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853B1 -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 Google Patents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853B1
KR102197853B1 KR1020190015519A KR20190015519A KR102197853B1 KR 102197853 B1 KR102197853 B1 KR 102197853B1 KR 1020190015519 A KR1020190015519 A KR 1020190015519A KR 20190015519 A KR20190015519 A KR 20190015519A KR 102197853 B1 KR102197853 B1 KR 10219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nel
loess
loess panel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995A (ko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102019001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8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통기공(232)을 구비한 일자형과 U자형 등의 형태의 파이프(230); 상기 파이프(2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온풍기(210); 상기 온풍기(210)와 연결된 파이프(230)에 위치한 컨트롤러(212); 상기 파이프(230)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220); 상기 송풍기(22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위치한 컨트롤러(222); 맥반석, 게르마늄, 옥돌 등의 재료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얇은 패널(310);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박스형의 프레임(320); 상기 황토판넬(100)의 홈(110)은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30)는 상기 황토판넬(100)의 홈(110)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320)의 내부에 다수개의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가 위치하고, 상기 황토판넬(100)의 상부에 패널(31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벽돌을 이용한 온돌 침대 및 냉, 난방 구조이다.

Description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A Stucture Of Ondol System}
본 발명은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바닥, 온돌 침대 및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재료인 황토와 온풍기, 송풍기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인체가 흡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구비한 온돌방바닥, 벽체, 천장 및 온돌침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황토는 해독작용, 인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고,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순환기 질병의 예방 및 치료, 산후 조리에 도움을 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래서 현재 황토를 성분으로 하고 조성물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효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있다.
그러나 황토는 표면에 드러나 외부 산소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효능을 발휘할 수 있어, 내부의 황토성분이 있는 제품은 외부의 산소와 접촉을 이루지 못해 보다 효과적인 황토의 효능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황토의 이점을 얻기위해 황토 구둘로 된 방, 침대로 보다 건강한 삶의 영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것으로, 공개특허공보 10-2001-0073366 '통공구조를 갖는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이 있다.
그러나 그 다공성의 구멍크기에 의한 통공성 부족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하, 황토판넬(20)의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생황토를 스크린하여 입자를 0.02-0.5㎜ 로 구성하고 이에 5㎜ 내외 나무조각 이나 원형모양 혹은 팰릿형태 25%와 함께 믹서기에 투입하고 물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점질화하고 이 점질의 황토에 결속력을 갖도록 세라믹 5%를 첨가하여 황토의 각 입자가 강한 결합을 이루도록한 점질의 황토를 숙성실에서 12시간이상 숙성시켜 수분이 황토 원료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숙성시킨다. 그 후, 숙성된 황토를 30㎏/㎠ 이상으로 압축하여 일정한 크기로 압축하여 성형하여 황토판넬을 제조하고, 이어서 황토판넬을 상온 (20-30℃)을 유지하며 자연건조하여 10-15%의 수분함량이 유지되도록 한 다음, 성형된 황토판넬(100)을 열가마에 넣고 700-800℃의 고열로 산소를 유입시키며 8-12시간동안 구워 황토에 포함된 나무성분을 연소시켜 통공성을 확보한다. 이때 황토판넬(100)의 내면과 외면으로 나무조각이 연소되면서, 통공(1)이 무수히 형성되는데 황토판넬(100)의 강도와는 관계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자연건조를 마친 후 얻어진 황토판넬(100)에 상감기법에 의해서 모양 및 색상을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여 상품의 구매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본 발명의 황토판넬(1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1)을 통하여 원할한 산소동화작용과 함께 원적외선 방출이 증대됨으로서 실내장식재로 사용할 경우 공기정화능력이 우수하며 원적외선 복사율 증가로 인하여 상품의 질과 신뢰성이 높다. 즉, 종래의 성형화된 황토의 효능이 표면에만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은 밀폐된 황토판넬(100) 내부의 효능까지도 무수한 통공(1)을 통해 효과적으로 원적외선의 복사율이 증대되어 황토의 효능을 최적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든 건축내, 외장재에 적용할 수 있다. 그 실시예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장식에 쓰이는 타일(30)에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통공(1)을 무수히 형성하여 주로 실내장식용에 사용되는 타일에 적용함으로서 상기 통공(1)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켜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인체에 매우 유익한 황토의 효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황토 판넬과 온풍기, 송풍기를 침대에 적용하여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한 온돌방, 침대 구조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재료인 황토와 다공성 파이프, 온풍기, 송풍기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인체가 흡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재료인 황토, 다공성 파이프, 온풍기 및 송풍기를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인체가 흡수할 수 있게 하여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황토로 이루어진 내, 외부에 무수한 통공이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홈(110)을 구비하는 황토판넬(100); 상기 온풍기(210)와 연결된 파이프(230)에 위치한 컨트롤러(212); 상기 파이프(230)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220); 상기 송풍기(22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위치한 컨트롤러(222); 맥반석, 게르마늄, 옥돌 등의 재료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얇은 패널(310);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박스형의 프레임(320); 상기 황토판넬(100)의 홈(110)은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30)는 상기 황토판넬(100)의 홈(110)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320)의 내부에 다수개의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가 위치하고, 상기 황토판넬(100)의 상부에 패널(310)이 위치한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에 있어서, 다수개의 통기공(232)을 구비한 일자형과 U자형 등의 형태의 파이프(230); 상기 파이프(2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온풍기(210); 상기 황토판넬(100)은 측부에 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230)가 상기 황토판넬(10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후 그 끝단이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황토로 이루어진 내, 외부에 무수한 통공이 형성된 황토판넬(100);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진 패널(300); 상기 패널(300)의 내부에 다수개의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가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230)는 황토판넬홈(11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하고, 상기 황토판넬(100)이 상기 패널(300)에 등간격으로 볼트(130)를 통해 부착된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에 있어서, 다수개의 통기공(232)을 구비한 일자형과 U자형 등의 형태의 파이프(230); 상기 파이프(2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온풍기(210); 상기 온풍기(210)와 연결된 파이프(230)에 위치한 컨트롤러(212); 상기 파이프(230)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220); 상기 송풍기(22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위치한 컨트롤러(222); 상기 황토판넬(100)은 측부에 상기 황토판넬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230)가 상기 황토판넬(10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후 그 끝단이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이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재료인 황토, 온풍기 및 송풍기를 이용하여 온돌방, 침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인체가 흡수할 수 있게 하여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재료인 황토, 온풍기 및 송풍기를 이용하여 방바닥 및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인체가 흡수할 수 있게 하여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황토벽돌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황토벽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바닥, 벽체 난방 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을 이용한 바닥, 벽체 난방 구조의 파이프 구조를 내부로 설치한 실시예로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온돌침대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황토 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는 황토판넬(100)과 온풍기(210), 송풍기(220), 파이프(230), 패널(310), 프레임(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황토판넬(100)은 주성분인 생황토에 연소물을 배합하고, 이를 열가마에서 가열하여 연소물을 연소시킴으로써 만든 내, 외부에 무수한 통공이 형성된 판넬로,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홈(110)을 구비한다.
상기 홈(110)은 상기 파이프(230)가 위치하는 자리로, 상기 파이프(23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230)는 다수개의 통기공(232)을 구비한 일자형과 U자형 등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온풍기(210)와 송풍기(220)와 연결되며, 상기 황토판넬(100)의 홈(110)에 위치하여 따뜻한 바람이 유동되는 곳이다.
상기 통기공(232)는 상기 온풍기(210)를 통해 들어온 따뜻한 바람을 주변의 황토판넬(10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온풍기(210)는 상기 파이프(23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230)로 따뜻한 바람을 불어넣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온풍기(21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컨트롤러(212)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212)의 전면에는 전원스위치, 가열을 나타내는 램프, 외출스위치, 온도조절스위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표시창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 및 후면에는 송풍기의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220)는 상기 파이프(230)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230)의 따뜻한 바람을 밖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송풍기(22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컨트롤러(222)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222)의 전면에는 전원스위치, 송풍을 나타내는 램프, 외출스위치, 온도조절스위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표시창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 및 후면에는 송풍기의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310)은 맥반석, 게르마늄, 옥돌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패널로, 상기 황토벽돌(100)에서 방출된 원적외선과 함께 온기가 전해진다.
상기 프레임(32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내부에 다수개의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가 위치하고, 상기 황토판넬(100)의 상부에 패널(310)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황토 판넬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는 상기 온풍기(210)에서 나오는 따뜻한 바람이 파이프(230)의 통기공(232)을 통해 황토판넬(100)을 데우고, 데워진 황토판넬(100)에서 방출된 원적외선과 함께 온기가 패널(310)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원적외선과 온기가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숙면을 취하도록 하여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벽체 난방 구조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벽체 난방 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넬을 이용한 벽체 난방 구조의 파이프 구조를 내부로 설치한 실시예로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황토 판넬을 이용한 벽체 난방 구조는 황토판넬(100)과 온풍기(210), 송풍기(220), 파이프(230), 패널(300)로 구성된다.
상기 황토판넬(100)은 주성분인 생황토에 연소물을 배합하고, 이를 열가마에서 가열하여 연소물을 연소시킴으로써 만든 내, 외부에 무수한 통공이 형성된 벽돌로, 내부에 4개의 결합홀(120)을 구비한다.
상기 파이프(230)는 다수개의 통기공(232)을 구비한 일자형과 U자형 등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온풍기(210)와 송풍기(220)와 연결되며, 상기 황토판넬(100)의 간격홈(110)에 위치하여 따뜻한 바람이 유동되는 곳이다.
상기 통기공(232)는 상기 온풍기(210)를 통해 들어온 따뜻한 바람을 주변의 황토판넬(10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온풍기(210)는 상기 파이프(23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230)로 따뜻한 바람을 불어넣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온풍기(21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컨트롤러(212)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212)의 전면에는 전원스위치, 가열을 나타내는 램프, 외출스위치, 온도조절스위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표시창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 및 후면에는 송풍기의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220)는 상기 파이프(230)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230)의 따뜻한 바람을 밖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송풍기(22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컨트롤러(222)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222)의 전면에는 전원스위치, 송풍을 나타내는 램프, 외출스위치, 온도조절스위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표시창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 및 후면에는 송풍기의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300)은 벽체의 한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내부에 다수개의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가 위치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결합홀(320)을 구비한다.
상기 황토판넬(100)은 상기 패널(300)의 결합홀(320)에 볼트(130)를 통해 부착된다.
상기 파이프(230)는 상기 황토판넬(10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호 파이프가 연통되어 빠른 시간에 골고루 온기를 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이 위치한 패널(300)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단열재 및 패널로 덮여져 형성된다.
본 발명의 황토 판넬을 이용한 벽체 난방 구조는 상기 온풍기(210)에서 나오는 따뜻한 바람이 파이프(230)의 통기공(232)을 통해 황토판넬(100)을 데우고, 데워진 황토판넬(100)에서 방출된 원적외선과 함께 온기가 패널(300)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원적외선과 온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황토판넬(110)은 측부에 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230)가 상기 황토판넬(10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숙면을 취하도록 하여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을 이용한 온돌 침대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황토판넬
110: 홈
210: 온풍기
212: 컨트롤러
220: 송풍기
222: 컨트롤러
230: 파이프
232: 통기공
310: 패널
320: 프레임

Claims (3)

  1. 황토로 이루어진 내, 외부에 무수한 통공이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홈(110)을 구비하는 황토판넬(100);
    온풍기(210)와 연결된 파이프(230)에 위치한 컨트롤러(212);
    상기 파이프(230)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220);
    상기 송풍기(22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위치한 컨트롤러(222);
    맥반석, 게르마늄, 옥돌 등의 재료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얇은 패널(310);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박스형의 프레임(320);
    상기 황토판넬(100)의 홈(110)은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30)는 상기 황토판넬(100)의 홈(110)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320)의 내부에 다수개의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가 위치하고, 상기 황토판넬(100)의 상부에 패널(310)이 위치한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에 있어서,
    다수개의 통기공(232)을 구비한 일자형과 U자형 등의 형태의 파이프(230);
    상기 파이프(2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온풍기(210);
    상기 황토판넬(100)은 측부에 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230)가 상기 황토판넬(10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후 그 끝단이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2. 황토로 이루어진 내, 외부에 무수한 통공이 형성된 황토판넬(100);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진 패널(300);
    상기 패널(300)의 내부에 다수개의 황토판넬(100)과 파이프(230)가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230)는 황토판넬홈(11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하고,
    상기 황토판넬(100)이 상기 패널(300)에 등간격으로 볼트(130)를 통해 부착된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에 있어서,
    다수개의 통기공(232)을 구비한 일자형과 U자형 등의 형태의 파이프(230);
    상기 파이프(2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온풍기(210);
    상기 온풍기(210)와 연결된 파이프(230)에 위치한 컨트롤러(212);
    상기 파이프(230)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220);
    상기 송풍기(220)와 연결된 파이프(230)는 위치한 컨트롤러(222);
    상기 황토판넬(100)은 측부에 상기 황토판넬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230)가 끼워질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230)가 상기 황토판넬(100)을 내측으로 연통되거나 외측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후 그 끝단이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3. 삭제
KR1020190015519A 2019-02-11 2019-02-11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KR10219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19A KR102197853B1 (ko) 2019-02-11 2019-02-11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19A KR102197853B1 (ko) 2019-02-11 2019-02-11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95A KR20200097995A (ko) 2020-08-20
KR102197853B1 true KR102197853B1 (ko) 2021-01-04

Family

ID=7229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19A KR102197853B1 (ko) 2019-02-11 2019-02-11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218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그린큐브 난방용 온수 패널
KR20230064997A (ko)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우수건설기계 절삭 디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751A (ja) * 2000-06-28 2002-01-18 Kurita Kogyo:Kk 室内冷暖房システム及び空気循環パネル
KR200463215Y1 (ko) * 2009-11-16 2012-10-25 홍광의 황토침대
KR101586013B1 (ko) * 2014-08-27 2016-01-15 송연희 온풍 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751A (ja) * 2000-06-28 2002-01-18 Kurita Kogyo:Kk 室内冷暖房システム及び空気循環パネル
KR200463215Y1 (ko) * 2009-11-16 2012-10-25 홍광의 황토침대
KR101586013B1 (ko) * 2014-08-27 2016-01-15 송연희 온풍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218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그린큐브 난방용 온수 패널
KR20230064997A (ko)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우수건설기계 절삭 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95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853B1 (ko) 황토 판넬을 이용한 냉, 난방 구조
KR100774087B1 (ko) 숯을 내장한 황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10073366A (ko) 통공구조를 갖는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KR100702668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49674A (ko)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217376Y1 (ko) 원적외선 방사 체 전등갓과 전등갓의 구조
KR100346030B1 (ko) 황토 벽돌 제조 방법
KR20040071095A (ko) 쑥뜸용 쑥봉
KR20050043504A (ko) 토기제 쑥뜸기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KR100805536B1 (ko) 황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406682Y1 (ko) 황토 아궁이 불가마
KR20070007756A (ko) 건축용 보드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858B1 (ko) 황토 구들장 침대
KR200226631Y1 (ko)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
KR20070115434A (ko) 도자기가마를 이용한 찜질방
KR100818828B1 (ko) 복층구조를 갖는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86897Y1 (ko) 건축용 황토벽돌
KR100528650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판넬과 그 구조물
KR200325527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판넬과 그 구조물
KR100995172B1 (ko) 가정용 황토 찜질방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 지압판의제조방법
KR200353075Y1 (ko) 흙으로된 기공성 건축 내,외장재
KR200212036Y1 (ko) 가정용 원적외선발생기
KR101899042B1 (ko)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