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14B1 - 피라졸 화합물 - Google Patents

피라졸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14B1
KR101586714B1 KR1020137013334A KR20137013334A KR101586714B1 KR 101586714 B1 KR101586714 B1 KR 101586714B1 KR 1020137013334 A KR1020137013334 A KR 1020137013334A KR 20137013334 A KR20137013334 A KR 20137013334A KR 101586714 B1 KR101586714 B1 KR 10158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heteroatom selected
ring heteroatom
hetero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341A (ko
Inventor
칵-셴 샤이아
춘-핑 창
유-솅 차오
Original Assignee
내셔날 헬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셔날 헬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내셔날 헬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13009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8Bridg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8Bridg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초의 카나비노이드 1 수용체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화학식 (I)의 피라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화합물의 사용과 관련된 약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라졸 화합물{Pyrazole Compounds}
[관련된 출원서의 상호참조]
본 출원서는 2011년 9월 30일자에 제출된 미국출원서 제61/541,182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미국출원서의 전체 내용이 본 발명에 참조로 인용되었다.
센트럴 카나비노이드 1(Central cannabinoid 1, CB1) 수용체는 뇌에서 발현한다. 센트럴 카나비노이드 1은 신경현상 및 정신현상에 영향을 끼친다(참조, 예, Goutopoulos 등, Pharmacol. Ther., 95, 103-7, 2002년; 및 Shia 등, 미국특허 제7,834,046호). 센트럴 CB1 수용체 길항제인 리모나반트(Rimonabant)는 비만 치료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리모나반트(Rimonabant)는 정신 의학적인 부작용을 보인다(참조, 예, Wu 등, Curr. Top. Med. Chem., 11, 1421-29, 2011년).
CB1 수용체는 일부 말초 세포조직(예, 간, 지방조직, 및 부신)에서도 발현된다(참조, Marzo 등, Nat. Rev. Endocrinol., 5, 633-638, 2009년). 말초의(pheripheral) CB1 수용체 길항제는 비만, 과체중, 비-알콜성 지방간 질병, 제2 형 당뇨병, 신장병, 신장 섬유증, 골다공증, 및 골관절염과 같은 많은 질병의 치료 가능성을 가진 약제이다(참조, 예, Bioorg. Med. Chem. Lett., 19, 639-643, 2009년; J. Clin. Invest., 120, 2953-2966, 2010년; Bioorg. Med. Chem. Lett., 20, 4573-4577, 2010년; 및 Diabetes, 59, 1046-1054, 2010년). 리모나반트에서 관찰되는 원치 않는 부작용을 보이지 않는 약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참조, 예, Wu 등, Curr. Top. Med. Chem., 11, 1421-29, 2011년).
안전하고 효능이 있는 후보 약제물질이 합성되거나 합성되지 않은 말초성 CB1 수용체 길항제로부터 동정되어야 한다.
[요약]
본 발명은 특정 피라졸 화합물이 말초의 CB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
하나의 구체예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 피라졸 화합물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1
(I)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수소, C1-C10 알킬(alkyl), C2-C10 알케닐(alkenyl), C2-C10 알키닐(alkynyl) C3-C20 시크로알킬(cycloalkyl), C3-C20 시크로알케닐(cycloalkenyl),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heterocycloalkyl),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heterocycloalkenyl), 아릴(aryl), 또는 헤테로아릴(heteroaryl)이고; R2 R3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3, 및 R2와 R3이 연결된 질소 원자와 함께 있는 R2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각각의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C(O)Ra, C(O)또는a, C(O)NRaRb, C(S)NRaRb, C(=NH)NRaRb, C(=N-CN)NRaRb, C(=N-NO2)NRaRb, S(O)Ra, S(O2)Ra, S(O)NRaRb, 또는 S(O2)NRaRb이거나; 또는 R5, 및 R4와 R5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4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b,및 Ra와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그리고 X는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2
또는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3
이고, 여기에서 R6는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7은 수소, 할로(halo), 트리플루오로메틸(trifluro메틸), C1-C10 알킬, C1-C10 알콕시(alkoxy), 니트로(nitro), 시아노(cyano), 아미노(amino), 또는 수산기(hydroxyl)이고; 그리고 m은 0, 1, 2, 3, 4, 또는 5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화합물의 하나의 부분집합은 피라졸 화합물이고, 여기에서, X는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4
이다. 이러한 화합물에서, R1은 할로로 치환된 아릴(예, 2,4-디클로로페닐(di클로로페닐)이고; 각각의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피페리디닐(피페리딘yl)이고; 각각의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S(O2)NRaRb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Ra 및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b , 및 Ra와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6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화합물의 또 다른 부분집합은 피라졸 화합물이고, 여기에서 X는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5
이다. 이러한 화합물에서, R1은 할로로 치환된 아릴(예, 2,4-디클로로페닐)이고; 각각의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각각의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S(O2)NRaRb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b, 및 Ra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7은 수소, 할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그리고 m은 1이다.
용어 "알킬"은 -CH3 또는 -CH(CH3)2와 같은 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branched) 탄화수소 모이에티(moiety)를 언급한다. 용어 "알케닐"은 -CH=CH-CH3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용어 "알키닐"은 -C≡C-CH3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3중 결합을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 용어 "알콕시"는 -O-알킬을 언급한다. 알콕시의 예는 메톡시(methoxy), 에톡시(ethoxy), n-프로폭시(n-propoxy), 이소프로폭시(isopropoxy), n-부톡시(n-butoxy), 이소-부톡시(iso-butoxy), 섹-부톡시(sec-butoxy), 및 터트-부톡시(터트-butoxy)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헥실(cyclohexyl)과 같은 포화된, 고리형 탄화수소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용어 "시크로알케닐"은 시크로헥세닐(cyclohexenyl)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비-방향족, 고리형 탄화수소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용어 "헤테로시크로알킬"은 4-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4-tetrahydroparanyl)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원자(예, N, O, 또는 S)를 갖는 포화된, 고리형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용어 "헤테로시크로알케닐"은 피라닐(pyranyl)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원자(예, N, O, 또는 S) 및 적어도 하나의 고리 이중결합을 갖는 비-방향족, 고리형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용어 "아릴"은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탄화수소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아릴 모이에티의 예는 페닐(phenyl, Ph), 페닐렌(phenylene), 나프틸(naphthyl), 나프틸렌(naphthylene), 피레닐(pyrenyl), 안트릴(anthryl), 및 페난트릴(phenanthryl)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예, N, O, 또는 S)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모이에티를 언급한다. 헤테로아릴 모이에티의 예는 푸릴(furyl), 푸릴렌(furylene), 프루오레닐, 필로릴(pyrrolyl), 티에닐(thienyl), 옥사조릴(oxazolyl), 이미다조릴(이미다졸yl), 티아조릴(thiazolyl), 피리딜(pyridyl), 피리미디닐(pyrimidinyl), 쿠이나조리닐(quinazolinyl), 쿠이노릴(quinolyl), 이소쿠이노릴(isoquinolyl) 및 인도릴(indolyl)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시크로알킬, 시크로알케닐, 헤테로시크로알킬,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반대로 언급하지 않는 한 치환된 모이에티 및 치환되지 않은 모이에티를 포함한다. 시크로알킬, 시크로알케닐, 헤테로시크로알킬,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가능한 치환기는 C1-C10 알킬, C2-C10 알케닐, C2-C10 알키닐,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C1-C20 헤테로시크로알킬, C1-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C1-C10 알콕시, 아릴, 아릴옥시(aryloxy),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아미노, C1-C10 알킬아미노, C1-C20 디알킬아미노(dialkylamino), 아릴아미노, 디아릴아미노(diarylamino), C1-C10 알킬술폰아미노(alkylsulfonamino), 아릴술폰아미노(arylsulfonamino), C1-C10 알킬이미노(alkylimino), 아릴이미노(arylimino), C1-C10 알킬술폰이미노(alkylsulfonimino), 아릴술폰이미노(arylsulfonimino), 하이드록실, 할로, 티오(thio), C1-C10 알킬티오(alkylthio), 아릴티오(arylthio), C1-C10 알킬술포닐(alkylsulfonyl), 아릴술포닐(arylsulfonyl), 아실아미노(acylamino), 아미노아실(aminoacyl), 아미노티오아실(aminothioacyl), 아미도(amido), 아미디노(amidino), 구아니딘(guanidine), 우레이도(ureido), 티오우레이도(thioureido), 시아노, 니트로, 니트로소(nitroso), 아지도(azido), 아실(acyl), 티오아실(thioacyl), 아실옥시(acyloxy), 카르복실(carboxyl), 및 카르복실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의 가능한 치환기는 C1-C10 알킬을 제외하고 상기에서 언급된 모든 치환기를 포함한다. 시크로알킬, 시크로알케닐, 헤테로시크로알킬,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서로 혼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말초의 CB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에서 나타낸 화학식(I)의 하나 이상의 피라졸 화합물을 효과가 있는 용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말초의 CB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의 예는 비만, 과체중, 제2 형 당뇨병,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비-알콜성 지방간 질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죽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뇌졸중, 고혈압, 기관지 확장증, 출혈 충격, 간 섬유증, 간경변, 신경 질병, 중독성 질병, 대사성 질병, 녹내장, 골다공증, 골관절염, 신장병, 신장 섬유증, 및 만성 염증 질병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치료효과를 주기 위하여(예, 상기에서 설명된 질병, 질병의 증상 또는 이에 대한 소인(素因)을 치료, 경감, 변화, 영향,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질병, 이러한 질병의 증상 또는 이러한 질병에 대한 소인을 갖는 피험자에게 하나 이상의 피라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언급한다.
피라졸 화합물은 화합물 자체뿐만 아니라 적용 가능하다면 이들의 염, 전구약 및 용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염은 피라졸 화합물 상의 음이온과 양전하 기(예, 아미노)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음이온은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구연산염, 메탄술폰산염(methanesulfonate),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trifluoroacetate), 아세테이트(acetate), 말산염(malate), 토실레이트(tosylate), 타르트레이트(tartrate), 푸무레이트(fumurate), 클루타메이트(glutamate), 글루쿠로네이트(glucuronate), 락테이트(lactate), 글루타레이트(glutarate), 및 말레이트(maleate)를 포함한다. 또한, 염은 피라졸 화합물 상의 양이온과 음전하 기(예, 카르복실레이트)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양이온은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및 테트라메틸암모늄(tetramethylammonium) 이온과 같은 암모늄 양이온을 포함한다. 또한, 피라졸 화합물은 4 기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전구약의 예는 에스테르 및 피험자에게 투여 시 활성이 있는 피라졸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는 기타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유도체를 포함한다. 용매는 활성이 있는 피라졸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 사이에 형성되는 복합체를 언급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용매의 예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트산 및 에탄올아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상기에서 설명된 질병 중 하나를 치료하는 용도로 상기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피라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및 이러한 치료에 대한 약제 제조를 위한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잇점은 설명과 청구범위에 의해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이 하기에 설명된다.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6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7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8
Figure 112013046031811-pct00009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0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1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2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3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4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5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6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7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8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피라졸 화합물은 당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된다. 하기의 I안에서 설명된 과정은 본 발명의 피라졸 화합물의 합성을 예시한다.
1 안
Figure 112013046031811-pct00019
구체적으로, 케톤(ketone) 기(화합물 A)를 포함하는 티오펜(thiophene) 화합물은 에스테르 기(화합물 B)를 포함하는 1,3-디오네(dione)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염의 존재하에서 옥살레이트(oxalate) 화합물(디에틸옥살레이트(diethyloxalate))과 반응할 수 있다. 1,3-디오네 화합물은 에스테르 기(화합물 C)를 포함하고 있는 피라졸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세트산을 환류하면서 분자 내의 고리형성에 의하여 히드라진(hydrazine)과 결합될 수 있다. 피라졸 화합물의 위치 선택적인 브롬화는 5-브로모 화합물(화합물 D)에 상응하는 화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실온에서 THF에서 N-브로모숙시니마이드(bromosuccinimide)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화합물은 이브롬화물(dibromide) 화합물(화합물 E)을 생산하기 위하여 브롬과 화합될 수 있고, 그런 후, 브롬화 수소 화합물(화합물 F) 얻기 위하여 아세톤/물(1:1) 내에서 은 질산염과 함께 처리된다. 이 화합물은 아미드(amide)(화합물 G)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반응조건에서(염화 알루미늄의 존재하에서) 다른 아민들과 반응할 수 있다. 그런 후, 아미드 위치의 브로모 기는 촉매로 Pd(PPh3)2Cl2 및 CuI를 사용하여 알킨(alkyne) 기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화합물(화합물 H)의 수산기는 브롬화물(화합물 I)을 형성하기 위하여 브롬화(PBr3)된다.
화합물 I은 제1 아민(화합물 J)에 상응하는 것을 얻기 위하여 Staudinger 감소(PPh3)로 후 처리되는 아지드화 나트륨(sodium azide)과 반응할 수 있고, 이러한 반응은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예, 화합물 10-85 및 143-157)을 얻기 위하여 다른 산염화물들(예, 염화술포닐(sulfonyl chloride))과 결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화합물 I은 본 발명의 기타 화합물(예, 화합물 87-113)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SN2 치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라졸 화합물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 고성능액체코로마토그래피(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재결정화와 같은 모든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피라졸 화합물들은(예, 화합물 119-142) 상기에서 설명된 합성과정 및 당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방법에 의하여 기타 적절한 출발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들은 궁극적으로 피라졸 화합물의 합성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보호기를 첨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합성단계는 원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별도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용 가능한 피라졸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유용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 및 기를 보호하는 방법은 당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의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R. 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1989년); T.W. Greene 및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2판, John Wiley 및 Sons(1991년); L. Fieser 및 M. Fieser, Fieser and Fieser and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및 Sons(1994년); 및 L. Paquette, ed.,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및 Sons (1995년) 및 이 문서의 후속판.
본 명세서에 언급된 피라졸 화합물은 비-방향족 이중결합 및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피라졸 화합물은 라세미체(racemates) 및 라세미 혼합물, 단일 광학이성질체, 각각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편좌우 이성체(diastereomeric) 혼합물, 및 시스(cis)- 또는 트랜스(trans)- 이성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형태의 이성체가 고려된다.
또한, 전술된 효과적인 용량의 적어도 하나의 피라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약에서 설명된 질병이 있는 환자에게 효과적인 용량의 하나 이상의 피라졸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효과적인 용량"은 치료환자에서 치료효과를 보는데 필요한 활성있는 피라졸 화합물의 용량을 언급한다. 효과적인 투약량은 치료되는 질병의 종류, 투약경로, 첨가제 사용 및 다른 치료제와의 병용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피라졸 화합물을 갖는 조성물은 비경구적으로, 경구로, 코로, 직장으로, 원칙적으로, 또는 볼쪽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부 내, 정맥, 근육 내, 관절 내, 동맥 내, 관절액 내, 흉골 내, 척추 강내, 장애 내(intralesional), 또는 두개 내(intracranial) 주사뿐만 아니라 모든 적절한 투여방법을 언급한다.
멸균된 주사할 수 있는 조성물은 1,3-부탄디올(butanediol)내의 용액처럼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수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내의 용액 또는 부형제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수용가능한 부형제((賦形劑) 및 용매로는 만니톨(mannitol), 물, Ringer 용액, 및 등삼투압의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게다가, 고정유가 용매 또는 부유 미디엄(medium)(예, 합성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diglyceride))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리드(glyceride)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은 올리브유 및 피마자유와 같은 천연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오일과 함께 주사제에 사용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오일 용액 또는 부형물은 긴사슬 알코올 희석제 또는 분산제, 카복시메틸(carboxymethyl) 셀룰로스, 또는 유사한 분산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고체, 액체, 또는 다른 투약 형태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Tweens 또는 Spans 또는 기타 유사한 유화제 또는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이 있는 증진제가 조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강 투여용 조성물은 캡슐, 정제, 유액 및 수성의 현탁액, 분산제, 및 용액을 포함하는 모든 경구로 수용가능한 투약 형태일 수 있다. 정제일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는 젖당 및 옥수수녹말을 포함한다. 마그네슘 스테아르(magnesium stearate)와 같은 윤활제도 일반적으로 첨가한다. 캡슐 형태를 구강으로 투여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희석제는 젖당 및 건조된 옥수수 녹말이다. 수성 현탁액 또는 유액을 경구 투여할 때, 활성성분은 유화제 또는 부유제와 함께 오일상에서 부유하거나 녹을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특정 감미료, 향신료, 또는 색소를 첨가한다.
코로 흡입하거나 코에 분무하는 조성물은 약제 조제분야에서 알려진 기술로 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조성물은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또는 기타 적절한 방부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흡수 촉진체, 탄화플루오로(fluorocarbon), 및/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타 용해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는 함염물(saline) 내에 용액으로서 조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활성있는 피라졸 화합물을 갖는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인 좌약의 형태로 투약될 수 있다.
약제 조성물 내의 담체는 조성물의 활성성분과 병용될 수 있고(및 바람직하게는 활성성문을 안정화할 수 있는) 치료되는 피험자에게 무해한 "수용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용해제가 활성 피라졸 화합물을 전달하기 위한 약제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담체의 예는 콜로이드 규소 산화물(colloidal silicon oxide), 마그네슘 스테아르, 셀룰로스, 로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및 D&C Yellow # 10를 포함한다.
전술된 피라졸 화합물은 체외(in vitro ) 분석에 의해서 전술된 질병을 치료하데 있어서 이들의 효과를 우선 확인한 후 동물실험 및 임상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의 방법도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실시예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식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별도의 시행착오 없이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모든 참조문헌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인용되었다.
[실시예]
실시예 1: 화합물 10-85 및 143-157 합성
하나의 구체예로서 화합물 10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하기에 설명된다:
Figure 112013046031811-pct00020
시약 및 조건:(a) LiHMDS, 디에틸옥살레이트, THF/Et2O, -78 ℃ 내지 실온, 20 시간, 85%;(b) 2,4-디클로로페닐히드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dichlorophenylhydrazine hydrochloride), EtOH, 실온, 22 시간;(c) AcOH, 120 ℃, 24 시간, 두 단계에 걸쳐 50%;(d) NBS, CH3CN, 0 ℃ 내지 실온, 16 시간, 95%;(e) NBS, AIBN, CCl4, 80 ℃, 16 시간;(f) AgNO3, Acetone/H2O = 1/1, 60 ℃, 16 시간, 두 단계에 걸쳐 68%;(g) AlCl3, 1-아미노피페리딘(aminopiperidine), DCE,실온, 16 시간, 97%;(h) PdCl2(PPh3)2, CuI, 1-에티닐(ethynyl)-4-(트리플루오로메틸(trifluoromethyl)) 벤젠, 2-에탄올아민, THF/H2O(1/1), 80 ℃, 12 시간, 70%;(i) PBr3, CH2Cl2, 0 ℃ 내지 실온, 2 시간;(j) NaN3, DMF,실온, 3h;(k) PPh3, THF/H2O(1/1),실온, 16 시간, 3 단계에 걸쳐 66%;(l) 피롤리딘(Pyrrolidine)-1-염화술포닐, Et3N, DMF, 0 ℃ 내지 실온, 16 시간; 87%.
에틸 3- 메틸 -2,4- 디옥소 ( dioxo )-4-티오펜( thiophen )-2-일( yl )- 부타노네이트(butanonate)의 리튬염 ( lithium salt )(화합물 2):
-78 ℃에서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40 mL)에 있는 자력으로(magnetic) 교반된 리튬 비스(bis)-(트리메틸실일(trimethylsilyl))아미드(22.2 mL, 22.20 mmol, THF에서 1.0 M THF) 용액으로 아르곤 기체상태에서 디에틸 에테르(15 mL)에 1-(2-티에닐)-1-프로파논(propanone)(2.81 g, 20.04 mmol)를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45 분간 더 교반한 후에, 디에틸옥살레이트(3.3 mL, 24.40 mmol)을 적가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데운 후 16 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 침전물을 여과하고 디에킬 에테르로 헹구고 미정제된 리튬염2(4.21 g, 85%)가 연노란색의 고체가 되도록 진공상태에서 건조하였다.
1-(2,4- 디클로로페닐 )-4- 메틸 -5-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화합물 3):
에탄올(35 mL)에 있는 리튬염 2(3.21 g, 13.04 mmol) 용액으로 질소상태, 실온에서 2,4-디클로로페닐히드라진 염화수소(3.01 g, 14.05 mmol)을 조금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탄올과 디에틸 에테르로 헹군 후, 밝은 노란색 고체(3.31 g)가 생기도록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정제하지 않고, 상기 미정제된 고체를 아세트산(30 mL)에 녹이고 24 시간 동안 환류하기 위하여 가열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30 mL)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혼합물을 물, 수성의 소듐 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및 소금물로 헹구고 ,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위에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에 의한 정제로 인하여 에스테르 3(2.49 g, 두 단계에 걸쳐 50%)은 백색 고체가 되었다: mp 121-122 ℃; 1H NMR(CDCl3) δ 7.43(d, J = 2.1 Hz, 1H), 7.39-7.34(m, 2H), 7.32(d, J = 3.6 Hz, 1H), 7.00(dd, J = 5.1, 3.6 Hz, 1H), 6.89(d, J = 5.1 Hz, 1H), 4.45(q, J = 7.2 Hz, 2H), 2.44(s, 3H), 1.42(t, J = 7.2 Hz, 3H); 13C NMR(CDCl3) δ 162.7, 142.8, 137.8, 136.3, 136.0, 133.9, 131.0, 129.6, 128.8, 128.5, 127.7, 127.6, 127.2, 119.9, 60.9, 14.4, 9.9; ESMS m/z: 381.0(M+1), 403.0(M+23).
5-(5- 브로모티오펜 -2-일)-1-(2,4- 디클로로페닐 )-4-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실산에틸 에스테르(화합물 4):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20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3(2.21 g, 5.79 mmol) 용액에 0℃, 아르곤 상태에서 NBS(1.24 g, 6.96 mmol)를 조금씩 첨가하였다. 그런 후, 상기 생성 산물을 실온에서 데우고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은 포화된 수성의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에서 이루어지고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하였다. 수층은 에틸 아세테이트(2Ⅹ4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모아서 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도니 잔류물을 만들기 위해 농축한 후에, 백색 고체인 5-브로모 에스테르 4(2.53 g, 95%)가 생기도록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로 추출하는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mp 93-94 ℃; 1H NMR(CDCl3) δ 7.46(d, J = 1.8 Hz, 1H), 7.36-7.35(m, 1H), 7.34(d, J = 1.8 Hz, 1H), 6.96(d, J = 3.9 Hz, 1H), 6.64(d, J = 3.9 Hz, 1H), 4.44(q, J = 7.2 Hz, 2H), 2.42(s, 3H), 1.42(t, J = 7.2 Hz, 3H); 13C NMR(CDCl3) δ 161.7, 142.2, 136.1, 135.8, 134.9, 133.0, 130.3, 129.5, 129.3, 128.6, 127.2, 119.5, 114.2, 114.1, 60.2, 13.8, 9.3; ESMS m/z: 460.9(M+1), 482.9(M+23).
에틸 4-( 브로모메틸 )-5-(5- 브로모티오펜 -2-일)-1-(2,4- 디클로로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5):
CCl4(22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4(2.20 g, 4.78 mmol)에 NBS(1.1 g, 6.21 mmol) 및 AIBN(0.05 g, 0.3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산물을 16 시간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에서 식힌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이브롬화물 5가 연노란색의 액체가 되도록 감소된 압력하에서 침전물의 용매를 제거하였다: 1H NMR(CDCl3) δ 7.48(d, J = 2.0 Hz, 1H), 7.38-7.32(m, 2H), 7.01(d, J = 3.6 Hz, 1H), 6.99(d, J = 3.6 Hz, 1H), 4.77(s, 2H), 4.48(q, J = 7.2 Hz, 2H), 1.43(t, J = 7.2 Hz, 3H); 13C NMR(CDCl3) δ 161.5, 142.2, 138.4, 137.1, 135.0, 133.8, 130.8, 130.5, 130.3, 130.2, 128.2, 128.0, 120.6, 116.4, 61.6, 22.4, 14.3; ESMS m/z: 538.8(M+1).
에틸 5-(5- 브로모티오펜 -2-일)-1-(2,4- 디클로로페닐 )-4-( 하이드록시메틸 )-1H-피라졸-3-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6):
실온에서 50%의 수성의 아세톤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은 질산염(3.25 g, 19.12 mmol)에 70% 수성 아세톤(50 mL)에 있는 미정제된 화합물 5의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식힌 후에, 용해되지 않은 잔류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에서 아세톤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상태에서 농축하였다. 혼합물을 CH2Cl2로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성 추출물을 물로 헹구고 ,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기 위해 여과하고 농축하였으며, 백색 고체인 하이드록시 에스테르 6(두 단계에 걸쳐 1.55 g, 68%)를 얻기 위하여 헥산/에틸 아세테이트(2:1) 로 추출하면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H NMR(CDCl3) δ7.46(dd, J = 1.2, 1.2 Hz, 1H), 7.33(d, J = 1.2 Hz, 2H), 6.96(d, J = 3.6 Hz, 1H), 6.76(d, J = 3.6 Hz, 1H), 4.71(d, J = 7.2 Hz, 2H), 4.48(q, J = 7.2 Hz, 2H), 3.76(t, J = 7.2 Hz, 1H), 1.42(t, J = 7.2 Hz, 3H); 13C NMR(CDCl3) δ 163.3, 142.9, 137.3, 136.8, 135.0, 133.7, 130.7, 130.4, 130.3, 130.1, 128.4, 127.8, 124.2, 115.8, 61.9, 54.5, 14.2; ESMS m/z: 498.9(M+23).
5-(5- 브로모티오펜 -2-일)-1-(2,4- 디클로로페닐 )-4-( 하이드록시메틸 )-N-(피페리딘( piperidin )-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 carboxamide (hydroxymethyl))(화합물 7):
에탄 이염(dichloride ethane)(88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6(4.40 g, 9.24 mmol) 및 삼염화 알루미늄(aluminum trichloride)(2.46 g, 18.48 mmol)에 0 ℃, 아르곤 조건에서 1-아미노피페리딘(3.70 g, 36.96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산물을 실온에 두고 데우고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얼음물에서 차갑게 식혔다. 수층(aqueous phase)을 CH2Cl2(2×4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기 위하여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의 화합물 7(4.75 g, 97%)을 얻기 위하여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로 추출하면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H NMR(CDCl3) δ 7.73(s, 1H), 7.49(d, J = 2.4 Hz, 1H), 7.35(dd, J = 8.4, 2.4 Hz, 1H), 7.28(d, J = 8.4 Hz, 1H), 6.95(d, J = 4.0 Hz, 1H), 6.69(d, J = 4.0 Hz, 1H), 5.17(t, J = 7.2 Hz, 1H), 4.67(d, J = 7.2 Hz, 2H), 2.83(brs, 4H), 1.78-1.73(m, 4H), 1.42(brs, 2H); 13C NMR(CDCl3) δ 160.0, 144.7, 136.9, 136.6, 135.0, 133.6, 130.7, 130.3, 130.2, 128.6, 128.1, 124.0, 115.8, 57.1, 54.7, 25.3, 23.2; ESMS m/z: 529.1(M+1).
1-(2,4- 디클로로페닐 )-5-(5-(2-(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 하이드록시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
THF(50 mL)에 있는 브로모티오펜 7(1.20 g, 2.26 mmol), PdCl2(PPh3)2(0.16 g, 0.23 mmol), CuI(0.06 g, 0.28 mmol) 및 2-에탄올아민(0.5 M(aq), 14 mL, 6.78 mmol)을 교반하고 10 분동안 압력용기 내의 아르곤 조건에서 가스를 제거하였으며, 가스를 제거할 때에 1-에티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0.58 g, 3.39 mmol)을 한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2 시간동안 오일통에서 80 ℃로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식힌 후, 반응 혼합물을 물(20 mL)에 붓고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4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기 위하여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의 화합물 8(0.98 g, 70%) 을 얻기 위하여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였다: 1H NMR(CDCl3) δ 7.75(s, 1H), 7.57(s, 1H), 7.50(d, J = 2.0 Hz, 1H), 7.36(dd, J = 8.4, 2.0 Hz, 1H), 7.32(d, J = 8.4 Hz, 1H), 7.18(d, J = 4.0 Hz, 1H), 6.84(d, J = 4.0 Hz, 1H), 5.21(t, J = 3.2 Hz, 1H), 4.73(d, J = 3.2 Hz, 2H), 2.83(brs, 4H), 1.77-1.75(m, 4H), 1.43(brs, 2H); 13C NMR(CDCl3) δ 160.0, 144.8, 136.8, 136.6, 135.1, 133.6, 132.6, 131.5, 130.7, 130.2(q, J C -F = 32.6 Hz), 130.3, 129.7, 129.1, 128.0, 126.1, 125.7, 125.3(q, J C -F = 3.6 Hz), 123.7(q, J C -F = 270.9 Hz), 93.6, 83.7, 57.1, 54.8, 25.3, 23.1; ESMS m/z: 619.1(M+1).
4-( 아미노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5-(5-(2-(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8(1.00 g, 1.62 mmol) 용액에 PBr3(0.87 g, 3.23 mmol)을 적가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산물을 실온에서 데우고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얼음물로 식혔다. 수층은 CH2Cl2(2×2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브롬화물에 상응하는 것을 얻기 위하여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하고, 그런 후에 정제 없이,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DMF(10ml)에서 NaN3(0.53 g, 8.08 mmol)와 반응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10 mL)에 붓고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2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아지드(azide)에 상응하는 물질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하였다. 아지도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 정제(CH2Cl2:MeOH = 9:1)한 후에 연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9(3 단계에 걸쳐 0.66 g, 66%)를 얻기 위하여 정제과정 없이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THF/H2O(1/1)(20 mL)에 있는 PPh3(0.51 g, 1.94 mmol)로 아지도 화합물을 처리하였다: 1H NMR(CDCl3) δ 7.85(brs, 1H), 7.62-7.56(m, 4H), 7.51(d, J = 1.8 Hz, 1H), 7.38-7.32(m, 2H), 7.19(d, J = 3.9 Hz, 1H), 6.91(d, J = 3.9 Hz, 1H), 3.99(s, 2H), 2.87-2.79(m, 4H), 2.01(s, 1H), 1.76(quintet, J = 5.4 Hz, 4H), 1.49-1.38(m, 2H); ESMS m/z: 618.0(M+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sulfonamido )) 메틸)-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10):
0 ℃에서 DMF(10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9(1.15 g, 1.86 mmol) 및 Et3N(0.38 g, 3.72 mmol) 용액에 피롤리딘-1-염화술포닐(0.47 g, 2.79 mmol)을 적가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데운 후, 얼음물로 차갑게 하였다.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20 mL)로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의 원하는 화합물 10(1.21 g, 87%)을 얻고자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였다: mp 163-164 ℃; 1H NMR(CDCl3) δ 7.71(s, 1H), 7.61-7.56(m, 4H), 7.53(d, J = 2.0 Hz, 1H), 7.40-7.33(m, 2H), 7.23(d, J = 3.6 Hz, 1H), 7.22(d, J = 3.6 Hz, 1H), 6.50(t, J = 6.8 Hz, 1H), 4.34(d, J = 6.8 Hz, 2H), 3.28-3.25(m, 4H), 2.87-2.81(m, 4H), 1.86(quintet, J = 3.6 Hz, 4H), 1.78(quintet, J = 5.6 Hz, 4H), 1.48-1.42(m, 2H); 13C NMR(CDCl3) δ 159.2, 144.3, 137.4, 136.7, 134.8, 133.3, 132.7, 131.3, 130.6, 130.2, 130.1, 130.0(q, J C -F = 33.0 Hz), 128.5, 127.9, 125.9, 125.6, 125.0(q, J C -F = 4.0 Hz), 123.5(q, J C -F = 270.5 Hz), 119.7, 93.4, 83.7, 56.9, 47.7, 37.2, 25.3, 25.0, 22.9; ESMS m/z: 751.0(M+1).
(Z)-4-((2- 시아노 -3- 시클로프로필구아니디노 ( cyclopropylguanidino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
ES-MS(M+1): 725.1.
(E)-4-((1-아미노-2- 니트로비닐아미노(nitrovinylamino)메틸 )-1-(2,4-디클로로페닐)-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
ES-MS(M+1): 704.1.
(E)-1-(2,4- 디클로로페닐 )-4-((1-( 메틸아미노 )-2- 니트로비닐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
ES-MS(M+1): 718.1.
1-(2,4- 디클로로페닐 )-4-( 구아니디노메틸 ( guanidinomethyl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
ES-MS(M+1): 660.2.
1-(2,4- 디클로로페닐 )-4-((3- 메틸구아니디노 ( methylguanidine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
ES-MS(M+1): 674.2.
4-( 아세트아미도메틸 ( acetamidomethyl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6):
ES-MS(M+1): 660.1.
메틸(1-(2,4- 디클로로페닐 )-3-(피페리딘-1- 일카르바모일 ( ylcarbamoyl ))-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 pyrazol )-4-일) 메틸카르바메이트 ( methylcarbamate )(화합물 17):
ES-MS(M+1): 676.1.
에틸(1-(2,4- 디클로로페닐 )-3-(피페리딘-1- 일카르바모일 )-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4-일) 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18):
ES-MS(M+1): 690.1.
1-(2,4- 디클로로페닐 )-4-((3- 에틸우레이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9):
ES-MS(M+1): 689.1.
4-((3-시클로프로필우레이도( Cyclopropylureido )메틸)-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0):
ES-MS(M+1): 701.1.
1-(2,4- 디클로로페닐 )-4-((3- 메틸티오우레이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1):
ES-MS(M+1): 691.1.
4-((3- 시클로프로필티오우레이도 ( Cyclopropylthioureido )) 메틸 )-1-(2,4-디클로로페닐)-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2):
ES-MS(M+1): 717.1.
1-(2,4- 디클로로페닐 )-4-((4,5- 디하이드로 ( dihydro )-1H- 이미다졸 ( imidazol )-2- 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3):
ES-MS(M+1): 686.1.
(E)-4-((2- 시아노 -3- 메틸구아니디노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4):
ES-MS(M+1): 699.1.
1-(2,4- 디클로로페닐 )-4-( 메틸술폰아미도메틸 )-N-(피페리딘-1-일)-5-(5-((4-(트 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5):
ES-MS(M+1): 696.0.
1-(2,4- 디클로로페닐 )-4-((1- 메틸에틸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6):
ES-MS(M+1): 724.1.
1-(2,4- 디클로로페닐 )-4-((N,N-디메틸술파모일아미노( dimethylsulfamoylamino )메틸)-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7):
ES-MS(M+1): 725.1.
1-(2,4- 디클로로페닐 )-4-((N- 메틸술파모일아미노 ( methylsulfamoylamino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8):
ES-MS(M+1): 711.0.
1-(2,4- 디클로로페닐 )-4-((N-이소프로필술파모일아미노( isopropylsulfamoylamino )메틸)-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29):
ES-MS(M+1): 739.1.
4-((N- 터트 ( tert )- 부틸술파모일아미노 ( butylsulfamoylamino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30):
ES-MS(M+1): 753.1.
4-( 시크로펜타네술폰아미도메틸 ( Cyclopentanesulfonamidomethy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31):
ES-MS(M+1): 750.1.
4-((1H- 이미다졸 -5- 술폰아미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32):
ES-MS(M+1): 748.0.
1-(2,4- 디클로로페닐 )-4-((4- 에틸피페라진 ( ethylpiperazine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33):
ES-MS(M+1): 794.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피페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5-(5-((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34):
ES-MS(M+1): 765.1.
1-(2,4- 디클로로페닐 )-4-(( 모르포린 ( morpholine )-4-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35):
ES-MS(M+1): 767.1.
1-(2,4- 디클로로페닐 )-4-((3,5-디메틸피페리딘( dimethylpiperidine )-1-술폰아미도)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36):
ES-MS(M+1): 793.1.
1-(2,4- 디클로로페닐 )-4-((2,6- 디메틸모르포린 ( dimethylmorpholine )-4-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37):
ES-MS(M+1): 795.1.
1-(2,4- 디클로로페닐 )-4-({[(1,1- 디옥시도티오모르포린 ( dioxidothiomorpholine )-4-일)술포닐( sulfonyl )] 아미노}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38):
ES-MS(M+1): 815.0.
1-(2,4- 디클로로페닐 )-4-((6- 메틸 -2,4- 디옥소 -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 tetrahydropyrimidine )-5-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39):
ES-MS(M+1): 806.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티오펜-2- 술폰아미도 ) 메틸 )-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0):
ES-MS(M+1): 764.0.
1-(2,4- 디클로로페닐 )-4-((4- 메틸피페라진 ( methylpiperazine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1):
ES-MS(M+1): 780.1.
4-((N- 시클로프로필술파모일아미노 ( Cyclopropylsulfamoylamino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2):
ES-MS(M+1): 737.1.
4-((N- 시클로펜틸술파모일아미노 ( Cyclopentylsulfamoylamino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3):
ES-MS(M+1): 765.1.
4-((N- 시클로헥실술파모일아미노 ( Cyclohexylsulfamoylamino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4):
ES-MS(M+1): 779.1.
4-((N- 시클로헵틸술파모일아미노 ( Cycloheptylsulfamoylamino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5):
ES-MS(M+1): 793.1.
4-((아지리딘( Aziridine )-1- 술폰아미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6):
ES-MS(M+1): 723.1.
4-(( 아제티딘 ( Azetidine )-1- 술폰아미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7):
ES-MS(M+1): 737.1.
4-((1,3- 옥사제티딘 ( Oxazetidine )-3- 술폰아미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8):
ES-MS(M+1): 739.1.
4-{[(7- 아자비시클로 ( Azabicyclo )[2.2.1] 헵트 (hept)-7- 일술포닐 )아미노]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에 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49):
ES-MS(M+1): 777.1.
4-((2- 아자 ( Aza )- 비시클로 ( bicycle )[2.2.1]헵탄(heptanes)-2-술폰아미도)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0):
ES-MS(M+1): 737.1.
4-( 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도메틸 ( Cyclopropanesulfonamidomethyl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1):
ES-MS(M+1): 722.1.
4-( 시클로헥산술폰아미도메틸 ( Cyclohexanesulfonamidomethyl ))-1-(2,4-디클로로페닐)-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2):
ES-MS(M+1): 764.1.
4-((1H- 이미다졸 -5- 술폰아미도 ) 메틸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3):
ES-MS(M+1): 716.1.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4):
ES-MS(M+1): 719.1.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피페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5):
ES-MS(M+1): 733.1.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N- 시클로펜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6):
ES-MS(M+1): 733.1.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N- 시클로프로필술파모일아미노 ) 메틸)-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7):
ES-MS(M+1): 705.0.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4-((2,6- 디메틸모르포린 -4-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8):
ES-MS(M+1): 763.1.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4-((N- 메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9):
ES-MS(M+1): 679.1.
4-(( 아제티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2,4-디클로로페닐)-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0):
ES-MS(M+1): 705.0.
4-((1,3- 옥사제티딘 -3- 술폰아미도 ) 메틸 )-5-(5-((4- 클로로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1):
ES-MS(M+1): 707.1.
1-(2,4- 디클로로페닐 )-5-(5-( 펜트 ( pent )-1- 이닐 ( ynyl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4-((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2):
ES-MS(M+1): 649.2.
1-(2,4- 디클로로페닐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4-((피페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3):
ES-MS(M+1): 663.1.
1-(2,4- 디클로로페닐 )-4-(( 모르포린 -4- 술폰아미도 ) 메틸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4):
ES-MS(M+1): 665.1.
1-(2,4- 디클로로페닐 )-4-({[(1,1- 디옥시도티오모르포린 -4-일) 술포닐 ]아미노} 메틸)-5-[5-( 펜트 -1-인( yn )-1-일)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5):
ES-MS(M+1): 713.1.
4-( 시크로펜타네술폰아미도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6):
ES-MS(M+1): 648.2.
4-((1H- 이미다졸 -5- 술폰아미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7):
ES-MS(M+1): 646.1.
1-(2,4- 디클로로페닐 )-4-((3- 에틸티오우레이도 ) 메틸 )-5-(5-( 펜트 -1- 이닐 )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68):
ES-MS(M+1): 603.2.
메틸(1-(2,4- 디클로로페닐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3-(피페리딘-1- 일카르바모일 )-1H- 피라졸 -4-일) 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69):
ES-MS(M+1): 574.1
4-((3- 시클로프로필우레이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5-(5-( 펜트 -1- 이닐 )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0):
ES-MS(M+1): 599.1.
1-(2,4- 디클로로페닐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4-(프로피온아미도메틸( propionamidomethyl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1):
ES-MS(M+1): 572.1.
1-(2,4- 디클로로페닐 )-4-((N,N- 디메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2):
ES-MS(M+1): 623.1.
1-(2,4- 디클로로페닐 )-4-((N- 메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5-(5-( 펜트 -1- 이닐 )티오펜-2-일)-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3):
ES-MS(M+1): 609.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피롤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4):
ES-MS(M+1): 675.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 Cyclopentylethynyl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피페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5):
ES-MS(M+1): 689.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4-(( 모르포린 -4-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6):
ES-MS(M+1): 691.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4-({[(1,1- 디옥시도티오모르포린 -4-일) 술포닐 ]아미노}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7):
ES-MS(M+1): 739.1.
4-( 시크로펜타네술폰아미도메틸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8):
ES-MS(M+1): 674.1.
4-((1H- 이미다졸 -5- 술폰아미도 ) 메틸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디클로로페닐)-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79):
ES-MS(M+1): 672.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4-((3-에틸티오우레이도)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0):
ES-MS(M+1): 629.1.
메틸(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3-(피페리딘-1- 일카르바모일 )-1H- 피라졸 -4-일) 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81):
ES-MS(M+1): 600.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4-((3- 시클로프로필우레이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2):
ES-MS(M+1): 625.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 프로피온아미도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3):
ES-MS(M+1): 598.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4-((N,N- 디메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4):
ES-MS(M+1): 649.1.
5-(5-( 시클로펜틸에티닐 )티오펜-2-일)-1-(2,4- 디클로로페닐 )-4-((N- 메틸 술파모일아미노( methyl sulfamoylamino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5):
ES-MS(M+1): 635.1.
1-(2,4- 디클로로페닐 )-4-((3- 수산기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3):
ES-MS(M+1): 767.0.
1-(2,4- 디클로로페닐 )-4-(((R)-3- 수산기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4):
ES-MS(M+1): 767.0.
1-(2,4- 디클로로페닐 )-4-(((S)-3- 수산기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5):
ES-MS(M+1): 767.0.
1-(2,4- 디클로로페닐 )-4-((3- 플루오로 -3- 메틸아제티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6):
ES-MS(M+1): 772.9.
1-(2,4- 디클로로페닐 )-4-((3,3- 디플루오로피롤리딘 ( difluoropyrrolidine )-1- 술폰아미도 )메틸)-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7):
ES-MS(M+1): 786.9.
1-(2,4- 디클로로페닐 )-4-(((S)-3- 플루오로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8):
ES-MS(M+1): 769.0.
1-(2,4- 디클로로페닐 )-4-(((R)-3- 플루오로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9):
ES-MS(M+1): 769.0.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S)-2-( 트리플루오로메틸 )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0):
ES-MS(M+1): 819.0.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R)-2-( 트리플루오로메틸 )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1):
ES-MS(M+1): 819.0.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2):
ES-MS(M+1): 819.0.
1-(2,4- 디클로로페닐 )-4-((4,4- 디플루오로피페리딘 ( difluoropiperidine )-1- 술폰아미도 )메틸)-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3):
ES-MS(M+1): 800.9.
1-(2,4- 디클로로페닐 )-4-((4,4-디메틸피페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4):
ES-MS(M+1): 793.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R)-3-( 트리플루오로메틸 )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5):
ES-MS(M+1): 819.0.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S)-3-( 트리플루오로메틸 )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6):
ES-MS(M+1): 819.0.
1-(2,4- 디클로로페닐 )-4-((4- 수산기피페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57):
ES-MS(M+1): 781.0
실시예 2: 화합물 87-113 합성
일반적인 방법이 구체예로 화합물 87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된다.
4-( 브로모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 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6):
0 ℃에서 CH2Cl2(5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8(0.15 g, 0.24 mmol)에 PBr3(0.13 g, 0.48 mmol)을 적가로 첨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데우고 얼음물에서 차갑게 하였다. 수층을 CH2Cl2(2×1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연노락색 고체인 브롬화물 86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하였다: 1H NMR(CDCl3) δ 7.58(m, 4H), 7.53-7.52(m, 1H), 7.38-7.37(m, 2H), 7.23(d, J = 4.0 Hz, 1H), 7.17(d, J = 4.0 Hz, 1H), 4.92(s, 2H), 2.85(brs, 4H), 1.77-1.71(m, 4H), 1.42(brs, 2H); ESMS m/z: 681.1(M+1).
1-(2,4- 디클로로페닐 )-4-[(1,1- 디옥시도티오모르포린 -4-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7):
실온에서 DMF(3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브롬화물 86(0.16 g, 0.24 mmol)에 티오모르포린(thiomorpholine) 1,1-디옥사이드(dioxide)(0.07 g, 0.48 mmol)를 한번 첨가하였다. 생성된 산물을 60 ℃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얼음물에서 차갑게 식혔다.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1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기 위하여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의 원하는 산물 87(두 단계에 걸쳐 0.14 g, 79%)을 얻고자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H NMR(CDCl3) δ7.72(s, 1H), 7.61(m, 4H), 7.52(d, J = 1.8 Hz, 1H), 7.41(d, J = 1.8 Hz, 1H), 7.17(d, J = 3.9 Hz, 1H), 6.92(d, J = 3.9 Hz, 1H), 4.03(s, 2H), 3.14-3.05(m, 8H), 2.85-2.82(m, 4H), 1.79-1.74(m, 4H), 1.44-1.40(m, 2H); ESMS m/z: 735.8(M+1).
1-(2,4- 디클로로페닐 )-4-(( 메틸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트 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8):
ES-MS(M+1): 632.1.
4-(( 시크로프로필아미노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트 리플루 오로메틸)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89):
ES-MS(M+1): 658.1.
1-(2,4- 디클로로페닐 )-4-(( 이소프로필아미노(isopropylamino)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0):
ES-MS(M+1): 660.1.
1-(2,4- 디클로로페닐 )-4-((3- 하이드록시아제티딘 ( hydroxyazetidin )-1-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1):
ES-MS(M+1): 674.1.
1-(2,4- 디클로로페닐 )-4-((3- 플루오로아제티딘 ( fluoroazetidin )-1-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2):
ES-MS(M+1): 676.1.
1-(2,4- 디클로로페닐 )-4-(( 옥세탄 ( oxetan )-3- 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3):
ES-MS(M+1): 674.1.
1-(2,4- 디클로로페닐 )-4-((3- 메틸옥세탄 -3- 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4):
ES-MS(M+1): 688.1.
1-(2,4- 디클로로페닐 )-4-(( 메틸(옥세탄-3-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5):
ES-MS(M+1): 688.1.
1-(2,4- 디클로로페닐 )-4-(( 옥세탄 -3- 일메틸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6):
ES-MS(M+1): 688.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 프로프 ( prop )-2-이닐아미노( ynylamino )) 메틸 )-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7):
ES-MS(M+1): 656.1.
1-(2,4- 디클로로페닐 )-4-(( 메틸(프로프-2-이닐)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8):
ES-MS(M+1): 670.1.
1-(2,4- 디클로로페닐 )-4-(((R)-2- 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 ( hydroxypropylamino ))메틸)-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99):
ES-MS(M+1): 676.1.
1-(2,4- 디클로로페닐 )-4-(((S)-3- 하이드록시피로리딘 ( hydroxypyrrolidin )-1-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0):
ES-MS(M+1): 688.1.
1-(2,4- 디클로로페닐 )-4-(((S)-2-( 하이드록시메틸 ) 피로리딘 -1-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1):
ES-MS(M+1): 702.1.
1-(2,4- 디클로로페닐 )-4-(((R)-2-( 하이드록시메틸 ) 피로리딘 -1-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2):
ES-MS(M+1): 702.1.
4-(((R)-2- 시아노피로리딘 -1-일)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3):
ES-MS(M+1): 697.1.
1-(2,4- 디클로로페닐 )-4-[(1,1- 디플루오로 -5-아자스피로( azaspiro )[2.4] 헵트 -5-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4):
ES-MS(M+1): 734.1.
1-(2,4- 디클로로페닐 )-4-((6,6- 디플루오로 -3- 아자 ( aza )-비시크로( bicyclo )[3.1.0]헥산( hexan )-3-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5):
ES-MS(M+1): 720.2.
1-(2,4- 디클로로페닐 )-4-((3,3- 디플루오로피로리딘 -1-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6):
ES-MS(M+1): 708.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피로리딘 -1-일)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7):
ES-MS(M+1): 740.1.
4-((1- 시아노프로필아미노 ( Cyanocyclopropylamino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 -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8):
ES-MS(M+1): 683.1.
1-(2,4- 디클로로페닐 )-4-(피페라진-1- 일메틸 )-N-(피페리딘-1-일)-5-(5-((4-(트 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09):
ES-MS(M+1): 687.1.
1-(2,4- 디클로로페닐 )-4-((4- 메틸피페라진 -1-일) 메틸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0):
ES-MS(M+1): 701.1.
4-((1H-1,2,4- 트리아졸 ( Triazol )-1-일)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1):
ES-MS(M+1): 670.1.
4-( 아지도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 메틸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2):
ES-MS(M+1): 644.2.
4-( 시아노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5-((4-( 트리플루오로 메틸( trifluoro methyl )) 페닐 ) 에티닐 )티오펜-2-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3):
ES-MS(M+1): 628.1.
실시예 3: 화합물 119-142 합성
하나의 예로서 화합물 119을 사용하여 하기에 설명된 일반적인 합성방법에 의해 화합물 119-142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46031811-pct00021
시약 및 조건:(a) NBS, AIBN, CCl4, 80 ℃, 16 시간;(b) AgNO3, 아세톤/H2O = 1/1, 60 ℃, 16 시간, 두 단계에 걸쳐 66%;(c) AlCl3, 1-아미노피페리딘, DCE, 실온, 16 시간, 93%;(d) PBr3, CH2Cl2, 실온, 2 시간;(e) NaN3, DMF, 실온, 3h;(f) PPh3, THF/H2O = 1/1,실온, 16 시간, 3단계에 걸쳐 75%;(g) 피롤리딘-1-염화술포닐, Et3N, DMF, 0 ℃ 내지 실온, 16 시간; 85%.
중간 생성물인 에스테르 115는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화합물 114에 대하여 설명된 문헌(J. Med . Chem. 1999, 42, 769-776)에 설명된 3 단계 방법을 기초로 하여 용이하게 제조되었다.
에틸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 하이드록시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16):
CCl4(20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115(2.00g, 4.88 mmol)에 NBS(1.13 g, 6.34 mmol) 및 AIBN(0.06 g, 0.3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에서 식힌 후,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연노란색 액체인 미정제된 브롬화물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용매를 여과기를 제거하였다. 실온에서 100 ml의 50% 수성 아세톤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은 질산염(3.32 g, 19.52 mmol)용액에 70% 수성 아세톤에 있는 브롬화물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60 ℃에서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식힌 후에, 용해되지 않은 잔류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아세톤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산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CH2Cl2로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막을 물로 헹구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기 위해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인 에스테르 116(1.37 g, 두 단계에 걸쳐 66%)를 얻고자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 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H NMR(CDCl3) δ 7.41(d, J = 1.8 Hz, 1H), 7.34-7.27(m, 4H), 7.13-7.10(m, 2H), 4.63(d, J = 6.9 Hz, 2H), 4.60(q, J = 6.9 Hz, 2H), 3.84(t, J = 7.2 Hz, 1H), 1.45(t, J = 6.9 Hz, 3H), ; ESMS m/z: 447.0(M+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 하이드록시메틸 )-N-(피페리딘-1-일)-1H-피라졸-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7):
0 ℃에서 아르곤 조건에서 에탄 이염(20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116(1.21 g, 2.84 mmol) 및 삼염화 알루미늄(1.52 g, 11.36 mmol) 용액에 1-아미노 피페리딘(1.14 g, 11.36 mmo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산물을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데운 후, 얼음물에서 차갑게 하고, 수층을 CH2Cl2(2×2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의 화합물 117(1.27 g, 93%)를 얻고자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H NMR(CDCl3) δ 7.78(brs, 1H), 7.44(d, J = 2.4 Hz, 1H), 7.33-7.20(m, 4H), 7.08-7.03(m, 2H), 5.16(t, J = 6.9 Hz, 1H), 4.60(d, J = 6.9 Hz, 2H), 2.88-2.80(m, 4H), 1.78(quintet, J = 5.4 Hz, 4H), 1.50-1.40(m, 2H); ESMS m/z: 479.0(M+1).
4-( 아미노메틸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8):
0 ℃에서 CH2Cl2(20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117(0.34 g, 0.72 mmol) 용액에 PBr3(0.39 g, 1.43 mmol)을 적가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데운 후, 물로 차갑게 하였다. 수층을 CH2Cl2(2×1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연노란색 고체인 상응하는 브롬화물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하였다. 정제과정 없이, 수득된 브로모 화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DMF(5 mL)에 있는 NaN3(0.23 g, 3.58 mmol로 처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에 붓고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2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로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아지드를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정제과정 없이,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THF/H2O(1/1)(7 mL)에 있는 PPh3(0.38 g, 1.43 mmol)로 처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2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과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인 화합물 118(0.26 g, 3 단계에 걸쳐 75%)을 얻고자 CH2Cl2/MeOH(9: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H NMR(CDCl3) δ 7.84(brs, 1H), 7.44(d, J = 1.8 Hz, 1H), 7.30(d, J = 8.1 Hz, 2H), 7.28-7.24(m, 2H), 7.14(d, J = 8.1 Hz, 2H), 3.87(s, 2H), 2.88-2.80(m, 4H), 1.83(brs,1H), 1.83-1.71(m, 4H), 1.48-1.38(m, 2H); ESMS m/z: 478.0(M+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 피롤리딘 -1-술폰아미도)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19):
0 ℃에서 DMF(3 mL)에 있는 자력으로 교반된 화합물 118(0.26 g, 0.54 mmol) 및 Et3N(0.11 g, 1.08 mmol)에 피롤리딘-1-염화술포닐(0.14 g, 0.81 mmol)를 적가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데운 후 물로 차갑게 하였다.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10 mL)로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소금물과 헹구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미정제된 잔류물을 얻고자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한 후, 백색 고체인 원하는 화합물 119((0.28 g, 85%)를 얻고자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고속분취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H NMR(CDCl3)δ 7.72(s, 1H), 7.45(d, J = 2.0 Hz, 1H), 7.34-7.29(m, 3H), 7.24-7.19(m, 3H), 6.52(t, J = 6.8 Hz, 1H), 4.19(d, J = 6.8 Hz, 2H), 3.26-3.22(m, 4H), 2.88-2.80(m, 4H), 1.85(quintet, J = 3.6 Hz, 4H), 1.78(quintet, J = 5.6 Hz, 4H), 1.48-1.41(m, 2H); ESMS m/z: 611.1(M+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피페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0):
ES-MS(M+1): 627.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 모르포린 -4-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1):
ES-MS(M+1): 629.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1,1- 디옥시도티오모르포린 -4-일) 술포닐 ]아미노}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2):
ES-MS(M+1): 677.1.
5-(4- 클로로페닐 )-4-( 시크로펜타네술폰아미도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3):
ES-MS(M+1): 612.1
4-((1H- 이미다졸 -5- 술폰아미도 ) 메틸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4):
ES-MS(M+1): 610.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3- 에틸티오우레이도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5):
ES-MS(M+1): 567.1.
메틸(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3-(피페리딘-1- 일카르바모일 )-1H- 피라졸 -4-일) 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126):
ES-MS(M+1): 536.1.
5-(4- 클로로페닐 )-4-((3- 시클로프로필우레이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7):
ES-MS(M+1): 561.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 프로피온아미도 메틸( propionamidomethyl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8):
ES-MS(M+1): 534.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N,N- 디메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29):
ES-MS(M+1): 587.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N- 메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0):
ES-MS(M+1): 573.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4,5- 디하이드로 -1H- 이미다졸 -2-일아미노)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1):
ES-MS(M+1): 546.1.
5-(4- 클로로페닐 )-1-(2,4- 디클로로페닐 )-4-((2,6- 디메틸모르포린 -4-술폰아미도) 메틸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2):
ES-MS(M+1): 655.1.
5-(4- 클로로페닐 )-4-((N- 시클로펜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3):
ES-MS(M+1): 625.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 피롤리딘 -1- 술폰아미도 ) 메틸 )-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4):
ES-MS(M+1): 645.1.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4-((피페리딘-1- 술폰아미도 ) 메틸 )-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5):
ES-MS(M+1): 659.2.
1-(2,4- 디클로로페닐 )-4-(( 모르포린 -4- 술폰아미도 ) 메틸 )-N-(피페리딘-1-일)-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6):
ES-MS(M+1): 661.1.
1-(2,4- 디클로로페닐 )-4-({[(1,1- 디옥시도티오모르포린 -4-일) 술포닐 ]아미노} 메틸)-N-(피페리딘-1-일)-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7):
ES-MS(M+1): 709.1.
4-( 시크로펜타네술폰아미도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8):
ES-MS(M+1): 644.1.
4-((1H- 이미다졸 -5- 술폰아미도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39):
ES-MS(M+1): 642.1.
1-(2,4- 디클로로페닐 )-4-((4,5- 디하이드로 -1H- 이미다졸 -2- 일아미노 ) 메틸 )-N-(피페리딘-1-일)-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0):
ES-MS(M+1): 580.1.
메틸(1-(2,4- 디클로로페닐 )-3-(피페리딘-1- 일카르바모일 )-5-(4-( 트리플루오로 메틸 )페닐)-1H- 피라졸 -4-일) 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141):
ES-MS(M+1): 570.1.
4-((N- 시클로펜틸술파모일아미노 ) 메틸 )-1-(2,4- 디클로로페닐 )-N-(피페리딘-1-일)-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피라졸 -3-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142):
ES-MS(M+1): 659.2.
실시예 4: 방사성 리간드(Radioligand) 결합분석
인간 CB1 및 CB2 수용체를 CB1 및 CB2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HEK293 세포주에서 확보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CB1 또는 CB2 수용체를 발현하고 있는 세포를 수거하여 초음파처리(sonication) 하였다. 용리된 세포를 4 ℃에서 43,000 g로 3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생성된 펠럿(pellet)을 버퍼(50 mM Tris, 5mM MgCl2, 2.5 mM EDTA, pH 7.4, 10% 자당)에 재 부유하고 -80 ℃에서 보관하였다. 정제된 막 단백질의 농도를 Bio-Rad Laboratories, Inc.(Hercules, CA)에서 제공하는 방법인 Bradford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CB1 및 CB2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은 하기의 체외(in vitro ) 방사성 리간드 결합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전술된 CB1 또는 CB2를 발현하고 있는 세포주 유래의 0.2~8 ug의 세포막을 75 nM [3H]CP55,940(CB1 및 CB2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리간드) 및 시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버퍼(pH 7.4, 50 mM Tris-HCl, 5 mM MgCl2, 1 mM EDTA, 및 0.3% BSA)와 혼합하였다. 비-방사성인 CP 55,940(1 uM)을 대조군에서 화합물을 시험하는 것 대신에 사용하였다. 시험 화합물 또는 [3H]CP55,940이 수용체에 결합하도록 혼합물을 Multiscreen 마이크로플레이트(Millipore, Billerica, MA)에서 30 ℃로 1.5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결합반응을 Manifold 여과법으로 멈추게 하고 세포막 조각(CB1 또는 CB2 수용체를 포함하고 있는)을 필터에 두었다. 그런 후, 유리(free) [3H]CP55,940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를 얼음처럼 차가운 버퍼(50 mM Tris, pH 7.4, 0.25% BSA)로 4 차례 헹군다. 필터에 부착된 막 단백질 조각의 방사능은 Topcount(Perkin Elmer In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IC50(수용체에 대한 [3H]CP55,940 의 결합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시험 화합물의 농도)을 계산하였다.
화합물 10-85, 87-113, 및 119-157을 이러한 분석에서 테스트하였다. CB1 및 CB2 수용체 각각에 대하여 [3H]CP55,940의 결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1 nM 내지 10 mM 사의 IC50 값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실시예 5: DELFIA GTP-결합 시험
CB1 수용체를 조절하는 분석 화합물의 활성은 PerkinElmer Inc.(Boston, MA)에서 판매하는 DELFIA GTP-결합 키트를 사용하여 하기 문단에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DELFIA GTP-결합 시험은 G 단백질과 짝지어진 수용체의 활성 후에 G-단백질 서브유닛 상에서의 GDP-GTP 교환을 기본으로 한 시간이 정해져 있는 형광분석이다. 참고로, CP 55,940에 의한 CB 1 수용체의 자극으로 인해 G-단백질의 a-서브유닛 상의 GDP는 GTP로 교체되고, 이로 인해 GTP-G α 형태, 즉, 활성된 G -단백질 형태가 만들어진다. 킬레이트로 표식된 가수분해될 수 없는 Eu-GTP는 작용약에 따라 다른 G-단백질의 활성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참조, Peltonen 등, Eur. J. Pharmacol. 1998, 355, 275).
인간 CB1 수용체를 발현하고 있는 HEK293 세포 유래의 원형질막을 분석버퍼(50 mM HEPES, pH 7.4, 100 mM NaCl, 100 ㎍/mL 사포닌(saponin), 5 mM MgCl2, 2 uM GDP, 0.5% BSA)에 부유하였다. 원형질막을 분석 화합물(0.1% DMSO에서 다양한 농도로) 및 CP55,940(분석 버퍼에서 20 nM)과 함께 AcroPlate(Pall Life Sciences, Ann Arbor, MI)의 각각의 웰(well)에 나누어 분주하였다. 분석 플레이트를 60 분간 30 ℃에서 어두운 상태로 배양하였다. 그런 후, Eu-GTP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어두운 곳에서 30 ℃로 30 분간 더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분석키트에 포함된 헹굼제로 4 차례 헹군다. Eu-GTP의 결합을 Victor 2 multi-label 분석기에 의한 형광신호로 확인하였다. 각각의 분석 화합물에 대한 EC50 값(즉, CP55,940-자극된Eu-GTP 결합을 50% 억제)을 비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는 농도-반응 곡선(Prism; GraphPad, San Diego, CA)으로 결정하였다.
화합물 10-85, 87-113, 및 119-157을 분석하였다. 예상 외로, 모든 화합물은 CP55,940-자극된 CB1 수용체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Eu-GTP 결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1 nM 내지 10 uM 사이의 EC50 값을 가진다.
실시예 6: Tetrad 반응분석
수컷 C57BL/6 마우스에서 체온 및 테일-프릭(tail-flick) 반응을 직장 체온계(Natsume, 일본) 및 테일-프릭 무통각 미터기, RS232(Columbus, USA)로 각각 측정하였다. DMSO/Tween 80/H2O(부피로 1/1/8)에 녹은 분석 화합물을 구강 투여하고 1 시간 후에, 0.5% DMSO를 포함하고 있는 함염물에 있는 1 mg/kg의 CP55,940을 복막 내로 주사하였다. 체온을 30 분, 65 분에 측정하고 주사 후 35 분 후에 테일-프릭 반응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화합물을 테스트하였다. 화합물 10, 63, 및 119이 100 mg/kg까지 구강으로 투여된 마우스에서는 CB1 작용약에 의해 유도된 저체온 및 진통반응의 변화가 없거나 약간 반응했으며, 이는 예기치 않은 결과이다. 반대로, 이러한 반응은 낮은 투약량인 2 mg/kg의 일반적인 중심 CB1 길항제인 리모나반트에 의해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분석 화합물로 먹이가 조절된 비만 마우스 치료
6 주령의 C57BL/6 마우스에 분석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에 12 주 이상 동안 고지방성 먹이(Research Diet D 12451; 45% 지방, 20% 단백질, 및 35% 탄수화물)를 주었다. 체중이 같은 마우스를 다른 그룹으로 두고 부형제(10% DMSO/ 10% Tween 80/ 80% H2O) 또는 정해진 용량((예, 10 및 20 mg/kg))의 분석 화합물을 적어도 2 주간 하루에 한 번씩 먹이와 함께 주었다. 제공된 먹이의 총량과 체중을 매일 기록하였다.
다양한 화합물을 테스트하였다. 먹이로 인해 비만이 된 마우스를 화합물 10으로 21 일간 지속적으로 치료함으로써 10 및 20 mg/kg의 마우스의 체중감소는 각각 26.4%(리모나반트의 경우는 29.1%) 및 32.8%가 되었다.
실시예 8: db / db 마우스에서 인슐린 반응성
적어도 2주 동안 6 주령의 수컷 db / db 마우스에 정해진 용량(예, 10 또는 20 mg/kg)으로 분석화합물(즉, 화합물 10, 63, 및 119)을 투여하였다. 각각의 투여동안의 총 먹이량과 체중을 매일 기록하였다. 처치 후에 마우스를 하룻밤 동안 굶긴 후 글루코스(2 g/kg, 위관영양)를 주사하였다. 글루코스 수치는 혈당측정기를 사용하여 0, 30, 60, 90, 및 120 분에 측정하였다. 혈액 및 소변 시료 및 조직(예, 신장)을 실험 마지막 단계에서 수거하였다. 처치 후에, 마우스의 인슐린 반응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9: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골다공증이 된 마우스 처치
3 개월령 암컷 마우스의 양쪽 난소를 제거하거나 또는 가짜 수술(sham operation)을 하였다. 수술 후 2 주 후에, CB1 길항제(즉, 화합물 10, 63, 및 119) 또는 부형제를 2, 4, 및 8 주 동안 일주일마다 5 번씩 투여하였다. 대퇴골, 경골 및 L1-L5 척추뼈에서 뼈의 미네랄 밀도 및 미네랄 함량을 이중 에너지 x-레이 흡광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대퇴골, 경골 및 척추에 있는 해면골 미세구조(즉, 해면골 부피. 두께, 수, 분리, 다공성, 및 골부피 지수)를 uCT 스캔으로 분석하였다. 뼈의 기계적 강도는 재료분석장치(material test machine)로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는 뼈 미네랄 밀도의 증가와 미세구조 개선을 보여준다. .
실시예 10: 골관절염이 있는 마우스를 치료
4 개월령 수컷 Sprague-Dawley 레트에 근육 내의 아크로핀(atropine)(1 mg/kg) 및 복막내의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를 사용하여 마취하였다. 레트의 무릎에 무릎관절이 생기도록 측도달 관절절개(parapatellar arthrotomy) 및 전방부 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T) 절개를 하였다.골관절염이 생긴 레트에 8 주간 CB1 길항제(즉, 화합물 10, 63, 및 119) 또는 부형제를 투여하였다. 무릎관절을 유선조영촬영으로 확인하였다. 골관절염이 걸린 레트 관절의 걸음걸이 프로파일은 CatWalk 시스템으로 분석하였다. 관절 형태는 Mankin 기록(scoring)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Mankin 점수가 줄어듬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신장병 및 신장 섬유증이 있는 레트(rat)를 치료
3 개월령 Wistar 레트가 당뇨병이 생기도록 복막 내에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50 mg/kg)을 투여하였다. 2 주 후에, 단식 상태에서 혈중 글루코스 수치가 200-300 mg/mL인 당뇨병 레트를 실험용으로 선별하였다. 신진대사 우리(metabolic cage) 시스템에 당뇨병 레트를 넣고 레트에 CB1 길항제(즉, 화합물 10, 63, 및 119)를 4 주간 투여하면서 오줌을 채집하였다. 신장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오줌 내의 단백질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 수치를 ELISA로 측정하였다. 신장섬유증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장을 분리하여 고정하고, 파라핀 왁스에 넣고, 과요오드산-Schiff 염색을 한 후에 절단하였다. 실험 결과는 소변에서 알부닌 수치가 감소하고 신장 섬유증이 감소함을 보여준다.
[다른 구체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특징은 모든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각의 특징은 동일하거나, 대등하거나, 또는 유사한 목적으로 다른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기재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각의 특징은 단지 상응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의 포괄적인 일련의 예들 중 하나의 예이다.
상기 설명에 의하여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특징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다양한 용도 및 조건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른 구체예 또한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된다.

Claims (31)

  1. Figure 112015063873300-pct00022
    (I)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이고;
    R2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이고; R3는 수소이고;
    R4는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 C(O)Ra, C(O)ORa, C(S)NRaRb, C(=NH)NRaRb, C(=N-CN)NRaRb, C(=N-NO2)NRaRb, S(O)Ra, S(O2)Ra, S(O)NRaRb, 또는 S(O2)NRaRb이고;
    R5는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되는 C6-C16 아릴,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 C(O)Ra, C(O)ORa, C(S)NRaRb, C(=NH)NRaRb, C(=N-CN)NRaRb, C(=N-NO2)NRaRb, S(O)Ra, S(O2)Ra, S(O)NRaRb, 또는 S(O2)NRaRb이거나; 또는 R4와 R5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4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b, 및 Ra와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그리고
    X는
    Figure 112015063873300-pct00023
    이고, 여기에서 R6은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C6-C16 아릴의 치환기는 C1-C10 알킬기, C2-C10 알켄닐기, C2-C20 알키닐기, C3-C20 고리알킬기, C3-C20 고리알케닐기, C1-C20 헤테로고리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알케닐기, C1-C10 알콕실기, 아릴기, 아릴록실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록실기, 아미노기, C1-C10 알킬아미노기, C1-C20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C1-C10 알킬술폰아미노기, 아릴술폰아미노기, C1-C10 알킬리미노기, 아릴리미노기, C1-C10 알킬솔포니미노기, 아릴솔포니미노기, 히드록시기, halo기, 황-, C1-C10 알킬황, 아릴황, C1-C10 알킬솔포닐기, 아릴솔포닐기,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아실기, 아미노황아실기, 아미도기, 아미디노기, 구아니딘기, 우레이도기, 황우레이도기, 사이아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아지드기, 아실기, 황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보닐기, 및 카복실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할로로 치환된 C6-C16 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2,4-디클로로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피페리디닐이고, R3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수소 또는 S(O2)NRaRb이고, R5는 S(O2)NRaRb이며, 여기에서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b, 및 Ra와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C6-C16 아릴의 치환기는 C1-C10 알킬기, C2-C10 알켄닐기, C2-C20 알키닐기, C3-C20 고리알킬기, C3-C20 고리알케닐기, C1-C20 헤테로고리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알케닐기, C1-C10 알콕실기, 아릴기, 아릴록실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록실기, 아미노기, C1-C10 알킬아미노기, C1-C20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C1-C10 알킬술폰아미노기, 아릴술폰아미노기, C1-C10 알킬리미노기, 아릴리미노기, C1-C10 알킬솔포니미노기, 아릴솔포니미노기, 히드록시기, halo기, 황-, C1-C10 알킬황, 아릴황, C1-C10 알킬솔포닐기, 아릴솔포닐기,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아실기, 아미노황아실기, 아미도기, 아미디노기, 구아니딘기, 우레이도기, 황우레이도기, 사이아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아지드기, 아실기, 황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보닐기, 및 카복실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수소 또는 S(O2)NRaRb이고, R5는 S(O2)NRaRb이며, 여기에서 Rb, 및 Ra와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6은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이고,
    상기 C6-C16 아릴의 치환기는 C1-C10 알킬기, C2-C10 알켄닐기, C2-C20 알키닐기, C3-C20 고리알킬기, C3-C20 고리알케닐기, C1-C20 헤테로고리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알케닐기, C1-C10 알콕실기, 아릴기, 아릴록실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록실기, 아미노기, C1-C10 알킬아미노기, C1-C20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C1-C10 알킬술폰아미노기, 아릴술폰아미노기, C1-C10 알킬리미노기, 아릴리미노기, C1-C10 알킬솔포니미노기, 아릴솔포니미노기, 히드록시기, halo기, 황-, C1-C10 알킬황, 아릴황, C1-C10 알킬솔포닐기, 아릴솔포닐기,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아실기, 아미노황아실기, 아미도기, 아미디노기, 구아니딘기, 우레이도기, 황우레이도기, 사이아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아지드기, 아실기, 황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보닐기, 및 카복실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Figure 112015038515552-pct0002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하기 화합물 1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15038515552-pct00028

  18. Figure 112015063873300-pct00029
    (I)
    상기 화학식(I)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이고;
    R2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이고; R3는 수소이고;
    R4는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 C(O)Ra, C(O)ORa, C(O)NRaRb, C(S)NRaRb, C(=NH)NRaRb, C(=N-CN)NRaRb, C(=N-NO2)NRaRb, S(O)Ra, S(O2)Ra, S(O)NRaRb, 또는 S(O2)NRaRb이고; R5는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 C(O)Ra, C(O)ORa, C(S)NRaRb, C(=NH)NRaRb, C(=N-CN)NRaRb, C(=N-NO2)NRaRb, S(O)Ra, S(O2)Ra, S(O)NRaRb, 또는 S(O2)NRaRb이고; 또는 R5 및 R4와 R5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4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b, 및 Ra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그리고
    X는
    Figure 112015063873300-pct00030
    이고, 여기에서 R6은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C3-C20 시크로알케닐,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C6-C16 아릴의 치환기는 C1-C10 알킬기, C2-C10 알켄닐기, C2-C20 알키닐기, C3-C20 고리알킬기, C3-C20 고리알케닐기, C1-C20 헤테로고리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알케닐기, C1-C10 알콕실기, 아릴기, 아릴록실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록실기, 아미노기, C1-C10 알킬아미노기, C1-C20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C1-C10 알킬술폰아미노기, 아릴술폰아미노기, C1-C10 알킬리미노기, 아릴리미노기, C1-C10 알킬솔포니미노기, 아릴솔포니미노기, 히드록시기, halo기, 황-, C1-C10 알킬황, 아릴황, C1-C10 알킬솔포닐기, 아릴솔포닐기,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아실기, 아미노황아실기, 아미도기, 아미디노기, 구아니딘기, 우레이도기, 황우레이도기, 사이아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아지드기, 아실기, 황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보닐기, 및 카복실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할로로 치환된 C6-C16 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2,4-디클로로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피페리디닐이고, R3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수소 또는 S(O2)NRaRb이고, R5는 S(O2)NRaRb이며, 여기에서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b, 및 Ra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C6-C16 아릴의 치환기는 C1-C10 알킬기, C2-C10 알켄닐기, C2-C20 알키닐기, C3-C20 고리알킬기, C3-C20 고리알케닐기, C1-C20 헤테로고리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알케닐기, C1-C10 알콕실기, 아릴기, 아릴록실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록실기, 아미노기, C1-C10 알킬아미노기, C1-C20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C1-C10 알킬술폰아미노기, 아릴술폰아미노기, C1-C10 알킬리미노기, 아릴리미노기, C1-C10 알킬솔포니미노기, 아릴솔포니미노기, 히드록시기, halo기, 황-, C1-C10 알킬황, 아릴황, C1-C10 알킬솔포닐기, 아릴솔포닐기,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아실기, 아미노황아실기, 아미도기, 아미디노기, 구아니딘기, 우레이도기, 황우레이도기, 사이아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아지드기, 아실기, 황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보닐기, 및 카복실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수소 또는 S(O2)NRaRb이고, R5는 S(O2)NRaRb이며, 여기에서 Rb, 및 Ra Rb가 연결된 질소원자와 함께 있는 Ra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킬,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3-C20 헤테로시크로알케닐, 또는 N, O 및 S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13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6은 C1-C10 알킬, C3-C20 시크로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 아릴이고,
    상기 C6-C16 아릴의 치환기는 C1-C10 알킬기, C2-C10 알켄닐기, C2-C20 알키닐기, C3-C20 고리알킬기, C3-C20 고리알케닐기, C1-C20 헤테로고리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알케닐기, C1-C10 알콕실기, 아릴기, 아릴록실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록실기, 아미노기, C1-C10 알킬아미노기, C1-C20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C1-C10 알킬술폰아미노기, 아릴술폰아미노기, C1-C10 알킬리미노기, 아릴리미노기, C1-C10 알킬솔포니미노기, 아릴솔포니미노기, 히드록시기, halo기, 황-, C1-C10 알킬황, 아릴황, C1-C10 알킬솔포닐기, 아릴솔포닐기,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아실기, 아미노황아실기, 아미도기, 아미디노기, 구아니딘기, 우레이도기, 황우레이도기, 사이아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아지드기, 아실기, 황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보닐기, 및 카복실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25. 하기 화합물 10, 63, 및 119 중에 하나인 화합물의 효과적인 용량을 포함하는 말초의 카나비노이드 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 치료용 약제조성물:
    Figure 112015038515552-pct00031

    상기 말초의 카나비노이드 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이 비만, 과체중, 제2형 당뇨병, 비-알콜성 지방간 질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죽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뇌졸증, 고혈압, 기관지 확장증, 출혈충격, 간 섬유증, 간경변, 신경 질병, 중독성 질병, 대사질병, 녹내장, 골다공증, 골관절염, 신장병, 신장 섬유증 또는 만성 염증성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초의 카나비노이드 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 치료용 약제조성물.
  26. 삭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말초의 카나비노이드 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은 비만, 제2형 당뇨병, 신장병, 신장 섬유증, 골다공증, 골관절염,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초의 카나비노이드 1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 치료용 약제조성물.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37013334A 2011-09-30 2012-09-25 피라졸 화합물 KR101586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1182P 2011-09-30 2011-09-30
US61/541,182 2011-09-30
PCT/US2012/056999 WO2013048989A2 (en) 2011-09-30 2012-09-25 Pyrazole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41A KR20130094341A (ko) 2013-08-23
KR101586714B1 true KR101586714B1 (ko) 2016-01-19

Family

ID=4799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334A KR101586714B1 (ko) 2011-09-30 2012-09-25 피라졸 화합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962845B2 (ko)
EP (1) EP2632919B1 (ko)
JP (1) JP5872591B2 (ko)
KR (1) KR101586714B1 (ko)
CN (1) CN103459383B (ko)
AU (1) AU2012316331B2 (ko)
BR (1) BR112013013490B1 (ko)
CA (1) CA2818944C (ko)
ES (1) ES2710020T3 (ko)
RU (1) RU2600983C2 (ko)
TW (1) TWI472514B (ko)
WO (1) WO2013048989A2 (ko)
ZA (1) ZA201303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414B1 (ko) * 2017-09-12 2019-05-02 주식회사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0702B1 (ko) 2017-11-01 2018-03-22 압타바이오 주식회사 간질환 치료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0217A2 (en) * 2001-08-31 2003-03-13 University Of Connecticut Novel pyrazole analogs acting on cannabinoid recepto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3225B1 (fr) * 1993-12-02 1996-03-01 Sanofi Sa N-pipéridino-3-pyrazolecarboxamide substitué.
FR2741621B1 (fr) * 1995-11-23 1998-02-13 Sanofi Sa Nouveaux derives de pyrazole,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n contenant
US7393842B2 (en) 2001-08-31 2008-07-01 University Of Connecticut Pyrazole analogs acting on cannabinoid receptors
KR100950430B1 (ko) * 2001-09-21 2010-04-02 솔베이 파마슈티칼스 비. 브이 효력있는 cb1-길항 작용을 가지는4,5-디하이드로-1h-피라졸 유도체
ITMI20041033A1 (it) * 2004-05-24 2004-08-24 Neuroscienze S C A R L Composti farmaceutici
EP1831177A1 (en) * 2004-12-23 2007-09-12 AstraZeneca AB Therapeutic agents
GB0428075D0 (en) * 2004-12-23 2005-01-26 Astrazeneca Ab Therapeutic agents
US8084451B2 (en) 2005-01-10 2011-12-27 University Of Connecticut Heteropyrrole analogs acting on cannabinoid receptors
EP1928859A1 (en) * 2005-06-17 2008-06-11 Carex SA Pyrazole derivates as cannabinoid receptor modulators
AR058277A1 (es) * 2005-12-09 2008-01-30 Solvay Pharm Gmbh N- sulfamoil - piperidin - amida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as comprenden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CN101437398A (zh) * 2006-03-10 2009-05-20 詹里恩探索公司 用于治疗肥胖症的大麻素受体拮抗剂/反向激动剂
TWI408136B (zh) * 2006-10-02 2013-09-11 Nat Health Research Institutes 噻吩化合物及其醫藥組成物
GB0625196D0 (en) * 2006-12-18 2007-01-24 7Tm Pharma As Modulators of cannabinoid receptor
US8367714B2 (en) * 2007-08-28 2013-02-05 Vanderbilt University Cannabinoid receptor targeted agent
US8133904B2 (en) * 2007-09-07 2012-03-13 Jenrin Discovery, Inc. Cannabinoid receptor antagonists/inverse agonists useful for treating obesity
JP2011506410A (ja) * 2007-12-10 2011-03-03 7ティーエム ファーマ エイ/エス カンナビノイド受容体モジュレーター
JP2010070514A (ja) 2008-09-19 2010-04-02 Toray Ind Inc ピラゾール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0217A2 (en) * 2001-08-31 2003-03-13 University Of Connecticut Novel pyrazole analogs acting on cannabinoid recep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62845B2 (en) 2015-02-24
CA2818944C (en) 2016-05-10
AU2012316331A1 (en) 2013-06-20
RU2013125232A (ru) 2015-12-27
ES2710020T3 (es) 2019-04-22
WO2013048989A2 (en) 2013-04-04
EP2632919A4 (en) 2014-04-16
BR112013013490A2 (pt) 2016-10-04
TW201317217A (zh) 2013-05-01
KR20130094341A (ko) 2013-08-23
TWI472514B (zh) 2015-02-11
BR112013013490B1 (pt) 2019-10-22
WO2013048989A3 (en) 2013-05-23
CN103459383A (zh) 2013-12-18
EP2632919A2 (en) 2013-09-04
US20130085126A1 (en) 2013-04-04
JP5872591B2 (ja) 2016-03-01
EP2632919B1 (en) 2018-11-07
CN103459383B (zh) 2016-06-22
ZA201303800B (en) 2014-07-30
RU2600983C2 (ru) 2016-10-27
CA2818944A1 (en) 2013-04-04
JP2014507425A (ja) 2014-03-27
AU2012316331B2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1393B2 (ja) Junn−末端キナーゼの阻害薬
US6825190B2 (en) Protein kin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TWI386405B (zh) 咪唑衍生物
DE60017376T2 (de) Carbaminsäurederivate und ihre verwendung als liganden von metabotropen glutamatrezeptoren
US20110124626A1 (en) Benzazep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histamine h3 antagonists
JP6552061B2 (ja) 代謝型グルタミン酸受容体の負のアロステリックモジュレーター(nams)とその使用
SK9852001A3 (en) Triazole compounds with dopamine-d3-receptor affinity
DE60315062T2 (de) Triazolverbindungen zur behandlung von dysmenorrhoe
WO2007030680A2 (en) Triazole derivatives useful as axl inhibitors
JP2008525478A (ja) 神経系及び精神医学系障害の治療のための代謝共役型グルタミン酸受容体アゴニストとしてのピラゾロン化合物
KR20070096038A (ko) Mglur5 길항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피롤리딘 및피페리딘 아세틸렌 유도체
AU714701B2 (en) Novel thiophene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KR101586714B1 (ko) 피라졸 화합물
WO2003002540A1 (en) Cyclic diamine compound having five-membered cyclic group
CN113166160B (zh) 作为毒蕈碱型m1受体正向别构调节剂的吡咯并哒嗪衍生物
CN100542534C (zh) 取代的哌嗪
US20040236114A1 (en) Imidazole derivatives as adenosine deaminase inhibitors
US20230227428A1 (en) Amido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