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406B1 - 파스너 - Google Patents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406B1
KR101584406B1 KR1020130141320A KR20130141320A KR101584406B1 KR 101584406 B1 KR101584406 B1 KR 101584406B1 KR 1020130141320 A KR1020130141320 A KR 1020130141320A KR 20130141320 A KR20130141320 A KR 20130141320A KR 101584406 B1 KR101584406 B1 KR 10158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rib
coupling
faste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693A (ko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16B19/004Resiliently deformable pins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2013/018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93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2005/067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결합리브를 가지는 고정판넬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결합판넬을 장착하기 위한 파스너로서, 외면에 어깨부와, 결합리브가 끼워지는 끼움홈부와, 결합판넬에 지지되는 다리를 가지는 바디부와, 결합리브의 일단부 양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 돌출부와, 끼움홈부의 내면 양측중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와, 결합돌출부의 맞은편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 돌출부와, 끼움홈부의 내면 양측에서 결합리브의 양면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어 결합리브를 지지하는 제2지지 돌출부를 포함함으로써, 파스너로 고정되는 제품의 고정판넬과 결합판넬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으로 인하여 파스너의 상부가 유동되거나 파스너의 하부가 결합판넬의 결합홀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스너 {FASTNER}
본 발명은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판넬에 결합판넬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서 고정판넬에 구비되는 고정보스의 체결력과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고정보스에 결합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내장재, 전자제품 등의 내장재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고정판넬에 결합판넬을 조립하는 형태로 구성되되, 고정판넬에 형성되는 결합리브를 결합판넬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끼워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고정판넬의 결합리브를 결합판넬에 고정홀에 끼워 고정하게 되면, 조립 과정이나 제품의 이동 과정에서 플라스틱으로 고정판넬과 일체로 형성된 결합리브가 파손되거나 부러지게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리브에 별도의 파스너를 끼운 후에, 이 파스너를 결합판넬의 고정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고정판넬에 결합판넬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이 구조에 사용되는 파스너가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2008-0037289호(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파스너에 의한 고정판넬과 결합판넬의 결합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넬(10)에 형성되는 결합리브(11)에 파스너(30)를 끼운 후에, 결합판넬(20)의 고정홀(21)에 결합리브(11)에 끼워진 파스너(30)를 끼워서 결합판넬(20)의 고정홀(21) 가장자리에 파스너(30)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파스너(30)는 하부에서 상측을 향해 가이드홈(31)을 구비하고, 가이드홈(31)의 내면 일측에 걸림후크(32)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리브(11)에는 파스너(30)의 걸림후크(32)가 걸리는 걸림홀(11a)이 형성된다.
파스너(30)는 외면의 양측면이 경사면(33)으로 형성되어, 경사면(33)의 하측에 단턱부(34)가 형성되어 파스너(30)가 걸림홀(11a)에 끼워져 돌출될 때, 걸림홀(11a)의 위쪽으로 단턱부(34)가 돌출된 후에 걸림홀(11a) 가장자리에 걸려서 파스너(30)가 걸림홀(11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스너(30)를 이용하여 고정판넬(10)과 결합판넬(20)을 고정하는 구조에 충격이 가해지면 파스너(30)가 결합판넬(20)에서 쉽게 이탈되고, 고정판넬(10)의 파손되어 수리하고자 할 때, 파스너(30)가 고정판넬(10)의 결합리브(11)에서 쉽게 이탈되어 파스너(30)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2008-0037289호(2008.04.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파스너 하부에서 결합리브의 양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파스너가 결합리브에 결합하여 결합판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스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리브를 가지는 고정판넬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결합판넬을 장착하기 위한 파스너로서, 양측 외면에 어깨부가 구비되고, 결합리브가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어깨부에 연장 형성되어 결합판넬에 지지되는 다리를 가지는 바디부와, 끼움홈부의 내면에서 마주보고 형성되되, 결합리브의 일단부 양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 돌출부와, 끼움홈부의 내면 양측중 일측에 돌출 형성되되, 단부가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돌출부와, 결합돌출부의 맞은편의 끼움홈부의 타측에서 결합리브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보강 돌출부와, 끼움홈부의 내면 양측에서 결합리브의 양면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되, 결합돌출부보다 끼움홈부의 입구에 가깝게 형성되어 결합리브를 지지하는 제2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제1지지 돌출부는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결합리브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하여 협지하기 위한 협지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돌출부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끼움홈부의 내면 쪽의 고정단부에서 자유단부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돌출부는 그 밑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윗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결합돌출부와 보강돌출부 사이로 결합리브의 진입이 용이하고, 자유단부가 결합리브의 결합홀 위쪽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지지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자유단부 사이의 거리가 결합리브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지지 돌출부, 결합돌출부, 보강돌출부, 제2지지 돌출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스너의 끼움홈부의 내측에 끼움홈부에 끼워지는 결합리브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 돌출부와 제2지지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파스너로 고정되는 제품의 고정판넬과 결합판넬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파스너의 상부가 유동되거나 파스너의 하부가 결합판넬의 결합홀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리브에 결합되거나 지지하는 제1지지 돌출부, 결합돌출부, 제2지지 돌출부에 각각 공간부가 구비됨으로써, 결합리브의 삽입시 각 돌출부에 순차적으로 접촉 및 변형이 초래되어 결합리브의 삽입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스너를 이용한 고정판넬과 결합판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와 도 5는 도 2의 파스너가 고정판넬의 결합리브에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결합판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의 파스너가 고정판넬의 결합리브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결합판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100)는 고정판넬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리브(101)에 결합된 후에 결합판넬(102)의 고정홀(102a)에 끼워져 결합판넬(102)을 고정판넬에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부(110), 제1지지 돌출부(120), 결합돌출부(130), 보강 돌출부(140), 제2지지 돌출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판넬과 결합판넬(102)의 결합구조는 자동차의 내장재 즉, 도어트림, 인스트루먼트 패널, 암레스트 등을 결합하는 구조와,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내장재를 결합하는 구조 및 기타 결합리브(101)가 갖는 사출물로 형성된 판넬에 철이나 기타 다른 재질로 된 판넬을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은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합리브(10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1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파스너(100)가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 후술하는 파스너(100)의 결합돌출부(130)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101a)이 형성된다.
바디부(110)는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판넬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리브(101)를 향해 형성되는 끼움홈부(111)를 가지는 것으로, 한 쌍의 다리(112), 어깨부(113), 끼움홈부(111)를 포함한다.
한 쌍의 다리(112)는 결합리브(10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결합리브(101)에 끼워진 후에 고정판넬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어깨부(113)는 바디부(110)의 외측 양면에 형성되되, 도 3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폭이 상부에서 하측까지 넓어져서 외측 양면 하부에 돌출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끼움홈부(111)는 바디부(110)의 일단부(도 2에서 밑면)에서 고정패널의 결합리브(101)를 향해 형성되되, "∩"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지지 돌출부(120)는 끼움홈부(111)의 내면 양측면에서 끼움홈부(111)에 끼워지는 결합리브(101)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결합리브(101)의 상단부 양측면에 접촉되어 결합리브(101)의 상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제1지지 돌출부(120)는 끼움홈부(111)에 끼워지는 결합리브(101)의 상단부를 지지함으로써, 결합리브(101)에 끼워진 파스너(100)의 상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제1지지 돌출부(120)는 결합리브(101)의 상단 양측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리브(101)를 협지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협지평면(121)이 서로 마주보고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리브(101)의 상단부는 끼움홈부(111)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정면에서 볼 때 단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끼움도입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지지 돌출부(120)는 결합리브(101)의 끼움도입부의 하측을 지지하여 끼움홈부(111)에 끼워지는 결합리브(101)가 끼움홈부(111)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결합돌출부(130)는 결합리브(1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파스너(100)가 결합리브(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파스너(100)를 결합리브(101)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결합돌출부(130)는 끼움홈부(111)에 끼워지는 결합리브(101)의 결합홀(101a)에 끼워지도록 끼움홈부(111)의 내측면 중 일측면에서 결합리브(101)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출부(130)는 끼움홈부(111) 내면 쪽의 고정단부에서 자유단부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돌출부(130)는 밑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윗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결합리브(101)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자유단부가 결합리브(101)의 결합홀(101a)에 끼워질 때, 결합홀(101a)의 윗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결합돌출부(130)는 결합리브(101)의 결합홀(101a)에 끼워지는 자유단부 윗면에 지지평면(131)이 형성되며, 이 지지평면(131)이 결합리브(101)의 결합홀(101a)의 윗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결합돌출부(130)는 제1지지 돌출부(120) 보다 끼움홈부(111)의 입구 쪽에 가깝게 형성된다.
결합돌출부(130)의 맞은편에는 끼움홈부(111)의 타측면에서 결합리브(101)를 향해 보강돌출부(140)가 돌출 형성된다.
이 보강돌출부(140)는 파스너(100)가 결합리브(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파스너(100)를 결합판넬(102)의 고정홀(102a)에 끼우는 과정에서 바디부(110)의 어깨부(113)가 고정홀(102a)을 끼워져 관통되는 과정에서 바디부(110)의 어깨부(113)가 압축될 때 결합리브(101)에 지지되어 압축된 어깨부(113)가 원상태로 신속하게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보강돌출부(140)는 파스너(100)가 결합판넬(102)의 고정홀(102a)에 끼워져 어깨부(113)가 고정홀(102a)을 통과할 때 어깨부(113)가 압축되어 파손되거나 압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보강돌출부(140)는 결합돌출부(130)와 보강돌출부(140) 사이로 결합리브(101)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리브(101)를 향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 돌출부(150)는 끼움홈부(111)의 내면중 양측면에서 각각 결합리브(101)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결합리브(101)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결합리브(101)에 끼워져 결합된 파스너(100)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지지 돌출부(150)는 끼움홈부(111)에 형성되되, 결합돌출부(130)보다 끼움홈부(111)의 입구 쪽에 형성된다.
제2지지 돌출부(150)는 서로 마주보는 자유단부 사이로 결합리브(101)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자유단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제2지지 돌출부(150) 사이로 결합리브(101)가 제2지지 돌출부(150)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 쌍의 제2지지 돌출부(150)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 사이의 거리는 결합리브(10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리브(101)가 제2지지 돌출부(150) 사이로 끼워질 때, 한 쌍의 제2지지 돌출부(150) 사이가 벌어지면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제2지지 돌출부(150) 사이의 거리가 결합리브(10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되,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결합리브(101)가 끼워질 때 벌어져서 결합리브(101)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지지 돌출부(120), 제2지지 돌출부(150), 결합돌출부(130), 보강돌출부(140)는 각각 공간부(160)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60)는 각각 별도로 구획 형성되어 결합리브(101)가 끼움홈부(111)로 삽입될 때, 각 돌출부(150)(130)(120)에 순차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변형됨으로써, 결합리브(101)의 삽입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결합리브(101)가 끼움홈부(111)로 끼워질 때, 끼움홈부(111)의 입구 쪽에 가까운 한 쌍의 제2지지 돌출부(150) 사이로 끼워져 가이드된 후에, 결합돌출부(130)와 보강돌출부(140) 사이에 진입하면서 결합돌출부(13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결합돌출부(130)는 공간부(160)가 압축되고, 결합리브(101)가 결합돌출부(130)를 통과한 후에, 결합리브(101)의 상부가 끼움홈부(111)의 상부에 위치될 때, 결합돌출부(130)의 단부가 결합리브(101)의 결합홀(101a)에 끼워지면서 압축된 공간부(160)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파스너(100)를 고정패널의 결합리브(101)에 끼워 결합할 때, 결합리브(101)를 위쪽으로 향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패널을 바닥에 놓은 후에, 파스너(100)를 결합리브(101)의 위쪽으로 가져간다. 이때, 파스너(100)는 끼움홈부(111)의 입구가 결합리브(101)를 향하도록 하되, 끼움홈부(111)와 결합리브(101)가 일직선상에 있도록 한다.
이후에, 파스너(100)를 하강시켜서 결합리브(101)의 상단이 끼움홈부(111)에 끼워지도록 위치시킨 후에, 파스너(100)를 눌러 결합하게 된다.
파스너(100)의 끼움홈부(111)에 결합리브(101)의 상단부가 끼워지면서, 끼움홈부(111)의 입구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쌍으로 구성된 제2지지 돌출부(150) 사이 끼워진다. 이때, 한 쌍의 제2지지 돌출부(150)는 결합리브(101)에 의해 벌어지면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발생하면서 결합리브(101)의 양측면을 강하게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리브(101)의 단부가 끼움홈부(111) 내에 형성된 결합돌출부(130)의 단부 하부에 접촉되면, 작업자는 파스너(100)의 상단을 강하게 누른다.
그러면, 결합리브(101)의 상단부는 계속하여 끼움홈부(111)의 상부를 향해 전진하여, 결합돌출부(130)와 보강돌출부(140) 사이에 끼워지면서 결합돌출부(130)의 자유단부 하측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결합돌출부(130)는 결합리브(101)의 가압에 의해 공간부(160)가 압축되는데, 결합돌출부(130)의 자유단부가 위쪽을 향해 변형되면서 결합돌출부(130)와 보강돌출부(140) 사이가 벌어진다. 그러면, 결합리브(101)는 벌어지는 결합돌출부(130)와 보강돌출부(140) 사이를 지나면서 한 쌍의 제1지지 돌출부(120)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에, 결합리브(101)는 한 쌍의 제1지지 돌출부(120) 사이로 계속 진입하여 끼움홈부(111)의 상단부까지 끼워진다. 이때, 결합리브(101)의 결합홀(101a)에 결합돌출부(130)의 자유단부가 끼워지고, 결합돌출부(130)의 자유단부 위쪽이 결합홀(101a)의 윗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결합리브(101)는 그 상단부 양측면이 한 쌍의 제1지지 돌출부(120)의 협지평면(12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한 외부 요인에 의해 결합리브(101)의 상단부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파스너(100)가 결합리브(101)에 끼워져 결합될 때, 파스너(100)의 제1지지 돌출부(120)가 결합리브(101)의 상부에 지지되고, 제2지지 돌출부(150)가 결합리브(101)의 하부에 지지됨으로써, 고정판넬과 결합판넬(102)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파스너(100)의 상부가 유동되거나 파스너(100)가 결합판넬(102)의 고정홀(102a)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파스너
101 : 결합리브 101a : 결합홀
102 : 결합판넬 102a : 고정홀
110 : 바디부 111 : 끼움홈부
112 : 다리 113 : 어깨부
120 : 제1지지 돌출부 121 : 협지평면
130 : 결합돌출부 131 : 지지평면
140 : 보강돌출부
150 : 제2지지 돌출부
160 : 공간부

Claims (6)

  1.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리브를 가지는 고정판넬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결합판넬을 장착하기 위한 파스너로서,
    양측 외면에 어깨부가 구비되고, 결합리브가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어깨부에 연장 형성되어 결합판넬에 지지되는 다리를 가지는 바디부;
    끼움홈부의 내면에서 마주보고 형성되되, 결합리브의 일단부 양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 돌출부(120);
    끼움홈부의 내면 양측중 일측에 돌출 형성되되, 단부가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돌출부;
    결합돌출부의 맞은편의 끼움홈부의 타측에서 결합리브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보강 돌출부(140);
    끼움홈부의 내면 양측에서 결합리브의 양면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되, 결합돌출부보다 끼움홈부의 입구에 가깝게 형성되어 결합리브를 지지하는 제2지지 돌출부(150);를 포함하고,
    제1지지 돌출부(120), 보강돌출부(140), 및 제2지지 돌출부(150)에는 각각 공간부(160)가 별도로 구획 형성되어 제1지지 돌출부(120), 보강돌출부(140), 제2지지 돌출부(150)의 단면이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지지 돌출부는,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결합리브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하여 협지하기 위한 협지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돌출부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끼움홈부의 내면 쪽의 고정단부에서 자유단부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 제2항에 있어서,
    결합돌출부는,
    그 밑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윗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결합돌출부와 보강돌출부 사이로 결합리브의 진입이 용이하고, 자유단부가 결합리브의 결합홀 위쪽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5. 제2항에 있어서,
    제2지지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자유단부 사이의 거리가 결합리브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6. 삭제
KR1020130141320A 2013-11-20 2013-11-20 파스너 KR10158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320A KR101584406B1 (ko) 2013-11-20 2013-11-20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320A KR101584406B1 (ko) 2013-11-20 2013-11-20 파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93A KR20150058693A (ko) 2015-05-29
KR101584406B1 true KR101584406B1 (ko) 2016-01-14

Family

ID=5339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320A KR101584406B1 (ko) 2013-11-20 2013-11-20 파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4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718A (ja) 2003-12-26 2005-07-14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8151304A (ja) 2006-12-19 2008-07-03 Piolax Inc 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718A (ja) 2003-12-26 2005-07-14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8151304A (ja) 2006-12-19 2008-07-03 Piolax Inc 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93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84974A1 (en) Engaging clip
US6481682B2 (en) Plate member mounting structure
US8043038B2 (en) Anchor
KR20060128106A (ko) 플라스틱 파스너
US9669778B2 (en) Clamping member
EP1719666A1 (en) Molding mounting structure, clip for mounting molding, and molding
WO2008018372A1 (fr) Élément de support pour moustiquaire
JP2014094722A (ja) 収納ボックス
US6364589B1 (en) Panel fastener assembly
US20070164585A1 (en) Vehicle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US20130307291A1 (en) Step unit
US20140375105A1 (en)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95064A1 (en) Molded product assembly and fastener
US8850671B2 (en) Clip and attaching structure
KR101584406B1 (ko) 파스너
KR101584407B1 (ko) 파스너
KR20150058694A (ko) 파스너
KR101964906B1 (ko) 클립을 이용한 내장재 결합 구조
KR20150058692A (ko) 파스너
US10434920B2 (en) Footres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6971146B2 (en) Fastening spring
CN107199952B (zh) 固定构造
KR20120000728A (ko) 자동차 카매트 고정부재
KR20150058913A (ko) 차량용 훼스너
JP2011105045A (ja) スポ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