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34B1 - 스팀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934B1
KR102634934B1 KR1020220009102A KR20220009102A KR102634934B1 KR 102634934 B1 KR102634934 B1 KR 102634934B1 KR 1020220009102 A KR1020220009102 A KR 1020220009102A KR 20220009102 A KR20220009102 A KR 20220009102A KR 102634934 B1 KR102634934 B1 KR 10263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er
valve
disposed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2914A (ko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34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2Forms of water tubes, e.g. of varying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78Adaptations or mounting of 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06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with hea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물이 공급되는 관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로부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부; 상기 관로부의 출구상에 배치되어 밸브;및 상기 히터부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측부의 열전도성보다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부는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외측관로와, 나선형으로 상기 외측관로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내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관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부를 거쳐 상기 내측관로에 열을 공급하는 내측히터와, 상기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관로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부를 거쳐 상기 외측관로에 열을 공급하는 외측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히터는 원통형이며, 상기 외측히터는 환형이고, 상기 내측관로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외측관로의 단면적으로 크기보다 크고, 상기 내측관로의 출구와 상기 외측관로의 출구는 서로 연결되는 스팀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팀 생성 장치{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스팀을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세척, 세정을 위한 스팀 생성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835호 등에 소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을 담는 저수탱크에 전기 히터로 물을 끓여 스팀을 생성, 배출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저장한 물을 소진한 다음 저수탱크에 다시 물을 채우고 가열을 시작해야 하므로 연속적인 스팀 공급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 방식의 스팀 생성 장치는 구조적으로 물속의 각종 미네랄이 고온(180~200℃)과 고압(3~8Bar)의 조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스팀 생성 장치의 내부에 미네랄 혼합물이 흡착이 되면서, 스팀관로를 막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스팀 생성 장치는 내부의 물을 보일러를 통해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 방식(버너식, 전기식)이 주를 이루고 있고 스팀 생성 장치의 내부 용접부위에 물에 의해 서서히 내부가 부식되고, 오염된 녹물이 포함된 스팀으로 살균, 소독을 하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8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베이어 속도에 대응하여 스팀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팀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물이 공급되는 관로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로부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부와, 상기 관로부의 출구상에 배치되어 밸브 및 상기 히터부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측부의 열전도성보다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부는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외측관로와, 나선형으로 상기 외측관로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내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관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부를 거쳐 상기 내측관로에 열을 공급하는 내측히터와, 상기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관로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부를 거쳐 상기 외측관로에 열을 공급하는 외측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히터는 원통형이며, 상기 외측히터는 환형이고, 상기 내측관로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외측관로의 단면적으로 크기보다 크고, 상기 내측관로의 출구와 상기 외측관로의 출구는 서로 연결되는 스팀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관로의 위치와 상기 외측관로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내측관로의 출구 및 상기 외측관로의 출구는 컨베어이에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내측관로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관로의 출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1 밸브와, 상기 내측관로의 출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컨베어어의 이송속도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이송속도에 기초하여 제1 밸브의 개도량 또는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 범위인 제1 모드에서, 상기 외측히터를 오프(off)하고 상기 내측히터를 온(on)하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모두 완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의 최소값보다 작은 제2 모드에서, 상기 외측히터를 오프(off)하고 상기 내측히터를 온(on)하고, 상기 제1 밸브의 개도량을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의 최대값보다 큰은 제3 모드에서, 상기 내측히터를 오프(off)하고 상기 외측히터를 온(on)하고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상기 제1 밸브의 개도량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관로를 이용함으로써, 물속 미네랄이 물탱크에 침전물로 끼는 것을 방지하고,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물이 관로로만 지나가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스팀 발생 장치와 같이 탱크 전체를 가열하지 않고 물이 흐르는 관로만 가열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에 연속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나선형 외측관로와 나선형 내측관로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내측히터와 가까운 내측관로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내측히터와 먼 외측히터의 내측관로의 단면적으로 작게 하여, 외측관로와 내측관로가 합쳐져 스팀을 배출할 때, 외측관로와 내측관로의 스팀량의 밸런스를 맞추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히터와 가까운 하우징의 내측부는 외측부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하여, 스팀량을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외측부를 통해 하우징의 강도를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의 이동속도에 대응하여, 외측관로에서 생성된 스팀과 내측관로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스팀 생성 시간을 활용하여 내측관로를 통해 많은 양의 스팀을 컨베이어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 상대적으로 여유가 없는 스팀 생성 시간을 고려하여 외측히터와 외측관로를 통해 신속하게 스팀을 컨베이어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팀 생성 장치와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팀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내측관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외측관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내측관로와 외측관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하우징에 배치된 관로부와 히터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하우징에 배치된 관로부와 히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제1 모드에서 외측관로의 스팀 배출과 내측관로의 스팀 배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모드에서 외측관로의 스팀 배출과 내측관로의 스팀 배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3 모드에서 외측관로의 스팀 배출과 내측관로의 스팀 배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팀 생성 장치(10)와 컨베이어(3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팀 생성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팀 생성 장치(10)는, 컨베이어(30)에 스팀을 제공한다. 컨베이어(30)에 배치된 노즐부(40)는 스팀 생성 장치(10)에서 공급받은 스팀을 컨베이어(30)에 분사하여, 컨베이어(30) 또는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살균하거나 세정할 수 있다. 스팀 생성 장치(10)는 케이스(20)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생성 장치(10)는, 하우징(100)과, 관로부(200)와, 히터부(300)와, 밸브(410,420)와,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관로부(200)와 히터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열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로부(200)는 이중으로 배치되는 나선형 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로부(200)는 외측관로(210)와 내측관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내측관로(2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측관로(220)는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내측관로(220)의 출구(221)와 입구(222)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내측관로(220)의 입구(222)의 방향과 출구(221)의 방향은 동일 할 수 있다. 내측관로(220)의 입구(222)로 물이 공급된다. 내측관로(220)에서 스팀이 생성되어 내측관로(220)의 출구(221)로 배출된다.
도 4는 외측관로(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측관로(210)는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외측관로(210)의 출구(211)와 입구(212)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외측관로(210)의 입구(212)의 방향과 출구(211)의 방향은 동일 할 수 있다. 외측관로(210)의 입구(212)로 물이 공급된다. 외측관로(210)에서 스팀이 생성되어 외측관로(210)의 출구(211)로 배출된다.
이러한 외측관로(210)는 내측관로(220)의 외측에 배치된다. 때문에 외측관로(210)는 내측히터(도 6의 320)와 내측관로(220)보다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다.
그리고 외측관로(210)의 단면적(A1)의 크기가 내측관로(220)의 단면적(A2)의 크기보다 작다. 이는 외측관로(210)를 흐르는 유량을 내측관로(220)를 흐르는 유량보다 작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나선형 외측관로(210)와 나선형 내측관로(220)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내측히터(도 6의 320)와 가까운 내측관로(220)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내측히터(320)와 먼 외측히터(310)의 내측관로(220)의 단면적으로 작게 하여, 외측관로(210)와 내측관로(220)가 합쳐져 스팀을 배출할 때, 외측관로(210)와 내측관로(220)의 스팀량의 밸런스를 맞추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내측관로(220)와 외측관로(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측관로(220)는 외측관로(2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외측관로(210)는 내측관로(2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내측관로(220)와 외측관로(210)는 동축(C)으로 배치된다.
도 6은 하우징(100)에 배치된 관로부(200)와 히터부(300)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7은 하우징(100)에 배치된 관로부(200)와 히터부(300)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히터부(300)는 외측히터(310)와 내측히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히터(320)는 내측관로(2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외측히터(310)는 외측관로(2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내측히터(3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히터(31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히터(320)와 외측히터(310)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각 제어부(500)와 연결된다.
하우징(100)은 외측부(110)와 내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120)는 외측부(11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내측부(120)는 외측부(110)의 열전도성보다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부(120)는 탄소복합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히터(320)와 내측관로(220)는 하우징(100)의 내측부(120)에 배치된다.
이러한 내측부(120)는 내측히터(320)의 열을 빠르게 내측관로(220)로 공급한다. 내측관로(220)에 열이 공급되면 내측관로(220)를 지나는 물은 스팀으로 변환된다. 내측관로(220)를 지나는 유량이 외측관로(210)보다 크지만, 열전도성이 높은 하우징(100)의 내측부(120)를 통해 열을 공급하기 때문에 외측관로(210)보다 많은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다.
외측히터(310)와 외측관로(210)는 하우징(100)의 외측부(110)에 배치된다. 외측부(110)는 내측부(120)보다 열전도성이 떨어지지만, 하우징(10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내측히터(320)에서 발생된 열은 내측부(120)를 거쳐 도 7의 T1와 같이 내측관로(220)로 전달된다. 또한, 도 7의 T2와 같이 내측히터(320)에서 발생된 열은 내측부(120) 및 외측부(110)를 거쳐 외측히터(310)에 전달될 수 있다. 외측관로(210)에 전달되는 열이 내측관로(220)에 전달되는 단위시간당 열이 작지만, 외측관로(210)의 유량이 작기 때문에, 외측관로(210)에서 스팀으로 변환시간을 줄일 수 있다.
관로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내측관로(220)의 위치와 외측관로(210)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내측관로(220)와 외측관로(210)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내측히터(320)의 열이 외측관로(210)에 효과적으로 도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외측히터(31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측관로(21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내측히터(320)로 부터 열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외측히터(310)로부터 열을 공급받으면 외측관로(210)에서 빠르게 스팀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1 모드에서 외측관로(210)의 스팀 배출과 내측관로(220)의 스팀 배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밸브(410,420)는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410)는 외측관로(210)의 출구(211) 상에 배치된다. 제2 밸브(420)는 내측관로(220)의 출구(221) 상에 배치된다.
제1 밸브(410)는 외측관로(210)의 출구(211)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밸브(420)는 내측관로(220)의 출구(221)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컨베이어(30)의 이송속도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이송속도에 기초하여 제1 밸브(410)의 개도량 또는 제2 밸브(420)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외측관로(210)의 출구(211)와 내측관로(220)의 출구(221)는 각각 스팀 이송관에 연결될 수 있다. 외측관로(210)의 출구(211)에서 배출된 스팀과 내측관로(220)의 출구(221)에서 배출된 스팀은 스팀 이송관(41)에서 합쳐져 컨베이어(30)에 배치된 노즐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컨베이어(30)의 이송속도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전달된 컨베이어(30)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 범위 이내인 제1 모드에서는, 외측관로(210)에서 생성된 스팀과 내측관로(220)에서 스팀을 함께 컨베이어(30)에 배치된 노즐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제어부(500)는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를 모두 완전 개방하여 많은 양의 스팀을 컨베이어(3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내측히터(320)만을 온(on)하고 외측히터(310)는 오프(off)할 수 있다.
내측관로(220)는 상대적으로 외측관로(210)보다 많은 열을 제공받고, 외측관로(210)는 내측관로(220)보다 단위시간당 보다 적은 열을 공급받지만, 외측관로(210)의 유량이 작기 때문에 스팀 이송관(41)에서 스팀이 합쳐질 때, 내측관로(220)에서 배출되는 스팀량과 외측관로(210)에서 배치되는 스팀량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도 9는 제2 모드에서 외측관로(210)의 스팀 배출과 내측관로(220)의 스팀 배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전달된 컨베이어(30)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의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인 제2 모드에서는, 외측관로(210)보다 주로 내측관로(220)에서 스팀을 컨베이어(30)에 배치된 노즐부(도 1의 40)로 공급한다.
컨베이어(30)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스팀 생성 시간을 활용하여, 도 9의 G1과 같은 외측관로(210)를 통한 스팀보다, 도 9의 G2와 같이 내측관로(220)를 통해 많은 양의 스팀을 컨베이어(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는, 제어부(500)는 제1 밸브(410)의 개도량을 제2 밸브(420)의 개도량보다 작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내측히터(320)만을 온(on)하고 외측히터(310)는 오프(off)할 수 있다.
도 10은 제3 모드에서 외측관로(210)의 스팀 배출과 내측관로(220)의 스팀 배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전달된 컨베이어(30)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인 제3 모드에서는, 내측관로(220)보다 주로 외측관로(210)에서 스팀을 컨베이어(30)에 배치된 노즐부(40)로 공급한다. 상대적으로 여유가 없는 스팀 생성 시간을 고려하여, 도 10의 G2와 같이 내측관로(220)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기 보다는 도 10의 G1과 같이 외측히터(310)와 외측관로(210)를 통해 빠르게 스팀을 컨베이어(30)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3 모드에서는, 제어부(500)는 제2 밸브(420)의 개도량을 제1 밸브(410)의 개도량보다 작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외측히터(310)만을 온(on)하고 내측히터(320)는 오프(off)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생성 장치(10)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팀 생성 장치
100: 하우징
110: 외측부
120: 내측부
200: 관로부
210: 외측관로
220: 내측관로
300: 히터
310: 외측히터
320: 내측히터
410: 제1 밸브
420: 제2 밸브
500: 제어부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물이 공급되는 관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로부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부;
    상기 관로부의 출구상에 배치되어 밸브;및
    상기 히터부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측부의 열전도성보다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부는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외측관로와, 나선형으로 상기 외측관로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내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관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부를 거쳐 상기 내측관로에 열을 공급하는 내측히터와, 상기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관로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부를 거쳐 상기 외측관로에 열을 공급하는 외측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히터는 원통형이며, 상기 외측히터는 환형이고,
    상기 내측관로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외측관로의 단면적으로 크기보다 크고, 상기 내측관로의 출구와 상기 외측관로의 출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관로의 출구 및 상기 외측관로의 출구는 컨베어이에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내측관로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관로의 출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1 밸브와, 상기 내측관로의 출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컨베어어의 이송속도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이송속도에 기초하여 제1 밸브의 개도량 또는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스팀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관로의 위치와 상기 외측관로의 위치는 상이한 스팀 생성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 범위인 제1 모드에서, 상기 외측히터를 오프(off)하고 상기 내측히터를 온(on)하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모두 완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스팀 생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의 최소값보다 작은 제2 모드에서, 상기 외측히터를 오프(off)하고 상기 내측히터를 온(on)하고, 상기 제1 밸브의 개도량을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스팀 생성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기준속도 구간의 최대값보다 큰은 제3 모드에서, 상기 내측히터를 오프(off)하고 상기 외측히터를 온(on)하고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상기 제1 밸브의 개도량 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스팀 생성 장치.
KR1020220009102A 2022-01-21 2022-01-21 스팀 생성 장치 KR10263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02A KR102634934B1 (ko) 2022-01-21 2022-01-21 스팀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02A KR102634934B1 (ko) 2022-01-21 2022-01-21 스팀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914A KR20230112914A (ko) 2023-07-28
KR102634934B1 true KR102634934B1 (ko) 2024-02-07

Family

ID=8742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102A KR102634934B1 (ko) 2022-01-21 2022-01-21 스팀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203A (ja) * 1998-09-04 2000-03-21 Toshiba Corp 給水装置
KR102054506B1 (ko) * 2018-06-28 2019-12-10 천휘철 다용도 스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35Y1 (ko) 2003-06-27 2003-09-13 조영식 전기 스팀보일러
KR101292305B1 (ko) * 2011-05-31 2013-08-01 김종순 스팀 보일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203A (ja) * 1998-09-04 2000-03-21 Toshiba Corp 給水装置
KR102054506B1 (ko) * 2018-06-28 2019-12-10 천휘철 다용도 스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914A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575B1 (ko) 과열증기발생기를 이용한 가열, 살균, 건조기구
US7418960B2 (en) Steam cooker and related superheater
KR102634934B1 (ko) 스팀 생성 장치
CZ2016438A3 (cs) Zařízení pro ohřev kapaliny
KR101281697B1 (ko) 전기 온수/스팀 보일러
KR101321751B1 (ko)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JP2008151391A (ja) 過熱蒸気を利用した加熱・殺菌・乾燥器具
KR101876260B1 (ko) 다순환 비접촉 가열방식의 순간보일러
US8424309B2 (en) Continuous power source of steam in circulation, and power reinforcement
DK2815196T3 (en) Heat exchange to heat or central heating system
KR20160127453A (ko) 인덕션 보일러를 이용한 가열시스템
KR101418924B1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인덕션 기능성 보일러
KR20110006913A (ko) 전기 순간온수기
KR100690278B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온수 및 난방 겸용 보일러
CN110296383B (zh) 一种防垢型节能蒸汽发生器
WO2013105990A2 (en) Pressurized point-of-use superheated steam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30220238A1 (en) Dual Chemistry Steam Drum
RU2003922C1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KR100909868B1 (ko) 다목적 열에너지공급장치
KR20110122293A (ko) 조리기구에 사용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CN115451392B (zh) 一种应用电极锅炉的蒸汽发生器及其控制方法
KR102369983B1 (ko) 고효율 열교환기
CN210831912U (zh) 一种蒸汽产生装置
KR840001344Y1 (ko) 취 반 관
RU2381431C1 (ru) Контакт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