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29B1 -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 Google Patents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29B1
KR101585629B1 KR1020130005105A KR20130005105A KR101585629B1 KR 101585629 B1 KR101585629 B1 KR 101585629B1 KR 1020130005105 A KR1020130005105 A KR 1020130005105A KR 20130005105 A KR20130005105 A KR 20130005105A KR 101585629 B1 KR101585629 B1 KR 10158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ting
plated
cathode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706A (ko
Inventor
정광춘
온웅구
한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to KR102013000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29B1/ko
Priority to CN201490000514.0U priority patent/CN205133768U/zh
Priority to PCT/KR2014/000493 priority patent/WO2014112816A1/ko
Publication of KR2014009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57Conducting ro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21In horizonta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적어도 표면이 제1경도를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외면이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구비되고 피도금재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롤러와, 적어도 표면이 상기 제1경도보다 작은 제2경도를 갖고, 상기 제1롤러와의 사이로 상기 피도금재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롤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피도금재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Cathode roller assembly and plating apparatus}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 리드 프레임 및 LED 소자 등 각종 전자 장치 및/또는 부품에서는 도금 방법을 사용하여 도전성 패턴 형성한다.
이러한 도금 방법에서는 캐소드 전원이 인가되는 캐소드 롤러가 사용된다. 이러한 캐소드 롤러의 표면은 전기 전도성을 띠고, 표면 경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은 금속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캐소드 롤러는 피도금재의 표면에 굴곡이 있을 경우 피도금재의 표면과 접점 불량을 일으키기 쉽다.
예컨대,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도전 패턴(521) 내지 제3도전 패턴(523)을 갖는 베이스 필름(510)이,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캐소드 롤러(101) 내지 제3캐소드 롤러(103)를 통과하면서 도금이 진행되는 경우, 제1도전 패턴들(521)이 제1캐소드 롤러(101)와 먼저 접촉하면서 제1도금층(531)이 형성된다(b). 다음으로 제1도전 패턴들(521) 및 제2도전 패턴들(522)이 제2캐소드 롤러(102)와 접촉하면서 제2도금층(532)이 형성되고 제1도금층(531)은 더욱 두꺼워진다(c). 이 후 제1도전 패턴들(521), 제2도전 패턴들(522) 및 제3도전 패턴(523)이 제3캐소드 롤러(103)와 접촉하면서 제3도금층(533)이 형성되고 제1도금층(531) 및 제2도금층(532)은 더욱 두꺼워진다.
이처럼 도금이 진행됨에 따라 제1도금층(531) 내지 제3도금층(533)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여 도전 패턴들과 캐소드 롤러들 사이의 접점 불량을 일으킬 소지가 높다.이러한 문제는 특히, 스팟(spot) 도금과 같이 피도금재의 일부분에 국부적으로 도금층을 형성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피도금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 패턴들에 의해 표면 굴곡이 발생되기 때문에 전술한 접점 불량이 발생되기에 충분한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 및/또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피도금재와의 접점이 균일하게 이뤄지도록 하고, 도금층의 두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표면이 제1경도를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외면이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구비되고 피도금재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롤러와, 적어도 표면이 상기 제1경도보다 작은 제2경도를 갖고, 상기 제1롤러와의 사이로 상기 피도금재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롤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피도금재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캐소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을 연결한 가상선과 상기 피도금재의 진행 방향과 이루는 각이 직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상기 피도금재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롤러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의 반경은 상기 제1롤러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적어도 외측이 유연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제1롤링 부재와, 상기 제1롤링 부재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경도를 갖는 제2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적어도 외측이 전기 절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표면이 제1경도를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외면이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구비되고 피도금재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롤러와, 적어도 표면이 상기 제1경도보다 작은 제2경도를 갖고, 상기 제1롤러와의 사이로 상기 피도금재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롤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피도금재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에 캐소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도금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을 연결한 가상선과 상기 피도금재의 진행 방향과 이루는 각이 직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상기 피도금재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롤러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의 반경은 상기 제1롤러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적어도 외측이 유연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제1롤링 부재와, 상기 제1롤링 부재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경도를 갖는 제2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는 적어도 외측이 전기 절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롤러에 연결된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롤러와 피도금재와의 접점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스팟 도금에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도금 방법의 문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제2롤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롤러와 제2롤러의 피도금재와의 접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금이 행해질 때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피도금재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피도금재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도금 장치는 제1롤러(11) 및 제2롤러(12)를 포함하는 캐소드 롤러 조립체(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롤러(11)와 제2롤러(12)는 그 사이로 피도금재(5)가 통과되도록 서로 대향되고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롤러(11)와 제2롤러(12)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11)는 적어도 그 표면이 제1경도를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롤러(11)는 적어도 외면이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11) 전체가 반드시 금속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본체의 표면만이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11)는 전원 유닛(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유닛(3)은 상기 제1롤러(11)에 캐소드 전원을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11)는 피도금재(5)의 일측 표면에 접하여, 피도금재(5)의 일측 표면과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롤러(12)는 적어도 표면이 상기 제1경도보다 작은 제2경도를 갖는다. 상기 제2롤러(12)는 상기 피도금재(5)의 타측 표면에 접한다. 상기 피도금재(5)의 타측 표면은 제1롤러(11)가 접하는 표면의 반대측 면이 된다.
이렇게 제2롤러(12)의 표면이 제1롤러(11)의 표면보다 작은 경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1롤러(11)와 접점을 형성하게 되는 피도금재(5)의 일측 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제1롤러(11)와 피도금재(5)와의 접점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2롤러(12)에는 구동 유닛(4)이 더 연결될 수 있는 데, 이 구동 유닛(4)은 제2롤러(12)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롤러(12)의 회전에 의해 피도금재(5)의 진행이 촉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롤러(11) 및/또는 제2롤러(12)는 별도의 구동 수단 없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도금재(5)의 진행에 맞추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롤러 조립체(1)에서 제1롤러(11)의 회전축과 제2롤러(12)의 회전축을 연결한 가성선은 상기 피도금재(5)의 진행 방향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도금재(5)와 제1롤러(11)의 접점에서 접점 불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롤러(12)의 반경(R2)은 제1롤러(11)의 반경(R1)과 같거나 크도록 할 수 있다. 제2롤러(12)의 반경(R2)이 제1롤러(11)의 반경(R1) 이상일 경우 피도금재(5)와 제1롤러(11)의 접점 불량 개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제2롤러(12)의 적어도 표면 경도가 제1롤러(11)의 적어도 표면 경도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도금재(5)의 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라도, 상기 제2롤러(12)의 반경(R2)을 제1롤러(11)의 반경(R1)과 같거나 크게 함으로써 상기 피도금재(5) 표면의 굴곡의 정도를 제2롤러(12)의 적어도 표면이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12)는 적어도 외측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도금재(5) 표면의 굴곡의 정도를 제2롤러(12)의 적어도 표면이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롤러(12)는 적어도 외측이 전기 절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도금재(5)에 도금이 이뤄지는 표면은 상기 제1롤러(11)와 접하는 면이 되므로, 그 배면에 접하는 제2롤러(12)는 전기 절연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제2롤러(12)가 제1롤러(11)에 의한 전해 도금에 대한 방해 요소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롤러(12)의 적어도 외측은 폴리머 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무와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12)는 전체가 단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롤링 부재(121)와 상기 제1롤링 부재(12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롤링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롤링 부재(122)가 제2경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2롤러(12')는, 양단이 축(120)과 연결된 제1롤링 부재(121)와, 상기 제1롤링 부재(121) 외측에 위치하고 전술한 제2강성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구비된 제2롤링 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롤링 부재(121)는 축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공의 파이프 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링 부재(121)는 금속 또는 경질 플라스틱재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양단에 축(120)이 결합된다. 상기 축(120)은 상기 제1롤링 부재(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링 부재(122)는 축 방향(X)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롤링 부재(121)의 표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롤링 부재(122)는 전술한 폴리머 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데, 고무재나 연질 플라스틱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링 부재(122)의 두께(t2)는 제1롤링 부재(121)의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피도금재(5)의 표면 굴곡을 제2롤링 부재(122)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피도금재(5)는 필름 형태의 베이스 부재(51)와, 그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패드(52)를 포함한다. 이 패드(52)와 제1롤러(11)와의 접점에서 도금층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51)는 폴리 이미드 필름과 같은 폴리머 필름일 수 있고, 상기 패드(52)는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프린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롤러(11)는 패드(52)에 접하며, 상기 제2롤러(12)는 패드(5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캐소드 롤러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2롤러(12)가 피도금재(5)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제1롤러(11)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롤러(12)의 회전이 피도금재(5)를 제1롤러(11)의 방향으로 압박하는 형태를 띨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롤러(11)와 피도금재(5)와의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롤러(12')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소드 롤러 조립체(1)(1')는 전해 도금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도금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6)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소드 롤러 조립체(1)가 위치하고, 상기 캐소드 롤러 조립체(1)에 대향되도록 애노드 플레이트(21)가 위치한다.
상기 도금조(6)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는 피도금재(5)를 이송하는 피도금재 이송부(7)가 위치한다. 상기 피도금재 이송부(7)는 상기 피도금재(5)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롤러(7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롤러(71)들은 적어도 상기 피도금재(5)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피도금재(5)가 상기 도금조(6)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도금조(6)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소드 롤러 조립체(1)가 배치되며, 이 캐소드 롤러 조립체(1)는 서로 인접한 제1롤러(11) 및 제2롤러(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롤러(11) 및 제2롤러(12) 각각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롤러(11)와 제2롤러(12)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제1롤러(11)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에, 복수 개의 제2롤러(12)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다.
도 6에는 제1롤러(11)에 연결되는 전원 유닛 및 제2롤러(12)에 연결되는 구동 유닛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5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도금조(6) 내에는 캐소드 롤러 조립체(1)에 대향되도록 애노드 플레이트(2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플레이트(21)에는 애노드 전원 유닛(미도시)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애노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도금 장치에 따르면, 피도금재(5)의 일면에 접점 불량을 방지하고 균일한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캐소드 롤러 조립체(1')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금 장치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금조(6) 내에서 피도금재(5)가 제1롤러(11)와 제2롤러(12)를 서로 엇갈리게 지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롤러(12)를 상기 각각의 제1롤러(11)에 대해 상부와 하부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애노드 플레이트(21)도 캐소드 롤러 조립체(1)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배치시킨다. 도 5에는 제1롤러(11)에 연결되는 전원 유닛 및 제2롤러(12)에 연결되는 구동 유닛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3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도금 장치에 따르면, 피도금재(5)의 양면에 접점 불량을 방지하고 균일한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캐소드 롤러 조립체(1')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캐소드 롤러 조립체(1)(1')는 스팟(spot) 도금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더하여 상기 제1롤러(11)에 인접하여 도금액 분사 유닛(2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금액 분사 유닛(22)은 애노드 이온이 포함된 도금액을 상기 피도금재(5)와 제1롤러(11)와의 접점 및/또는 그 인접부위에 분사한다. 이에 따라 국부적인 도금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소드 롤러 조립체(1)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캐소드 롤러 조립체(1) 및/또는 도금액 분사 유닛(22)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롤러(11)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이 원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제2롤러(12)가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2롤러(12)는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롤러(11)의 원 외측에 반원을 이루도록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롤러(12) 외곽으로는 지지 롤러(71)가 배치되어 피도금재(5)의 이송을 지지한다. 상기 피도금재는 제1롤러(11)의 원과 제2롤러(12)의 반원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도금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도금 장치의 경우 비교적 좁은 공간 내에서 도금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캐소드 조립체에 따라 도금이 행해질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도금재(5)는 필름 형태의 베이스 부재(51)와, 그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패드(52)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 일부 패드(52)에 도금층(53)이 형성되어 있는 피도금재(5)의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패드(52')를 제1롤러(11)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이 패드(52')에 도금층을 형성하고자 할 때에, 베이스 부재(51)의 배면을 제1롤러(11)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즉,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 제2롤러(12)가 지지하므로, 패드(52')와 제1롤러(11)와의 접점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는 제2롤러(12)가 피도금재(5) 표면, 즉, 피도금재(5)의 제1롤러(11)를 향한 표면의 굴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각 패드(52)(52')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순서가 상이할 때에도 유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 부재(51)에 동일한 두께의 패드들(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드들(52)에 서로 다른 두께의 도금층들(53a)(53b)(53c)(53d)이 형성되는 피도금재(5')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 부재(51)에 서로 다른 두께의 패드들(52a)(52b)(52c)(52d)이 형성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12에 도시된 피도금재(5")는 전술한 스팟 도금이 아니라, 전체 패드들(52a)(52b)(52c)(52d)에 동시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패드들(52a)(52b)(52c)(52d)의 두께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이 두께 편차를 제2롤러(12)가 충분히 흡수하여 상기 패드들(52a)(52b)(52c)(52d)이 모두 제1롤러(11)와 양호한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피도금재(5)의 일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피도금재(5)의 양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적어도 표면이 제1경도를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외면이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구비되고 피도금재의 일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제1롤러;
    적어도 표면이 상기 제1경도보다 작은 제2경도를 갖고, 상기 제1롤러와의 사이로 상기 피도금재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롤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피도금재의 타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제2롤러; 및
    상기 제1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에 캐소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롤러는 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원이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2롤러는 상기 원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도금재는 상기 원과 상기 제2롤러들의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도금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의 반경은 상기 제1롤러의 반경보다 큰 도금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적어도 외측이 유연한 재질로 구비된 도금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제1롤링 부재와, 상기 제1롤링 부재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경도를 갖는 제2롤링부재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적어도 외측이 전기 절연성 재질로 구비된 도금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롤러에 연결된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도금 장치.
KR1020130005105A 2013-01-16 2013-01-16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KR101585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05A KR101585629B1 (ko) 2013-01-16 2013-01-16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CN201490000514.0U CN205133768U (zh) 2013-01-16 2014-01-16 阴极辊组装体及镀敷装置
PCT/KR2014/000493 WO2014112816A1 (ko) 2013-01-16 2014-01-16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05A KR101585629B1 (ko) 2013-01-16 2013-01-16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706A KR20140092706A (ko) 2014-07-24
KR101585629B1 true KR101585629B1 (ko) 2016-01-14

Family

ID=5120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105A KR101585629B1 (ko) 2013-01-16 2013-01-16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85629B1 (ko)
CN (1) CN205133768U (ko)
WO (1) WO2014112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8738B (zh) * 2015-05-21 2017-04-19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碳纤维丝束的连续电镀金属方法及装置
CN105420799B (zh) * 2015-12-30 2017-08-08 长沙岱勒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镀槽、金刚石线锯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6316A (ja) * 2005-07-08 2007-01-25 Hoellmueller Maschinenbau Gmbh フォイルを一巻き一巻き電解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8221139A (ja) 2007-03-13 2008-09-25 Fujifilm Corp 軸受体、液切り装置及びめっき被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2008248337A (ja) *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通電処理装置及びめっき被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495A (ja) * 1989-07-12 1991-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ソードローラ機構
DE10323660A1 (de) * 2003-05-15 2004-12-02 Gebr. Schmid Gmbh & Co. Einrichtung zur Behandlung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Galvanisierung für Leiterplatten
JP2008255482A (ja) * 2007-03-13 2008-10-23 Mitsubishi Materials Corp 給電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6316A (ja) * 2005-07-08 2007-01-25 Hoellmueller Maschinenbau Gmbh フォイルを一巻き一巻き電解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8221139A (ja) 2007-03-13 2008-09-25 Fujifilm Corp 軸受体、液切り装置及びめっき被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2008248337A (ja) *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通電処理装置及びめっき被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133768U (zh) 2016-04-06
WO2014112816A1 (ko) 2014-07-24
KR20140092706A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089B1 (ko) 롤투롤 기판 이송 장치, 이를 포함하는 습식 식각 장치 및회로 기판 제조 장치
JP2009534527A5 (ko)
JP2010511103A5 (ko)
JP2009534527A (ja) 電解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電解コーティング方法
KR101585629B1 (ko) 캐소드 롤러 조립체 및 도금 장치
KR101635996B1 (ko)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
JP2009534525A (ja) 電解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電解コーティング方法
KR100665481B1 (ko) 필름 연속 도금 장치 및 방법
JP2003321796A (ja) めっき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5029086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
JP2014197606A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705794B2 (ja) 配線基板の搬送機構
KR20140092707A (ko)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
TW200528193A (en) Processing device for substrate surface
KR20060022240A (ko) 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인쇄회로기판을 도금하기위한 장치
JP2015217639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装置
JP7095902B2 (ja) 塗布装置
KR102595459B1 (ko) 회로기판 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제조장치
JP2008255482A (ja) 給電機構
KR20110120638A (ko) 인쇄회로기판에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3182168A (ja) 配線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09115B1 (ko) 이형탄성밸트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제조장치
KR102345113B1 (ko) 기판 이송장치
KR20130010260A (ko) 운반 장치 및 플랙서블 기판 롤투롤 이송 장치
JP2005248269A (ja) 電気めっき装置の給電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