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013B1 - 온풍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풍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013B1
KR101586013B1 KR1020140112119A KR20140112119A KR101586013B1 KR 101586013 B1 KR101586013 B1 KR 101586013B1 KR 1020140112119 A KR1020140112119 A KR 1020140112119A KR 20140112119 A KR20140112119 A KR 20140112119A KR 101586013 B1 KR101586013 B1 KR 10158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irculation pipe
temperature
supply sour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연희
Original Assignee
송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연희 filed Critical 송연희
Priority to KR102014011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01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온풍 보일러가 개시된다. 상기 온풍 보일러는, 온풍공급원; 상기 온풍공급원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송풍시키기 위한 제1 송풍모터; 일단부가 상기 제1 송풍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송풍모터에 의해 송풍되는 온풍이 유입되어 상기 온풍을 순환시키고, 실내 바닥에 매설되는 온풍순환관; 및 상기 온풍순환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온풍순환관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온풍을 상기 온풍순환관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배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풍 보일러{HOT AIR BOILER}
본 발명은 온풍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바닥 및 실내 내부를 동시에 난방할 수 있는 온풍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바닥 난방장치는 주로 기름 또는 가스를 연소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물이 저장되는 금속파이프 또는 PVC파이프로 구성되어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물을 순환시켜서 난방을 한다.
즉, 온수난방의 경우는 주택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 전체에 걸쳐서 온수가 지나가는 난방파이프와 같은 난방관을 일정간격으로 깔고 그 위에 모르타르 미장을 하고 장판이나 마루판 등 실내마감재로 마감하는 미장 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온수난방은 온수를 열매(熱媒)로 한 난방 방식으로서 보일러에서 열원인 물을 대열(帶熱)시켜 이것을 실내에 미장 시공된 난방관에 보내어 난방시키게 되며, 난방관을 돌아온 물은 다시 대열되어 난방관을 재순환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난방장치는 실내의 바닥의 난방만을 위해 설치되며, 실내 내부 공간을 난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난방장치를 실내에 설치하여 난방을 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341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바닥의 난방을 위해 공급되는 온풍을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과 실내 내부의 공간을 동시에 난방할 수 있도록 한 온풍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는, 온풍공급원; 상기 온풍공급원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송풍시키기 위한 제1 송풍모터; 일단부가 상기 제1 송풍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송풍모터에 의해 송풍되는 온풍이 유입되어 상기 온풍을 순환시키고, 실내 바닥에 매설되는 온풍순환관; 및 상기 온풍순환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온풍순환관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온풍을 상기 온풍순환관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배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풍부는, 실내의 벽면에 형성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 내에 설치되는 제2 송풍모터; 및 상기 덕트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송풍모터의 앞에 배치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는 상기 배풍부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은 상기 덕트부에 고정되고, 상기 주름관의 타단은 상기 온풍순환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이용하면, 실내 바닥의 난방을 위해 공급되는 온풍을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과 실내 내부의 공간을 동시에 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풍부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풍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풍부를 예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는 온풍공급원(100), 제1 필터부(200), 제1 송풍모터(300), 온풍순환관(400), 배풍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풍공급원(100)은 온풍을 생성하기 위한 가열원을 포함하고, 가열원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온풍공급원(100)은 가스, 펠렛, 기름, 화목, 연탄 등의 연료를 이용하거나 전기, 태양열 등을 이용하여 온풍공급이 가능한 보일러일 수 있다.
제1 필터부(200)는 온풍공급원(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온풍공급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부(200)는 온풍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내의 이물질을 여과시킨다. 이물질 여과를 위해 제1 필터부(200)는 여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필터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1 송풍모터(300)는 제1 필터부(2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온풍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송풍시킨다.
온풍순환관(400)은 일단부가 제1 송풍모터(300)와 연결되고 제1 송풍모터(300)에 의해 송풍되는 온풍이 유입되어 온풍을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온풍순환관(400)은 실내 바닥에 매설될 수 있다.
배풍부(500)는 온풍순환관(40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온풍순환관(400)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온풍을 온풍순환관(4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풍부(500)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배풍부(500)는 덕트부(510), 제2 송풍모터(520) 및 제2 필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부(510)는 온풍이 배출되는 개구(511a)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511a)를 통해 온풍이 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덕트부(510)는 중공의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부(511)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511)의 일면에는 상기 개구(511a)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511)의 가장자리에는 몸체부(511)를 실내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랜지부(512)는 벽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송풍모터(520)는 덕트부(5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송풍모터(520)는 연료순환관(400)의 내측으로부터 온풍을 흡입하여 덕트부(5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송풍모터(520)는 덕트부(510) 내에 설치 가능한 크기일 수 있다.
제2 필터부(530)는 덕트부(5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부(530)는 덕트부(5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온풍 내의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필터부(530)는 여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 필터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의 온풍을 공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온풍의 공급을 위해, 먼저 온풍공급원(100)이 구동되어 가열원으로 공기를 가열하고 이에 의해 온풍이 생성된다. 이후 제1 송풍모터(300)가 구동되고, 제1 송풍모터(300)에 의해 온풍이 제1 필터부(200)를 향해 공급된다. 제1 필터부(200)에 의해 온풍이 공급될 때 이물질이 여과된다. 제1 필터부(200)를 통과한 온풍은 온풍순환관(40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온풍순환관(400)으로 공급된 온풍은 온풍순환관(400)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온풍순환관(400)의 끝단부에 다다르면 배풍부(50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때, 온풍은 배풍부(500)의 덕트부(510) 내에 유입되고, 제2 송풍모터(520)는 덕트부(510) 내로 유입된 온풍을 연료순환관(400)의 내측으로부터 흡입하여 덕트부(510)의 외측을 향해 배출시키며, 배출되는 온풍은 제2 필터부(530)를 통과하면서 2차로 이물질이 여과되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온풍의 공급과정에서 실내 공간의 바닥부는 온풍순환관(400) 내부를 이동하는 온풍에 의해 가열되어 온열되며, 배풍부(500)를 통해 실내 공간 내에 직접 온풍이 공급된다. 온풍순환관(400)을 지나는 온풍은 온풍순환관(400)의 입구측으로부터 배풍부(500)를 향해 가면서 온도가 점차 저하된다. 예를 들면, 온풍이 온풍순환관(400) 내로 유입될 때 80℃ 이하일 수 있고, 온풍이 배풍부(500)에 다다를 때 50℃ 이하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풍부(50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는 온풍은 실내 내부 공간의 난방이 가능한 온도로 실내 공간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이용하면, 실내 바닥의 난방을 위해 공급되는 온풍을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과 실내 내부의 공간을 동시에 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풍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는 배풍부(500)가 주름관(540)을 더 포함하고, 주름관(540)의 일단은 덕트부(510)에 고정되고 주름관(540)의 타단은 온풍순환관(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는 덕트부(510)가 주름관(540)을 통해 온풍순환관(40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온풍순환관(400) 끝단부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배풍부(500)는 온풍순환관(400)의 끝단부가 위치한 지점에 제한되어서 설치되지 않고, 배풍부(500)의 덕트부(510)를 파지한 채로 잡아당기면 주름관(540)의 일단부가 덕트부(510)와 함께 당겨지면서 온풍순환관(400)의 내부로부터 점차 긴 길이로 주름관(540)이 인출된다. 또한 주름관(540)이 자유롭게 절곡 가능하므로 배풍부(500)의 이동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 보일러를 이용하면, 배풍부(500)를 벽면에 설치하고자 할 때 배풍부(5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름관(540)에 의해 배풍부(500)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따라서 난방 시공시 온풍순환관(400)의 실내 바닥에 매설된 상태에서도 배풍부(5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온풍순환관(400)이 실내 바닥에 매설된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도 실내 공간 전체에 효율적으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배풍부(50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실내 공간의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송풍모터(300) 및 제2 송풍모터(500)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제1 송풍모터(300) 및 제2 송풍모터(500)의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변색층 위에는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된다.
여기서, 온도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층은 제1 송풍모터(300) 및 제2 송풍모터(50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제1 송풍모터(300) 및 제2 송풍모터(500)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90℃, 100℃, 120℃, 150℃, 180℃, 20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온도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송풍모터(300) 및 제2 송풍모터(50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의 상태에서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막층은 온도변색층 위에 코팅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풍순환관(400)의 내부에는 호스 내부를 보호하도록 특수실리콘이 도포되어 있다. 이 특수실리콘은, 플루오라이트카본(fluorite carbon)으로 이루어진다.
플루오라이트카본은 분자결합상 치밀한 조직으로 구성되고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내화학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온풍순환관(400)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므로 온풍순환관(400)이 장기간 사용되어도 쉽게 부식, 파열, 훼손되지 않는다.
그리고, 온풍공급원(100)의 케이스 둘레에는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온풍공급원(100)의 케이스 둘레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0∼94중량%에 기능성 오일 6∼10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헬리오트로프 오일(Heliotropium arborescense oil) 50중량%, 성존스왓트 오일(St. John's Wort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6∼10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6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10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헬리오트로프 오일(Heliotropium arborescense oil)은 남미 원산의 짙은 보라색 또는 흰색의 꽃에서 향기가 나는 향료식물로서, 꽃에서 얻어지는 오일로서, 진통, 항울,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혈압상승치료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성존스왓트 오일(St. John's Wort oil)은 추출한 오일이 붉은 색을 띠며, 항울증, 신경통, 근육통, 통증완화 등의 질환 치료 및 항염효과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온풍공급원(100)의 케이스 둘레에 코팅되므로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을 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온풍공급원 200 : 제1 필터부
300 : 제1 송풍모터 400 : 온풍순환관
500 : 배풍부 510 : 덕트부
520 : 제2 송풍모터 530 : 제2 필터부
540 : 주름관

Claims (3)

  1. 온풍공급원(100);
    상기 온풍공급원(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 필터부(200);
    상기 제1 필터부(2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송풍시키기 위한 제1 송풍모터(300);
    일단부가 상기 제1 송풍모터(30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송풍모터(300)에 의해 송풍되는 온풍이 유입되어 상기 온풍을 순환시키고, 실내 바닥에 매설되는 온풍순환관(400); 및
    상기 온풍순환관(40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온풍순환관(400)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온풍을 상기 온풍순환관(400)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배풍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배풍부(500)는, 실내의 벽면에 형성되는 덕트부(510); 상기 덕트부(510) 내에 설치되는 제2 송풍모터(520); 및 상기 덕트부(5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송풍모터(520)의 앞에 배치되는 제2 필터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배풍부(500)는 주름관(5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540)의 일단은 상기 덕트부(510)에 고정되고, 상기 주름관(540)의 타단은 상기 온풍순환관(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제1 송풍모터(300) 및 제2 송풍모터(500)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이 도포되되, 상기 온도변색층은, 세팅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제1 송풍모터(300) 및 제2 송풍모터(500)의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온도변색층 위에는 상기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되며;
    온풍순환관(400)의 내부에는 호스 내부를 보호하도록 특수실리콘이 도포되고, 상기 특수실리콘은 플루오라이트카본(fluorite carbon)으로 이루어지며;
    온풍공급원(100)의 케이스 둘레에는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온풍공급원(100)의 케이스 둘레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되,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되며, 혼합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0∼94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6∼10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헬리오트로프 오일(Heliotropium arborescense oil) 50중량%, 성존스왓트 오일(St. John's Wort oil) 5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보일러.
  2. 삭제
  3. 삭제
KR1020140112119A 2014-08-27 2014-08-27 온풍 보일러 KR10158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119A KR101586013B1 (ko) 2014-08-27 2014-08-27 온풍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119A KR101586013B1 (ko) 2014-08-27 2014-08-27 온풍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013B1 true KR101586013B1 (ko) 2016-01-15

Family

ID=5517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119A KR101586013B1 (ko) 2014-08-27 2014-08-27 온풍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95A (ko) * 2019-02-11 2020-08-20 김선환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015A (ko) * 2002-08-20 2004-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KR20050118660A (ko) * 2005-12-01 2005-12-19 송재섭 온돌 및 실내공기 겸용난방.
KR200428799Y1 (ko) * 2006-07-21 2006-10-16 김철웅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냉/온풍기
KR101373412B1 (ko) 2013-10-08 2014-03-13 김영규 가열압축공기를 이용한 바닥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015A (ko) * 2002-08-20 2004-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KR20050118660A (ko) * 2005-12-01 2005-12-19 송재섭 온돌 및 실내공기 겸용난방.
KR200428799Y1 (ko) * 2006-07-21 2006-10-16 김철웅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냉/온풍기
KR101373412B1 (ko) 2013-10-08 2014-03-13 김영규 가열압축공기를 이용한 바닥 난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95A (ko) * 2019-02-11 2020-08-20 김선환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KR102197853B1 (ko) * 2019-02-11 2021-01-04 김선환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11607A3 (en) Energy system for drying moist products
NZ616544A (en) Water heating apparatus, especially for pools
WO2010017095A3 (en) Fluid preheater
KR101586013B1 (ko) 온풍 보일러
KR102213722B1 (ko) 복사 대류형 패널 구조의 냉난방기
CN205316545U (zh) 太阳能供暖空调
US20080199367A1 (en) Indoor air freshener
CN205808006U (zh) 一种热风循环干燥机
CN205611515U (zh) 一种产前母猪的自动清洗装置
IT8323074A1 (it) Apparecchio di riscaldamento ad aria per fabbricati od abitazioni
GB2515871A8 (en) Heating appliance
KR102054506B1 (ko) 다용도 스팀기
CN203518085U (zh) 一种直热型两步式空气高焓加热器
CN205808074U (zh) 一种热风循环干燥机
CN202630399U (zh) 墙板热风机
EP3358271A1 (en) Water heater and a pipe coil for a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an exchanger intended for that specific water heater
CN104566927B (zh) 管状储水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108119887A (zh) 蒸汽发生器及具有其的洗车机
US20220118392A1 (en) Tower type air cleaning device for outdoor
CN208443169U (zh) 精馏塔组
JP2005291412A (ja) 配管被覆カバー
CN2290810Y (zh) 一种电热水器蒸汽发生装置
CN205227771U (zh) 一种水热毯加热器
CN205505399U (zh) 采暖式热水器
KR20210121434A (ko) 태양광을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