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037B1 - 다능성 줄기세포의 제작, 유지, 증식을 증진하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다능성 줄기세포의 제작, 유지, 증식을 증진하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037B1
KR101586037B1 KR1020120126352A KR20120126352A KR101586037B1 KR 101586037 B1 KR101586037 B1 KR 101586037B1 KR 1020120126352 A KR1020120126352 A KR 1020120126352A KR 20120126352 A KR20120126352 A KR 20120126352A KR 101586037 B1 KR101586037 B1 KR 10158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differenti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638A (ko
Inventor
조이숙
이경
이정운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13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6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e.g. 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8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8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09/2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substituted additionally by nitrogen atoms, e.g. tryptop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8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09/2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with an alkyl or cycloalkyl radical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2Atmosphere, e.g. low oxygen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5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GF-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60Transcription factors
    • C12N2501/602Sox-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60Transcription factors
    • C12N2501/603Oct-3/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60Transcription factors
    • C12N2501/604Klf-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60Transcription factors
    • C12N2501/606Transcription factors c-My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2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mbryonic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9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pidermal cells, from skin cells, from oral mucosa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 분화세포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작하기 위한 역분화 유도 배양과정에 신규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을 첨가하면, 역분화 유도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분화 유도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역분화 유도인자이자 암유발 위험인자인 c-Myc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상산소 배양 조건 및 저산소 배양조건에서도 역분화 유도 효율을 모두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RSC-133은 역분화 유도 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노화 유도를 억제하고 세포 증식 둔화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후성 유전학적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역분화 유도 배양조건을 개선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소스에서 확보된 적은 양의 환자-특이적 체세포로부터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제작과정을 최적화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임상적용 가능한 개인 맞춤형 줄기세포 세포 치료제 개발 및 신약개발과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실용화시기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 다른 양태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이 대표적인 다능성 줄기세포인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상태 유지에 효과적인 배양 배지 조성물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SC-133이 첨가된 배지 조성물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증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배아줄기세포의 대량 배양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scription

다능성 줄기세포의 제작, 유지, 증식을 증진하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배양방법{NOVEL SMALL MOLECULAR COMPOUND FOR THE GENERATION, MAINTENANCE, PROLONGED UNDIFFERENTIATED GROWTH OF PLURIPOTENT STEM CELL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CULTURING PLURIPOTENT STEM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인돌아크릴산 기반의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물 및 이를 이용하는 역분화된 다능성 줄기세포 제조 방법 및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란,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가-증식능이 우수하고 일정한 환경과 조건이 주어질 경우 특정 기능과 형태를 갖도록 조직-특이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총체적으로 의미한다. 인간 배아줄기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s)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를 포함하는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human pluripotent stem cell)는 적당한 체외 배양조건에서 무한 증식(자가재생산능; self-renewal)을 할 수 있고, 개체를 이루고 있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특성(다능성 또는 전분화능 ;pluripotency)으로 인해 개체의 발생, 분화 및 성장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기초 지식 이해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의 근복적인 치료 방법인 세포 치료제 개발 그리고 신약 개발 분야에 이르기까지 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성과의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을 기반으로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기위한 노력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 제작 및 증식 배양 과정에서의 효율성, 안전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해결되어야 할 병목요소들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미분화 및 분화상태의 줄기세포를 확보하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시적으로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안정화된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며, 특히, 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태에서 세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성능이 우수하고, 효율성이 뛰어난 배양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는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등과 같은 영양세포(feeder cells)와 공배양 하거나 영양세포를 증식시킨 배양액(conditioned media; CM)에 배양함으로써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지 및 배양할 수 있다. 그러나, 동물 영양세포와의 직접 배양 또는 영양세포 배양액을 사용하는 배양 방법 모두 바이러스와 같은 1종 이상의 감염원이 동물세포로부터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로 전파될 수 있는 위험이 따른다.
이에, 최근에는 동물 영양세포 또는 혈청을 이용하지 않고 저분자 화합물, 펩타이드 등을 활용하여 배양배지 구성물의 성분이 알려진 무혈청배지 (chemically defined medium)를 개발하고, 이를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 제작, 배양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줄기세포 시장 성장에 상당히 높은 비중으로 기여하고 있다.
냉동 배아의 내부세포괴 (inner cell mass)로부터 유래한 배아줄기세포는 폐기될 냉동 배아에서 추출하므로 법적인 문제는 없으나, 배아에서 추출하므로 생명 파괴라는 입장에서 윤리적, 종교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제한된 배아로부터 유래하므로 각 개체간 면역 적합성 부재로 인하여 세포 치료제로 개발 시 이식 거부반응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역분화 인자를 이용하여 성체세포로부터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유사한 다능성 줄기세포의 특성을 가진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방법이 성공(Cell 126, 663-676, 2006; Cell 131, 861-872, 2007; Nature 441, 1061-1067, 2006; Nature 451, 141-146, 2008)함에 따라 다능성 줄기세포를 이용한 줄기세포 실용화 기술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도 만능 줄기세포는 제작과정에 배아가 필요하지 않으며, 환자 자신에게서 추출한 세포를 이용하는 경우 면역거부에 대한 문제가 없어 기술적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다만, 현 기술을 실용화 단계까지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현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즉, 낮은 역분화 유도 효율을 개선하고 임상적용의 안전성을 확보하기위해 바이러스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후속기술개발이 중요하다.
이에,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론으로 세포 외부 환경조절이나 첨가물 특히,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유도효율 증가에 대한 성공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배아줄기세포의 환경과 유사한 저산소 상태에서 역분화 줄기세포의 유도 효율이 효과적으로 증가됨이 보고된바 있으며(Cell Stem Cell, 5: 237-241, 2009), Ding 박사팀(Shi et al., Cell Stem Cell, 2008)은 BIX-01294(G9a histone methyltransferase inhibitor), BayK8644(L-type calcium channel agonist), RG108(DNA methyltransferase inhibitor)등의 저분자 화합물이 Melton 박사팀(Huangfu et al., Nat Biotechnol, 2008)은 VPA(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SA(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SAHA(histone deacetylase inhibitor)등의 저분자 화합물이 역분화 유도 효율을 증진 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고한바 있다. 바이러스 사용을 대체할 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에 있어 1) 다단백질발현단일벡터(single nonviral polycistronic vector)를 이용한 transient 발현 기술(Gonzalez et al, PNAS USA, 2009; Chang et al, Stem cells, 2009), 2) adenoviral 형질도입 기술(Stadtfeld et al, Science 2008), 3) Cre/loxP 재조합 발현제어시스템 개발(Soldner et al, Cell, 2009)을 통해 다단백질발현단일벡터을 이용하여 iPSC를 확립하고, Cre transfection을 통해 역분화카세트 제거하는 기술(kaji et al, Nature, 2009), 4) piggyBac(PB) 전이인자시스템 transposon system 개발(Woltjen et al, Nature, 2009; kaji et al, Nature, 2009), 5) nonintegrating episomal vectors 개발(Yu et al, Science, 2009)등에 대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고 있으나, 여전히, 유전자 이상 및 암화 유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분화 상태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의 유지, 배양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과 체세포로부터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작하는 역분화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을 지속적으로 탐색한 결과, 발굴된 신규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을 발굴하였고, RSC-133이 포함된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작하기위한 역분화 유도 효율이 획기적으로 증진되고,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의 미분화 상태 유지 및 증식을 위한 배양 조건이 효과적으로 개선됨을 검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학식 1의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학식 1의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로의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화된 세포; 상기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 및 역분화 유도인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화된 세포는 다능성 줄기세포로 역분화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분화된 세포에 역분화 유도인자를 전달하는 단계; 및 (b) 분화된 세포를 상기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에서 역분화된 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분화 상태의 다능성 줄기세포의 유지, 증식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분화 상태로 다능성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분화 상태의 다능성 줄기세포의 유지, 증식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능성 줄기세포; 및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가 다수의 연속 계대 배양을 통해서 미분화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배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92012539-pat00001
상기 화학식에, R1은 메톡시기(OCH3), 아미노기(NH2), 메틸아미노기(NHCH3), 디메틸아미노기(N(CH3)2), O-이소프로필기(O-isopropyl), 프로필아미노기(NHCH(CH3)2), 히드록시기(OH), NHCH2-furan, NHCH2CH2-piperidine, 또는 NH(CH2)3-morpholine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수소(H)이다. 또한, 상기 ---로 표현된 부분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메톡시기(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아미노기(NH2)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메틸아미노기(NHCH3)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디메틸아미노기(N(CH3)2)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아미노기(NH2)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단일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O-이소프로필(O-isopropyl)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아미노기(NH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메틸아미노기(NHCH3)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프로필아미노기(NHC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디메틸아미노기(N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히드록시기(OH)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NHCH2-furan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NHCH2CH2-piperidine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NH(CH2)3-morpholine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O-이소프로필(O-isopropyl)이고; R2는 수소이고; --- 부분이 이중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1) 내지 15)와 같다.
1) 메틸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에이트(methyl 3-[3-(1H-indol-3-yl)acrylamido]benzoate);
2)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benzamide);
3)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메틸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N-methylbenzamide);
4)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N-디메틸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N,N-dimethylbenzamide);
5) 3-(3-1H-인돌-3-일-프로피오닐아미노)-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propionylamino)-benzamide);
6) 이소프로필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 벤조에이트 (isopropyl 3-[3-(1H-indol-3-yl)acrylamido]-4-hydroxybenzoate);
7)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 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4-hydroxybenzamide);
8)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메틸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4-hydroxy-N-methylbenzamide);
9)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이소프로필벤즈아마이드(3-[3-(1H-indol-3-yl)acrylamido]-4-hydroxy-N-isopropylbenzamide);
10)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N-디메틸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4-hydroxy-N,N-dimethylbenzamide);
11)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산 (3-[3-(1H-indol-3-yl)acrylamido]benzoic acid);
12)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푸란-2-일메틸)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N-(furan-2-ylmethyl)benzamide);
13)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N-(2-피페리딘-1-일-에틸)-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oylamino)-N-(2-piperidin-1-yl-ethyl)-benzamide);
14)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N-(3-모폴린-4-일-프로필)-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oylamino)-N-(3-morpholin-4-yl-propyl)-benzamide);
15) 이소프로필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에이트 (isopropyl 3-[3-(1H-indol-3-yl)acrylamido]benzoate).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염 등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일 수 있다.
Figure 112012092012539-pat00002
상기 화학식 2는 인돌 유도체로서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amido)-benzamide)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Reprogramming Stimulating Compound-133, RSC-133, ID-133).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trans-3-indoleacrylic acid based compounds)에 대한 아날로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과정에서 발견된 신규한 화합물이다. 생쥐 섬유아 세포를 역분화 하는 과정에서 상기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 39종을 각각 처리하여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 2종을 선정하였고, 이를 포함한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 새로운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 32종 선정하여 인간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유도 효율 증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효과가 우수한 reprogramming stimulating compound (RSC)-133을 선정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RSC-133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트랜스-3-인돌아크릴산과 3-아미노-벤즈아마이드2를 DMF에 녹인 후, 해당 용액에 아마벤조트리아졸-1-일-N-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Benzotriazol-1-yl-N-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N,N-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N,N-diisopropyl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RSC-133)를 노란 고체 형태로 얻었다 (실시예 1-2).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RSC-133),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배지(culture media)"는 체외배양 조건에서 세포성장 및 생존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배양액을 의미하고, 세포의 배양에 적절한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배지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배지 조성물이란 배지에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서나 특수한 목적을 위해 넣어주는 물질을 뜻하는 것으로, 배지에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한다. 상기 배지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배지의 구성과 배양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바람직하게는 세포 배양 최소 배지(cell culture minimum medium; CCMM)로, 일반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이런 세포 배양 최소 배지에는 예들 들어,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1640, F-10, F-12, α-MEM(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로의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RSC-133),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화"란 세포가 분열하여 증식하며 전체 개체가 성장하는 동안에 세포의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이 각각에게 주어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형태 및 기능으로 변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전능성 줄기세포는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세포로 변하는 과정도 분화이며, 좁게는 조혈모세포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변하는 과정도 분화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화된 세포"란 상기 분화과정이 진행되어 일정 형태 및 기능을 가지게 된 세포를 말한다. 본 발명의 분화된 세포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체세포(somatic cell) 또는 전구세포(progenitor cell)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서 유래한 세포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체세포"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동식물을 구성하는 분화가 완결된 모든 세포를 뜻하며 염색체가 2n을 유지한다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구세포"는 자손에 해당하는 세포가 특정 분화 형질을 발현하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분화 형질을 발현하지 않은 미분화 부모세포를 말한다. 예를 들면, 신경세포(뉴런)에 대해서는 신경아세포(뉴런간세포)가 전구세포에 해당하고, 근관세포에 대해서는 근아세포가 전구세포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다능성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란 개체의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pluripotent)이거나 전능성(totipotent)이 있는 자가재생산능(self-renewal)을 갖는 줄기세포를 말하며, 배아줄기세포와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포함하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다능성 줄기세포로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다능성 줄기세포를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다능성 줄기세포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배아줄기세포"란, 수정란이 모체의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세포괴(inner cell mass)를 추출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것으로서, 개체의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多能性, pluripotent)이거나 전능성(全能性, totipotent)이 있는 자가재생산능(self-renewal)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배아체(embryoid bodies)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아줄기세포로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배아줄기세포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유도 만능 줄기세포"란, 분화된 세포들로부터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을 통해 다능성 분화능을 가지도록 유도된 세포들을 일컫는 말로서 역분화줄기세포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이라고도 한다.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은 레트로바이러스 및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한 바이러스-매개 또는 비바이러스성 벡터 이용, 단백질 및 세포 추출물 등을 이용하는 비바이러스-매개 역분화 인자의 도입에 의해 수행되거나, 줄기세포 추출물, 화합물 등에 의한 역분화 과정을 포함한다. 유도 만능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같은 특성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비슷한 세포 모양을 보여주며, 유전자, 단백질 발현 패턴이 유사하며, in vitro 및 in vivo에서 전분화능을 가지며, 테라토마 (teratoma)를 형성하고, 생쥐의 배반포 (blastocyst)에 삽입시켰을 때, 키메라 (chimera) 생쥐를 형성하고, 유전자의 생식선 전이 (germline transmission)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유도 만능 줄기세포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역분화(de-differentiation)"는 분화된 세포가 새로운 유형의 분화되는 잠재력을 갖는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또한,상기 역분화는 본 발명에서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세포의 역분화 기작은 핵 내의 후생유전학(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서의 변화없이 기능에서의 유전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과 관련된 DNA 상태)적 마크가 삭제된 후, 상이한 세트의 후생유전학적 마크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세포 생물이 분화 및 성장하는 동안, 상이한 세포 및 조직은 상이한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획득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역분화 촉진"이란 역분화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역분화의 과정이 빠르게 일어나게 하거나 역분화되는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곧, 역분화의 효율을 속도 및 비율 면에서 증진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화된 세포를 다능성을 가지는 줄기세포로의 역분화를 촉진하는 조성물은 세포의 생존 및 기능에 해가 되지 않는 농도의 RSC-13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01 초과 내지 50 μM 미만의 농도의 RSC-133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초과 내지 20 μM 미만의 농도의 RSC-133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8 초과 내지 12 μM 미만의 농도의 RSC-1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분화된 세포를 다능성을 가지는 줄기세포로의 역분화를 촉진하는 조성물에는 역분화 유도인자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역분화 유도인자"란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가 새로운 유형의 분화되는 잠재력을 갖는 유도 만능줄기세포로 역분화 되도록 유도하는 물질이다. 상기 역분화 유도인자는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의 역분화를 유도하는 물질이면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분화시키려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역분화 유도인자로서 Oct4, Sox2, KlF4, c-Myc, Nanog 및 Lin-2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을 코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핵산분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Oct4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Oct4, Sox2 및 KlF4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배양 배지 형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분화된 세포가 다능성 줄기세포로 역분화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세포 배양 배지에 포함되는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생쥐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상기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 39종을 대상으로 역분화 유도 증진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규한 화합물 RSC-133 또는 ID-558을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이 효과적으로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기 알려진 역분화 촉진 화합물들(Valproic acid, 5-azacytidine, BIX-01294 등)과 효능을 비교 분석하였을 때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가장 효과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증진 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2a 및 도 2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생쥐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유도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했던 신규한 화합물 RSC-133 또는 ID-558을 포함하는 신규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 32종을 대상으로 역분화 유도 증진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신규한 화합물 RSC-133을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이 효과적으로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상배양조건(21% O2) 뿐만 아니라 저산소배양조건(5% O2)에서도 신규한 화합물 RSC-133을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유도 효율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도 4). 정상배양조건(21% O2) 보다 저산소배양조건(5% O2)이 다능성 유지와 역분화 유도에 효과적임이 여러 연구팀에 의해 확인된 바 있으며, RSC-133의 첨가로 다능성 줄기세포의 배양 조건 및 다능성 줄기세포 역분화 조건이 추가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RSC-133 첨가에 의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역분화 줄기세포의 역분화 유도 시에 기존 역분화 인자 (c-Myc)를 대체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c-Myc은 암유발 유전자로서 역분화 유도 후 형성된 역분화 줄기세포주에서 c-Myc 바이러스 유전자의 재발현은 암 유발에 관여한다고 알려졌다. 그러므로 c-Myc을 제외한 역분화 유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발명에서 RSC-133 단독으로는 대체 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Sodium butylate (NaB)와 함께 첨가시 c-Myc 인자를 대체할 수 있으며,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유도 효율 또한,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도 5).
결론적으로 신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이 마우스 및 인간 세포의 역분화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역분화 효율 증진에 효과적인 최적의 RSC-133 첨가 농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농도 조건에서 역분화 유도 효율을 확인한 결과, RSC-133 농도에 의존적으로 역분화 유도 효율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도 8). 구체적으로는, 도 8의 상단에 제시된 배양 조건에 따라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OSKM 유전자의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도 8의 하기 그래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0μM, 0.1μM, 1μM, 5μM, 10μM, 20μM의 농도로 RSC-133을 첨가한 역분화 유도 조건하에서 역분화 유도 효율 변이를 확인하였다. 각 농도에 따른 역분화 효율은 hESC-특이 인자인 Alkaline phosphatase (AP) 염색에서 양성 반응을 나타내며, hESC-like morphology를 가진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RSC-133은 10 μM 까지는 농도에 의존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도 8). RSC-133 첨가 농도를 20 μM까지 높이는 조건에서 역분화 효율이 병행하여 추가로 증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8). 추가적으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RSC-133을 50 μM까지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을 유도하지 않음을 검증하였다 (도 9).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역분화 유도 프로토콜에서 RSC-133을 처리하는 시기 및 기간을 최적화 하기위해 다양한 조건하에서 RSC-133을 첨가한 후 역분화 유도 효율의 변이를 확인하였다 (도 10).
그 결과, RSC-133을 동일하게 5일 동안 1(바이러스 감염 후 5일, 도 10; 조건 4), 2 (바이러스 감염 5일 후 -10일까지, 도 10; 조건 7), 3 (바이러스 감염 10일 후 -15일까지, 도 10; 조건 8), 4단계 (바이러스 감염 15일 후 -20일까지, 도 10; 조건 9)로 나누어 처리한 경우, 1 단계인 바이러스 감염 직 후부터 초기 5일 동안 분화세포 배양배지와 함께 처리한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10). 또한, RSC-133을 동일하게 10일 동안 1(바이러스 감염 후 10일, 도 10; 조건 3), 2 (바이러스 감염 5일 후 -15일까지, 도 10; 조건 6), 3 단계(바이러스 감염 10일 후 -20일까지, 도 10; 조건 10)로 나누어 처리한 경우, 1 단계인 바이러스 감염 직후부터 전반기 10일 동안 (분화세포 배양배지에서 5일 배양 후 새로운 배양 접시에 옮겨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배지에서 추가로 5일 배양, 도 10; 조건 3) 처리한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10). 또한, RSC-133을 동일하게 15일 동안 1(바이러스 감염 후 15일, 도 10; 조건 2), 2 단계(바이러스 감염 5일 후 -20일까지, 도 10; 조건 5)로 나누어 처리한 경우 두 조건 모두에서 역분화 효율이 유사하게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도 10). 테스트한 모든 조건에서, 역분화 유도 전체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RSC-133을 처리하였을 때 역분화 유도 효율이 가장 높게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도 10, 조건1). 결론적으로, RSC-133이 역분화 초기 과정에 처리하였을 때 역분화 유도 증진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초기 이후 처리에 있어서도 처리한 시간에 의존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역분화 유도 배양과정에서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세포수를 시간대별로 총세포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도 11). OSKM을 transduction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OSKM을 transduction한 조건하에서 세포수의 증가가 상당히 둔화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같은 조건에서 신규한 화합물 RSC-133을 처리한 경우 이러한 세포성장의 둔화가 상대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도 12). 추가적으로 역분화 유도 배양동안 세포증식 변이를 BrdU 어세이 방법을 통해 확인 한 결과 상기 결과와 유사하게 신규한 화합물 RSC-133을 처리한 경우 세포성장이 처리한 시간에 의존적인 양태로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도 13-15).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역분화 유도 배양과정에서의 kinetics 촉진하여 역분화 유도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간대별로 hESC-특이 인자의 발현양상을 검증하였다. 도 15와 1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처리된 조건에서 역분화를 유도한 경우 hESC-특이 인자들(Nanog, Tra1-81, Oct4, Rex1)의 발현이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조기에 출현함을 면역염색법 (도 15)과 real-time PCR 방법(도 16)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역분화 유도 kinetics 촉진하여 역분화 유도에 소요되는 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역분화 유도 과정에서의 장애요소로 알려진 OSKM transduction에 의해 유도되는 노화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노화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호전달인자인 p53, p21, p16의 발현 양태 변이(도 16) 및 SA-β-Gal assay(도 17)를 측정하였다. 도 1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처리된 배양조건에서 노화 인자인 p53, p21, p16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도 17에 보인 바와 같이 RSC-133을 처리했을 경우에 SA-β-Gal 양성 세포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써 RSC-133에 의한 노화인자의 억제가 역분화 유도조건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역분화 유도 과정에 요구되는 후성유전학적 변이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기위해 줄기세포의 다능성 상태와 연관된 후성유전학적 활성화 상태인 H3K9 아세틸화 양태를 분석하였다. 도 1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신규한 화합물 RSC-133이 처리된 배양조건에서 H3K9 아세틸화가 증진됨을 면역염색법 웨스턴 블롯 방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RSC-133이 역분화 유도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한 H3K9 아세틸화 증진이 RSC-133에 의해 유도되는 HDAC (특히, HDAC1) 활성억제 (도 19)와 HDAC1 발현 억제 (도 21)에 연관되어 있음을 효소활성 측정과 웨스턴 블롯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아울러, DNA 메틸화에 작용하는 DNA methyl transferase 1(DNMT1)의 활성이 RSC-133에 의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규한 화합물 RSC-133을 처리한 조건에서 제작된 다능성 줄기세포가 지속적인 배양과정동안 hESC-like morphology를 유지하고, hESC와 유사한 수준으로 hESC-특이 인자를 발현하며 (도 22-23), hESC-특이 프로모터 (Oct4, Nanog) 메틸화 양태를 나타내고(도 24), 역분화 유도에 이용한 4가지 transgene (OSKM) 모두 숙부세포 게놈에 integration 되어 있고 (도 25), 정상핵형을 유지하며(도 26), 생체외 (도 27) 및 생체내 (도 28)에서 삼배엽으로 분화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분화된 세포; 상기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 및 역분화 유도인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화된 세포는 다능성 줄기세포로 역분화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화된 세포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과 역분화 유도인자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시험관 내 모든 세포 배양물을 포함한다. 이는 역분화 과정에 있는 각종 세포들과 이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단백질 및 효소, 전사체들과 이를 함유하는 배양액까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RSC-133),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화된 세포 및 다능성 줄기세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역분화는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HDAC1의 기능이 억제되고 H3K9ace 레벨을 증가되는 특징을 보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분화된 세포에 역분화 유도인자를 전달하는 단계; 및 (b) 분화된 세포를 상기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에서 역분화된 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의 역분화 유도인자를 분화된 세포에 전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포에 핵산분자 또는 단백질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역분화 유도인자를 분화된 세포의 배양액에 투여하는 방법, 역분화 유도인자를 분화된 세포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 또는 역분화 유도인자의 유전자를 삽입한 바이러스 벡터로 트랜스펙션시킨 패키징 세포로부터 수득한 바이러스로 분화된 세포를 감염시키는 것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역분화 유도인자를 분화된 세포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입자 분사법(particle bombardment), 직접근육주입법, 인슐레이터(insulator) 및 트랜스포존을 이용한 방법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분화 유도인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세포는 사용된 바이러스 벡터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세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GP2-293 패키징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러스 벡터는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es), 예를 들어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MLV(Murine leukemia virus), ASLV(Avian sarcoma/leukosis), SNV(Spleen necrosis virus), RSV(Rous sarcoma virus), MMTV(Mouse mammary tumor virus) 등, 렌티바이러스(Lentiviruse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아데노-관련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헤르페스 심플렉스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등에서 유래한 벡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pMXs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및 (b)의 단계는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계 (b)로부터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배아줄기세포-유사 콜로니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다능성 줄기세포의 미분화 상태 유지 및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능성 줄기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인 H9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분화 상태가 유도되기 쉬운 배양조건인 unconditioned medium (UM)을 이용하여 배양하고 신규한 화합물인 RSC-133을 처리하는 경우 분화 유도가 억제되고 미분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도 2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신규한 화합물인 RSC-133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 분화 유도가 억제되고 미분화 상태가 conditioned medium (CM)에서 배양한 수준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RSC-133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 hESC-특이 인자의 발현이 CM에서 배양한 수준으로 유지되고(도 30), 특히, 후성유전학적 활성화 상태를 검증할 수 있는 H3K9 아세틸화 상태가 CM에서 배양된 미분화 hESC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도 31)을 검증함으로써 RSC-133이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의 미분화 상태 유지를 개선하고,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다능성 줄기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에는 미분화 다능성 줄기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01 초과 내지 50 μM 미만의 농도의 RSC-133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초과 내지 20 μM 미만의 농도의 RSC-133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초과 내지 15 μM 이하 농도의 RSC-13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에는 N2 보충물, B27 보충물, bFGF 및 TGF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N2 보충물과 B27 보충물은 1:1의 비율로 제공되고, 상기 bFGF는 4-100 ng/ml의 농도로 제공되고, 상기 TGF 는 1-10ng/ml의 농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에는 기 알려진 chemically defined medium의 조성물의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RSC-133을 첨가함으로써 chemically defined medium의 조성 및 효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배아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배아줄기세포를 상기 배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양 조건 하에서 배양하여 배아줄기세포주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주의 확립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아줄기세포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배아줄기세포이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미분화 상태 유지 및 배양용 다능성 줄기세포의 조성물 상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능성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방법은 동물 혈청 및 영양세포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하지 않는 상태로 배아줄기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아줄기세포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배아줄기세포이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다능성 줄기세포; 및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가 다수의 연속 계대 배양을 통해서 미분화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배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능성 줄기세포에 RSC-133을 포함하는 미분화 상태 유지 및 배양용 다능성 줄기세포의 조성물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시험관 내 모든 세포 배양물을 포함한다. 이는 배양 과정에 있는 각종 세포들과 이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단백질 및 효소, 전사체들과 이를 함유하는 배양액까지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능성 줄기세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 분화세포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작하기 위한 역분화 유도 배양과정에 신규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을 첨가하면, 역분화 유도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분화 유도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역분화 유도인자이자 암유발 위험인자인 c-Myc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상산소 배양 조건 및 저산소 배양조건에서도 역분화 유도 효율을 모두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RSC-133은 역분화 유도 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노화 유도를 억제하고 세포 증식 둔화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후성유전학적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역분화 유도 배양조건을 개선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소스에서 확보된 적은 양의 환자-특이적 체세포로부터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제작과정을 최적화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임상적용 가능한 개인 맞춤형 줄기세포 세포 치료제 개발 및 신약개발과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실용화시기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 다른 양태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이 대표적인 다능성 줄기세포인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상태 유지에 효과적인 배양 배지 조성물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SC-133이 첨가된 배지 조성물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증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배아줄기세포의 대량 배양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 1은 신규 합성물질인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의 아날로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이용한 마우스 세포의 역분화 조절인자 발굴 과정을 보여 준다. 역분화 줄기세포 생성을 촉진하는 저분자성 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해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 (OG2-MEF: hemizygous for the Oct4-GFP transgene)를 Oct4, Sox2, Klf4, 그리고 c-Myc의 역분화 인자 바이러스로 형질전환 시켰다. 5일 후, 젤라틴 코팅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각각의 저분자 화합물을 포함한 마우스 배아줄기세포 배양액으로 마우스 줄기세포와 유사한 모양을 가진 콜로니가 형성될 때 까지 배양하였다. 15일 후 endogenous Oct4 GFP 형광이 발현되는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을 증진 시킨 화합물을 발굴하였다. A는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서 역분화를 유도하는 실험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Oct4 (O), Sox2 (S), Klf4 (K), 그리고 cMyc (M). B는 스크리닝한 화합물 중 RSC-133과 558에 의해 역분화 유도 효율이 증가된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도 2a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인 133에 의한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를 비교 분석한 도면이다. 역분화 줄기세포 생성을 촉진한다고 보고된 저분자성 화합물인 DNA methyltransferase inhibitor (5-Azacytidine; AZA), G9a histone methyltransferase inhibitor (BIX-01294), 그리고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Valproic acid; VPA)와 신규 저분자성 화합물 133의 역분화 증진 효과를 endogenous Oct4 GFP 형광이 발현되는 콜로니 수 측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RSC-133을 첨가했을 경우, 다른 화합물을 처리하거나 혹은 Oct4, Sox2, Klf4, 그리고 c-Myc(OSKM)의 역분화 인자 바이러스를 증가시켰을 때 보다 대조군에 비해 가장 크게 역분화 효율을 촉진시켰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P < 0.05).
도 2b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인 133에 의한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를 비교 분석한 도면이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hFF)에 OSKM 역분화 인자를 삽입하고 역분화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AZA(0.5 μM), VPA(1 mM), TSA(20 nM), SB431542(10 μM)와 RSC 133(10 μM)를 처리하여 AP 양성 콜로니의 수를 세어 역분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은 신규 합성물질인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의 아날로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이용하여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hFF)의 역분화 조절인자를 발굴한 결과이다. 역분화 줄기세포 생성을 촉진하는 저분자성 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Oct4, Sox2, Klf4, 그리고 c-Myc의 역분화 인자 바이러스로 형질전환시켰다. 5일 후, 마트리겔 코팅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각각의 저분자 화합물을 포함한 MEF-조건 배양액 (MEF-conditioned medium; CM)으로 인간 배아 줄기세포와 유사한 모양을 가진 콜로니가 형성될 때 까지 배양하였다. 15일 후 Alkaline phosphatase (AP) 활성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을 증진 시킨 화합물질을 발굴하였다. RSC-133이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서와 유사하게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켰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도 4는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신규 저분자 화합물 133이 정상조건(21% O2) 뿐만 아니라 저산소조건(5% O2)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준다. 기존 보고에 따르면 저산소조건에서 역분화 효율이 증가한다. 133은 이러한 저산소조건에 의해 촉진된 역분화 과정에 시너지 효과를 더할 수 있다. A는 AP 활성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B는 저산소조건에서 133을 첨가시 형성된 역분화 줄기세포 콜로니 모양이다.
도 5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133 첨가에 의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역분화 줄기세포의 역분화 유도 시에 기존 역분화 인자 (c-Myc)에 대한 대체 효과를 조사한 결과이다. RSC-133 단독으로는 대체 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Sodium butylate (NaB)와 함께 첨가시 c-Myc 인자를 대체하여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유도 효율을 증진시켰다. AP-양성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역분화 유도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냈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6은 RSC-133의 1H NMR data이다.
도 7은 RSC-133의 순도를 점검한 HPLC data이다.
도 8은 RSC-133이 역분화 유도 배양액에 첨가된 농도에 의존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증가시키는 결과이다. 위 패널은 실험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아래 패널은 처리한 RSC-133 농도에 따른 AP-양성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역분화 유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 P< 0.005, by t-test).
도 9는 RSC-133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각각의 RSC-133 농도를 처리하고 72시간이 지난 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 yellow tetrazole) assays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도 10은 RSC-133이 관여하는 역분화 과정 및 이를 이용한 효율적 역분화 방법을 조사한 결과이다. 왼쪽 패널은 실험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오른쪽 패널은 RSC-133을 역분화 과정의 서로 다른 기간 동안 첨가한 후 AP 활성도를 나타내는 콜로니 개수를 계산하여 측정한 역분화 효율이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 P< 0.05, ** P< 0.005, by t-test).
도 11은 역분화 과정 동안 RSC-133이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실시예는 도 10과 같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도 12는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혹은 역분화인자 (OSKM)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RSC-133이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도 13은 역분화 과정 동안 RSC-133이 proliferating cell population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Bromodeoxyuridine (BrdU)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분석한 후 BrdU 양성 세포 %를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 P< 0.05, by t-test).
도 14는 역분화인자 (OSKM)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RSC-133이 proliferating cell population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왼쪽 패널은 BrdU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분석한 결과의 대표 사진이며, 오른쪽 패널은 BrdU 양성 세포 %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도 15는 RSC-133의 처리 유무에 따라 BrdU 및 미분화마커 (Nanog와 Tra1-81)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분석한 결과의 대표 사진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역분화 유도하고 RSC-133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10일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세포를 면역세포화학분석하였다. (크기 바=200 μm)
도 16은 RSC-133이 역분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이다. 역분화 유도 과정 동안 발현되는 mRNA의 상대적인 레벨을 측정한 결과, RSC-133을 처리하여 역분화를 유도한 실험군에서 미분화 마커인 Nanog, Oct4, 그리고 Rex1 발현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었고, 역분화를 억제하는 기작으로 알려진 p53, p21, 그리고 p16 발현이 상대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7은 RSC-133이 역분화 과정에서 세포 주기 정지(세포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이다. 역분화 유도 과정 동안 SA-β-Gal 측정을 통하여 세포 주기 정지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RSC-133을 처리하여 역분화를 유도한 실험군에서 세포 주기 정지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으로 나타내었다(크기 바=200 μm, **P<0.01).
도 18은 역분화 과정 중에 RSC-133이 히스톤 acetylation (H3K9ac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도면이다. 왼쪽 패널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역분화 유도하고 RSC-133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10일 동안 배양한 후, H3K9ace 및 미분화마커 (Nanog)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분석한 결과의 대표 사진이다. (크기 바=200 μm) 오른쪽 패널은 western blot으로 H3K9ace 레벨을 측정한 도면이다. H3 단백질은 내부 대조군으로 확인했다.
도 19는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과정 동안 RSC-133이 histone deacetylase (HDAC)을 저해할 수 있는지 확인한 도면이다. 왼쪽 패널은 RSC-133의 처리 유무에 따른 역분화 과정 동안 총 HDAC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오른쪽 패널은 RSC-133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10일 동안 배양한 후 측정한 HDAC1의 단백질 양을 나타낸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 P< 0.01, ** P< 0.005, by t-test).
도 20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과정 동안 RSC-133이 DNA Methyl Transferase 1(DNMT1)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도면이다. 그래프는 OSKM을 도입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RSC-133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10일 동안 배양한 후 측정한 DNMT1의 활성을 나타낸다. 처리하지 않았을 때 DNMT1의 활성을 100%로 하여 비교하였다.
도 21은 RSC-133의 처리 유무에 따른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과정 동안 HDAC family 단백질 양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위 패널은 실험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아래 패널은 HDAC family 단백질 변화량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GAPDH 단백질은 내부 대조군으로 확인했다.
도 22는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의 인간배아줄기세포 마커 발현 특성을 면역 염색법으로 분석한 도면이다.
도 23은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의 줄기세포 마커 유전자 및 역분화 인자 발현을 RT-PCR 분석한 결과이다. 전부(Total), 내인성(Endo) 및 레트로바이러스 발현(Trans) 유전자간의 상대적 발현을 결정할 수 있는 이식 유전자-특이적 PCR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반-정량 RT-PCR을 수행하였다.
도 24는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 H9 인간배아줄기세포(hES) 및 인간 피부 체세포(hFF)에서의 Oct4 및 Nanog 전사인자 프로모터 메틸화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각 원의 수평열은 하나의 앰플리콘으로부터의 개별적인 서열을 나타낸다. 빈 원 및 검정 원은 각각 디메틸화된 CpG 및 메틸화된 CpG를 나타내며, 메틸화된 CpG의 비율을 %로 나타내었다.
도 25는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의 게놈내 유전자 삽입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6은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가 정상 핵형 (46, XY)을 보존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27은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의 배아체 형성을 통하여 삼배엽 분화능을 보존하고 있음을 보인 면역세포화학분석 사진이다. FOXA2 (내배엽), Sox17 (내배엽), α-SMA (α-smooth muscle actin, 중배엽), desmin (중배엽), Tuj1 (외배엽), 및 Nestin (외배엽)의 면역세포화학분석 사진이며, 핵을 DAPI로 염색하였다 (파란색).
도 28은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의 생체내 분화능을 증명하기 위한 테라토마 형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9는 만능성 획득에 관여하는 RSC-133의 기능을 조사한 도면이다. H9 인간 배아줄기세포 (hES)를 unconditioned medium (UM)에서 배양 시 분화가 유도되지만, RSC-133을 UM에 첨가하고 배양할 경우 유도된 분화 정도가 억제되고 만능성이 재획득된 것을 관찰하였다. 만능성 획득 효율은 AP 활성도를 나타내는 콜로니 개수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그래프 상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를 평균 ± SD (n=3)으로 나타내었다 (*P< 0.01, ** P< 0.005, by t-test).
도 30은 RSC-133 첨가에 의해 H9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마커 (Oct4와 Tra1-81) 발현 특성을 면역 염색법으로 분석한 도면이다. H9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UM에서 배양하고, RSC-133 혹은 VPA를 첨가했다. CM은 양성 대조군으로 관찰하였다. 핵은 DAPI로 염색하였다 (파란색). (크기 바=200 μm)
도 31은 RSC-133의 처리 유무에 따른 H9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마커 (Oct4) 혹은 H3K9ace 단백질 양의 변화를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도면이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hFF)는 음성 대조군으로 확인했다. H3 및 GAPDH 단백질은 내부 대조군으로 확인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저분자성 화합물군
1-1. 저분자성 화합물 합성 방법
상기 RSC-133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 3-(3-1H-Indol-3-yl-acryloylamino)-benzamide)을 포함하는 저분자성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되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92012539-pat00003
반응물 및 조건: a) 2a는 H2SO4; 2b-e는 i) SOCl2, MeOH; ii) BnBr, K2CO3, DMF; iii) LiOH, THF, H2O; iv) NH4Cl, EDC, HOBt, DIPEA, DMF (2b); NH2CH3, NH2CH(CH3)2, 또는 NH(CH3)2, 50% PPAA, Et3N, acetonitrile (2c-e); b) H2, 5%Pd/C, MeOH; c) 5a-b는 NH2CH3, 또는 NH(CH3)2, 50% PPAA, Et3N, acetonitrile; d) H2, 10% Pd/C, MeOH; e) EDC, HOAt, 또는 HOBt, DIPEA, DMF; PyBOP, DIPEA, DMF; DCC, DIPEA, THF; f) LiOH, THF/H2O; g) 10a-c는 furfuryamine, 2-piperidin-1-yl-ethylamine, 또는 3-morpholin-4-yl-propylamine, HATU, DIPEA, DMF; 10d는 2-bromopropane, ionic liquid, DMF.
본 합성과정에서는 모든 상업적 화합물은 시약 1등급을 사용하였으며,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용액은 표준 절차를 통해 건조되었다. 모든 반응들은 불로 건조된 유리장치에서 건조 아르곤 1기압 하에서 이루어졌다. 양자 핵 자기 공명(1H-NMR) 스펙트럼은 Varian (400 MHz 또는 300 MHz) 스펙트로미터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반응의 결과물들은 별도의 명시가 없는 한, 실리카 겔 60 (230-400 mesh Kieselgel 60)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나 글래스백 실리카겔 플레이트(glass-backed silica gel plates, 1 mm thickness)를 이용한 분리용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되었다. 추가로, 0.25 mm 실리카 플레이트(silica plates, E. Merck, silica gel 60 F254)에서의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반응을 모니터링했다. 크로마토그램은 요오드 증기에 노출시키고, PMA나 Hanessian 용액에 담근 뒤 자외선 빛을 이용하여 시각화했다.
상기 반응식에서 2a 화합물에 해당하는 이소프로필 4-히드록시-3-니트로벤조에이트(Isopropyl 4-hydroxy-3-nitrobenzoate)는 다음과 같은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먼저, 2-프로필 알코올(25mL)에 4-히드록시-3-니트로-벤조산(2.0 g, 10.9 mmol)를 녹인 용액에, 황산(H2SO4 98%)을 0 ℃에서 적하첨가한 후, 해당 혼합액을 48 시간동안 아르곤 존재 하에서 환류(reflux)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해당 반응혼합액을 감압환경에서 농축하였다. 결과물들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exane:EtOAc = 5:1)를 통해 정제하여 이소프로필 4-히드록시-3-니트로벤조에이트(2a)를 노란 고체 형태(2.11g)로 얻었다. 해당 화합물은 1H NMR (CDCl3, 300 MHz) δ = 10.87 (s, 1H), 8.79 (d, J = 1.2 Hz, 1H), 8.23 (dd, J = 1.8 Hz, 8.7 Hz, 1H), 7.22 (t, J = 11.7 Hz, 1H), 5.30 (s, 2H), 5.26 (m, 1H), 1.38 (d, J = 6.6 Hz, 6H)의 성격을 가진다.
상기 반응식에서 2b 화합물에 해당하는 4-벤질록시-3-니트로벤즈아마이드(4-Benzyloxy-3-nitrobenzamide)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먼저, DMF(15mL)에 4-벤질록시-3-니트로벤조산(4-benzyloxy-3-nitrobenzoic acid1-3, 1 g, 3.6 mmol)과 염화암모늄(ammonium chloride, 294 mg, 5.5 mmol)을 녹인 용액에 EDC (842 mg, 4.4 mmol), HOBt (593 mg, 4.4 mmol) 및 DIPEA (1.6 mL, 9.15 mmol)를 첨가하였다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시킨 후, 물로 냉각시켜 EA로 추출한다. 결과물들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exane:EA = 7:3)를 통해 정제하였다(980 mg). 해당 화합물은 1H NMR (CDCl3, 400 MHz) δ = 8.39 (d, J = 2.4 Hz, 1H), 8.08 (dd, J = 2.0 Hz, 8.4 Hz, 1H), 7.32-7.46 (m, 5H), 7.16 (d, J = 8.8 Hz, 1H), 5.30 (s, 2H)의 성격을 가진다.
본 반응의 아미드계 2c-e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4-벤질록시-3-니트로벤조산(4-benzyloxy-3-nitrobenzoic acid 1-3, 500 mg, 1.0 equiv)은 아세토니트릴과 Et3N(4.0 equiv)에 현탁시키고, 이에 50 % PPAA (1.2 equiv)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적절한 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하룻밤 교반시킨 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결과물들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2c-e를 수득하였다.
1) 4-벤질록시-N-메틸-3-니트로벤즈아마이드(4-Benzyloxy-N-methyl-3-nitrobenzamide, 2c)는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Cl3, 300 MHz) δ = 8.24 (d, J = 2.1 Hz, 1H), 7.99 (dd, J = 2.4 Hz, 9.0 Hz, 1H), 7.34-7.46 (m, 5H), 7.17 (d, J = 8.7 Hz, 1H), 6.14 (br s, 1H), 5.30 (s, 2H), 3.02 (d, J = 5.1 Hz, 3H)의 성격을 가진다.
2) 4-벤질록시-N-이소프로필-3-니트로벤즈아마이드(4-Benzyloxy-N-isopropyl-3-nitrobenzamide, 2d)는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Cl3, 300 MHz) δ = 8.21 (d, J = 2.1 Hz, 1H), 7.99 (dd, J = 2.1 Hz, 8.7 Hz, 1H), 7.32-7.46 (m, 5H), 7.16 (d, J = 8.7 Hz, 1H), 5.89 (d, J = 7.2 Hz, 1H), 5.30 (s, 2H), 4.27 (m, 1H), 1.27 (d, J = 6.6 Hz, 6H)의 성격을 가진다.
3) 4-벤질록시-N,N-디메틸-3-니트로벤즈아마이드(4-Benzyloxy-N,N-dimethyl-3-nitrobenzamide, 2e)는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Cl3, 300 MHz) δ = 7.96 (d, J = 1.5 Hz, 1H), 7.63 (dd, J = 2.1 Hz, 8.7 Hz, 1H), 7.34-7.46 (m, 5H), 7.15 (d, J = 8.7 Hz, 1H), 5.28 (s, 2H), 3.07 (br s, 6H)의 성격을 가진다.
화합물 2a 내지 2e를 환원시켜 화합물 3a 내지 3e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화합물 2a 내지 2e를 무수 MeOH에 용해시킨 후, 아르곤 조건 하에서 5% 탄화 팔라딘(palladium carbon)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수소 조건에서 하룻밤 교반시킨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필터링하고,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농축하여 조생성물(crude product)를 얻었다.
1) 이소프로필 3-아미노-4-히드록시벤조에이트(Isopropyl 3-amino-4-hydroxybenzoate, 3a)는 화합물 2a로부터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Cl3, 300 MHz) δ = 7.43 (s, 1H), 7.38 (d, J = 8.7 Hz, 1H), 6.74 (d, J = 8.1 Hz, 1H), 5.19 (m, 1H), 1.33 (d, J = 6.6 Hz, 6H)의 성격을 가진다.
2) 3-아미노-4-히드록시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benzamide, 3b)는 화합물 2b로부터 갈색 반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400 MHz) δ = 7.48 (s, 1H), 7.11 (d, J = 8.7 Hz, 1H), 6.95 (dd, J = 2.0 Hz, 8.4 Hz, 1H), 6.84 (br s, 1H), 6.61 (d, J = 8.4 Hz, 1H)의 성격을 가진다.
3) 3-아미노-4-히드록시-N-메틸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N-methylbenzamide, 3c)는 화합물 2c로부터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300 MHz) δ = 7.96 (d, J = 4.5 Hz, 1H), 7.10 (d, J = 2.1 Hz, 1H), 6.92 (dd, J = 2.1 Hz, 8.1 Hz, 1H), 6.63 (d, J = 8.1 Hz, 1H), 4.61 (br s, 2H), 2.70 (d, J = 4.5 Hz, 3H)의 성격을 가진다.
4) 3-아미노-4-히드록시-N-이소프로필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N-isopropylbenzamide, 3d)는 화합물 2d로부터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300 MHz) δ = 7.73 (d, J = 8.1 Hz, 1H), 7.10 (d, J = 1.5 Hz, 1H), 6.94 (dd, J = 2.1 Hz, 8.1 Hz, 1H), 6.62 (d, J = 7.8 Hz, 1H), 4.60 (br s, 2H), 4.03 (m, 1H), 1.11 (d, J = 6.6 Hz, 6H)의 성격을 가진다.
5) 3-아미노-4-히드록시-N,N-디메틸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N,N-dimethylbenzamide, 3e)는 화합물 2e로부터 옅은 노란색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300 MHz) δ = 9.36 (b, 1H), 6.65 (d, J = 1.5 Hz, 1H), 6.63 (d, J = 8.4 Hz, 1H), 6.46 (dd, J = 2.1 Hz, 7.8 Hz, 1H), 4.64 (br s, 2H), 2.92 (s, 6H)의 성격을 가진다.
본 반응의 아미드계 5a 및 5b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니트로벤조산(3-nitrobenzoic acid, 400 mg, 1.0 equiv)을 아세토니트릴과 Et3N(4.0 equiv)에 현탁시키고, 이에 50 % PPAA (1.2 equiv)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적절한 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하룻밤 교반시킨 후 증발시켜 건조한다. 결과물들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화합물 5a-b를 수득하였다.
1) N-메틸-3-니트로벤즈아마이드(N-methyl-3-nitrobenzamide, 5a)는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Cl3, 400 MHz) δ = 8.58 (s, 1H), 8.35-8.37 (m, 1H), 8.16 (d, J = 8.0 Hz, 1H), 5.19 (t, J = 7.6 Hz 1H), 6.23 (br s, 1H), 3.07 (d, J = 4.8 Hz)의 성격을 가진다.
2) N,N-디메틸-3-니트로벤즈아마이드(N,N-dimethyl-3-nitrobenzamide, 5b)는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Cl3, 400 MHz) δ = 8.29 (s, 1H), 8.27 (d, J = 2.4 Hz, 1H), 7.77 (d, J = 7.6 Hz, 1H), 7.62 (t, J = 7.6 Hz 1H), 3.15 (s, 3H), 3.01 (s, 3H) 의 성격을 가진다.
한편, 메틸 3-아미노벤조에이트(Methyl 3-Aminobenzoate, 6a) 및 3-아미노벤즈아마이드(3-Aminobenzamide, 6b)는 상업화된 제품이 이용가능하다.
화합물 5a 또는 5b를 환원시켜 6c 또는 6d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질소 치환된 화합물 5a 나 5b를 무수 MeOH에 용해시킨 후, 아르곤 조건 하에서 5% 탄화 팔라딘(palladium carbon)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수소 조건에서 하룻밤 교반시킨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필터링하고,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농축하여 조생성물(crude product)를 얻었다.
1) 3-아미노-N-메틸벤즈아마이드(3-Amino-N-methylbenzamide, 6c)는 화합물 5a로부터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400 MHz) δ = 8.13 (d, J = 4.0 Hz, 1H), 6.99-7.05 (m, 2H), 6.89 (d, J = 7.2 Hz, 1H), 6.62-6.65 (m, 1H), 5.17 (s, 2H), 2.71 (d, J = 4.8 Hz, 3H)의 성격을 가진다.
2) 3-아미노-N,N-디메틸벤즈아마이드(3-Amino-N,N-dimethylbenzamide, 6d)는 화합물 5b로부터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400 MHz) δ = 7.02 (t, J = 7.6 Hz, 1H), 6.55-6.58 (m, 1H), 6.51 (s, 1H), 6.43 (d, J = 7.6 Hz, 1H), 5.18 (s, 2H), 2.89 (d, J = 11.6 Hz, 6H)의 성격을 가진다.
상기 제조한 화합물 3a 내지 화합물 3e 또는 화합물 6a 내지 화합물 6d를 트랜스-3-인돌아크릴산(Trans-3-Indole acrylic acid, 7a) 또는 3-(1H-인돌-3-일)-프로피온산(3-(1H-Indole-3-yl)-propionic acid, 7b)와 반응시켜 상기 반응식의 화합물 8a 내지 8j, 화합물 9, 및 화합물 10a 내지 10d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2. 저분자성 화합물 RSC -133(8b)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중 RSC-133(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 8b)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되었다.
먼저,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과 3-아미노-벤즈아마이드(6b)를 DMF에 녹인 후, 해당 용액에 아마벤조트리아졸-1-일-N-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Benzotriazol-1-yl-N-oxy-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N,N-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N,N-diisopropylethylamine)을 첨가하여 결합조건을 갖춰주었다.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RSC-133)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었다. RSC-133의 화학적 특성 및 순도는 1H NMR (도 6), HPLC (도 7)을 통해 확인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d = 8.90 (s, 1H), 8.21 (s, 1H), 7.86-8.03 (m, 4H), 7.76 (d, J = 8.1 Hz, 1H), 7.36-7.41 (m, 3H), 7.20 (m, 2H), 6.60 (d, J = 15.3 Hz, 2H), 3.88 (s, 3H)의 성격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의해 합성된 RSC-133(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즈아마이드)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지닌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92012539-pat00004

1-3. 저분자성 화합물 ID -52(8a)의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중 ID-52(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벤조산 메틸 에스터, 8a)는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150 mg, 0.8 mmol)과 3-아미노-벤조산 메틸 에스터(6a, 218 mg, 1.44 mmol)를 DMF에 녹인 후,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 1-[3-(dimethy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 230 mg, 1.2 mmol), 히드록시-7-아자베노트리아졸(HOAT, Hydroxy-7-azabenotriazole, 163 mg, 1.2 mmol), 및 N,N-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N,N-diisopropylethylamine, 0.21 mL, 1.2 mmol)를 첨가하여 결합반응을 일으켰다.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벤조산 메틸 에스터(ID-52)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Cl3, 300 MHz) d = 8.90 (s, 1H), 8.21 (s, 1H), 7.86-8.03 (m, 4H), 7.76 (d, J = 8.1 Hz, 1H), 7.36-7.41 (m, 3H), 7.20 (m, 2H), 6.60 (d, J = 15.3 Hz, 2H), 3.88 (s, 3H)의 성질을 갖는다.
1-4. 저분자성 화합물 ID -1027(8c)의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중 ID-1027(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메틸벤즈아마이드, 8c)은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300 mg, 1.6 mmol)과 3-아미노-N-메틸벤즈아마이드(6c, 240 mg, 1.6 mmol)를 DMF에 녹인 후, PyBOP(1.7g, 3.2 mmol), 및 DIPEA(0.84 mL,4.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EA와 brine으로 분리하였다. 유상(organic phase) 분획물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후, 정제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메틸벤즈아마이드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3OD, 400 MHz) d = 8.08 (s, 1H), 7.98 (d, J = 15.2 Hz, 1H), 7.91 (d, J = 8.0 Hz, 1H), 7.88 (dd, J = 1.6 Hz, J = 8.4 Hz, 1H), 7.69 (s, 1H), 7.45-7.47 (m, 2H), 7.21-7.27 (m, 2H), 6.78 (d, J = 15.6 Hz, 1H)의 성질을 갖는다.
1-5. 저분자성 화합물 ID -1028(8d)의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중 ID-1028(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N-디메틸벤즈아마이드, 8d)은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300 mg, 1.6 mmol)과 3-아미노-N,N-디메틸벤즈아마이드(6d, 262.7 mg, 1.6 mmol)를 DMF에 녹인 후, PyBOP(1.7g, 3.2 mmol), 및 DIPEA(0.84 mL,4.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EA와 brine으로 분리하였다. 유상(organic phase) 분획물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후, 정제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N-디메틸벤즈아마이드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3OD, 400 MHz) d = 7.96 (d, J = 8.0 Hz, 1H), 7.92 (d, J = 16.0 Hz, 1H), 7.84 (s, 1H), 7.73 (d, J = 7.6 Hz, 1H), 7.64 (s, 1H), 7.40-7.45 (m, 2H), 7.18-7.25 (m, 2H), 7.13 (d, J = 7.6 Hz, 1H), 6.78 (d, J = 15.6 Hz, 1H), 3.11 (s, 3H), 3.04 (s, 3H)의 성질을 갖는다.
1-6. 저분자성 화합물 ID -134(8e)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중 ID-134(3-[3-1H-인돌-3-일-프로피오닐아미노]벤즈아마이드, 8e)는 3-(1H-인돌-3-일)-프로피온산(7b, 189 mg, 1.0 mmol) 과 3-아미노-벤즈아마이드(6b, 68.1 mg, 0.5 mmol)를 DMF에 녹인 후, 해당 용액에 PyBOP 및 DIPEA를 첨가하여 결합조건을 갖춰주었다.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프로피오닐아미노]벤즈아마이드(ID-134)는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300 MHz) d = 8.02 (s, 1H), 7.75 (d, J = 7.8 Hz, 1H), 7.50 (m, 2H), 7.32 (m, 2H), 6.93-7.09 (m, 3H), 3.04 (t, J = 7.8 Hz, 2H), 2.68 (t, J = 7.2 Hz, 2H)의 성질을 갖는다.
1-7. 저분자성 화합물 ID -514(8f)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514(이소프로필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벤조에이트, 8f)는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188 mg, 1.01 mmol), 및 이소프로필 3-아미노-4-히드록시벤조에이트(Isopropyl 3-amino-4-hydroxybenzoate, 3a, 295 mg, 1.51 mmol)를 DMF에 녹인 후, EDC (290 mg, 1.51 mmol)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레이트(1-hydroxybenzotriazole hydrate, HOBt, 204 mg, 1.51 mmol)을 첨가하였다. 해당 반응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이소프로필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벤조에이트(ID-514)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6, 300 MHz) d = 11.65 (s, 1H), 11.07 (s, 1H), 9.60 (s, 1H), 8.65 (d, J = 1.5 Hz, 1H), 8.11 (d, J = 6.6 Hz, 1H), 7.83 (d, J = 2.1 Hz, 1H), 7.79 (d, J = 15.3 Hz, 1H), 7.57 (dd, J = 1.5 Hz, 8.1 Hz, 1H), 7.47 (d, J =7.5 Hz, 1H), 7.19-7.25 (m, 2H), 7.12 (d, J = 15.3 Hz, 1H), 6.96 (d, J = 8.1 Hz, 1H), 5.10 (m, 1H), 1.31 (d, J = 6.6 Hz, 6H)의 성질을 갖는다.
1-8. 저분자성 화합물 ID -1029(8g)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1029(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벤즈아마이드, 8g)는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300 mg, 1.6 mmol), 및 3-아미노-4-히드록시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benzamide, 3b, 243 mg, 1.6 mmol) 를 DMF에 녹인 후, PyBOP (1.7 g, 3.2 mmol) 및 DIPEA (0.84 mL, 4.8 mmol)을 첨가하였다. 해당 반응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벤즈아마이드(ID-1029)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3OD, 400 MHz) d = 8.08 (s, 1H), 7.98 (d, J = 15.2 Hz, 1H), 7.91 (d, J = 8.0 Hz, 1H), 7.88 (dd, J = 1.6 Hz, J = 8.4 Hz, 1H), 7.69 (s, 1H), 7.45-7.47 (m, 2H), 7.21-7.27 (m, 2H), 6.78 (d, J = 15.6 Hz, 1H)의 성질을 갖는다.
1-9. 저분자성 화합물 ID -557(8h)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557(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메틸벤즈아마이드, 8h)는 THF에 녹인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100 mg, 0.53 mmol) 용액에 DCC (220 mg, 1.07 mmol), 및 DIPEA (0.2 mL, 1.07 mmol)를 첨가하였다. 해당 혼합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면서 3-아미노-4-히드록시-N-메틸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N-methylbenzamide, 3c, 106 mg, 0.6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하룻밤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메틸벤즈아마이드(ID-557)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acetone-d6, 300 MHz) d = 10.88 (b, 1H), 9.61 (b, 1H), 8.03 (d, J = 15.6 Hz, 1H), 8.02 (d, J = 2.4 Hz, 1H), 7.94 (d, J = 2.1 Hz, 2H), 7.87 (d, J = 2.4 Hz, 2H), 7.52-7.59 (m, 3H), 7.20-7.28 (m, 2H), 7.08 (d, J = 15.3 Hz, 1H), 6.93 (d, J = 8.1 Hz, 1H), 3.62 (q, J = 6.6 Hz, 1H), 2.88 (d, J = 4.5 Hz, 3H)의 성질을 갖는다.
1-10. 저분자성 화합물 ID -556(8i)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556(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이소프로필벤즈아마이드, 8i)는 THF에 녹인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100 mg, 0.53 mmol) 용액에 DCC (220 mg, 1.07 mmol), 및 DIPEA (0.2 mL, 1.07 mmol)를 첨가하였다. 해당 혼합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면서 3-아미노-4-히드록시-N-이소프로필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N-isopropylbenzamide, 3d, 124 mg, 0.6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하룻밤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이소프로필벤즈아마이드(ID-556)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acetone-d6, 300 MHz) d = 10.95 (b, 1H), 10.89 (b, 1H), 9.61 (b, 1H), 8.02 (d, J = 15.6 Hz, 1H), 8.01 (s, 1H), 7.88 (t, J = 3.0 Hz, 2H), 7.59 (dd, J = 2.1 Hz, 8.7 Hz, 1H), 7.54 (dd, J = 2.1 Hz, 6.6 Hz, 1H), 7.20-7.28 (m, 3H), 7.08 (d, J = 15.3 Hz, 1H), 6.91 (d, J = 8.1 Hz, 1H), 4.21 (m, 1H), 1.22 (d, J = 6.6 Hz, 6H)의 성질을 갖는다.
1-11. 저분자성 화합물 ID -558(8j)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558(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N-디메틸벤즈아마이드, 8j)는 THF에 녹인 트랜스-3-인돌아크릴산(7a, 100 mg, 0.53 mmol) 용액에 DCC (220 mg, 1.07 mmol), 및 DIPEA (0.2 mL, 1.07 mmol)를 첨가하였다. 해당 혼합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면서 3-아미노-4-히드록시-N,N-디메틸벤즈아마이드(3-amino-4-hydroxy-N,N-dimethylbenzamide, 3e, 116 mg, 0.6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하룻밤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N-디메틸벤즈아마이드(ID-558)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acetone-d6, 300 MHz) d = 10.85 (b, 1H), 9.51 (b, 1H), 8.01 (d, J = 15.3 Hz, 1H), 7.99-8.02 (m, 1H), 7.86 (d, J = 2.1 Hz, 1H), 7.58 (d, J = 2.1 Hz, 1H), 7.52-7.55 (m, 1H), 7.21-7.28 (m, 2H), 7.17 (dd, J = 1.8 Hz, 8.1 Hz, 1H), 7.03 (d, J = 15.6 Hz, 1H), 6.93 (d, J = 8.1 Hz, 1H), 3.02 (s, 6H)의 성질을 갖는다.
1-12. 저분자성 화합물 ID -116(9)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116(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산)은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에이트(8a, 188mg, 0.59 mmol)를 THF /H2O(1:1, 10 mL)에 녹이고 이에 LiOH·H2O(49.3 mg, 1.17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염산을 통해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EA)로 추출해내었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산은 하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3OD, 300 MHz) d = 8.53 (s, 1H), 7.90-7.96 (m, 3H), 7.74 (d, J = 7.8 Hz, 1H), 7.58 (s, 1H), 7.41 (m, 2H), 7.19 (m, 2H), 6.78 (d, J = 15 Hz, 1H)의 성질을 가진다.
1-13. 저분자성 화합물 ID -263(10a)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263(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푸란-2-일-메틸)벤즈아마이드)은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벤조산(9, 500 mg, 1.63 mmol)과 푸르푸릴아민(furfurylamine, 0.23 mL, 2.45 mmol)을 DMF에 녹이고, 이에 DIPEA(0.43 mL, 2.45 mmol) 및 HATU(O-(7-azabenzotriazol-1-yl)-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931.6 mg, 2.45 mmol)를 첨가한 후,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N-(푸란-2-일-메틸)벤즈아마이드(ID-263)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CD3OD, 300 MHz) d = 8.13 (m, 1H), 7.96 (m, 2H), 7.82 (m, 1H), 7.63 (s, 1H), 7.52 (m, 1H), 7.39-7.45 (m, 3H), 7.20 (m, 2H), 6.78 (d, J = 15.9 Hz, 1H), 6.32 (m, 2H), 4.56 (s, 2H)의 성질을 가진다.
1-14. 저분자성 화합물 ID -264(10b)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264(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N-(2-피페리딘-1-일-에틸)-벤즈아마이드)는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벤조산(9, 150 mg, 0.49 mmol)과 2-피페리딘-1-일-에틸아민(0.10 mL, 0.73 mmol)을 DMF에 녹인 후, HATU(277.6 mg, 0.73 mmol) 및 DIPEA(0.13 mL, 0.73 mmol)를 첨가하였다.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N-(2-피페리딘-1-일-에틸)-벤즈아마이드(ID-264)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3, 300 MHz) d = 11.67 (b, 1H), 10.16 (s, 1H), 8.41(s, 1H), 8.11 (s, 1H), 7.76-7.98 (m, 4H), 7.38-7.50 (m, 3H), 7.23 (m, 2H), 6.84 (d, J = 15.9 Hz, 1H) 3.33-3.43 (m, 6H), 2.51 (m, 2H), 1.41-1.54 (m, 6H)의 성질을 가진다.
1-15. 저분자성 화합물 ID -265(10c)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265(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N-(3-모폴린-4-일-프로필)-벤즈아마이드)는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벤조산(9, 150 mg, 0.49 mmol)과 3-모폴린-4-일-프로필아민(0.11 mL, 0.73 mmol)을 DMF에 녹인 후, HATU (277.6 mg, 0.73 mmol), 및 DIPEA (0.13 mL, 0.73 mmol)를 첨가하였다. 해당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N-(3-모폴린-4-일-프로필)-벤즈아마이드(ID-265)는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3, 300 MHz) d = 11.66 (b, 1H), 10.14 (s, 1H), 8.46 (ps-t, J = 5.4 Hz, 1H), 8.09 (s, 1H), 7.76-7.98 (m, 4H), 7.37-7.50 (m, 3H), 7.22 (m, 2H), 6.82 (d, J = 15.9 Hz, 1H), 3.55-3.59 (m, 4H), 3.27 (m, 1H), 3.16 (d, J = 15.9 Hz, 1H), 2.31-2.36 (m, 6H) 1.69 (m, 2H)의 성질을 가진다.
1-16. 저분자성 화합물 ID -517(10d) 합성 방법
상기 저분자성 화합물 ID-517(이소프로필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에이트)는 3-(3-1H-인돌-3-일-아크릴로일아미노)-벤조산(9, 180 mg, 0.59 mmol)와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1.12 g, 1.47 mmol)를 DMF에 녹인 후, 해당 용액에 2-브로모프로판(2-bromopropane, 144 mg, 1.18 mmol), 및 DIPEA(152 mg, 1.18 mmol)을 첨가하였다. 해당 반응액을 60℃에서 2일간 가열 반응시키고 물로 냉각시켰다. 이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이소프로필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벤조에이트(ID-517)는 옅은 노란 고체 형태로 수득되며, 1H NMR (DMSO-d3, 300 MHz) d = 11.68 (b, 1H), 10.22 (s, 1H), 8.27 (s, 1H), 8.03 (d, J = 9.0 Hz, 1H), 7.94-7.98 (m, 1H), 7.85 (s, 1H), 7.80 (d, J = 16.2 Hz, 1H), 7.62 (d, J = 8.1 Hz, 1H), 7.47 (t, J = 7.2 Hz, 2H), 7.19-7.26 (m, 2H), 6.81 (d, J = 15.6 Hz, 1H), 5.16 (m, 1H), 1.34 (d, J = 6.0 Hz, 6H)의 성질을 갖는다.
실시예 2: 인간배아줄기세포 및 역분화줄기세포 배양
인간배아줄기세포(hESC) H9 (NIH Code, WA09; WiCell Research Institute, Madison, WI) 및 역분화 줄기세포(hiPSC)를 γ-선을 조사한 MEF (mouse embryonic fibroblast) 위에서 80% DMEM/F12, 20% 넉아웃 혈청 대체제 (knockout serum replacement; KSR, Invitrogen, Carlsbad, CA), 1% 비필수 아미노산 (non-essential amino acids; NEAA, Invitrogen), 1 mM L-글루타민 (Invitrogen), 0.1 mM β-머캡토 에탄올 (β-mercaptoethanol, Sigma, St. Louis, MO) 및 6 ng/㎖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vitrogen)로 이루어진 hESC 배양 배지로 일반적으로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1 ㎎/㎖ 콜라게네이즈 IV (Invitrogen)로 매 5-6일 마다 계대 배양하였다. 인간 신생 피부 섬유아세포 (Human newborn foreskin fibroblasts; hFF, ATCC, catalog number CRL-2097;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를 10% FBS (fetal bovine serum, Invitrogen), 1% 비필수 아미노산, 1 mM L-글루타민 및 0.1 mM β-머캡토 에탄올을 포함하는 DMEM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3. 레트로바이러스 생산 및 hiPSC 의 유도
논문, Takahashi, K. et al.(Cell 131, 2007, 861-872)에 개시된 바와 같은 OCT4(POU5F1), SOX2, c-MYC(MYC) 및 KlF4의 인간 cDNA를 포함하는 pMXs 벡터를 Addgene사로부터 구입하였다. 패키지 세포주 GP2-293 세포를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DNA 및 VSV-G 외피 벡터로 CalPhos 트랜스펙션하였다. 트랜스펙션 후 24 시간째, 첫 번째 바이러스가 포함된 상등액을 회수한 후 배지를 교환하였고, 48시간 후 두 번째 바이러스가 포함된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iPSC의 생성을 위하여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hFFs) 및 마우스 배아섬유아세포(MEF) 등을 형질도입하기 하루 전에 젤라틴이 코팅된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5 개 세포 농도로 접종하였고, polybrene(8 ㎍/㎖) 존재 하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형질도입 5일 후, hFFs 세포 또는 MEFs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회수하고, 기저세포가 없는(feeder-free) 조건에서의 실험을 위하여 마트리겔이 코팅된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5 내지 6 X 104 개 세포 농도로 재접종하였다. 10 ng/㎖ 농도의 bFGF가 첨가된 MEF-CM 배지로 교환하였다. MEF-CM은 공지된 바에 따라(Xu C. Nat Biotechnol 19, 971-974) γ-방사선 조사된(γ-irradiated) MEF로 준비하였고, MEF-CM은 8 ng/㎖ bFGF을 추가하였다. 배지는 이틀에 한 번씩 교환하였다. 형질 도입 20일 후, hESC 형태의 콜로니를 획득하여 MEF를 영양세포로 하는 12-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상기 실시예 2의 hESC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증식 배양하였다.
실시예 4. 저분자성 화합물 스크리닝
실시예 3의 방법을 따라 OSKM 역분화인자 바이러스를 생성하였다. 역분화 효율을 촉진하는 저분자성 화합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해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hFFs) 및 마우스 배아섬유아세포(OG2-MEF: hemizygous for the Oct4-GFP transgene) 등을 형질도입하기 하루 전에 젤라틴이 코팅된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5 개 세포 농도로 접종하였고, polybrene(8 ㎍/㎖) 존재 하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형질도입 5일 후, hFFs 세포 또는 MEFs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회수하고, 기저세포가 없는(feeder-free) 조건에서의 실험을 위하여 마트리겔 또는 젤라틴이 코팅된 12-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5 X 104 개 세포 농도로 재접종하였다. 10 ng/㎖ 농도의 bFGF가 첨가된 MEF-CM 혹은 마우스 배아줄기세포 배양액으로 교환 후 준비된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인 저분자성 화합물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다. 각각의 저분자성 화합물을 포함한 배양액은 이틀에 한 번씩 교환하였다. 형질 도입 15일 후, AP 활성도를 마타내는 콜로니 혹은 endogenous Oct4 GFP 형광이 발현되는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역분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5. RNA 추출, 역전사 PCR 분석
RNeasy Mini 키트(Qiagen, Valencia, CA)를 사용하여 생성한 세포로부터 전체 RNA를 분리한 후, SuperScript First-strand 합성 시스템 키트(Invitrogen)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역전사하였다. 이후, 반-정량 RT-PCR은 platinum Tag SuperMix 키트(Invitrogen)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94℃ 3분 후, 94℃ 30초, 60℃ 30초 및 72℃ 30초의 25 내지 30 사이클 후 신장을 위하여 72℃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실시예 6. ALP 염색( Alkaline Phosphatase Staining )
ALP 염색은 제조사(Sigma)의 지침에 따라 시판되는 ALP 키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ALP-양성 세포의 이미지를 HP Scanjet G4010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올림푸스 현미경(IX51, Olympus, Japan)으로 명시야상(bight field images)을 얻었다.
실시예 7. 배아체 분화( Embryoid body differentiation )
hESC 분화의 잠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간 배아체(hEBs)를 비-조직 배양 처리 페트리 디쉬(non-tissue culture treated Petri dishes)를 사용하여 부유액이 있는 hEB 배지(10% 혈청 대체제를 포함하는 DMEM/F12)에서 배양하였다. 부유액에서의 성장 5일 후, 배아체를 젤라틴-코팅 플레이트로 옮겨서 hEB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플레이트의 바닥에 부착된 세포를 필요에 따라 배지를 교환하면서 추가로 15일 동안 분화되도록 방치하였다.
실시예 8. 면역세포화학적 방법( Immunocytochemistry )
면역염색법을 위하여 세포를 마트리겔로 코팅된 4-웰 Lab-Tek 챔버 슬라이드(Nunc, Naperville, IL)에 접종하고, 개시된 조건 하에서 5일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실온(RT)에서 15분 동안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고정시킨 후 PBS/0.2% BSA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세포를 15분 동안 PBS/0.2% BSA/0.1% 트리톤 X-100에 투과시킨 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PBS/0.2% BSA에서 4% 정상 당나귀 혈청(normal donkey serum; Molecular Probes, Eugene, OR, USA)으로 반응시켰다. 세포를 PBS/0.2% BSA로 희석시킨 각각의 1차 항체를 사용하여 4℃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한 후, 세포를 1시간 동안 실온에서 PBS/0.2% BSA에 있는 2차 항체(Invitrogen)가 부착된 FITC 또는 Alexa594를 사용하여 반응시켰다. 세포를 10 ㎍/㎖ DAPI를 사용하여 대비염색시켰다. 챔버 슬라이드는 올림푸스 현미경 또는 Axiovert 200M 현미경(Carl Zeiss, Gottingen, Germany)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9. 리프로그래밍 전사인자 프로모터 메틸화 분석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유전자 이입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하여 확립된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간배아줄기세포 특이 전사인자인 Oct3/4, Nanog 프로모터 메틸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게놈 DNA를 추출하기 위하여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지에서 6일간 배양한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역분화 줄기세포를 DNA 추출 키트(Qiagen Genomic DNA purification kit)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Bisulfite 시퀀싱을 3단계로 수행하였다. 1 단계는 아황산수소나트륨(sodium bisulfite)을 이용하여 DNA를 변형시키는 과정이고, 2 단계는 분석하고자 하는 유전자 부위(보통 프로모터 부위)를 PCR로 증폭하는 과정이며, 3 단계는 PCR 산물을 시퀀싱하여 DNA 메틸화 정도를 분석하는 과정이다. 아황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한 DNA 변형 과정은 상품화된 키트 EZ DNA Methylation Kit(Zymo Research)를 이용하였으며, DNA를 bisulfite로 처리를 할 경우 메틸화되어 있는 시토신은 변하지 않는 반면, 비메틸화되어 있는 시토신은 우라실로 전환된다. 따라서, 시토신과 우라실 염기서열에 특이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각각 PCR로 증폭시킬 경우 메틸화된 DNA와 비메틸화된 DNA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사용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Gene Primer (Forward) Primer (Reverse) Accession No.
For bisulfate sequencing
bi Oct4-1 ATTTGTTTTTTGGGTAGTTAAAGGT
(서열번호 1)
CCAACTATCTTCATCTTAATAACATCC (서열번호 2) NM_002701
bi Oct4-2 GGATGTTATTAAGATGAAGATAGTTGG
(서열번호 3)
CCTAAACTCCCCTTCAAAATCTATT (서열번호 4) NM_002701
bi Nanog TGGTTAGGTTGGTTTTAAATTTTTG
(서열번호 5)
AACCCACCCTTATAAATTCTCAATTA (서열번호 6) NM_024865
PCR 반응 혼합액은 bisulfite로 처리한 DNA 1 ㎍, dNTP 0.25 mM/ℓ, MgCl2 1.5 mM/ℓ, 프라이머 50 pM, 1× PCR 버퍼, Taq 폴리머라제(Platinum Taq DNA polymerase, Invitrogen, Carlsbad, CA, USA) 2.5 유닛으로서, 최종 20 ㎕가 되게 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95℃에서 10분 시행 후 95℃ 1분, 60℃ 1분, 72℃ 1분 과정을 40주기 시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PCR 반응 생산물을 1.5% 아가로스 젤에서 확인하였으며, 젤 용리 후 pCR2.1-TOPO 벡터(Invitrogen)에 클로닝하였다. 메틸화 및 비-메틸화 염기서열은 M13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시퀀싱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0. 핵형분석( Karyotype Analysis )
배양된 인간 역분화 줄기세포를 G-banding 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대표 이미지를 ChIPS-Karyo(Chromosome Image Processing System, GenDix)를 사용하여 얻었다.
실시예 11: 마우스 및 인간 세포의 역분화 효율을 증가시키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Reprogramming Stimulating Compound ( RSC ) 133의 발굴
11-1. 신규 합성물질인 트랜스-3- 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의 아날로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이용한 마우스 세포 역분화 조절인자 발굴
역분화 과정에 관여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해, 신규 합성물질인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의 아날로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마우스 세포에서 수행하였다.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 (OG2-MEF: hemizygous for the Oct4-GFP transgene)를 Oct4, Sox2, Klf4, 그리고 c-Myc (OSKM)의 역분화 인자 바이러스로 형질전환시키고 5일 후, 젤라틴 코팅 12-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각각의 저분자 화합물을 포함한 마우스 배아줄기세포 배양액으로 마우스 줄기세포와 유사한 모양을 가진 콜로니가 형성되어 endogenous Oct4 GFP 형광이 발현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도 1의 A). 15일 후 endogenous Oct4 GFP 형광이 발현되는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을 증진 시킨 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스크리닝한 화합물 중 RSC-133과 558이 역분화 유도 효율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1의 B). 일차적인 스크리닝 결과에 기반하여, 새로운 인돌-아크릴산/인돌-프로피온산 유도체들(반응식 1)을 제조하였고, 생성된 화합물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에 대한 구조-활성 관계(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를 평가하였다. 실험한 후보 물질들 중에서, 아미노기없는 인돌 ring이 벤조산 유사체들과 이중 결합으로 연결된 인돌-아크릴산 유사체 화합물 RSC-133 및 ID-558가 가장 높은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두 화합물의 벤조산 유사체 부분에 RSC-133은 단순한 벤즈아마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ID-558은 4-히드록시-N,N-디메틸벤즈아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기존 보고에 따르면 저분자성 화합물인 DNA methyltransferase inhibitor (5-Azacytidine), G9a histone methyltransferase inhibitor (BIX-01294), 그리고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Valproic acid; VPA) 등이 역분화 줄기세포 생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졌다. 흥미롭게도 신규 저분자 화합물인 RSC-133은 보고된 화합물을 처리하거나 혹은 OSKM 역분화 인자 바이러스의 MOI값을 증가시켰을 때보다 대조군에 비해 가장 크게 역분화 효율을 촉진시켰다 (도 2a). RSC-133는 iPSC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들인 AZA, VPA, TSA 및 SB431542보다 1.5배에서 3.3배 월등한 인간 세포 리프로그래밍 촉진 효과를 가진다(도 2b).
11-2. 신규 합성물질인 트랜스-3- 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의 아날로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이용한 인간 세포 역분화 조절인자 발굴
인간 체세포의 역분화 과정에 관여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해, 30개의 선택된 신규 합성물질인 트랜스-3-인돌아크릴산 기반 합성물의 아날로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이용하여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조절인자를 조사하였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OSKM 역분화 인자 바이러스로 형질전환시키고 5일 후, 마트리겔 코팅 12-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각각의 저분자 화합물을 포함한 MEF-조건 배양액 (MEF-conditioned medium; CM)으로 인간 배아 줄기세포와 유사한 모양을 가진 콜로니가 형성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15일 후 Alkaline phosphatase (AP) 활성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을 증진 시킨 화합물질을 조사한 결과, RSC-133이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서와 유사하게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켰다 (도 3).
11-3. 신규 저분자 화합물 133에 의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 확인
신규 저분자 화합물 133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정상조건(21% O2) 뿐만 아니라 저산소조건(5% O2)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4). 저산소조건(5% O2)에서 역분화 효율이 증가하는데, 133은 이러한 저산소조건(5% O2)에 의해 촉진된 역분화 과정에 시너지 효과를 더할 수 있고 (도 4의 A), 온전한 역분화 줄기세포 콜로니 형성시킬 수 있었다 (도 4의 B).
다음으로 신규 저분자 화합물 133 첨가에 의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역분화 줄기세포의 역분화 유도 시에 기존 역분화 인자 (c-Myc)를 대체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c-Myc은 oncogene으로서 역분화 유도 후 형성된 역분화 줄기세포주에서 c-Myc 바이러스 유전자의 재발현은 암 유발에 관여한다고 알려졌다. 그러므로 c-Myc을 제외한 역분화 유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흥미롭게도 RSC-133 단독으로는 대체 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소듐 부티레이트(Sodium butylate, NaB)와 함께 첨가시 c-Myc 인자를 대체하여 대조군에 비해 역분화 유도 효율을 증진시켰다 (도 5). 결론적으로 신규 저분자 화합물 RSC-133은 마우스 및 인간 세포의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키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역분화 인자 RSC -133의 농도-의존적 역분화 유도 효과 확인
RSC-133에 의한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가 RSC-133의 첨가된 양에 따라 증가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OSKM 유전자의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실험 방법으로 RSC-133이 역분화 유도 배양액에 첨가된 농도에 의존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증가시키는지 확인하였다. 역분화 효율은 AP 활성도를 나타내는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RSC-133은 10 μM 까지 처리한 농도에 의존적으로 역분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도 8). 20 μM에서 역분화 효율이 증가하지 않은 것은 고농도에서 RSC-133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세포 독성을 유도하기 때문에 얻어진 결과가 아니다 (도 9). 이상으로 10 μM의 RSC-133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효율을 가장 촉진시킬 수 있음을 밝혔다.
실시예 13. RSC -133이 관여하는 역분화 과정 규명 및 이를 이용한 효율적 역분화 방법 확립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유도 과정에 관여하는 RSC-133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도 10의 왼쪽 패널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RSC-133을 역분화 과정의 서로 다른 기간 동안 첨가하였다. 역분화 효율은 AP 활성도를 나타내는 콜로니 개수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RSC-133을 동일한 기간 (5, 10, 15일) 동안 처리하였을때, 바이러스 감염 후 5일을 포함하는 역분화 유도 과정 초기에 처리하였을 때 다른 시간대에 비해 우수하게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처리 시간에 의존적으로 역분화 전체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RSC-133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역분화 효율 증진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도 10, 조건1). 그러므로 RSC-133이 역분화 초기 과정에 관여하지만, 지속적인 처리가 가장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키므로, RSC-133은 역분화 과정의 유도뿐만 아니라 생성된 역분화 줄기세포의 유지에도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 RSC -133에 의한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최근 보도에 따르면 세포 성장을 촉진시키면 역분화 효율이 증가한다. 또한 세포 성장률은 배아줄기세포의 자가재생산 능력과 연관되어있다. 그러므로 신규 합성물질인 RSC-133이 역분화 과정 동안 세포 성장을 촉진 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RSC-133을 처리하면서 역분화를 유도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 성장률이 약 1.7배 이상 증가하였다 (도 11). 또한 역분화 유도를 시키지 않아도 RSC-133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본연의 성장률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나타냈다 (도 12). 즉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혹은 역분화인자 (OSKM) 바이러스를 감염시켰지만 역분화 유도를 시키지 않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모두 RSC-133 처리에 따라 세포 성장이 증가했다 (도 12). 다음으로 RSC-133이 proliferating cell population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Bromodeoxyuridine (BrdU)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분석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역분화 과정 동안 (도 13과 16) 그리고 역분화인자 (OSKM) 바이러스를 감염시켰지만 역분화 유도를 시키지 않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도 14)에서 모두 RSC-133 처리에 따라 BrdU 양성 세포군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RSC-133이 세포 성장을 촉진시켜 역분화 효율을 증진시켰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실시예 15: RSC -133에 의해 촉진된 역분화 과정 확인
RSC-133이 역분화 과정의 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역분화 유도 과정 동안 발현되는 mRNA의 상대적인 레벨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실험 방법으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OSKM 유전자의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5일 간격으로 세포를 harvest하여 RSC-133 처리 유무에 따라 변화되는 유전자 발현양을 Real-time RT-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RSC-133을 처리하여 역분화를 유도한 실험군에서 미분화 마커인 Nanog, Oct4, 그리고 Rex1 발현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었고 (도 15 및 도 16 위패널), 역분화를 억제하는 기작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53, p21, 그리고 p16 발현이 상대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6 아래패널). 아울러, 역분화를 유도하고 10일째에는 세포노화연관-β-갈라토시다제(SA-β-gal) 양성 세포의 비율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OSKM alone)에 비해 37.23% 감소하였다(도 17). 그러므로 RSC-133은 역분화 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역분화 과정에 관여하여 kinetics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6: 역분화 과정 동안 히스톤 단백질 아세틸레이션에 관여하는 RSC -133의 기능 분석
기존에 보고된 역분화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저분자성 화합물들 중 대부분은 지놈 메틸레이션 패턴, 히스톤 아세틸레이션 패턴, 혹은 주요 신호전달 기작에 관여한다. 이 중에서 히스톤 아세틸레이션 패턴 조정에 관여하는 histone deacetylase (HDAC) 저해제 (VPA, TSA, 그리고 SAHA 등)는 역분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H3K9 아세틸레이션 (H3K9ace) 레벨의 증가는 만능성와 역분화능과 연관되어 있다. 도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역분화 유도하고 RSC-133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10일 동안 배양한 후, H3K9ace 및 미분화마커 (Nanog)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분석한 결과, RSC-133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H3K9ace 레벨이 높은 미분화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도 18 왼쪽패널). Western blot으로 H3K9ace 레벨을 측정하여 단백질 양을 정량화 했을 때도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다 (도 18, 오른쪽패널).
다음으로 상기 결과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역분화 과정 동안 RSC-133이 HDAC 효소를 저해해서 얻어진 결과인지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역분화 과정 동안 RSC-133의 처리에 따라 총 HDAC 효소의 활성도가 약간 억제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19 왼쪽패널). 도 21에서 도식화한 실험 방법에 따라 역분화 과정 동안 HDAC family의 단백질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RSC-133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HDAC1의 단백질 발현양이 RSC-133 처리 후 10일째에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9 오른쪽패널 및 도 21). HDAC1은 배아줄기세포에서 Oct4, Sox2, Klf4, 그리고 c-Myc gene loci에 occupy할 할 수 있고, HDAC1 결손 배아줄기세포에서 미분화 마커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RSC-133은 HDAC1의 기능을 억제하고 H3K9ace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역분화 과정을 촉진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17: 역분화 과정 동안 DNA 메틸화에 관여하는 RSC -133의 기능 분석
RSC133는 DNA 메틸전이효소(DNA methyltransferase, DNMT)와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 HDAC)등과 같은 후생유전적 조절자들의 활성을 조절한다. RSC133로 역분화를 유도하고 10일째에 DNMT1의 활성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OSKM alone)에 비해 38%로 현저히 감소하였다(도 20). DNA 메틸화 및/또는 히스톤 변이 등에 의한 후생유전적 크로마틴 리모델링은 역분화과정에서 광대한 범위의 전사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NA 메틸화 저해제인 AZA를 처리하거나 DNMT1을 결실시킴으로써 DNA 메틸화를 저해할 경우 온전한 iPSC 상태로 빠르게 전환이 유도된다. H3K9 히스톤 아세틸화(ace)의 증가된 수준은 특히, 다능성과 리프로그래밍 능력을 회복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기존에 DNMT1에 의한 DNA 메틸화가 HDAC 활성을 통한 크로마틴 상태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RSC-133을 통한 DNMT1의 저해와 HDAC1의 활성 저해는 DNA 메틸화와 크로마틴 상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4가지 정의된 역분화 효소들의 유전자 위치에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통해 유전자 전사 조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리프로그래밍 과정을 촉진하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18: RSC -133에 의한 인간 역분화 줄기세포의 특성 분석
18-1. 인간배아줄기세포 마커 발현 확인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피부 섬유아체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줄기세포주(RSC133-iPS)의 줄기세포 특성을 ALP 염색 및 면역염색으로 분석하였다. 2개의 세포주 (RSC133-iPS1 및 RSC133-iPS2)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RSC133-iPS 세포주는 형태적으로나 인간배아줄기세포 마커의 염색(ALP) 및 면역염색(OCT4, NANOG, SSEA-3, SSEA-4, TRA-1-60, TRA-1-81)으로는 구별이 되지 않을 만큼 흡사하였다 (도 22). 또한, semi-quantitative RT-PCR을 수행함으로써 Oct4, Sox2, cMyc, 및 Klf4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RSC133-iPS 세포주는 Oct4, Sox2, cMyc, 및 Klf4 를 total 및 endogenous level에서 인간배아줄기세포만큼 발현하고 있었으며, 레트로바이러스를 통해 도입된 각 전이유전자의 silencing이 충분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23).
18-2. RSC -133에 의한 역분화 줄기세포의 메틸화 분석
상기 실시예 8의 방법에 따라, RSC133-iPS 세포주의 줄기세포 마커 Oct4 및 Nanog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의 메틸화 정도를 bisulfite 시퀀싱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SC133-iPS 역분화 세포주는 인간배아줄기세포주(H9)와 유사한 탈메틸화된 패턴을 보여주었으나, 모세포인 hFFs는 여전히 메틸화가 유지되고 있었다(도 24).
18-3. RSC -133에 의한 역분화 줄기세포의 genomic integration 확인
RSC133-iPS1 및 RSC133-iPS2의 genomic integration을 확인하였다. 지놈 DNA를 DNeasy 키트(Qiagen, Valencia, C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각 300 ng의 지놈 DNA와 전이유전자만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각각의 PCR 증폭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SC133-iPS 세포주는 각각 Oct4, Sox2, cMyc 및 Klf4가 integration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5). 이때, 인간배아줄기세포주(H9, hES)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주(CRL2097, hFF)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18-4. RSC -133에 의한 역분화 줄기세포의 핵형분석( Karyotype Analysis )
RSC133-iPS 세포주의 핵형을 G-banding 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대표 이미지(Representative images)를 ChIPS-Karyo (Chromosome Image Processing System, GenDix)를 사용하여 얻었다 (도 26). 그 결과, RSC133-iPS 역분화 세포주는 정상핵형 (46, XY)을 나타내고 있다.
18-5. RSC -133에 의한 역분화 줄기세포의 전분화능 확인
RSC-133에 첨가에 의해 인간 섬유아체세포로부터 유도된 역분화줄기세포주(RSC133-iPS)가 줄기세포의 특성인 분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각 역분화 줄기세포주로부터 유래된 배아체의 분화능력을 조사하였다. 부유배양한 후, 분화 조건하에서 10일간 젤라틴-코팅된 플레이트에 배아체를 재-부착시킨 후, 삼배엽 분화된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마커 단백질의 발현을 면역화학염색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Tuj1(외배엽), Nestin(외배엽), desmin(중배엽), α-SMA(α-smooth muscle actin, 중배엽), Sox17(내배엽) 및 FoxA2(내배엽)에 양성인 세포를 검출하였다 (도 27). 이러한 결과는 RSC-133에 첨가에 의해 유도된 역분화줄기세포주(RSC133-iPS)가 삼배엽으로 분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분화능이 보존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RSC-133에 첨가에 의한 인간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의 인 비보에서의 전분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RSC133-iPS 역분화 줄기세포주를 면역결핍 (SCID) 생쥐의 dorsal flask에 피하주사하였다. 약 12주 후에 테라토마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해 테라토마 내의 neural rosette(외배엽), adipocyte(중배엽), cartilage(중배엽), 및 gut-like epithelium(내배엽)을 관찰하였다 (도 28). 이는 RSC-133에 첨가에 의한 인간 역분화 줄기세포주(RSC133-iPS)가 인 비트로 및 인 비보에서 삼배엽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시예 19. 미분화 (만능성) 유지, 증진에 관여하는 RSC -133의 효과
H9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기본배지 조건인 unconditioned medium (UM)에서 배양 시 분화가 유도된다. 그러나 이때 RSC-133을 UM에 첨가하고 6일 동안 배양할 경우 유도된 분화 정도가 억제되고 만능성이 재획득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29 위패널).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미분화 상태 유지에 효과적인 MEF-조건 배양액 (MEF-conditioned medium; CM)에서 6일 동안 배양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였으며, 미분화 상태 유지 및 분화 억제 효율은 AP 활성도를 나타내는 콜로니 개수를 계산하여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도 29 아래패널). 또한, 도 30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UM에서 배양시 RSC-133 첨가에 의해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마커 (Oct4와 Tra1-81)가 CM에서 배양한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수준으로 발현하고 있음을 면역염색법을 통해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RSC-133에 의한 분화 억제 및 미분화 상태 유지는 미분화 마커인 Oct4와 H3K9ace 단백질 발현 검증을 통해 추가로 확인되었으며, RSC-133을 포함한 UM에서 배양한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CM에서 배양한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수준으로 Oct4와 H3K9ace 단백질을 발현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도 31). 이를 통해 RSC-133은 특이적으로 인간 체세포의 역분화 과정뿐만 아니라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의 만능성 유지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검증하였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NOVEL SMALL MOLECULAR COMPOUND FOR THE GENERATION, MAINTENANCE, PROLONGED UNDIFFERENTIATED GROWTH OF PLURIPOTENT STEM CELL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CULTURING PLURIPOTENT STEM CELL USING THE SAME <130> PA120975/KR <150> KR 10-2012-0056881 <151> 2012-05-29 <150> KR 10-2012-0057803 <151> 2012-05-30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 Oct4-1 primer F <400> 1 atttgttttt tgggtagtta aaggt 25 <210> 2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 Oct4-1 primer R <400> 2 ccaactatct tcatcttaat aacatcc 27 <210> 3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 Oct4-2 primer F <400> 3 ggatgttatt aagatgaaga tagttgg 27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 Oct4-2 primer R <400> 4 cctaaactcc ccttcaaaat ctatt 25 <210> 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 Nanog primer F <400> 5 tggttaggtt ggttttaaat ttttg 25 <210> 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 Nanog primer R <400> 6 aacccaccct tataaattct caatta 26

Claims (35)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5117861778-pat00042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아미노기(NH2), 메틸아미노기(NHCH3), 디메틸아미노기(N(CH3)2), O-이소프로필기(O-isopropyl), 또는 프로필아미노기(NHC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수소(H)이며;
    ---로 표현된 부분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임,
    단,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이 아미노기(NH2)이고, R2가 수소(H)인 경우는 제외한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R1은 O-이소프로필기(O-isopropyl)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며;
    --- 부분은 이중 결합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R1은 아미노기(NH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며;
    --- 부분은 이중 결합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R1은 메틸아미노기(NHCH3)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며;
    --- 부분은 이중 결합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R1은 프로필아미노기(NHC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며;
    --- 부분은 이중 결합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1항에 있어서,
    R1은 디메틸아미노기(N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이며;
    --- 부분은 이중 결합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 이소프로필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 벤조에이트;
    2)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 벤즈아마이드;
    3)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메틸벤즈아마이드;
    4)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이소프로필벤즈아마이드; 및
    5) 3-[3-(1H-인돌-3-일)-아크릴아미도]-4-히드록시-N,N- 디메틸벤즈아마이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9.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60552211-pat00039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아미노기(NH2), 메틸아미노기(NHCH3), 디메틸아미노기(N(CH3)2), O-이소프로필기(O-isopropyl), 또는 프로필아미노기(NHC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수소(H)이며;
    ---로 표현된 부분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다.
  10.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로의 역분화 촉진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60552211-pat00040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아미노기(NH2), 메틸아미노기(NHCH3), 디메틸아미노기(N(CH3)2), O-이소프로필기(O-isopropyl), 또는 프로필아미노기(NHC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수소(H)이며;
    ---로 표현된 부분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세포는 체세포 또는 전구세포인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유도 만능 줄기세포 또는 배아줄기세포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인 것인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농도는 0.01 초과 내지 20μM 미만인 조성물.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역분화 유도인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역분화 유도인자는 Oct4, Sox2, KlF4, c-Myc, Nanog 및 Lin-2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을 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핵산분자인 것인 조성물.
  17. 분화된 세포;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역분화 유도인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화된 세포는 다능성 줄기세포로 역분화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세포는 체세포 또는 전구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세포는 인간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역분화는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p53, p21, 또는 p16 레벨이 억제되는 것인 세포 배양물.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세포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로의 역분화는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HDAC1의 기능이 억제되고 H3K9ace 레벨이 증가되는 것인 세포 배양물.
  22. (a) 분화된 세포에 역분화 유도인자를 전달하는 단계; 및
    (b) 분화된 세포를 제10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에서 역분화된 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단계 (b)로부터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배아줄기세포-유사 콜로니(embryonic stem cell-like colonies)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역분화 유도인자는 Oct4, Sox2, KlF4, c-Myc, Nanog 및 Lin-2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을 코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핵산분자인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b) 단계는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26.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미분화 상태의 다능성 줄기세포 유지 및 배양용 배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60552211-pat00041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아미노기(NH2), 메틸아미노기(NHCH3), 디메틸아미노기(N(CH3)2), O-이소프로필기(O-isopropyl), 또는 프로필아미노기(NHCH(CH3)2)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수소(H)이며;
    ---로 표현된 부분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 만능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농도는 0.01 초과 내지 20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지 조성물 상에서 다능성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화 상태로 다능성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다능성 줄기세포; 및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가 다수의 연속 계대 배양을 통해서 미분화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 만능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내 세포 배양물.



KR1020120126352A 2012-05-29 2012-11-08 다능성 줄기세포의 제작, 유지, 증식을 증진하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배양방법 KR101586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81 2012-05-29
KR20120056881 2012-05-29
KR1020120057803 2012-05-30
KR20120057803 2012-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38A KR20130133638A (ko) 2013-12-09
KR101586037B1 true KR101586037B1 (ko) 2016-01-19

Family

ID=4967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352A KR101586037B1 (ko) 2012-05-29 2012-11-08 다능성 줄기세포의 제작, 유지, 증식을 증진하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배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87225B2 (ko)
EP (1) EP2774918B1 (ko)
KR (1) KR101586037B1 (ko)
WO (1) WO2013180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4918B1 (en) 2012-05-29 2017-03-2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Novel low-molecular weight compound for promoting pluripotent stem cell generation, maintenance, and proliferation, and composition and culturing method containing same
KR101647030B1 (ko) 2014-11-20 2016-08-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토푸신 억제제를 포함하는, 세포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4361131A1 (en) * 2021-06-21 2024-05-01 Iregene Therapeutics Ltd Oct4 high-selectivity activ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51B1 (ko) * 2007-01-04 2008-06-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7731A1 (en) * 2011-04-07 2012-10-31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Method of activating a target gene in a cell
EP2774918B1 (en) 2012-05-29 2017-03-2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Novel low-molecular weight compound for promoting pluripotent stem cell generation, maintenance, and proliferation, and composition and culturing method contain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51B1 (ko) * 2007-01-04 2008-06-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 Stem Cell, 2008, Vol. 3, pp. 568-574
Nature Biotechnology, 2008, Vol. 26, No. 7, pp. 795-7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4918A4 (en) 2015-07-01
US20150159142A1 (en) 2015-06-11
US10301598B2 (en) 2019-05-28
WO2013180350A1 (ko) 2013-12-05
US20170159023A1 (en) 2017-06-08
KR20130133638A (ko) 2013-12-09
EP2774918B1 (en) 2017-03-22
EP2774918A1 (en) 2014-09-10
US9587225B2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78008B (zh) 一种通过小分子化合物处理来制备多潜能干细胞的方法、试剂盒和用途
Medvedev et al.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fetal neural stem cells successfully undergo directed differentiation into cartilage
Li et al. Generation of human-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 the absence of exogenous Sox2
US8962322B2 (en) Enhancers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reprogramming
US20150072416A1 (en) Metabolite for improving production, maintenance and prolifer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culturing pluripotent stem cell using the same
US819323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stem cells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Sandmaier et al. Generat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domestic goats
US10301598B2 (en) Low-molecular-compound for improving production, maintenance and prolifer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culture method
Hu et al. Derivation, expansion, and motor neuron differentiation of human-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ith non-integrating episomal vectors and a defined xenogeneic-free culture system
Müller et al. Ca2+ activated K channels-new tools to induce cardiac commitment from pluripotent stem cells in mice and men
Gao et 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maintaining porcin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O2018138281A1 (en) Pluripotent stem cells
Salemi et al. Efficient generation of dopaminergic-like neurons by overexpression of Nurr1 and Pitx3 in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O2012096552A2 (ko) Rex1을 포함하는 세포 리프로그래밍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 만능줄기세포 제조방법
Tai et al. Generation of Arbas Cashmere goa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through fibroblast reprogramming
Sun et al. Reprogramming sertoli cells into pluripotent stem cells
US10676720B2 (en) Combinational use of mechanical manipulation and programin derivatives to increase Oct4, Sox2, Nanog or c-Myc expression in fibroblasts
KR101548534B1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성체세포를 유도만능 줄기세포로 역분화시키는 방법
KR101249801B1 (ko)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JP6736253B2 (ja) 体細胞から多能性幹細胞を作製するための機械的操作とプログラミンの併用
KR101166257B1 (ko) 미분화 다능성줄기세포의 제작, 유지 및 증식을 위한 뉴로펩타이드 y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능성줄기세포의 배양 방법
US20150087594A1 (en) Induced neural stem cells
JP2023090959A (ja) 幹細胞の製造方法、及び癌細胞化のリスク低減方法
Marttila Establishment and characterisation of new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s and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a comparative view
JP2012200185A (ja) 人工多能性幹細胞の樹立効率改善剤及びそれを用いた効率的な人工多能性幹細胞の樹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