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497B1 -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 Google Patents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497B1
KR101585497B1 KR1020140153915A KR20140153915A KR101585497B1 KR 101585497 B1 KR101585497 B1 KR 101585497B1 KR 1020140153915 A KR1020140153915 A KR 1020140153915A KR 20140153915 A KR20140153915 A KR 20140153915A KR 101585497 B1 KR101585497 B1 KR 10158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eam
cover
cooling wat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룡
류남균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탱크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경로를 길게 함과 동시에 증기와 냉각수탱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는, 전기 압력 조리기의 내솥에서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냉각수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상기 냉각수를 수용하는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부를 덮고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된 탱크외부덮개와, 상기 탱크외부덮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탱크덮개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탱크내부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탱크몸체 내부공간의 증기가 상기 탱크덮개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연통구멍으로 유동하는 경로인 증기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굴곡진 유로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Steam discharge structure of steam cond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생성된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냉각수탱크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압력조리기는 내솥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내솥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인 전기압력조리기는 조리될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솥, 상기 내솥을 내부에 수납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는 본체뚜껑, 상기 본체뚜껑의 저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덮는 내솥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내솥 내부는 증기로 인해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되므로,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장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증기배출밸브의 끝단에 설치되어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추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취사 진행중 혹은 완료 후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압력조리기는 솔레노이드밸브와 무게추로부터 고온 고압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고,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되어 소음이 발생하며, 배출되는 증기가 벽지 및 주방기구와 접촉되어 변색 및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43109호에서는 전기압력밥솥의 전자밸브(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증기이송관을 통해 냉각수가 수용된 수용컵으로 이송시켜 응축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솔레노이드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이 과도한 경우 차단판이 소정의 거리만큼 부상하면서 수용컵 내부의 압력을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차단판에는 증기이송관 및 감압부재가 상하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 무게가 무겁고, 증기이송관은 안내홀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나 증기이송관을 안내홀 주변에서 가이드하는 구성이 없어, 차단판이 원활하게 부상하기 어려워 증기의 압력을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단판의 부상으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하더라도 증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짧고, 감압부재에는 감압홀이 형성되어 있어 증기가 액화되기 전에 감압홀을 통해 수용컵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응축되지 못한 증기의 양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각수탱크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경로를 길게 함과 동시에 증기와 냉각수탱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는, 전기 압력 조리기의 내솥에서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냉각수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상기 냉각수를 수용하는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부를 덮고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된 탱크외부덮개와, 상기 탱크외부덮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탱크덮개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탱크내부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탱크몸체 내부공간의 증기가 상기 탱크덮개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연통구멍으로 유동하는 경로인 증기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굴곡진 유로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솥과 냉각수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증기가 유동하는 연결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단부는 상기 연통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구멍 사이의 틈에 의해 상기 탱크덮개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탱크내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탱크내부덮개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외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된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는 상기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 및 탱크외부덮개와의 사이에 각각 틈이 형성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굴곡진 유로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솥과 냉각수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증기가 유동하는 연결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단부는 상기 연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내부덮개로부터 상향 돌출된 연결튜브결합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튜브와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내부공간이 연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탱크내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탱크내부덮개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의 외측면에는 상기 탱크몸체 내벽면과의 사이에 이격된 틈을 형성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측면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몸체 내부의 증기는, 상기 탱크몸체 내벽면과 측면테두리부 사이의 틈,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와 상기 탱크몸체 내벽면과의 사이 공간을 순차 경유하여 상기 증기유로로 유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굴곡진 유로는 상기 탱크외부덮개에서 하향 돌출된 격벽과 상기 탱크내부덮개에서 상향 돌출된 격벽이 교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에 의하면, 냉각수탱크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굴곡진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증기유로를 최대한 길게 하고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응축되지 않은 채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탱크외부덮개와 탱크내부덮개 및 증기배출부재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냉각수탱크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유지보수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증기배출부재의 상부에 체크밸브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증기응축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증기를 냉각수 탱크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부재의 증기유출구 위치가 수면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증기의 응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증기배출부재의 증기유로면적이 가변되도록 벨로우즈 형상으로 함으로써 증기가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기응축장치가 구비된 전기압력조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스팀캡과 본체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증기응축장치의 연결튜브와 냉각수탱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증기응축장치의 냉각수탱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연결튜브와 탱크외부덮개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난 탱크내부덮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난 증기배출부재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나타난 증기배출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증기응축장치에 의해 증기가 냉각수탱크에서 응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증기응축장치의 냉각수탱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기응축장치가 구비된 전기압력조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스팀캡과 본체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증기응축장치는, 전기압력조리기(1)의 본체(10)에 구비된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본체뚜껑(100)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유동하도록 증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스팀캡(200), 상기 스팀캡(200)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증기가 유동하는 연결튜브(300), 상기 연결튜브(300)를 통해 이송되어 온 증기를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냉각수탱크(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뚜껑(100)에는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가 관통결합되는데, 상기 증기배출밸브(120)는 상부에 구비된 무게추(110)가 증기의 압력에 따라 증기배출밸브(120)의 끝단을 개폐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내솥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는 취사 완료 후 전기적 신호에 의해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배출시킨다.
상기 스팀캡(200)의 증기유로는, 상기 증기배출밸브(12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1증기유로(201),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2증기유로(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증기유로(201)와 제2증기유로(202)는 서로 격리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증기유로(202)는 외부에 대하여 격리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120)에서 배출된 증기는 제1증기유로(201)와 제1연결튜브(301)를 거쳐 냉각수탱크(400)로 유입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는 제2증기유로(202)와 제2연결튜브(302)를 거쳐 냉각수탱크(400)로 유입된다.
상기 연결튜브(300)는, 상기 증기배출밸브(120)와 무게추(110)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탱크(40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연결튜브(301)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탱크(40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연결튜브(302)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스팀캡(200)과 냉각수탱크(400) 사이를 2개의 연결튜브(301,302)로 연결하여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를 각각 독립된 유로를 통해 냉각수탱크(400)로 유입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를 하나의 연결튜브를 통해 냉각수탱크(400)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증기응축장치의 연결튜브와 냉각수탱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증기응축장치의 냉각수탱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연결튜브와 탱크외부덮개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난 탱크내부덮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난 증기배출부재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나타난 증기배출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냉각수탱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냉각수탱크(400)는, 냉각수를 수용하는 탱크몸체(410), 상기 탱크몸체(410)의 상부를 덮되 연결튜브(301,302)가 연결되어 증기가 상기 탱크몸체(4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탱크덮개(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덮개(440)는, 상기 탱크몸체(410)의 상부를 덮는 탱크외부덮개(420)와,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와의 사이에 증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의 하측에 결합되는 탱크내부덮개(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외부덮개(420)는, 한 쌍의 연통구멍(422)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탱크외부덮개몸체(421)와, 상기 탱크외부덮개몸체(42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된 복수의 플랜지(423-1,423-2,423-3)와, 상기 탱크외부덮개몸체(421)의 일측 가장자리와 이에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탱크내부덮개결합부(424)와, 상기 탱크내부덮개결합부(424)가 형성된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가장자리와 이에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탱크몸체결합부(425)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는 상기 탱크내부덮개결합부(424)가 탱크외부덮개몸체(421)의 일측 가장자리와 이에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한 쌍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통구멍(422)에는 상기 연결튜브(301,302)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공인 내부로 증기가 유동하는 튜브연결구(310a,310b)가 삽입되되, 상기 튜브연결구(310a,310b)의 외주면과 상기 연통구멍(422)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탱크덮개 내부공간(440a)과 외부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플랜지(423-1,423-2,423-3)는, 상기 탱크외부덮개몸체(421)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1)와, 상기 제1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2)와, 상기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2)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내부덮개결합부(424)는, 상기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2)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3) 사이의 탱크외부덮개몸체(421)에서 하향 돌출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탱크내부덮개결합부몸체(424a)와, 상기 탱크내부덮개결합부몸체(424a)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탱크내부덮개(430)의 측면돌출부(434:도6)에 걸림되는 제1걸림부(424b)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몸체결합부(425)는, 상기 제1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1)의 일부가 하향 연장된 탱크몸체결합부몸체(425a)와, 상기 탱크몸체결합부몸체(425a)의 하단부에서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손잡이부(425b)와, 상기 탱크몸체결합부몸체(425a)의 하단부에서 상기 손잡이부(425b)와 대향되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탱크몸체(410)의 측면에 돌출된 탱크몸체돌출부(412; 도 3)에 걸림되는 제2걸림부(425c)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탱크몸체돌출부(412)가 탱크몸체(410)의 측면에 돌출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탱크몸체돌출부(412)의 위치에 결합홈 또는 결합구멍을 형성시켜 상기 제2걸림부(425c)가 상기 결합홈 또는 결합구멍에 걸림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결합구멍인 경우에는 그 결합구멍을 통해 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탱크내부덮개(430)는, 평판 형상의 탱크내부덮개몸체(431)와, 상기 탱크내부덮개몸체(431)의 상면으로부터 사각 박스 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튜브연결구(310a,310b)가 연결구패킹(320a,320b) 매개로 결합되는 연결튜브결합부(432), 상기 탱크내부덮개몸체(431)의 가장자리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향 돌출된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와,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탱크내부덮개결합부(4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측면돌출부(434)와, 상기 측면돌출부(434)가 형성된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의 외측면에 이웃하는 외측면에 돌출된 측면테두리부(4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튜브결합부(432)는 사각 박스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연결튜브결합부(432)의 상면에는 연결구결합구멍(432a)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연결구(310)가 연결구패킹(320)을 매개로 상기 연결구결합구멍(432a)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튜브(300) 내부를 유동하는 증기가 상기 탱크덮개 내부공간(440a)과 격리된 상태로 증기배출부재(450)를 통해 탱크몸체(410) 내부의 냉각수로 배출된다.
상기 연결튜브결합부(432)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튜브결합부(432)의 내부 공간(432c)과 상기 탱크덮개 내부공간(440a)을 연통시키되, 내솥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부재(450)의 체크밸브(456)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통기구멍(43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는 상부가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의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2)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3)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의 저면과의 사이, 상기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2)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3)의 측면과의 사이에 각각 틈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증기배출부재(450)를 통해 배출된 증기 중 냉각수에 의해 응축되지 않은 탱크몸체(410) 내부공간(410a)의 증기는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상기 탱크몸체(410) 내벽면과 측면테두리부(436) 사이의 틈,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와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2) 사이의 틈,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의 상단과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의 저면 사이의 틈,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3) 사이의 틈이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굴곡진 유로를 순차 경유하여 탱크덮개 내부공간(440a)으로 유입된 후,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의 연통구멍(4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제1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1)와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423-2) 사이에는 덮개패킹(405)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몸체(410)의 상단부(411)가 상기 덮개패킹(405)에 밀착됨으로써 탱크몸체(410)의 내부공간(410a)과 외부와의 사이에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 측면돌출부(434)는 상기 탱크내부덮개결합부(424)의 제1걸림부(424b)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와 탱크내부덮개(430)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측면테두리부(436)는 탱크몸체(410)에 결합시 탱크몸체(410) 내벽면과의 사이에 이격된 틈이 형성되도록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탱크몸체(410)의 내부공간(410a)의 증기가 상기 이격된 틈을 통해 탱크내부덮개플랜지(433)와 탱크몸체(410)의 내벽면과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연결튜브결합부(432)의 둘레에는 상기 탱크내부덮개몸체(431)를 관통하는 체결구멍(431a)이 상기 연결튜브결합부(432) 주위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멍(431a)에 체결부재(439)에 의해 증기배출부재홀더(460)가 결합된다.
상기 증기배출부재(450)는, 상기 연결튜브(301,302)를 통해 공급되어 온 증기를 상기 탱크몸체(410)의 냉각수로 배출하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인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451,452)와, 상기 가변부(451,452)의 상측에 원통 형상으로 연장된 목부(457)와, 상기 목부(457)의 상단에서 목부(457)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저면돌출부삽입홈(454a)이 형성되어 단면이 "∪"자인 덮개결합부(454)와, 상기 가변부(451,452)의 하단에 형성되어 부력재(470)와 부력재홀더(480)에 결합되는 부력재결합부(455)와, 상기 목부(457)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구멍(432b)의 내측을 덮도록 구비된 체크밸브(4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기배출부재(450)의 가변부(451,452)는 증기가 통과하는 내측 직경(D1,D2,D3)이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1가변부(451)와 제2가변부(45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증기배출부재(450)의 내측 직경(D1,D2,D3)이 하측으로 갈수록 늘어남으로 인해, 냉각수의 수면이 출렁거려도 수평유지가 용이하고,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배출부재(450) 내측의 증기유로면적이 단계적으로 늘어나므로 증기배출속도가 느려져 냉각수에 의한 증기의 응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증기배출부재(450) 내부 청소가 용이하며, 가변부(451,452)의 압축 변형량이 크므로 증기를 응축시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증기유로면적은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배출부재(45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내측 단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증기배출부재(450)의 부력재결합부(455)에는 냉각수에 대하여 부력이 작용하는 부력재(47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증기배출부재(450)의 증기유출구(450a)는 상기 부력재(470)의 부력에 의해 냉각수 수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위치가 가변되므로 증기유출구(450a)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냉각수 수면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배출된다.
상기 덮개결합부(454)의 저면돌출부삽입홈(454a)에는 상기 탱크내부덮개(430)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저면돌출부(435)가 삽입되고, 상기 덮개결합부(454)와 목부(457) 사이에는 상기 목부(457)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저면돌출부삽입홈(454a)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홀더테두리삽입홈(4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456)는, 상기 증기배출부재(450)의 상단에 탄성력을 갖는 사각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솥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체크밸브(456)가 통기구멍(432b)을 개방시켜 외부와 연통됨으로써 냉각수탱크(400)의 냉각수가 내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456)가 증기배출부재(45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증기배출부재(450)와 분리된 별도의 체크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없어 증기응축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재홀더(460)는, 상기 증기배출부재(450)를 체결부재(439)를 이용하여 탱크내부덮개(43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증기배출부재(450)의 목부(457)가 관통삽입되는 삽입구멍(461)과, 상기 삽입구멍(461)을 둘러싸되 상기 홀더테두리삽입홈(458)에 삽입되는 내측테두리(464)와, 상기 내측테두리(464)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테두리(465)와, 상기 내측테두리(464)와 외측테두리(465) 사이에 오목하게 "∪"자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증기배출부재(450)의 덮개결합부(454)가 안착되는 안착홈(462)과, 상기 외측테두리(465)의 각 변부에 형성되어 체결부재(439)가 탱크내부덮개(430)의 체결구멍(431a)을 관통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홈(4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기배출부재홀더(460)에 의해 탱크내부덮개(430)와 증기배출부재(450)가 결합되고, 탱크내부덮개(430)는 탱크외부덮개(420)의 탱크내부덮개결합부(424)에 결합되므로, 탱크외부덮개(420)와 탱크내부덮개(430) 및 증기배출부재(450)가 탱크몸체(410)로부터 일체로 탈착가능하므로, 냉각수탱크(400)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유지보수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증기응축장치에 의해 증기가 냉각수탱크에서 응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전기 압력 조리기(1)의 내솥에서 발생하여 증기배출밸브(120)와 무게추(110)를 통해 배출된 증기는 제1증기유로(201)와 제1연결튜브(301)를 통해 냉각수탱크(400)의 증기배출부재(450)로 배출되고, 솔레노이드밸브(130)를 통해 배출된 증기는 제2증기유로(202)와 제2연결튜브(302)를 통해 냉각수탱크(400)의 증기배출부재(45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내솥에서 배출된 증기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제1증기유로(201)와 제2증기유로(202)를 통해 배출되므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증기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재(450) 내부의 증기는 증기유출구(450a)를 통해 냉각수로 배출됨으로써 냉각수에 의해 응축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 냉각수의 수면이 상승하게 되는데, 냉각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증기유출구(450a)도 냉각수 수면에 대응하여 함께 상향 이동하도록 증기배출부재(450)의 길이가 가변되므로 증기는 냉각수 수면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내솥이 가열되어 증기가 내솥 및 냉각수탱크(400) 내부에 차 있는 경우에는 연결튜브결합부(432) 내부 공간(432c)의 압력이 탱크덮개 내부 공간(440a)에 연통하는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456)가 통기구멍(432b)을 폐쇄함으로써 내솥에서 발생한 증기를 냉각수탱크(400)에서 응축시키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에 반해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내솥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떨어져 내솥에 연통하는 연결튜브결합부(432)의 내부 공간(432c)의 압력도 대기압 이하로 떨어지므로, 외부의 대기압이 연통구멍(422)과 탱크덮개(440)의 내부공간(440a) 및 통기구멍(432b)을 통해 체크밸브(456)에 작용하여 상기 체크밸브(456)가 내측으로 휘어져 통기구멍(432b)을 개방시킴으로써 내솥과 냉각수탱크(400) 내부 공간이 외부 대기압과 압력 평형이 되어 냉각수탱크(400)의 냉각수가 증기배출부재(450) 및 연결튜브(300)를 통해 내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탱크외부덮개(420)와 탱크내부덮개(43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423-1,423-2,423-3,433)와 탱크몸체(410)의 상단부(411)가 교대로 배치되어 복수의 틈이 연결된 굴곡진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증기배출부재(450)를 통해 배출된 증기 중 냉각수에 의해 응축되지 않은 탱크몸체(410) 내부공간(410a)의 증기는 상기 굴곡진 유로를 경유하여 탱크덮개 내부공간(440a)으로 유입된 후, 상기 탱크외부덮개(420)의 연통구멍(4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탱크몸체(410) 내부공간(410a)의 증기가 연통구멍(422)을 향해 유동하도록 하는 증기유로를 최대한 길게 하고 증기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응축되지 않은 채 연통구멍(4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증기응축장치의 냉각수탱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든 구성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탱크외부덮개(420)의 탱크외부덮개몸체(421) 저면에 복수의 탱크외부덮개격벽(428)이 하향 돌출되어 있고, 탱크내부덮개(430)의 탱크내부덮개몸체(431) 상면에 복수의 탱크내부덮개격벽(438)이 상향 돌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탱크외부덮개격벽(428)과 탱크내부덮개격벽(438)은 교대로 구비되어 있어, 증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굴곡진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탱크몸체(410) 내부공간(410a)의 증기는 복수의 플랜지(423-1,423-2,423-3,433)가 형성하는 틈으로 이루어진 굴곡진 유로를 경유하여 탱크덮개 내부공간(440a)으로 유입된 후, 상기 탱크외부덮개격벽(428)과 탱크내부덮개격벽(438)을 상하로 유동한 후 연통구멍(4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증기유로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고 증기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응축되지 않은 증기가 연통구멍(4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전기 압력 조리기 10 : 본체
100 : 본체뚜껑 110 : 무게추
120 : 증기배출밸브 130 : 솔레노이드밸브
200 : 스팀캡 201 : 제1증기유로
202 : 제2증기유로 300, 301, 302 : 연결튜브
400 : 냉각수탱크 410 : 탱크몸체
420 : 탱크외부덮개 421 : 탱크외부덮개몸체
422 : 연통구멍 423-1,423-2,423-3 : 탱크외부덮개플랜지
424 : 탱크내부덮개결합부 425 : 탱크몸체결합부
428 : 탱크외부덮개격벽 430 : 탱크내부덮개
431 : 탱크내부덮개몸체 432 : 연결튜브결합부
433 : 탱크내부덮개플랜지 434 : 측면돌출부
435 : 저면돌출부 436 : 측면테두리부
438 : 탱크내부덮개격벽 440 : 탱크덮개
440a : 탱크덮개 내부공간 450 : 증기배출부재 450a : 증기유출구 451,452 : 가변부
454 : 덮개결합부 455 : 부력재결합부
457 : 목부 460 : 증기배출부재홀더
470 : 부력재 480 : 부력재홀더

Claims (14)

  1. 전기 압력 조리기의 내솥에서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냉각수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상기 냉각수를 수용하는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부를 덮고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된 탱크외부덮개와, 상기 탱크외부덮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탱크덮개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탱크내부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탱크몸체 내부공간의 증기가 상기 탱크덮개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연통구멍으로 유동하는 경로인 증기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굴곡진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내부덮개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과 상기 탱크외부덮개에서 하향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굴곡진 유로가 형성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과 냉각수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증기가 유동하는 연결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단부는 상기 연통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구멍 사이의 틈에 의해 상기 탱크덮개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내부덮개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은 상기 탱크내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탱크내부덮개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탱크외부덮개에서 하향 돌출된 부분은 상기 탱크외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된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는 상기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와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 및 탱크외부덮개와의 사이에 각각 틈이 형성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굴곡진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외부덮개에는, 상기 탱크외부덮개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탱크외부덮개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는 상기 제1탱크외부덮개플랜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탱크외부덮개플랜지는 상기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탱크몸체의 상단은 상기 제1탱크외부덮개플랜지와 제2탱크외부덮개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와 상기 탱크몸체 내부공간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과 냉각수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증기가 유동하는 연결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단부는 상기 연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내부덮개로부터 상향 돌출된 연결튜브결합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튜브와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내부공간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와 상기 연통구멍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상기 증기유로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의 단부에 결합된 튜브연결구는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구결합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튜브연결구와 연결구결합구멍 사이에는 연결구패킹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를 유동하는 증기는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내부공간 및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하부에 결합된 증기배출부재를 순차 경유하여 상기 냉각수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내부공간과 상기 증기유로를 연통시키는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튜브결합부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통기구멍을 개방시키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구멍의 내측을 덮도록 증기배출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몸체 상단과 탱크외부덮개 저면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덮개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내부덮개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은 상기 탱크내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탱크내부덮개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의 외측면에는 상기 탱크몸체 내벽면과의 사이에 이격된 틈을 형성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측면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몸체 내부의 증기는, 상기 탱크몸체 내벽면과 측면테두리부 사이의 틈, 상기 탱크내부덮개플랜지와 상기 탱크몸체 내벽면과의 사이 공간을 순차 경유하여 상기 증기유로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외부덮개와 탱크내부덮개는 상기 탱크몸체로부터 일체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진 유로는 상기 탱크외부덮개에서 하향 돌출된 부분인 격벽과 상기 탱크내부덮개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인 격벽이 교대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KR1020140153915A 2014-11-06 2014-11-06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KR10158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915A KR101585497B1 (ko) 2014-11-06 2014-11-06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915A KR101585497B1 (ko) 2014-11-06 2014-11-06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497B1 true KR101585497B1 (ko) 2016-01-25

Family

ID=5530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915A KR101585497B1 (ko) 2014-11-06 2014-11-06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4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771A (zh) * 2016-12-26 2017-05-3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少水蒸气向室内排放的蒸汽炉排气结构装置
CN110946469A (zh) * 2018-09-26 2020-04-0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及排蒸汽方法
CN115501645A (zh) * 2022-10-27 2022-12-23 徐州生物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牛蒡叶提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136A (ja) * 2004-01-23 2005-08-04 Minoru Okada 煮こぼれ吸収装置付き炊事用鍋
KR200433807Y1 (ko) * 2006-03-17 2006-12-20 이신영 압력밥솥용 증기 급속 냉각장치
KR20080090629A (ko) * 2007-04-05 2008-10-09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증기안전배출장치
KR20080006626U (ko) * 2007-06-25 2008-12-3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136A (ja) * 2004-01-23 2005-08-04 Minoru Okada 煮こぼれ吸収装置付き炊事用鍋
KR200433807Y1 (ko) * 2006-03-17 2006-12-20 이신영 압력밥솥용 증기 급속 냉각장치
KR20080090629A (ko) * 2007-04-05 2008-10-09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증기안전배출장치
KR20080006626U (ko) * 2007-06-25 2008-12-3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771A (zh) * 2016-12-26 2017-05-3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少水蒸气向室内排放的蒸汽炉排气结构装置
CN110946469A (zh) * 2018-09-26 2020-04-0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及排蒸汽方法
CN115501645A (zh) * 2022-10-27 2022-12-23 徐州生物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牛蒡叶提取装置
CN115501645B (zh) * 2022-10-27 2024-03-19 徐州生物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牛蒡叶提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497B1 (ko)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KR20170028624A (ko) 전기밥솥
WO2010044286A1 (ja) 炊飯器
CN110623534B (zh) 破泡器、锅盖组件以及烹饪器具
JP2013533086A (ja) 水容器及び該水容器を有する飲料をつくるための機械
KR101566446B1 (ko) 냉각수탱크의 분리가 용이한 증기응축장치
RU2014114266A (ru)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KR101609190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응축장치
KR101616710B1 (ko)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부재 결합구조
CN204734331U (zh) 一种烹饪装置及其蒸汽回收单元
CN107951398B (zh) 蒸汽阀座和蒸汽阀及电饭煲
KR101591762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응축장치
CN206371875U (zh) 一种蒸汽阀
KR101680597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응축장치
CN213464719U (zh) 烹饪装置
CN210227784U (zh) 烹饪器具
CN211269917U (zh) 一种限位可靠的烹饪器具
CN213721379U (zh) 烹饪装置
KR101576796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응축장치
CN112353260A (zh) 一种蒸汽阀组件及烹饪器具
CN216822809U (zh) 烹饪器具
CN216060169U (zh) 烹饪容器和具有其的烹饪装置
CN217696039U (zh) 烹饪器具及其锅盖
CN207561803U (zh) 烹饪器具
CN210871045U (zh) 蒸汽盒、锅盖及压力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