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506B1 - 다용도 스팀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스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506B1
KR102054506B1 KR1020180075024A KR20180075024A KR102054506B1 KR 102054506 B1 KR102054506 B1 KR 102054506B1 KR 1020180075024 A KR1020180075024 A KR 1020180075024A KR 20180075024 A KR20180075024 A KR 20180075024A KR 102054506 B1 KR102054506 B1 KR 10205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present
steamer
coupl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휘철
Original Assignee
천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휘철 filed Critical 천휘철
Priority to KR102018007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22B1/28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the water being fed by a pump to the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06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with hea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 또는 산업현장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스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내부에 히터와 히터봉을 구비하여 신속하게 예열할 수 있으며, 스프링 타입으로 히터와 흐름유도부를 스팀기의 내부에 설치하여 단시간에 가열된 공급수가 외부로 스팀 형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스팀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스틱 형태의 히터봉과 스프링 타입의 히터를 구비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 신속하게 예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팀기의 내부를 제1·2 예열공간으로 분리된 구조로, 가열된 히터봉과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와 흐름유도부가 스프링 타입으로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공급수가 와류현상이 일어나 신속하게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스팀기{A multipurpose Steamer}
본 발명은 축사 또는 산업현장등에 사용되는 다용도 스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내부에 히터와 히터봉을 구비하여 신속하게 예열할 수 있으며, 스프링 타입으로 히터와 스프링을 스팀기의 내부에 설치하여 공급수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제1·2 예열공간을 형성하여 열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용도 스팀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기는 내부에 히터를 구비하여 공급수를 스팀 형태로 가열하여 산업현장 또는 축사의 소독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스팀기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739호와 같이 히터의 외주면에 예열파이프가 감겨지고, 상기 예열파이프의 한 쪽에는 솔레노이드가 결합되는 한편, 다른 한 쪽은 히터의 내부와 연결되게 히터가 결합되며, 히터의 전면에는 스팀출구관과 스팀출구노즐로 되는 본체가 결합된 구성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스팀기는 히터의 외주면에 예열파이프가 감겨진 형태로, 히터를 예열할 시 예열파이프로 공급된 공급수를 가열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고, 히터를 예열하는 중 히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열 손실이 많으며, 에너지 소비 또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스팀기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369호와 같이 가열선이 내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가열선이 구비된 하우징의 내측으로 저장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모터가 구비된 저장탱크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 구성하며, 상기 저장태크의 하단에는 급수파이프 및 배수파이프가 연결되고, 가열선 및 급수모터와 연결된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조절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는 자바라 구조의 분사노즐이 결합한 구성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스팀기는 상·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고, 내측에 가열선과 제 2가열선을 구비하여 공급수를 가열하여 스팀형태로 상부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나 부피가 크고, 하부하우징의 제 2가열선을 이용하여 공급수를 가열한 후 재차 상부하우징의 가열선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가열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며, 상기 가열선이 하우징의 내부 전체를 가열하기 위해서 에너지 소비가 많이 일어나고, 가열선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54739 Y1 2011.07.22. KR 20-0445369 Y1 2009.07.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다용도 스팀기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연구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의 열 손실이 없이 신속하게 공급수를 예열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수가 스팀기의 내부에서 머무르지 않고 막힘 현상이 없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는 다용도 스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단부에 공급수가 공급되는 관체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너트부를 형성한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며, 전방에 스팀배출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히터공급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제1 예열공간과 제2 예열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의 중앙에는 스틱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히터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터봉과; 상기 격벽의 외면과 본체의 내부면 사이에 상기 히터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터;를 포함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상기 히터봉과 상기 격벽의 내부면 사이에 결합된 스프링형태의 흐름유도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상기 히터는 스프링 형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다용도 스팀기는 내부에 히터봉과 스프링 타입의 히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공급수를 신속하게 예열하여 스팀 형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가 제1 예열공간과 제2 예열공간으로 분리된 구조로, 본체의 외부로 열 손실없이 공급수를 예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히터와 흐름유도부를 스프링 형태로 본체의 내부에 결합하여 공급된 공급수가 와류현상이 일어나 스팀배출구쪽으로 단시간에 예열된 상태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정단면도
도 4는 히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히터봉과 흐름유도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히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축사 또는 산업현장에서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스팀기로, 본체(110)의 내부로 공급수가 공급되는 유입관(140)과 내부에 히터(200)가 구비된 본체(11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수는 양계장, 돈사 등을 스팀기(100)로 소독을 할 경우에 소독용 약제와 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한다.
상기 유입관(140)은 '┏'형상으로 단부에 공급수가 공급되는 관체(500)와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너트부(141)를 형성하며, 반대쪽 단부에는 본체(110)의 상부와 결합되어 공급수를 본체(110)에 유입시킨다.
상기 본체(110)는 후방에 히터공급선(130)이 히터(200)와 히터봉(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방에는 공급수가 예열된 상태로 외부로 스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스팀배출부(1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예열공간(160)과 제2 예열공간(170)이 분리되게 형성되도록 격벽(15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격벽(150)에는 히터(200)와 히터봉(300)이 구성된다.
상기 히터(200)와 히터봉(300)의 구성은, 도 4와 같이 격벽(150)의 외면과 본체(110)의 내부면 사이에 스프링 형태의 히터(200)가 결합되고, 본체(110)의 내부의 중앙에는 스틱 형태의 히터봉(300)이 구성된다.
상기 히터(20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본체의 내부면 또는 격벽의 외부면에 더욱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어느 한 형상을 한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의 스팀배출부(120)에는 스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스팀공급관(600)이 연결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스팀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히터봉과 흐름유도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 예열공간(160)에서 공급된 공급수가 제2 예열공간(170)에서 더욱 신속하게 스팀 형태로 스팀배출부(120)쪽으로 공급되면서 예열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격벽(150)의 내부면에는 스프링 형태의 히터(200)를 따라 예열되며 공급된 공급수가 재차 예열될 수 있고, 스팀배출부(150)쪽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스프링의 형태로 흐름유도부(400)를 구성한다.
상기 흐름유도부(40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격벽(150)의 내부면과 히터봉(300)에 더욱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어느 한 형상을 한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의 스팀배출부(120)에는 스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스팀공급관(600)이 연결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용도 스팀기(100)는 양계장, 돈사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급수가 펌프의 압력에 의해 관체(500)로 유입되고, 이 관체(500)와 결합너트부(141)로 연결된 유입관(140)에 공급수가 유입되어 본체(110)로 공급된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급수는 스프링 형태의 히터(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류 현상이 일어나고, 제1 예열공간(160)에서 제2 예열공간(170)으로 예열된 상태로 신속하게 이동된다.
상기 제2 예열공간(170)으로 이동된 공급수는 흐름유도부(4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류 현상이 일어나고, 히터봉(300)에 의해 재차 예열이 일어나 단시간에 공급수가 가열되어 스팀 형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110)의 내부에 격벽(150)을 형성하여 히터(200)와 히터봉(300)이 분리되도록 하고, 2번에 걸쳐 공급수를 예열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예열할 수 있고, 외부로 열 손실이 없이 예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개선점으로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으로,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선점에 대하여 실시한 동등한 변화 또는 등가의 변화,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팀기 110: 본체
120: 스팀배출부 130: 히터공급선
140: 유입관 141: 결합너트부
150: 격벽
160: 제1 예열공간 170: 제2 예열공간
200: 히터 300: 히터봉
400: 흐름유도부
500: 관체 600: 스팀공급관

Claims (5)

  1. 단부에 공급수가 공급되는 관체(110)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너트부(141)를 형성한 유입관(140)과;
    상기 유입관(140)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며, 전방에 스팀배출부(120)가 형성되고, 후방에 히터공급선(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제1 예열공간(160)과 제2 예열공간(170)이 형성되도록 격벽(150)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의 중앙에는 스틱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히터공급선(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터봉(300)과;
    상기 격벽(150)의 외면과 본체(110)의 내부면 사이에 스프링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히터공급선(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히터(200); 및
    상기 히터봉(300)과 상기 격벽(150)의 내부면 사이에 스프링형태로 결합되고,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흐름유도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는 상기 본체의 내부면과 격벽의 외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격벽의 내부면과 히터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5024A 2018-06-28 2018-06-28 다용도 스팀기 KR10205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24A KR102054506B1 (ko) 2018-06-28 2018-06-28 다용도 스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24A KR102054506B1 (ko) 2018-06-28 2018-06-28 다용도 스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506B1 true KR102054506B1 (ko) 2019-12-10

Family

ID=6900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24A KR102054506B1 (ko) 2018-06-28 2018-06-28 다용도 스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914A (ko) * 2022-01-21 2023-07-28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스팀 생성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604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20080081941A (ko) * 2005-12-05 2008-09-10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증기 발생기 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KR200445369Y1 (ko) 2007-07-30 2009-07-22 정원하 주방전용다기능스팀기
KR200454739Y1 (ko) 2009-08-27 2011-07-22 박장로 스팀기
KR101319980B1 (ko) * 2013-03-13 2013-10-18 주식회사 휴먼네이처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604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20080081941A (ko) * 2005-12-05 2008-09-10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증기 발생기 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KR200445369Y1 (ko) 2007-07-30 2009-07-22 정원하 주방전용다기능스팀기
KR200454739Y1 (ko) 2009-08-27 2011-07-22 박장로 스팀기
KR101319980B1 (ko) * 2013-03-13 2013-10-18 주식회사 휴먼네이처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914A (ko) * 2022-01-21 2023-07-28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스팀 생성 장치
KR102634934B1 (ko) * 2022-01-21 2024-02-07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스팀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506B1 (ko) 다용도 스팀기
MX2020010921A (es) Calentador electrico de agua que tiene una derivacion.
US20120285970A1 (en) Storage Tank for Pressurized Water
KR101514987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KR101719206B1 (ko) 인덕션 보일러를 이용한 가열시스템
KR200434072Y1 (ko) 매트용 보일러
TWM558890U (zh) 臥式電熱水器
CN108165153A (zh) 一种绿色环保阻燃型双层管道
US1226849A (en) Electric water-heater.
KR101255822B1 (ko) 전기보일러의 가열기 구조
CN203239640U (zh) 一种靠自身介质循环冷却的屏蔽泵
KR20200042772A (ko) 동일한 비데 본체 케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모델로 제조 가능한 비데 장치
US1534898A (en) Water heater
CN211618797U (zh) 一种成品储罐
CN109893043A (zh) 蒸汽发生器及无线蒸汽拖把
GB108365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ace heating radiators
KR101531995B1 (ko) 혼합수전
RU185979U1 (ru) Трубопровод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олужидких кормовых сред
US1153233A (en) Hot-water-circulating system.
KR101586013B1 (ko) 온풍 보일러
CN212238056U (zh) 烤漆热风循环烘箱
CN212108949U (zh) 加热机构和热水器
CN209101254U (zh) 一种带限流阀的蒸汽类产品
CN209386534U (zh) 一种加热器
US20110262119A1 (en) Steam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