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463B1 -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463B1
KR101587463B1 KR1020150077978A KR20150077978A KR101587463B1 KR 101587463 B1 KR101587463 B1 KR 101587463B1 KR 1020150077978 A KR1020150077978 A KR 1020150077978A KR 20150077978 A KR20150077978 A KR 20150077978A KR 101587463 B1 KR101587463 B1 KR 101587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vacuum
drum
vacuum drum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욱
홍영호
강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농
Priority to KR102015007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진공을 이용하여 원료를 일정한 두께로 조절하여 정렬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부직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료의 일정한 두께로의 배치를 가능하게하면서 동시에 원료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ALIGNMENT APPARATUS OF NONWOVEN FABRIC MATERIALS}
본 발명은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진공을 이용하여 원료를 일정한 두께로 조절하여 정렬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직포란, 넓은 뜻으로는 기계 조작에 의하거나 열접착 혹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섬유를 접착시키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을 의미하며, 좁은 뜻으로는 랜덤에 겹친 웨브로 하고, 섬유끼리의 접점을 수지로 접착해서 심지 등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부직포는 건식부직포(乾式不織布), 습식부직포(Wet Ray), 니들펀칭부직포(Needle Punching), 스판레스(수류결합법-Water Zet), 스판본드(Span Bond), 멜트블로운(Melt Blown), 스테치 본드(Stitch Bond)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식부직포는 다시 케미컬 본딩 부직포(Chemical Bonding), 써멀 본딩 부직포(Thermal Bonding), 에어레이 부직포(Air Ray)의 3종류로 구분된다.
이러한 부직포를 기계적으로 만드는 과정은 원료로서 이용되는 우모, 카폭 등과 같은 부피가 작고 가벼운 소재를 고른 두께로 정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정렬 과정 속에서 부직포의 두께 조절을 일정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호퍼 피드(hopper feed)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들이 자유 낙하하면서 정렬 원료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서 이송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 정렬 장치의 모습의 간략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호퍼 피드(11)를 통해 카폭, 우모 등과 같은 원료 물질이 자유 낙하를 하게 되고 이러한 자유 낙하한 원료는 컨베이어(13)에 낙하되어 컨베이어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컨베이어 상에 낙하된 원료(15)는 고르게 일정한 두께로 낙하되어야 추후 부직포의 제작 과정에서 원료의 낭비 없이 그리고 고른 두께의 부직포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장치의 이용시 카폭이나 우모 등과 같은 원료 물질은 부피가 매우 작고 가벼운 것들이므로 그 두께의 조절이 쉽지 아니하며 또한 낙하와 동시에 뭉침의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부직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료의 일정한 두께로의 배치를 가능하게하면서 동시에 원료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는, 부직포 원료 투입 공간 및 부직포 원료 배출 공간이 상하로 나뉜 본체; 일부는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나머지는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을 나누는 면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회전 가능한 원료 분리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드럼은 회전하지 아니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외주면에 배치된 회전하는 외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진공 드럼은 그 원주를 따라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에서는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진공 유지부와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에서는 진공을 유지하고 있지 아니하는 진공 파기부로 나뉘고,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부 상에는 복수개의 개구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직포 원료의 투입시 진공 드럼의 진공 유지부 상의 원주에서는 원료가 흡착되어 회전되며 진공 파기부의 원주에서는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회전 및 진공 파기에 의해 상기 진공 드럼 상의 원료가 분리되어 배출된다.
상기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에는 각각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정한 길이의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와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는 서로 인터디지테이티드하게(interdigitated)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원료 배출 공간의 상기 진공 드럼 하부에 배치된 컨베이어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는, 부직포 원료 투입 공간 및 부직포 원료 배출 공간이 좌우로 나뉜 본체; 일부는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나머지는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을 나누는 면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된 회전 가능한 원료 분리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드럼은 회전하지 아니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외주면에 배치된 회전하는 외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진공 드럼은 그 원주를 따라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 및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의 수평 부분 위의 절반부에서는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진공 유지부와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의 수평 부분 아래의 절반부에서는 진공을 유지하고 있지 아니하는 진공 파기부로 나뉘고,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부 상에는 복수개의 개구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직포 원료의 투입시 진공 드럼의 진공 유지부 상의 원주에서는 원료가 흡착되어 회전되며 진공 파기부의 원주에서는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회전 및 진공 파기에 의해 상기 진공 드럼 상의 원료가 분리되어 배출된다.
상기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에는 각각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정한 길이의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와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는 서로 인터디지테이티드하게(interdigitated)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료 배출 공간의 상기 진공 드럼 하부에 배치된 컨베이어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를 이용하면, 부직포를 만들기 위한 원료의 정렬 과정에서 원료 물질을 고르게 일정한 두께로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에 의해 부직포 원료의 뭉침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의 진공 드럼 및 원료 분리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의 진공 드럼의 표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의 진공 드럼 및 원료 분리 드럼의 작동 모습의 평면 확대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종래 기술의 경우 호퍼 피드(11)를 통해 카폭, 우모 등과 같은 원료 물질이 자유 낙하를 하게 되고 이러한 자유 낙하한 원료는 컨베이어(13)에 낙하되어 컨베이어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실제로 이러한 장치의 이용시 카폭이나 우모 등과 같은 원료 물질은 부피가 매우 작고 가벼운 것들이므로 그 두께의 조절이 쉽지 아니하며 또한 낙하와 동시에 뭉침의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직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료의 일정한 두께로의 배치를 가능하게하면서 동시에 원료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는, 부직포 원료 투입 공간 및 부직포 원료 배출 공간이 좌우로 나뉜 본체(10); 일부는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나머지는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을 나누는 면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진공 드럼(20); 및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된 회전 가능한 원료 분리 드럼(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좌우로 원료 투입 공간 및 부직포 원료 배출 공간이 나뉘어 있으며, 그 방향은 바뀌어도 무관하다. 본체의 원료 투입 공간으로 우모, 카폭 등과 같은 원료들이 주입되고 진공 드럼(20)을 통과하여 원료 배출 공간으로 배출된다.
진공 드럼(20)은 원료 투입 공간 및 원료 배출 공간에 각각 일부가 위치하도록 도 2와 같이 배치되며, 원료 투입 공간 및 배출 공간을 나누는 면에 대해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도 2는 단면도이기 때문에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진공 드럼(20)은 회전하지 아니하는 내부 공간(24) 및 회전 가능한 외면부(22)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공간은 진공을 유지하는 진공 유지부(A) 및 진공 파기부(B)로 나뉜다. 도 2에서 외면부(22)는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으나, 그 회전 방향은 다를 수도 있다.
진공 드럼에서 회전 가능하지 아니하는 내부 공간(24) 중 진공 유지부(A)는 진공을 유지하며, 이러한 진공 유지부에 의해 외면부(22) 상에 원료 물질이 떨어질때 잘 흡착이 되게 한다. 한편, 진공 유지부에 의해 외면부(22) 상에 잘 흡착된 원료 물질은 원료 배출 공간으로 배출이 되어야 하므로, 진공을 파기하는 진공 파기부(B)에 회전에 의해 도달하면 진공이 사라지면서 원료 물질은 원료 배출 공간으로 배출된다.
도 2와 같이 본체의 원료 투입 공간 및 원료 배출 공간이 좌우로 나뉜 실시예에서는, 진공 유지부(A)는 원료 투입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 및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의 수평 부분 위의 절반부까지 배치된다. 그리고 나머지 공간은 진공 파기부(B)가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의 수평 부분 아래의 절반부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원료가 원료 투입 공간으로 투입되어 진공 드럼에 흡착된 후 회전하여 진공 파기부에 도달할 경우 원료는 배출되게 된다.
한편, 진공 드럼의 외면부(22) 상에는 복수개의 개구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도 4에서 자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서는 개구 형태만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돌출부들(42) 뿐만 아니라 개구들(45)이 진공 드럼의 회전하는 외면부(22)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원료들이 진공 드럼의 외면부 상에 부착 가능하게 된다.
원료 분리 드럼(30)은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진공 드럼(2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원료 분리 드럼(30)은 진공 드럼(2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원료 분리 드럼(30)은 회전 가능하며, 그 회전 방향은 진공 드럼(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도 2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진공 드럼의 외부면 상에 붙어 있는 원료들을 손쉽게 떼내어 아래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공 드럼에 부착된 원료들이 진공 파기 효과 뿐만 아니라 원료 분리 드럼의 회전에 의해 추가적으로 진공 드럼으로부터 이탈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진공 드럼(20) 및 원료 분리 드럼(30)의 외면에는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각각 그 외면에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정한 길이의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진공 드럼(20)의 외부면의 돌출부(42) 및 원료 분리 드럼(30)의 외부면의 돌출부(32)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원료가 진공 드럼의 외부에 부착될 때 이러한 진공 드럼 외부의 돌출부(42) 사이 사이에 부착되고(도 5에서 검은색 빗금의 동그라미로 표시됨), 이러한 원료는 진공 파기에 의해서 그리고 추가적으로 원료 분리 드럼의 외부의 돌출부(32)에 의해서 진공 드럼으로부터 이탈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원료 분리 드럼의 외부의 돌출부에 의해 진공 드럼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진공 드럼의 외부의 돌출부(42)와 원료 분리 드럼의 외부의 돌출부(32)는 서로 인터디지테이티드하게(interdigitated)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진공 드럼의 외부의 돌출부(42)와 원료 분리 드럼의 외부의 돌출부(32)는 인터디지테이티드하게 맞물리도록 배치되므로 진공 드럼과 원료 분리 드럼의 이격 거리는 돌출부(32, 42)의 길이 이상 그리고 돌출부의 길이의 2배 길이 미만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32, 42)의 길이가 서로 같은 경우에 해당하며, 돌출부(32, 42)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면 짧은 돌출부의 길이 이상 그리고 긴 돌출부와 짧은 돌출부의 길이를 더한 길이 미만으로 이격거리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료 배출 공간의 상기 진공 드럼 하부에 배치된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베이어 상에 원료들은 상기 설명한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쌓이게 된다.
또한, 일정한 두께로 쌓이는 것 이외에 진공 드럼 및 원료 분리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그 두께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진공 드럼 및 원료 분리 드럼에 부착된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출되는 원료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부직포의 두께 역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정리하면, 부직포 원료의 투입시 진공 드럼의 진공 유지부 상의 원주부에서는 원료가 흡착되어 회전되며 진공 파기부의 원주부에서는 원료 분리 드럼의 회전 및 진공 파기에 의해 진공 드럼 상의 원료가 분리되어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2의 실시예의 차이점은, 본체의 원료 투입 공간 및 원료 배출 공간이 나뉘는 방식이 도 2의 경우는 좌우이지만, 도 6의 경우에는 상하인 점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며,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는, 부직포 원료 투입 공간 및 부직포 원료 배출 공간이 상하로 나뉜 본체; 일부는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나머지는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을 나누는 면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회전 가능한 원료 분리 드럼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상하로 원료 투입 공간 및 원료 배출 공간이 나뉘어져 있다.
진공 드럼은 회전하지 아니하는 내부 공간 및 내부 공간의 외주면에 배치된 회전하는 외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원주를 따라 진공 드럼이 원료 투입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에서는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진공 유지부와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에서는 진공을 유지하고 있지 아니하는 진공 파기부로 나뉜다.
이상에서 정리한 것처럼,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본체가 좌우가 아닌 상하로 나뉘며, 그에 따라 진공 드럼에서 내부의 진공 유지부 및 진공 파기부의 영역이 상이하게 배치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부직포 원료 투입 공간 및 부직포 원료 배출 공간이 상하로 나뉜 본체;
    일부는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나머지는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을 나누는 면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회전 가능한 원료 분리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드럼은 회전하지 아니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외주면에 배치된 회전하는 외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진공 드럼은 그 원주를 따라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에서는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진공 유지부와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에서는 진공을 유지하고 있지 아니하는 진공 파기부로 나뉘고,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부 상에는 복수개의 개구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직포 원료의 투입시 진공 드럼의 진공 유지부 상의 원주에서는 원료가 흡착되어 회전되며 진공 파기부의 원주에서는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회전 및 진공 파기에 의해 상기 진공 드럼 상의 원료가 분리되어 배출되고,
    상기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에는 각각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정한 길이의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와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는 서로 인터디지테이티드하게(interdigitated)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배출 공간의 상기 진공 드럼 하부에 배치된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5. 부직포 원료 투입 공간 및 부직포 원료 배출 공간이 좌우로 나뉜 본체;
    일부는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나머지는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을 나누는 면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된 회전 가능한 원료 분리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드럼은 회전하지 아니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외주면에 배치된 회전하는 외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진공 드럼은 그 원주를 따라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투입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 및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의 수평 부분 위의 절반부에서는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진공 유지부와 상기 진공 드럼이 상기 원료 배출 공간에 배치된 원주 부분의 수평 부분 아래의 절반부에서는 진공을 유지하고 있지 아니하는 진공 파기부로 나뉘고,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부 상에는 복수개의 개구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직포 원료의 투입시 진공 드럼의 진공 유지부 상의 원주에서는 원료가 흡착되어 회전되며 진공 파기부의 원주에서는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회전 및 진공 파기에 의해 상기 진공 드럼 상의 원료가 분리되어 배출되고,
    상기 진공 드럼 및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에는 각각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정한 길이의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와 상기 원료 분리 드럼의 외면 상의 돌출부는 서로 인터디지테이티드하게(interdigitated)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배출 공간의 상기 진공 드럼 하부에 배치된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KR1020150077978A 2015-06-02 2015-06-02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KR10158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78A KR101587463B1 (ko) 2015-06-02 2015-06-02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78A KR101587463B1 (ko) 2015-06-02 2015-06-02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463B1 true KR101587463B1 (ko) 2016-02-02

Family

ID=5535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78A KR101587463B1 (ko) 2015-06-02 2015-06-02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4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064B2 (ja) * 2002-07-30 2011-01-12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気形成繊維性ウエブの形成のための装置及び型
JP5049743B2 (ja) 2007-11-0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堆積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064B2 (ja) * 2002-07-30 2011-01-12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気形成繊維性ウエブの形成のための装置及び型
JP5049743B2 (ja) 2007-11-0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堆積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62818B (zh) 薄片制造装置以及解纤部
US23136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ers
JP2015059287A5 (ko)
CN103993391B (zh) 一种新型开棉机
TW201525236A (zh) 片材製造裝置
KR101587463B1 (ko)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
JP2013103789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US11891722B2 (en) Screw feeder and fiber structure manufacturing apparatus
TW201024486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ing body
KR101565412B1 (ko) 복수의 부직포 원료의 정렬 장치에 의해 부직포의 층수 및 두께의 제어가 가능한 부직포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만들어진 부직포
CN206232876U (zh) 一种羊绒分梳去杂装置
CN203904529U (zh) 一种新型开棉机
CN106381579A (zh) 一种开棉机
CN106440735A (zh) 一种茶叶烘干机
KR101823995B1 (ko) 나노섬유 방사장치
JP2019065407A (ja) シート製造装置
JP7275609B2 (ja) 分離装置および繊維体堆積装置
US10098791B2 (en) Crusher, absorber-manufacturing device, and pulp sheet-crushing method
JP6340881B2 (ja) シート製造装置
US11834782B2 (en)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3083009A (ja) 炭素繊維マッ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9551097B2 (en) Device for producing absorbent body
US11814762B2 (en) Fiber structure manufacturing apparatus, fiber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fiber structure
CN205602456U (zh) 石膏粉下料斗的震动装置
US2385781A (en) Distribut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