정되고, 좌우이동공(59a-1)이 형성된 고정구(59a)와; 고정구(59a)의 좌우이동공(59a-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우측단이 마감스프로켓(57)에 수평으로 체결되고, 좌측이 사각보관함(38)을 관통하여 좌측에 위치되는 좌우이동핀(59b)과; 좌우이동핀(59b)의 좌측 머리부와 사각보관함(38) 좌측면에 위치되어 좌우이동핀(59b)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9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이동수단(60)은 이동 하부플레이트(31) 하부 전후방에 체결 고정되고, 가이드공(61)이 형성된 가이드구(62)(63)와; 가이드구(62)(63) 사이의 이동 하부플레이트(31) 하부에 체결고정되고, 이동나사공(64a)이 형성된 이동구(64)와; 가이드구(62)(63)의 가이드공(6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65)이 체결 고정된 수평마감편(66)과; 가이드봉(65) 사이의 좌측에서 수평마감편(66)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이동나사공(64a)에 체결되고, 좌측단에 핸들(67)이 구비되어 이동구(64)가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조절볼트(68)로 이루어져 수직컨베이어벨트(41)(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구(62)(63) 하부에는 가이드봉(65)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직 조절볼트(69)가 체결된다.
한편, 후방종동수직롤러(39)의 하부 롤러축(33)과 마감스프로켓(57)의 마감축(57a)은 사각보관함(38) 상부와 수평분리벽(52) 상부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이동장공(38a)(52a)에 각각 축설되어, 좌우이동수단(60)의 동작으로 수직컨베이어벨트(41)(42) 사이의 간격 조절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이동 상부플레이트(36) 상부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된 수직고정편(71)과; 수직고정편(71)의 우측면에 상하이동수단(80)으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수평고정편(72)과; 수평고정편(72) 우측 후방 영역에 직각을 유지하여 수평으로 체결 고정된 마감수평편(73)과; 마감수평편(73) 하단에 전후방으로 체결 고정되어 종이박스(2)의 타측 덮개(2b)를 일측 덮개(2a)로 접힘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가이드바(74)와; 수평고정편(72) 우측 전방 영역에 체결 고정된 고정브라켓(75)과; 고정브라켓(75)에 상부가 고정되고,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가이드편(76)과; 수평가이드편(76)의 우측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경사가이드바(74)와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직선가이드바(77)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가이드바(74)는 마감수평편(73)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직선부(74a)와, 이 직선부(74a)의 전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74b)로 이루어지고, 직선가이드바(77)는 경사가이드부(74)의 중앙 영역으로 경사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경사가이드부(74) 보다 낮게 위치된다.
이때, 종이박스(2)의 타측 덮개(2b)는 수평가이드편(76)의 하부에 가이드되어 우측방으로 접혀지게 되고, 일측 덮개(2a)는 직선가이드바(77)와 경사가이드바(74) 사이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좌측방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수단(80)은 수직고정편(71)의 우측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가이드홈(81)과; 수직가이드홈(81)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면에 마감수평편(73)과 고정브라켓(75)이 체결 고정되는 수평고정편(72)이 체결 고정되며, 조절나사공(82a)이 형성된 상하이동구(82)와; 수직고정편(71)의 상단을 통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고 상하이동구(82)의 조절나사공(82a)에 체결되어 상하이동구(82)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장볼트(83)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고정편(71)의 좌측에는 상하이동구(8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직고정볼트(84)가 체결된다.
상기 핫멜트분사장치(90)는 수평고정편(72) 우측 영역에 핫멜트건이동부재(100)로써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핫멜트건(92)과; 작업테이블(3)의 우측 영역에 구비되고, 내부에 저장된 핫멜트를 핫멜트공급호스(93)로써 핫멜트건(92)으로 공급하기 위한 핫멜트공급기(94)와; 핫멜트건(92)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핫멜트를 분사 도포하기 위한 분사노즐(96)로 이루어진다.
이때, 핫멜트건(92)에는 외부에서 분사노즐(96)을 통하여 핫멜트를 타측 덮개(2b)로 분사하기 위한 에어공급호스(98)가 연결되고, 내부의 핫멜트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선(99)이 연결된다.
상기 핫멜트건이동부재(100)는 핫멜트건(92) 좌측면에 연결되고, 연결공(111)이 형성된 수평연결블록(110)과; 전방에서 수평연결블록(110)의 연결공(111)에 결합 고정되는 전방결합연결핀(120)과; 전방결합연결핀(120)의 중앙 영역에 관통결합공(131)으로써 결합 고정된 중앙연결블록(130)과; 수평고정편(72)의 전방 영역에 형성된 가이드공(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단이 중앙연결블록(130)의 관통결합공(131)에 결합 고정된 이동장핀(150)과; 가이드공(140) 하부의 수평고정편(72)에 형성된 이동나사공(171)에 나사체결되고, 좌측단이 이동장핀(150)과 수직연결편(160)으로써 수직으로 연결된 이동장볼트(170)와; 수직연결편(160)의 좌측에 이동장볼트(170)와 연결되어 이동장볼트(17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1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고정편(72)의 좌측에는 이동장핀(15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평고정볼트(190)가 체결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핫멜트건이동부재(100)의 전방결합연결핀(120) 전방에 고정된 수평브라켓(122)의 우측에 수직으로 포도센서(124)가 체결 고정되어, 종이박스(2)의 이송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장치(4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포토센서(124)의 신호를 전달받은 콘트롤러장치(400)에서는 자체 입력된 신호와 비교하여 핫멜트공급기(94) 내부의 핫멜트를 분사노즐(96)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접착컨베이어장치(200)는 핫멜트분사장치(90) 후방 영역의 수평지지대(14) 상부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된 수직고정편(210)과; 수직고정편(210)의 좌측면에 상하이동수단(300)으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 고정된 우측수평플레이트(230)와; 우측수평플레이트(230) 전방 및 후방에 우측 롤러축(242)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접착롤러(240) 및 후방접착롤러(241)와; 전방접착롤러(240) 및 후방접착롤러(241)의 좌측 롤러축(242)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우측수평플레이트(230)와 동일하게 형성된 좌측수평플레이트(250)와; 전방접착롤러(240) 및 후방접착롤러(241) 사이에 수평으로 감져져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를 타측 덮개(2b)로 눌러 접착하기 위한 접착컨베이어벨트(260)와; 후방접착롤러(241)의 우측 롤러축(242)과 우측수평플레이트(230) 후방 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접착컨베이어벨트(2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접착컨베이어구동수단(27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방접착롤러(240)의 좌,우측 롤러축(242)은 좌측수평플레이트(250) 및 우측수평플레이트(230) 전방으로부터 체결되는 수평체결장볼트(280)에 의해 체결이 유지된다.
그리고, 접착컨베이어벨트(260)는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b)를 핫멜트가 분사 도포된 타측 덮개(2b)로 눌러 접착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두껍고, 소프트한 재질의 고무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컨베이어구동수단(270)은 우측수평플레이트(230) 후방의 우측 롤러축(242)에 축설된 접착스프로켓(271)과; 우측수평플레이트(230) 좌측면에 장착되고, 모터축(272)이 우측수평플레이트(230)를 관통하여 위치된 구동모터(273)와; 접착스프로켓(272)과 대응되게 모터축(272)에 축설된 모터스프로켓(274)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27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우측수평플레이트(230) 후방 우측면에는 접착스프로켓(272), 모터스프로켓(274) 및 체인(27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관함(276)이 장착된다.
상기 상하이동수단(300)은 수직고정편(210)의 좌측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가이드홈(310)과; 수직가이드홈(310)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에 우측수평플레이트(230)이 체결 고정되며, 조절나사공(321)이 형성된 상하이동구(320)와; 수직고정편(210)의 상단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하이동구(320)의 조절나사공(321)에 체결되어 상하이동구(320)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장볼트(3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고정편(210)의 좌측에는 상하이동구(3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직고정볼트(340)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바닥면과 좌,우측면 및 전,후면으로 이루어지고, 좌,우측면 상부에는 일측덮개(2a) 및 타측덮개(2b)가 구비되며, 전,후면 상부에는 전면덮개(2c) 및 후면덮개(2d)가 구비된 종이박스(2) 내부에, 작업자가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를 넣은 다음, 전면덮개(2c)와 후면덮개(2d)를 내측으로 접은 후, 종이박스(2)의 바닥면을, 수평컨베이어(10)를 구성하는 수평컨베이어벨트(18) 상부에 올려놓게 된다.(도 14a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테이블(3) 하부에 장착된 콘트롤러장치(400)를 동작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수평구동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23)의 동작으로, 수평지지대(13)(14) 전,후방의 마감구(11)(12)에 롤러축(15)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후방수평롤러(16)(17) 사이의 수평컨베이어벨트(18)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평컨베이어벨트(18) 상부에 올려진 내부에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가 담겨진 종이박스(2)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넘어지지 않고, 수직컨베이어(30)를 구성하는 수직컨베이어벨트(41)(42)가 수직구동수단(50)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방 영역으로 안정되게 이송된다.
삭제
즉,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구동모터(54)의 정회전(시계 방향)으로 구동스프로켓(51)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 하부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됨과 동시에 사각보관함(38) 내부에 수직 위치된 하부 롤러축(33)가, 정회전 하게 되어 고정 상부플레이트(37) 후방에 상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후방구동수직롤러(40)가 정회전하게 됨에 따라, 고정 하부플레이트(32) 및 고정 상부플레이트(37)의 전방 우측 하부 및 상부에 하부 및 상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수직롤러(35)와 후방구동수직롤러(40) 사이에 수직으로 감겨진 수직컨베이어벨트(42)가 정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스프로켓(51), 마감스프로켓(57) 및 연결스프로켓(55) 사이에 트랙이 유지되도록 동력전달체인(58)의 내측이 연결되어 구동모터(54)의 회전력(정회전)이 그대로 전달되고, 종동스프로켓(56)에는 동력전달체인(58)의 외측이 연결되어 종동스프로켓(56)의 회전방향이 후방구동수직롤러(40)와 반대(역회전) 방향으로 전달됨에 따라 종동스프로켓(56)에 연결된 하부 롤러축(33)과 후방종동수직롤러(40)가 역회전하게 된다.(도 7참조)
이에 따라 이동 하부플레이트(31) 및 이동 상부플레이트(36)의 전방 좌측에 하부 및 상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수직롤러(34)와 후방종동수직롤러(40) 사이에 수직으로 감겨진 수직컨베이어벨트(41)가 역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4에서와 같이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1)의 수직컨베어(10) 중앙 상부영역에 구비된 가이드부재(7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가 완전히 접혀지게 되고, 접혀진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타측 덮개(2b)가 점차적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타측 덮개(2b)를 가이드 하게 된다.
즉, 도 14b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재(70)를 구성하는 수평고정편(72) 내측 전방 영역에 체결 고정된 고정브라켓(75)에 상부가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가이드편(76)의 하부를 후방으로 이송되는 종이박스(2)가 통과하면서 일측 덮개(2a)가 우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브라켓(75)에 상부가 고정되고,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가이드편(76)의 우측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직선가이드바(77)와, 마감수평편(73) 하단에 전후방으로 체결 고정되고, 직선부(74a)와 경사부(74b)로 이루어진 경사가이드바(74) 사이를 통과하면서 순차적으로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접히면서 직선부(74a)를 통과하여 핫멜트가 분사 도포된 일측 덮개(2a)로 접히게 된다.(도 14c 및 도 14d참조)
이때, 도 14c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재(70)의 전방 영역에 구비된 핫멜트분사장치(90)로써 가이드부재(7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접혀진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핫멜트를 분사도포 하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핫멜트분사장치(90)를 구성하는 핫멜트건이동부재(100)의 전방결합연결핀(120) 전방에 고정된 수평브라켓(122) 우측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되는 포도센서(124)가, 3중 컨베어이장치(3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종이박스(2)를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장치(400)로 전달하게 되면, 콘트롤러장치(400)에서는 자체 입력된 신호와 비교하여 핫멜트공급기(94) 내부의 핫멜트를 분사노즐(96)을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b) 영역으로 분사하게 된다.(도 11 및 도 12참조)
이때, 핫멜트건(92)에는 에어공급호스(98)를 통하여 외부의 에어가 공급되어 분사노즐(96)을 통해 핫멜트가 외부로 분사되고, 열선(99)을 통하여 고온이 전달되어 핫멜트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4e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재(70)에 의해 종이박스(2)의 타측 덮개(2b)가 가이드 되어 핫멜트가 도포된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접힌 상태로 핫멜트분사장치(90) 후방 영역의 접착컨베어장치(200)로 이송되면, 접착컨베이어구동수단(27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273)의 동작으로 모터스프로켓(274)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스프로켓(274)과 체인(275)으로 연결된 접착스프로켓(272)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우측수평플레이트(230) 및 좌측수평플레이트(250)에 우측 및 좌측의 롤러축(242)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후방접착롤러(241)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방 접착롤러(241)와, 우측수평플레이트(230) 및 좌측수평플레이트(250)에 우측 및 좌측의 롤러축(242)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접착롤러(240) 사이에, 수평으로 감겨진 접착컨베이어벨트(26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종이박스(2)의 타측 덮개(2b)가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 덮개(2a)를 누르게 되어 완전히 접착이 이루어진 상태로 수평컨베이어벨트(18)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종이박스(2)의 1회 접착 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종이박스(2)의 폭에 따라 수직컨베이어벨트(41)(42) 중 수직컨베이어벨트(41)를 좌우이동수단(60)으로써 좌우로 이동시켜 수직컨베이어벨트(41)(42)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하부플레이트(31) 하부에 체결 고정된 가이드구(62)(63)에 체결되는 수직조절볼트(69)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좌우이동수단(60)을 구성하는 이동조절볼트(68)의 핸들(67)을 반시계 방향(역회전)으로 회전시키면, 이동 하부플레이트(31) 하부에 체결 고정된 이동구(64)의 이동나사공(64a)에 체결된 이동조절볼트(68)가, 이동구(64)의 이동나사공(64a)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구(64)의 이동나사공(64a)이 이동조절볼트(68)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평마감편(66)에 체결 고정된 가이드봉(65)을 따라 이동 하부플레이트(31) 하부에 체결 고정된 가이드구(62)(53)의 가이드공(61)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이동 하부플레이트(31)와 이동 하부플레이트(31)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전방수직롤러(34), 후방종동수직롤러(39), 이동 상부플레이트(36) 및 수직컨베어벨트(4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직컨베이어벨트(42)와 간격이 조절된다.(도 9참조)
이때, 후방종동수직롤러(39)의 하부 롤러축(33)과 마감스프로켓(57)의 마감축(57a)이, 사각보관함(38) 상부와 수평분리벽(52) 상부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이동장공(38a)(52a)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직컨베이어벨트(41)(4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와 동시에 도 7에서와 같이 사각보관함(38)의 좌측 영역에 구비된 체인장력조절부재(59)가 동작되어, 동력전달체인(58)의 장력이 조절된다.
즉, 마감스프로켓(57)의 마감축(57a)이, 수평분리벽(52)의 수평이동공(52a)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구(59)의 좌우이동공(59a-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우측단이 마감스프로켓(57)에 수평으로 체결되고, 좌측이 사각보관함(38)을 관통하여 좌측에 위치되는 좌우이동핀(59b)이, 고정구(59)의 좌우이동공(59a-1)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좌우이동핀(59b)의 좌측 머리부와 사각보관함(38) 좌측면에 위치된 탄성스프링(59c)이 압축되어 좌우이동핀(59b)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에 따라 마감스프로켓(57)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동력전달체인(58)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좌우이동수단(60)으로써 수직컨베이어(30)의 수직컨베이어벨트(4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직컨베어어(30) 상부 영역에 구비된 가이드부재(70), 상하이동수단(80) 및 핫멜트건이동부재(100)가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재(70)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상하이동수단(8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가이드부재(70)를 구성하는 수직고정편(71)의 좌측에 체결된 수직고정볼트(84)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상하이동수단(80)을 구성하는 수직이동장볼트(8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직고정편(71)의 상단을 통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고 상하이동구(82)의 조절나사공(82a)에 체결된 수직이동장볼트(8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고정편(71)의 우측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가이드홈(81)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이동구(82)가, 수직이동장볼트(83)와 수직가이드홈(8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하이동구(82)의 우측면에 체결 고정된 수평고정편(7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수평고정편(72) 우측 후방 영역의 마감수평편(73) 하단에 전후방으로 체결 고정된 경사가이드바(7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수평고정편(72) 우측 전방 영역의 고정브라켓(75)에 상부가 고정되고,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가이드편(76)의 우측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경사가이드바(74)와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직선가이드바(77)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고정편(72) 우측 영역에 핫멜트건이동부재(100)로써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핫멜트건(9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핫멜트건(92)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핫멜트건이동부재(100)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핫멜트건이동부재(100)를 구성하는 이동장핀(15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평고정볼트(190)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수직연결편(160)의 좌측에 이동장볼트(170)와 연결되어 이동장볼트(17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1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평고정편(71)의 이동나사공(171)에 나사 체결된 이동장볼트(150)가 이동나사공(171)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장볼트(150)와 수직연결편(160)으로써 수직으로 연결되고, 좌측연결구(140)의 가이드공(1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측단이 중앙연결블록(130)의 관통결합공(131)에 결합 고정된 이동장핀(15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중앙연결블록(130)과 전방결합연결핀(120)으로써 연결되고, 핫멜트건(92)에 연결된 수평연결블록(11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핫멜트건(92)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핫멜트 분사 영역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재(70)에 의해 가이드 되는 종이박스(2) 타측 덮개(2b)를 핫멜트가 분사 도포된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눌러 접착하기 위한 접착컨베이어장치(200)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접착컨베이어장치(200)를 구성하는 수직고정편(210)의 좌측에 체결된 수직고정볼트(340)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상하이동수단(300)을 구성하는 수직이동장볼트(3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직고정편(210)의 상단을 통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고 상하이동구(320)의 조절나사공(321)에 체결된 수직이동장볼트(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고정편(210)의 우측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가이드홈(310)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이동구(320)가, 수직이동장볼트(330)와 수직가이드홈(31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방접착롤러(240) 및 후방접착롤러(241) 사이에 수평으로 감겨진 접착컨베이어벨트(26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접착컨베이어구동수단(27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 :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 2 : 종이박스
2a : 일측 덮개 2b : 타측 덮개
3 : 작업테이블 10 : 수평컨베이어
11,12 : 마감구 13,14 : 수평지지대
15 : 롤러축 16,17 : 전,후방수평롤러
18 : 수평컨베이어벨트 20 : 수평구동수단
30 : 수직컨베이어 31 : 이동 하부플레이트
32 : 고정 하부플레이트 33 : 상,하부 롤러축
34,35 : 전방수직롤러 36 : 이동 상부플레이트
37 : 고정 상부플레이트 38 : 사각보관함
39 : 후방종동수직롤러 40 : 후방구동수직롤러
41,42 : 수직컨베이어벨트 50 : 수직구동수단
51 : 구동스프로켓 52 : 수평분리벽
52a : 수평이동공 53 : 모터연결축
54 : 구동모터 55 : 연결스프로켓
55a : 연결축 56 : 종동스프로켓
57 : 마감스프로켓 57a : 마감축
58 : 동력전달체인 59 : 체인장력조절부재
59a : 고정구 59a-1 : 좌우이동공
59b : 좌우이동핀 59c : 탄성스프링
60 : 좌우이동수단 61 : 가이드공
62,63 : 가이드구 64 : 이동구
64a : 이동나사공 65 : 가이드봉
66 : 수평마감판 68 : 이동조절볼트
70 : 가이드부재 71 : 수직고정편
72 : 수평고정편 73 : 마감수평편
74 : 경사가이드바 75 : 고정브라켓
74a : 직선부 74b : 경사부
76 : 수평가이드편 77 : 직선가이드바
80,300 : 상하이동수단 81 : 수직가이드홈
82 : 상하이동구 82a : 조절나사공
83 : 수직이동장볼트 90 : 핫멜트분사장치
92 : 핫멜트건 93 : 핫멜트공급호스
94 : 핫멜트공급기 96 : 분사노즐
98 : 에어공급호스 99 : 열선
100 : 핫멜트건이동부재 110 : 수평연결블록
111 : 연결공 120 : 전방결합연결핀
130 : 중앙연결블록 131 : 관통결합공
150 : 이동장핀 160 : 수직연결편
170 : 이동장볼트 171 : 이동나사공
180 : 회전손잡이 200 : 접착컨베이어장치
210 : 수직고정편 230 : 우측수평플레이트
240,241 : 전,후방접착롤러 242 : 좌,우측 롤러축
250 : 좌측수평플레이트 260 : 접착컨베이어벨트
270 : 접착컨베이어구동수단 400 : 콘트롤러장치

Claims (12)

  1. 작업테이블(3)의 상부에 구비되어, 종이박스(2)의 바닥면이 안착 이송되도록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수평컨베이어(10)와, 수평컨베이어(10)의 중앙 영역 양측에 수직으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종이박스(2)의 양측면이 지지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직컨베이어(30)로 이루어진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1)와; 3중 이송컨베이어장치(1)의 수직컨베이어(30) 중앙 상부영역에 구비되고, 이송되는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가 접혀지고, 접혀진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타측 덮개(2b)가 점차적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타측 덮개(2b)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70)와; 가이드부재(70)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70)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접혀진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핫멜트를 분사도포 하기 위한 핫멜트분사장치(90)와; 핫멜트분사장치(90)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70)에 의해 가이드 되는 종이박스(2)의 타측 덮개(2b)를 핫멜트가 분사 도포된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눌러 접착하기 위한 접착컨베이어장치(200)와; 작업테이블(3)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한 장치들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장치(400)로 구성된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컨베이어(30)는
    상기 수평컨베이어(10)의 수평지지대(13) 상부 중앙 영역에 좌우이동수단(60)으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이동 하부플레이트(31)와;
    상기 이동 하부플레이트(31)와 대응되게 수평지지대(14)의 상부 중앙 영역에 체결 고정된 고정 하부플레이트(32)와;
    상기 이동 하부플레이트(31) 및 고정 하부플레이트(32)의 전방 양측에 하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수직롤러(34)(35)와;
    상기 전방수직롤러(34)(35)의 상부 롤러축(33)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이동 하부플레이트(31) 및 고정 하부플레이트(32)와 동일하게 형성된 이동 상부플레이트(36) 및 고정 상부플레이트(37)와;
    상기 이동 상부플레이트(36) 후방에 상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하부 롤러축(33)이 작업테이블(3) 내측 하부에 구비된 사각보관함(38) 내부에 수직 위치되는 후방종동수직롤러(39)와;
    상기 고정 상부플레이트(37) 후방에 상부 롤러축(33)으로써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하부 롤러축(33)이 고정 하부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됨과 동시에 사각보관함(38) 내부에 수직 위치되는 후방구동수직롤러(40)와;
    상기 전방수직롤러(34), 후방종동수직롤러(39) 및 전방수직롤러(35), 후방구동수직롤러(40) 사이에 수직으로 감겨져 종이박스(2)의 양측면이 지지되는 수직컨베이어벨트(41)(42)와;
    상기 후방종동수직롤러(39) 및 후방구동수직롤러(40)의 하부 롤러축(33)과 사각보관함(38) 내부에 구비되어 수직컨베이어벨트(41)(42)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직구동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수단(50)은
    상기 후방구동수직롤러(40)의 하부 롤러축(33) 하단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51)과;
    상기 사각보관함(38)의 수평분리벽(52)을 통과하여 구동스프로켓(51)과 수직으로 축설되는 모터연결축(53)이 구비되고, 사각보관함(38) 내부 하단에 장착된 구동모터(54)와;
    상기 구동스프로켓(51) 좌측의 수평분리벽(52) 상부에 연결축(55a)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연결스프로켓(55)과;
    상기 후방종동수직롤러(39)의 하부 롤러축(33) 하단에 축설된 종동스프로켓(56)과;
    상기 종동스프로켓(56) 좌측의 수평분리벽(52) 상부에 형성된 수평이동공(52a)에 마감축(57a)으로써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마감스프로켓(57)과;
    상기 구동스프로켓(51), 연결스프로켓(55), 종동스프로켓(56) 및 마감스프로켓(57)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모터(54)의 회전력을 후방구동수직롤러(40) 및 후방종동수직롤러(39)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체인(5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보관함(38)의 좌측 영역에, 상기 동력전달체인(58)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체인장력조절부재(59)가 구비되되,
    상기 체인장력조절부재(59)는
    상기 마감스프로켓(57) 좌측의 수평분리벽(52) 상부에 체결 고정되고, 좌우이동공(59a-1)이 형성된 고정구(59a)와;
    상기 고정구(59a)의 좌우이동공(59a-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우측단이 마감스프로켓(57)에 수평으로 체결되며, 좌측이 사각보관함(38)을 관통하여 좌측에 위치되는 좌우이동핀(59b)과;
    상기 좌우이동핀(59b) 좌측의 머리부와 사각보관함(38) 좌측면에 위치되어 좌우이동핀(59b)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9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60)은
    상기 이동 하부플레이트(31) 하부 전후방 양측에 체결 고정되고, 가이드공(61)이 형성된 가이드구(62)(63)와;
    상기 가이드구(62)(63) 사이의 이동 하부플레이트(31) 하부에 체결고정되고, 이동나사공(64a)이 형성된 이동구(64)와;
    상기 가이드구(62)(63)의 가이드공(6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65)이 체결 고정된 수평마감편(66)과;
    상기 가이드봉(65) 사이의 외측에서 수평마감편(66)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이동나사공(64a)에 체결되어 이동구(64)가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조절볼트(68)로 구성되어, 수직컨베이어벨트(41)(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수직컨베이어(30)의 이동 상부플레이트(36) 상부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된 수직고정편(71)과;
    상기 수직고정편(71)의 우측면에 상하이동수단(80)으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수평고정편(72)과;
    상기 수평고정편(72) 우측 후방 영역에 직각을 유지하여 수평으로 체결 고정된 마감수평편(73)과;
    상기 마감수평편(73) 하단에 전후방으로 체결 고정되어 상기 종이박스(2)의 타측 덮개(2b)를 일측 덮개(2a)로 접힘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가이드바(74)와;
    상기 수평고정편(72) 우측 전방 영역에 체결 고정된 고정브라켓(75)과;
    상기 고정브라켓(75)에 상부가 고정되고,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가이드편(76)과;
    상기 수평가이드편(76)의 우측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경사가이드바(74)와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직선가이드바(7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바(74)는
    마감수평편(73)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직선부(74a)와,
    상기 직선부(74a)의 전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74b)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가이드바(77)는 경사가이드부(74) 중앙 영역으로 경사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경사가이드부(74) 보다 낮게 위치되어,
    종이박스(2)의 타측 덮개(2b)가 후방 영역으로 이송되면서 좌측으로 접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80)은
    상기 수직고정편(71)의 우측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가이드홈(81)과;
    상기 수직가이드홈(81)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면에 수평고정편(72)이 체결 고정되며, 조절나사공(82a)이 형성된 상하이동구(82)와;
    상기 수직고정편(71)의 상단을 통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고, 상하이동구(82)의 조절나사공(82a)에 체결되어 상하이동구(82)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장볼트(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분사장치(90)는
    상기 가이드부재(70)의 수평고정편(72) 내측 영역에 핫멜트건이동부재(100)로써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핫멜트건(92)과;
    상기 작업테이블(3)의 우측 영역에 구비되고, 내부에 저장된 핫멜트를 핫멜트공급호스(93)로써 핫멜트건(92)으로 공급하기 위한 핫멜트공급기(94)와;
    상기 핫멜트건(92)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 영역으로 핫멜트를 분사 도포하기 위한 분사노즐(96)로 구성되고,
    상기 핫멜트건(92)에는 외부에서 분사노즐(96)을 통하여 핫멜트를 일측 덮개(2a)로 분사하기 위한 에어공급호스(98)가 연결되며, 핫멜트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선(99)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건이동부재(100)는
    상기 핫멜트건(92) 좌측면에 연결되고, 연결공(111)이 형성된 수평연결블록(110)과;
    전방에서 상기 수평연결블록(110)의 연결공(111)에 결합 고정되는 전방결합연결핀(120)과;
    상기 전방결합연결핀(120)의 중앙 영역에 관통결합공(131)으로써 결합 고정된 중앙연결블록(130)과;
    상기 수평고정편(72)의 전방 영역에 형성된 가이드공(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단이 중앙연결블록(130)의 관통결합공(131)에 결합 고정된 이동장핀(150)과;
    상기 가이드공(140) 하부의 수평고정편(72)에 형성된 이동나사공(171)에 나사체결되고, 좌측단이 이동장핀(150)과 수직연결편(160)으로써 수직으로 연결된 이동장볼트(170)와;
    상기 수직연결편(160)의 좌측에 이동장볼트(170)와 연결되어 이동장볼트(17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1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컨베이어장치(200)는
    상기 핫멜트분사장치(90) 후방 영역의 수평지지대(14) 상부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된 수직고정편(210)과;
    상기 수직고정편(210)의 좌측면에 상하이동수단(300)으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 고정된 우측수평플레이트(230)와;
    상기 우측수평플레이트(230) 전방 및 후방에 우측 롤러축(242)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접착롤러(240) 및 후방접착롤러(241)와;
    상기 전방접착롤러(240) 및 후방접착롤러(241)의 좌측 롤러축(242)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우측수평플레이트(230)와 동일하게 형성된 좌측수평플레이트(250)와;
    상기 전방접착롤러(240) 및 후방접착롤러(241) 사이에 수평으로 감져져 종이박스(2)의 일측 덮개(2a)를 타측 덮개(2b)로 눌러 접착하기 위한 접착컨베이어벨트(260)와;
    상기 후방접착롤러(241)의 우측 롤러축(242)과 우측수평플레이트(230) 후방 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접착컨베이어벨트(2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접착컨베이어구동수단(2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KR1020150054449A 2015-04-17 2015-04-17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KR101588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449A KR101588192B1 (ko) 2015-04-17 2015-04-17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449A KR101588192B1 (ko) 2015-04-17 2015-04-17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192B1 true KR101588192B1 (ko) 2016-01-25
KR101588192B9 KR101588192B9 (ko) 2021-07-14

Family

ID=5530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449A KR101588192B1 (ko) 2015-04-17 2015-04-17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017A (zh) * 2016-12-28 2017-07-21 常州智谷机电科技有限公司 压辊装置
CN107775997A (zh) * 2017-11-21 2018-03-09 江门市蓬江区进源包装实业有限公司 一种纸箱自动打钉机
CN107804546A (zh) * 2017-09-28 2018-03-16 深圳市敦鼎智能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贴标机
CN112895594A (zh) * 2021-01-20 2021-06-04 蓝山县嘉鸿彩印有限公司 全自动勾底糊盒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4123A (ja) * 1995-11-02 1997-05-13 Nippon Cement Co Ltd ベルトコンベア
KR20110073554A (ko) * 2008-10-15 2011-06-29 헨켈 코포레이션 일체형 핫 멜트 분배 시스템을 갖는 케이스 실러
KR20150014271A (ko) * 2013-07-29 2015-02-06 (주)진성 테크템 랩 어라운드 포장기에 적합한 플랩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4123A (ja) * 1995-11-02 1997-05-13 Nippon Cement Co Ltd ベルトコンベア
KR20110073554A (ko) * 2008-10-15 2011-06-29 헨켈 코포레이션 일체형 핫 멜트 분배 시스템을 갖는 케이스 실러
KR20150014271A (ko) * 2013-07-29 2015-02-06 (주)진성 테크템 랩 어라운드 포장기에 적합한 플랩 폴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017A (zh) * 2016-12-28 2017-07-21 常州智谷机电科技有限公司 压辊装置
CN107804546A (zh) * 2017-09-28 2018-03-16 深圳市敦鼎智能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贴标机
CN107775997A (zh) * 2017-11-21 2018-03-09 江门市蓬江区进源包装实业有限公司 一种纸箱自动打钉机
CN112895594A (zh) * 2021-01-20 2021-06-04 蓝山县嘉鸿彩印有限公司 全自动勾底糊盒机
CN112895594B (zh) * 2021-01-20 2023-02-28 蓝山县嘉鸿彩印有限公司 全自动勾底糊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192B9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192B1 (ko) 핫 멜트를 이용한 종이박스 접착기
KR101973367B1 (ko) 종이 빨대 제조장치
US6012503A (en) Adjustable gluing apparatus for a packaging machine
US10703519B2 (en) Wrapping machine
WO2013053154A1 (zh) 连续式封切机
US20100089012A1 (en) Case sealer with integrated hot melt dispensing system
KR101538130B1 (ko) 고주파 접착 포장 시스템
CA2044964A1 (en) A device for supplying packaging machines with packaging material
KR101679626B1 (ko) 박스 자동 포장 장치
KR102019034B1 (ko) 에어 완충재 제조장치
KR101722907B1 (ko) 포장용 상자 핫멜트 접착형 제조장치
JPH1029611A (ja) 包装機械における駆動装置
JP2013043660A (ja) 自動包装機の継ぎ装置
KR101400727B1 (ko) 비닐포장지 제조장치
KR101654331B1 (ko) 제품 포장장치
KR200493835Y1 (ko)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KR101731870B1 (ko)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CN210386392U (zh) 点胶机及其点胶组件
CN208233493U (zh) 订箱装置及箱体包装机
KR101473619B1 (ko) 이송경로의 개폐구조를 구비하는 자동포장장치
JP6605384B2 (ja) 縦型包装機および包装方法
KR100915680B1 (ko) 박스 포장을 위한 비닐 이송 조절장치 및 그를 사용한 박스포장설비
CN211919200U (zh) 一种多级调温的热压机
KR102284156B1 (ko) 포장설비용 커팅장치
CN115339683B (zh) 一种月饼包装生产设备及应用该设备的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