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926B1 -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926B1
KR101586926B1 KR1020140094914A KR20140094914A KR101586926B1 KR 101586926 B1 KR101586926 B1 KR 101586926B1 KR 1020140094914 A KR1020140094914 A KR 1020140094914A KR 20140094914 A KR20140094914 A KR 20140094914A KR 101586926 B1 KR101586926 B1 KR 10158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width
receiving
signa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훈
Original Assignee
송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훈 filed Critical 송정훈
Priority to KR102014009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하리프트와 덤프 기능이 구비된 통상의 동력운반차에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적재함의 폭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버튼에 의해 간단하게 조절 가능하고,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10)와, 작업자가 소지 하되 상기 감지센서(710)로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제어기(720)와, 상기 감지센서(71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730)로 구성되는 감지모듈(700)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작업자가 소지한 수신제어기(720)와의 도달거리를 설정하여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후방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운행 또는 정지하도록 하여 여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종래에 덤프와 리프트 기능만을 수행한 동력운반차를 동력운반차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작업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더불어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변화시켜 구성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Equipped with sensing controls of the power module and the truck width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적재함에 적재하는 화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함의 폭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화물을 적재할 시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작업자와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작업자의 후방에서 자동적으로 동력운반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동력운반차는 농가에서 화물 또는 기타 짐들을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동식과 자동식 운반기로 나뉘어져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운반기를 보면 대체적으로 운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들로 하여금 불편한 점들이 많았었다.
이러한 불편한 점들로 인해 근래에는 단순한 운반기능에서 벗어나 운반한 짐에 따라 용이하게 다른 곳으로 적재할 시 편리성을 부여 또는 모래, 흙과 같은 것을 쉽게 부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기들이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426464(특) 농작업자 자동 추종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각기 상기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농작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센서; 상기 차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부착되어 그 차체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농작물을 각기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의 감지결과를 통해 농작업자의 위치 및 농작물간의 거리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되는 판별결과를 각기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한 농작업자의 위치에 관한 판별결과 및 농작물간의 거리에 관한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차체의 구동 동작 및 조향동작을 각기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드라이버 및 조향장치 제어드라이버; 상기 구동장치 제어드라이버 및 조향장치 제어드라이버의 제어에 따라 각기 차체의 구동동작 및 조향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장치 및 조향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조향장치 제어드라이버의 제어에 따라 조향동작을 수행하는 조향모터와; 상기 조향모터의 조향동작에 따라 가변되는 조향각의 해당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엔코더; 상기 조향모터의 조향동작에 따라 발생된 동력을 조향휠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기어 및 상기 조향휠의 회전방향과 상기 조향모터의 회전방향을 동기화시키는 조향축으로 이루어진다.
등록번호 10-1327367(특) 하측 중앙부에 축 회전되게 실린더가 구비되며, 양측에는 기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이 구비되는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측과 하측이 내향지게 절곡되고, 후방 상측에는 공간부를 갖는 하부레일; 양측으로 이격된 한쌍의 바로 이루어진 제1리프트바 및 제2리프트바가 “X”자 형태로 링크되도록 제1리프트바와 제2리프트바의 중앙에 링크절을 형성하되, 상기 제1리프트바는 하부레일의 양측 전방에 일측이 축 회전되게 각각 구비되고, 타측에 미끄럼운동되도록 상부베어링이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실린더의 로드가 축 회전되게 연결되고, 제2리프트바는 하부레일의 양측 후방에 미끄럼운동되도록 외측에 하부베어링이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하부베어링 사이에는 축이 연결되는 리프트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방에 하부레일과 평행하게 지지봉케이스의 하부가 안착 구비되며, 관통된 지지봉케이스 내부에 이격되어 축 이동가능한 지지봉이 구비되고, 지지봉 일측으로 하부레일과 평행하게 지지봉케이스에 장공부가 형성되며, 지지봉 일측에는 연장형성되어 장공부를 지나는 지지봉손잡이로 구성되는 지지부; 상기 리프트부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측과 하측이 내향지게 절곡되고, 제2리프트바가 양측전방에 각각 축 회전되게 구비되며, 제1리프트바의 상부베어링이 절곡된 양측 후방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의 상부에 구비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며, 차동기어유니트에 구동모터가 직설되고, 양단에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하여 구동되는 전륜바퀴가 선회되도록 구성되는 전륜구동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며, 차동기어유니트에 구동모터가 직설되어 후륜바퀴를 구동하고, 차동기어유니트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제동피니언축 단부에 제동장치가 구비되는 후륜구동부; 상기 후륜구동부와 인접하는 차체프레임 상에 선회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바를 통하여 전륜바퀴와 링크결합되며, 전후진 및 정지, 속도제어를 위한 제어판과 조향핸들이 구비되는 조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을 보면, 운반차가 농작업자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구동방법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가 다수개로 구성되다 보니 오히려 농작업자를 감지함에 있어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인해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상하로 리프트와 일측방향으로 덤프 기능이 구비되어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킴에 있어 편리성을 부여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 이외에 보다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적재되는 화물의 형태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리프트와 덤프기능이 구비된 통상의 동력운반차에 적재되는 화물의 형태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재함의 폭과 길이를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력운반차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의 외부 또는 내부 일측에 구성되는 감지센서와 작업자가 소지 하되 상기 감지센서로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제어기와,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감지모듈을 구성하여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배터리 또는 엔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부(110)와, 상측 중앙부에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130)와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와 실린더(13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에 X자 형태가 되도록 중앙부에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리프트바가 구성되되, 상기 제1리프트바의 일측은 하부레일(400)의 일측 끝부에 각각 축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실린더(130)의 로드가 축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리프트바의 일측은 상기 하부레일(400)을 타며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과 상기 리프트부(200)의 상부 양측에 내향지게 구성되는 상, 하부레일(300, 400)과,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상기 하부레일(400)과 평행하되 관통되며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지지봉케이스와 상기 지지봉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지지부(500)와, 상기 상부레일(400)의 상부에 구성되는 적재함(600)으로 구성되는 동력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600)의 하부 내측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고정관(710)과, 상기 고정관(710)의 내부에 양측에 각각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밀림하는 각각의 실린더(720)와, 일측이 상기 고정관(710)에 각각 끼워지되 상기 실린더(720)의 로드와 연결되는 유동부재(730)로 구성되는 폭조절부(700)와, 상기 제어부의 외부 또는 내부 일측에 구성되는 감지센서(810)와, 작업자가 소지 하되 상기 감지센서(810)로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제어기(820)와,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상기 감지센서(81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부(830)로 구성되는 감지모듈(8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동력운반차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적재하는 화물의 형태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적재함의 폭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동력운반차를 사용함에 있어서 동력운반차에 구성된 감지센서와 작업자가 소지하는 수신감지기를 통해 작업자의 후방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들로 하여금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폭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폭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폭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길이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길이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폭조절부와 길이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감지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적재함(600)에 적재하는 화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함의 폭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화물을 적재할 시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작업자와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작업자이 후방에서 자동적으로 동력운반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또는 엔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 구동부(110)와 상측 중앙부에 유압공급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실린더(130)와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부(110)와 실린더(130) 및 하기될 기타 구성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는 본체부(10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인 구성들이 안착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제어부(150)의 조작으로 각각의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에 X자 형태가 되도록 중앙부에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리프트바가 구성되되, 상기 제1리프트바의 일측은 하부레일(400)의 일측 끝부에 각각 축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실린더(130)의 로드가 축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리프트바의 일측은 상기 하부레일(400)을 타며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부(200)가 구성된다.
즉, 상기 리프트부(200)의 구성으로 적재함(600)에 적재된 화물을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부(2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과 상기 리프트부(200)의 상부 양측에 내향지게 구성되는 상, 하부레일(300, 400)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상기 하부레일(400)과 평행하되 관통되며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지지봉케이스와 상기 지지봉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지지부가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의 경우 리프트부(200)의 리프트 기능 이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한 구성이고, 통상의 구성임으로써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상부레일(400)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600)이 구성되는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600)의 하부 내측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고정관(710)과, 상기 고정관(710)의 내부에 양측에 각각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밀림하는 각각의 실린더(720)와, 일측이 상기 고정관(710)에 각각 끼워지되 상기 실린더(720)의 로드와 연결되는 유동부재(730)로 구성되는 폭조절부(700)가 구성된다.
상기 폭조절부(700)는 제어부(150)를 제어하게 되면 유압공급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실린더(720)의 작동에 의해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폭조절부(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구성된 유압실린더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각각의 실린더(720)의 작동으로 상기 각각의 실린더(720)의 로드에 연결 구성되는 각각의 유동부재(730)가 유동하면서 상기 적재함(600)의 적재공간의 폭을 넓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 동력운반차는 적재 및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킴에 있어서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하리프트 기능과 덤프기능이 구비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지만, 농촌 등 농업을 함에 있어서 운반 및 적재하는 화물의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 적재함(600)의 제한된 적재공간으로 인해 적재공간에 맞는 화물만을 적재하여 운반 및 하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적재공간이 제한적이다 보니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운반을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재함(600)의 하부 양측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적재함(600)에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형태 및 크기에 전혀 상관없이 편리하게 적재시켜 운반 및 하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폭조절부(70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고정관(710), 하나의 실린더(720)로 구성되어 유동부재(730)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부(700)의 고정관(710)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관(710)이 다수개로 형성될 시 상기 실린더(720)와 상기 실린더(720)와 연결되는 유동부재(730)의 일측도 다수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부재(730)를 유동시키는 실린더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로 인해 실린더 및 유동부재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부(700)와 더불어 적재함(6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그 구성을 보면, 상기 적재함(600)의 폭조절부(700)가 구성된 타측에는, 폭 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910)과, 상기 고정관(9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실린더(920)와, 상기 고정관(910)에 일측이 끼워지되 상기 실린더(920)와 연결되며 상부로 꺾임되게 형성되는 유동부재(9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폭조절부(70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부의 경우 일측으로만 유동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900)의 고정관(910)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관(910)의 다수개로 형성될 시 상기 실린더(920)와 상기 실린더(920)와 연결되는 유동부재(930)의 일측도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부(700)와 길이조절부(900)를 동시에 구성할 수도 있는데 즉, 적재함(600)의 폭과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폭조절부(700)와 길이조절부(900)의 구성을 보면, 먼저 적재함(600)의 하부에 폭조절부(700)가 구성되고, 상기 폭조절부(700)의 하부에 길이조절부(900)가 구성되는데, 필요에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부(900)를 먼저 구성하고 폭조절부(700)를 상기 길이조절부(900)의 하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폭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동력운반차는 기존에 출시되어 오던 동력운반차의 장점과 더불어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노인들로 하여금 더욱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의 외부 또는 내부 일측에 구성되는 감지센서(810)와 작업자가 소지 하되 상기 감지센서(810)로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제어기(820)와 상기 제어부(150)의 내부에 상기 감지센서(81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150)로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부(830)로 구성되는 감지모듈(8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모듈(800)의 구성을 통해 농촌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 또는 적재함(600)에 화물을 적재 및 하차할 시에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에 하차를 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감지모듈(800)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후방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800)의 수신제어기(820)는 상기 감지센서(810)로 수신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ON-OFF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즉, 상기 수신제어기(820)는 다수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을 함에 있어서 다수의 작업자가 각각 소지를 할 경우 감지모듈(800)의 감지센서(810)가 각각의 수신제어기(820)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감지센서(810)의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동력운반차의 경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동력운반차는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감지모듈(800)의 구성을 통해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작업자의 후방을 따라다니도록 구성되어 작업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면,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810)와 작업자 같의 충동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제어부(150)를 조작하여 상기 감지센서(810)와 작업자가 소지한 수신제어기(820)와의 도달거리를 설정하는 단계(S10)를 하게 된다.
이 후에는 상기 제어부(150)에 설정된 도달거리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810)가 작업자가 소지한 수신제어기(820)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20)가 진행되고, 상기 감지센서(810)가 수신제어기(8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부(830)로 송신하고 상기 출력부(830)로 출력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또한 상기 출력부(8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제어부(150)로 수신받아 상기 구동부(110)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감지센서(810)가 감지한 수신제어기(820)를 추적하여 작동하는 단계(S40)가 수행되어 동력운반차가 구동되어 이동하되 상기 설정하는 단계(S10)에서 상기 감지센서(810)가 제어부(150)에 설정된 수신제어기(820)와의 도달거리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어부(150)가 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시키는 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20)는 기타 작업을 함에 있어서 수신제어기(820)가 다수개가 될 수가 있는데 이때 작업자가 소지한 각각의 수신제어기(820)를 검색하되 선택적으로 하나의 수신제어기(820)를 선택하여 감지하도록 설정 하여 감지센서(810)가 다수의 수신제어기(820)를 감지하여 갑작스런 출발, 작업자와의 충돌 등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운반차는 수신제어기(820)와 설정된 도달거리가 멀어질 경우 자동적으로 움직이며 도달거리에 도달할 경우 정지 하게 되는데, 이때 감지센서(810)가 한 번 감지하여 설정한 수신제어기(820)의 신호만을 추적하여 감지하여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모듈(800)에 의해 작동하는 본 발명의 동력운반차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소지한 수신제어기(820)를 감지센서(810)가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된 신호를 출력부(830)로 전송됨과 동시에 그 신호가 출력부(830)에 의해 출력되어 제어부(150)로 전송되게 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110)를 작동시키게 되고, 최초 감지센서(810)가 감지한 수신제어기(820)를 추적하여 이동하되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동력운반차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적재하는 화물의 형태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적재함(600)의 폭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동력운반차를 사용함에 있어서 동력운반차에 구성된 감지센서(810)와 작업자가 소지하는 수신감지기(820)를 통해 작업자의 후방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들로 하여금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S10 : 설정하는 단계 S20 : 감지하는 단계 S30 : 출력하는 단계
S40 : 작동시키는 단계 S50 : 정지하는 단계
100 : 본체부 110 : 구동부 130 : 실린더 150 : 제어부
200 : 리프트부 300 : 상부레일 400 : 하부레일 500 : 지지부
600 : 적재함
700 : 폭조절부 710 : 고정관 720 : 실린더 730 : 유동부재
800 : 감지모듈 810 : 감지센서 820 : 수신제어부 830 : 출력부
900 : 길이조절부 910 : 고정관 920 : 실린더 930 : 유동부재
g : 지면

Claims (8)

  1. 배터리 또는 엔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부(110)와, 상측 중앙부에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130)와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와 실린더(13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에 X자 형태가 되도록 중앙부에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리프트바가 구성되되, 상기 제1리프트바의 일측은 하부레일(400)의 일측 끝부에 각각 축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실린더(130)의 로드가 축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리프트바의 일측은 상기 하부레일(400)을 타며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과 상기 리프트부(200)의 상부 양측에 내향지게 구성되는 상, 하부레일(300, 400)과,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상기 하부레일(400)과 평행하되 관통되며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지지봉케이스와 상기 지지봉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지지부(500)와, 상기 상부레일(400)의 상부에 구성되는 적재함(600)으로 구성되는 동력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600)의 하부 내측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고정관(710)과, 상기 고정관(710)의 내부에 양측에 각각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밀림하는 각각의 실린더(720)와, 일측이 상기 고정관(710)에 각각 끼워지되 상기 실린더(720)의 로드와 연결되는 유동부재(730)로 구성되는 폭조절부(700);
    상기 제어부의 외부 또는 내부 일측에 구성되는 감지센서(810)와, 작업자가 소지 하되 상기 감지센서(810)로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제어기(820)와,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상기 감지센서(81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부(830)로 구성되는 감지모듈(800)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적재함(600)의 폭조절부(700)가 구성된 타측에는, 폭 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910)과, 상기 고정관(9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실린더(920)와, 상기 고정관(910)에 일측이 끼워지되 상기 실린더(920)와 연결되며 상부로 꺾임되게 형성되는 유동부재(930)로 구성되는 길이조절부(9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800)의 수신제어기(820)는 상기 감지센서(810)로 수신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ON-OFF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700)의 고정관(710)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관(710)이 다수개로 형성될 시 상기 실린더(720)와 실린더(720)와 연결되는 유동부재(730)의 일측도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900)의 고정관(910)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관(910)이 다수개로 형성될 시 상기 실린더(920)와 실린더(920)와 연결되는 유동부재(930)의 일측도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6. 제 1항의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를 이용하되,
    상기 감지센서(810)와 작업자가 소지한 수신제어기(820)와의 도달거리를 설정하는 단계(S10);
    설정된 도달거리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810)가 수신제어기(820)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감지센서(810)가 수신제어기(8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부로 송신하고 상기 출력부(830)로 출력하는 단계(S30);
    상기 출력부(8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제어부로 수신받아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S40);
    동력운반차가 구동 시 상기 감지센서(810)가 제어부에 설정된 수신제어기(820)와의 도달거리에 도달하면 정지하는 단계(S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의 구동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20)는 작업자들이 소지한 다수의 수신제어기(820)를 검색하되 선택적으로 하나의 수신제어기(820)를 선택하여 감지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의 구동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운반차는 수신제어기(820)와 설정된 도달거리가 멀어질 경우 자동적으로 움직이며 도달거리에 도달할 경우 정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의 구동방법.
KR1020140094914A 2014-07-25 2014-07-25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 KR10158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14A KR101586926B1 (ko) 2014-07-25 2014-07-25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14A KR101586926B1 (ko) 2014-07-25 2014-07-25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926B1 true KR101586926B1 (ko) 2016-01-20

Family

ID=5530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14A KR101586926B1 (ko) 2014-07-25 2014-07-25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9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776B1 (ko) 2016-06-10 2017-12-20 주동혁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
KR101867323B1 (ko) 2016-12-06 2018-06-14 오병호 농업용 자주식 운반 작업차
KR20230073571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성부 작업기 연결용 전동 플랫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529B1 (ko) * 2004-07-26 2005-01-13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모터카
JP4037341B2 (ja) * 2003-08-27 2008-01-23 株式会社前川製作所 農作業補助ロボット及び農作業支援システム
KR101327367B1 (ko) * 2012-06-15 2013-11-11 근우테크 주식회사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7341B2 (ja) * 2003-08-27 2008-01-23 株式会社前川製作所 農作業補助ロボット及び農作業支援システム
KR100465529B1 (ko) * 2004-07-26 2005-01-13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모터카
KR101327367B1 (ko) * 2012-06-15 2013-11-11 근우테크 주식회사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776B1 (ko) 2016-06-10 2017-12-20 주동혁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
KR101867323B1 (ko) 2016-12-06 2018-06-14 오병호 농업용 자주식 운반 작업차
KR20230073571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성부 작업기 연결용 전동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4851B2 (en) Work vehicle
US11556132B2 (en) Work vehicle
CN103392157B (zh) 用于材料搬运车辆的物体跟踪方法及车辆转向校正策略
KR102443415B1 (ko) 작업차
WO2021006321A1 (ja) 自動走行システム
JP6781055B2 (ja) 作業車
JP6837902B2 (ja) 作業車
KR101586926B1 (ko) 감지모듈과 폭조절부가 구비된 동력운반차 및 그 구동방법
JP2019174347A (ja) 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2018114927A (ja) 作業車
US886230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ravelling carriers
WO2019187884A1 (ja) 作業車両の自動走行装置
JP6837903B2 (ja) 作業車
JP6785671B2 (ja) 作業車
WO2019155745A1 (ja) 作業車両
JP2019170228A (ja) 作業車両の自動走行装置
JP6685868B2 (ja) 自律走行システム
JP2019175059A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システム
US20220001942A1 (en) Traveling Vehicle
KR20150081850A (ko) 승용 관리기
WO2019187938A1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システム
JP2018000005A (ja) 農作業車のリモート操縦装置
JP2019175050A (ja) 協調作業システム
JP7168705B2 (ja) 作業車
JP7475295B2 (ja) 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