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835Y1 - 전기 스팀보일러 - Google Patents

전기 스팀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835Y1
KR200326835Y1 KR20-2003-0020413U KR20030020413U KR200326835Y1 KR 200326835 Y1 KR200326835 Y1 KR 200326835Y1 KR 20030020413 U KR20030020413 U KR 20030020413U KR 200326835 Y1 KR200326835 Y1 KR 200326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ank
steam generating
generating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식
Original Assignee
조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식 filed Critical 조영식
Priority to KR20-2003-0020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78Adaptations or mounting of 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봉이 상하 복수층으로 배치되어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됨으로써 물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전기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증기발생탱크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막대 형상의 복수의 히터봉과,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전기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봉은 높이가 다른 복수의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층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봉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스팀보일러{ELECTRIC STEAM BOILER}
본 고안은 전기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봉이 상하 복수층으로 배치되어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됨으로써 물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전기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스팀보일러는 전기에너지로부터 전환된 열에너지로 증기발생탱크 내부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75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130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79424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94-13123호에는 다양한 전기 스팀보일러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를 수용하는 증기발생탱크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전열기와,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유입구를 증기발생탱크의 내부로 물이 직접 공급되며, 상기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는 증기배출구를 통해 소정의 증기사용장치에 공급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75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13018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79424호에 개시된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전열기로 막대 형상의 히터봉이 사용된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히터봉은 구조 및 형상이 간단하고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 스팀보일러의 전열기로 많이 사용된다. 히터봉은 전열을 발생하는 부분이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로 노출되어 물에 침수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다.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물은 대류되면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물이 빨리 가열되어 수증기가 빨리 발생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도 3과 같이 히터봉이 평행하게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다. 도 3은 히터봉(63a,63b)이 상하 2층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증기발생탱크(6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통형의 증기발생탱크(60)에 상하 2층으로 배열되어 상부층 히터봉(63a)과 하부층 히터봉(63b)이 그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층 히터봉(63a)과 하부층 히터봉(63b)의 길이 방향이 평행한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물이 가열되는 부분이 집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층 히터봉(63a)과 하부층 히터봉(63b)이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 하부층 히터봉(63b)에 의해 가열된 물이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층 히터봉(63a)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물의 대류에 의한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물이 부족해지면 유입구를 통해 차가운 물이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로 직접 유입되기 때문에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물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증기압도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스팀보일러는 부족한 물의 공급으로 증기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일정량 이상의 증기의 발생을 위해 재가열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증기발생탱크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증기량이 많아지거나 물이 끓어 상기 수위센서에 튀김으로써 수위센서가 오작동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통형의 증기발생탱크에 상하 복수층으로 배치된 히터봉이 이웃하는 층사이에서의 배열 방향이 평행하지 않게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됨으로써 물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증기 발생 시간이 단축되는 전기 스팀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증기발생탱크로 공급되는 물을 예열탱크에서 미리 예열시켜 상기 증기발생탱크로 공급시킴으로써 부족한 물의 공급으로 증기량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공급된 물을 재가열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전기 스팀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수위센서를 별도의 수위센서설치탱크에 설치함으로써 수위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스팀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증기발생탱크 13 히터봉
15 수위센서 20 예열탱크
25 연결관 30 수위센서설치탱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증기발생탱크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막대 형상의 복수의 히터봉과,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전기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봉은 높이가 다른 복수의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층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봉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로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다. 즉, 서로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꼬인 관계이다. 따라서, 상기 증기발생탱크를 위에서 보았을 때 물이 가열되는 부분이 골고루 분포되게 된다. 또한, 상부층의 히터봉과 하부층의 히터봉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물의 대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하부벽이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상부벽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벽과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상부벽을 관통하는 연결관에 의해 상기 증기발생탱크와 연결된 예열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상부벽과 상기 예열탱크의 하부벽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탱크로부터 상기 예열탱크로 열이 전달된다. 상기 예열탱크의 물은 상기 예열탱크로 전달된 열에 의해 일정 정도로 미리 가열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탱크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로 물이 공급되더라도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물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증기량이 급격히 감소되지 않게 된다. 또한, 증기발생탱크 내부로 공급된 물의 재가열을 위한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증기발생탱크는 격막에 의해 상부의 증기실과 하부의 가열실로 분할되고, 상기 증기실과 가열실은 격막을 관통하는 증기유도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히터봉은 상기 가열실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증기유도관을 지나 상기 가열실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실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증기유도관을 통해 상기 증기실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예열탱크에서 가열된 물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예열탱크로부터 상기 가열실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증기유도관을 지나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을 지나는 물은 상기 증기유도관을 지나는 증기에 의해 다시 가열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실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예열탱크에서 1차적으로 가열되고 다시 상기 연결관을 지나면서 2차적으로 가열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연결관은 일단부의 입구가 상기 예열탱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의 입구가 상기 가열실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기발생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의 입구가 상기 예열탱크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예열탱크의 내부에서 비교적 온도가 높은 상기 예열탱크의 상부층 물이상기 연결관으로 유입되어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가열실로 공급된다. 한편, 물은 가열되어 상승하고 이에 따라 대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히터봉은 가열실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가열실로 공급되는 물은 가능한 상기 가열실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의 입구가 상기 가열실의 하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물은 상기 가열실의 하부로 유입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예열탱크의 내부에서 비교적 온도가 높은 상기 예열탱크의 상부층 물이 상기 가열실의 하부층으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관을 통해 상부는 상기 가열실의 상부에 연결되고, 관을 통해 하부는 상기 가열실 하부에 연결된 수위센서설치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수위센서설치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과다한 량의 수증기나 물의 끓음으로 수위센서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증기발생탱크(10)와, 히터봉(13)과, 예열탱크(20)와, 수위센서설치탱크(30), 및 수위센서(15)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발생탱크(10)는 내부로 공급된 물과, 상기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용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상부에는 도관을 통해 소정의 증기사용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는 증기유출구(11)가 구비된다.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내부로는 상기 예열탱크(20)로부터 연결관(25)을 통해 예열된 물이 공급된다.
상기 히터봉(13b)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내부에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터봉(13)은 막대 모양이며, 일단부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내부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원통벽에 설치된다.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히터봉(13)의 타단부에는 전원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를 통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면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내부로 노출된 상기 히터봉(13)의 일단부에서 열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히터봉이 높이가 다른 복수의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층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봉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은 평행하지 않게, 즉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꼬인 관계를 갖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히터봉(13)이 각 층마다 4개씩 상하 2층으로 설치되어 각 층의 히터봉(13a,13b)이 각각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봉(13)은 상부층의 히터봉(13a)의 배열 방향과 하부층의 히터봉(13b)의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즉 서로 꼬인 관계를 갖도록 상기 증기방생탱크(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스팀보일러는 서로 이웃하는 층 사이에서 히터봉(13)의 배열 방향이 서로 꼬인 위치이기 때문에 상기 증기발생탱크(10)를 위에서 보았을 때 물이 가열되는 부분이 골고루 분포되게 된다. 또한, 상부층의 히터봉(13a)과 하부층의 히터봉(13b)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탱크(10) 내부의 물의 대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증기발생탱크(10) 내부에서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히터봉(13)에 의해 물이 빨리 가열되어 수증기가 빨리 발생되게 된다.
상기 예열탱크(20)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로 공급되는 물을 미리 가열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증기의 사용으로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물이 부족해져 상기 증기발생탱크(10)로 많은 양의 차가운 물이 직접 유입되면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물의 온도 및 증기압이 떨어지게 되고 동시에 증기압 및 증기량도 감소하게 된다. 본 고안은 물을 상기 예열탱크(20)에서 미리 예열시켜 상기 증기발생탱크(10)로 공급시킴으로써 증기발생탱크(10) 내부의 물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예열탱크(20)는 연결관(25)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탱크(10)와 연결된다. 소정의 물공급원(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된 도관이 연결되는 유입구(21)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증기발생탱크(10)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일정 정도 가열되어 상기 연결관(25)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탱크(10)로 공급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예열탱크(20)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에너지가 상기 증기발생탱크(10)로부터 전달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예열탱크(20)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와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1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예열탱크(20)가 그 하부벽(22)이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상부벽(12)과 맞닿거나 또는 상기 증기 발생탱크의 상부벽(12)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예열탱크(20)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은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상부벽(12)과 상기 예열탱크(20)의 하부벽(22)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탱크(10)로부터 상기 예열탱크(20)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예열탱크(20)와 상기 증기발생탱크(10)는 상기 예열탱크(20)의 하부벽과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상부벽을 관통하는 연결관(25)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가 격막(17)에 의해 상부의 증기실과 하부의 가열실로 분할되고, 상기 증기실과 가열실은 격막(17)을 관통하는 증기유도관(16)으로 연결되며, 상기 히터봉(13)은 상기 가열실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25)은 상기 증기유도관(16)을 지나 상기 가열실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연결관(25)이 일단부의 입구(25a)는 상기 예열탱크(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의 입구(25b)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낮으면 상기 가열실 내부의 물의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예열탱크(20)로부터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는 가능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물은 대류 현상에 의해 가열된 물이 상부로 상승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 예열탱크(20) 내부 물의 온도는 상부층에서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예열탱크(20)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연결관(25)의 일단부의 입구(25a)가 상기 예열탱크(20)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예열탱크(20)의 상부층에 있는 물이 상기 예열탱크(20)로부터 상기 연결관(25)으로 유입되어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로 공급된다. 한편, 물의 대류현상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히터봉(13)은 일반적으로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하부, 즉 상기 가열실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실로 공급되는 물은 가능한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 하부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25)의 타단부의 입구(25b)가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의 하부에 위치되면 물은 상기 연결관(25)으로부터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 하부로 유입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5)가 설치되기 위한 별도의 수위센서설치탱크(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수위센서(15)가 상기 증기발생탱크(10)와는 별도의 수위센서설치탱크(3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 내부에서의 물끓음이나 과다한 수증기로 인한 수위센서(15)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위센서설치탱크(30)는 관(31)을 통해 상부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 상부에 연결되고, 관(32)을 통해 하부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수위센서(15)는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위센서설치탱크(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상기 수위센서(15)는 말단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치된 복수의 센서전극(15a,15b,15c)으로 구성되며, 수위의 변동으로 물이 상기센서전극(15a,15b,15c) 전부 또는 일부와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센서전극(15a,15b,15c) 사이의 통전을 감지하여 상기 증기발생탱크(10)의 가열실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와 같은 구성에 신호를 전달한다. 도면에는 말단부의 높이를 달리하는 3개의 센서전극(15a15b,15c)이 상기 수위센서설치탱크(30)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원통형의 증기발생탱크에 상하 복수층으로 배치된 히터봉이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그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증기 발생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증기발생탱크로 공급되는 물이 예열탱크 및 증기유도관을 지나면서 예열되어 상기 증기발생탱크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증기량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증기 발생을 위해 물을 재가열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는 수위센서를 별도의 수위센서설치탱크에 설치함으로써 수위센서가 오작동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5)

  1. 증기발생탱크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막대 형상의 복수의 히터봉과,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전기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봉은 높이가 다른 복수의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층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봉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이웃하는 층사이에서 히터봉의 배열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벽이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상부벽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벽과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상부벽을 관통하는 연결관에 의해 상기 증기발생탱크와 연결된 예열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탱크는 격막에 의해 상부의 증기실과 하부의 가열실로 분할되고,
    상기 증기실과 가열실은 격막을 관통하는 증기유도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히터봉은 상기 가열실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증기유도관을 지나 상기 가열실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보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일단부의 입구가 상기 예열탱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의 입구가 상기 가열실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보일러.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관을 통해 상부는 상기 가열실의 상부에 연결되고, 관을 통해 하부는 상기 가열실 하부에 연결된 수위센서설치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수위센서설치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보일러.
KR20-2003-0020413U 2003-06-27 2003-06-27 전기 스팀보일러 KR200326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13U KR200326835Y1 (ko) 2003-06-27 2003-06-27 전기 스팀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13U KR200326835Y1 (ko) 2003-06-27 2003-06-27 전기 스팀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835Y1 true KR200326835Y1 (ko) 2003-09-13

Family

ID=4941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413U KR200326835Y1 (ko) 2003-06-27 2003-06-27 전기 스팀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835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82B1 (ko) * 2010-07-15 2011-03-02 임주혁 자체증기압력을 이용한 자동 급수식 증기발생장치
CN105571119A (zh) * 2015-01-19 2016-05-11 金仁镐 电极式热水及蒸汽锅炉系统
KR102160802B1 (ko) 2019-11-27 2020-09-28 주식회사 한미산업 수조 일체형 전기 스팀 보일러
WO2020264143A1 (en) * 2019-06-27 2020-12-30 Applied Materials, Inc. Steam generat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KR102347218B1 (ko) 2021-07-21 2022-01-03 김양수 버너형 스팀 생성 장치
US11446711B2 (en) 2019-05-29 2022-09-20 Applied Materials, Inc. Steam treatment stations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ystem
US11628478B2 (en) 2019-05-29 2023-04-18 Applied Materials, Inc. Steam cleaning of CMP components
US11633833B2 (en) 2019-05-29 2023-04-25 Applied Materials, Inc. Use of steam for pre-heating of CMP components
KR20230112914A (ko) 2022-01-21 2023-07-28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스팀 생성 장치
US11833637B2 (en) 2020-06-29 2023-12-05 Applied Materials, Inc. Control of steam generat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82B1 (ko) * 2010-07-15 2011-03-02 임주혁 자체증기압력을 이용한 자동 급수식 증기발생장치
CN105571119A (zh) * 2015-01-19 2016-05-11 金仁镐 电极式热水及蒸汽锅炉系统
US11446711B2 (en) 2019-05-29 2022-09-20 Applied Materials, Inc. Steam treatment stations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ystem
US11633833B2 (en) 2019-05-29 2023-04-25 Applied Materials, Inc. Use of steam for pre-heating of CMP components
US11628478B2 (en) 2019-05-29 2023-04-18 Applied Materials, Inc. Steam cleaning of CMP components
WO2020264143A1 (en) * 2019-06-27 2020-12-30 Applied Materials, Inc. Steam generat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JP2022538104A (ja) * 2019-06-27 2022-08-31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学機械研磨のための水蒸気生成
CN114026364A (zh) * 2019-06-27 2022-02-08 应用材料公司 用于化学机械研磨的蒸汽产生
JP7355861B2 (ja) 2019-06-27 2023-10-03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学機械研磨のための水蒸気生成
KR102160802B1 (ko) 2019-11-27 2020-09-28 주식회사 한미산업 수조 일체형 전기 스팀 보일러
US11833637B2 (en) 2020-06-29 2023-12-05 Applied Materials, Inc. Control of steam generat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KR102347218B1 (ko) 2021-07-21 2022-01-03 김양수 버너형 스팀 생성 장치
KR20230112914A (ko) 2022-01-21 2023-07-28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스팀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6835Y1 (ko) 전기 스팀보일러
JP3408544B2 (ja) 一体型フラッシュ蒸気発生器
KR20060118822A (ko) 스크류관을 내장한 전기온수장치
KR100794338B1 (ko) 부분가열 스팀발생장치
KR101712017B1 (ko)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
KR101163414B1 (ko) 전기스팀보일러
KR20100038479A (ko) 축열식 전기스팀보일러
KR20010008335A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1652268B1 (ko) 직접가열식 대용량 전기보일러
KR101156109B1 (ko) 전기보일러
CN107669143A (zh) 一种蒸笼的加热装置
JP4873308B2 (ja) 純粋蒸気製造装置
CN110657413B (zh) 电加热蒸汽发生器
CN1434915A (zh) 管状加热元件
US2276780A (en) Steam boiler with a feed water preheater
US1941855A (en) Thermoelectric radiator
KR20200035931A (ko) 스팀식 온수발생장치
CN111140832A (zh) 石英玻璃管循环水电加热蒸汽发生器
KR101022482B1 (ko) 수평식 전기스팀보일러
KR20190141287A (ko) 스팀식 온수발생장치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CN104783703A (zh) 即热式蒸汽间接加热足浴器
CN205754919U (zh) 一种逐行扫描控温的电加热装置
KR20140022268A (ko) 전기식 보일러
CN212320054U (zh) 一种安全发热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