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035B1 -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035B1
KR101584035B1 KR1020150092037A KR20150092037A KR101584035B1 KR 101584035 B1 KR101584035 B1 KR 101584035B1 KR 1020150092037 A KR1020150092037 A KR 1020150092037A KR 20150092037 A KR20150092037 A KR 20150092037A KR 101584035 B1 KR101584035 B1 KR 10158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corrugated cardboard
liner
concrete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064A (ko
Inventor
하주형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8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양생 과정에서 골판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외면에 발생되는 온도차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 형태로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2 단계,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골판지를 부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골판지의 보온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상기 골판지가 부착된 외부 표면의 온도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METHOD FOR REDUCING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CONCRETE USING CORRUGATED FIBERBOARD IN CURING}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양생 과정에서 골판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외면에 발생되는 온도차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그리고 물을 적절하게 배합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생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며, 물·불·지진 등과 같은 자연풍해에 잘 견딜 수 있으므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서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배치 플랜트(batch plant)에서 제조되어 레미콘으로 지칭되는 콘크리트 운반차로 운반된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어 다져지고 양생된다. 배치 플랜트는 1회의 콘크리트 반죽량을 계량하여 혼합기에 투입하고 완전히 반죽된 콘크리트를 배출시키고 나서 콘크리트 반죽을 새로이 하여 투입하는 식으로 1회마다 콘크리트를 반죽하는 것이다.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될 때 수화작용을 동반하는데, 수화작용은 용질(溶質) 분자 혹은 이온이 그 주위에 몇 개의 물분자를 끌어들여 하나의 분자군을 이루는 현상이므로, 하나의 분자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이 발생하게 된다.
수화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결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되어 온도균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온도균열은 양생 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수화열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30℃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균열은 내부와 외부 표면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균열 외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과정에서 외부 표면이 건조 수축되면서 발생되는 건조수축균열 역시 존재하게 된다.
도 1은 양생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와 외부 표면의 온도 및 온도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양생이 종료할 때까지는 약 12 ~ 15일 정도가 소요된다. 그리고, 수화열에 따라 내부온도는 약 90℃까지 상승되게 되고, 내부 온도와의 최대 온도차는 약 60℃ 이상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차를 가지면서 양생된 구조물에는 균열이 발생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내부 외부 표면의 온도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에어캡(Air Cap)(16)이 형성되어 있는 버블시트(10)를 이용하였다.
상기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시트(10)의 에어캡(16)에는 공기가 밀폐되어 있으며, 이는 보온 및 단열효과가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수화반응에 의한 수화열을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크리트의 양생 시 수화열을 보존하기 위하여 이러한 버블시트(10)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씌웠으며, 에어캡(16)의 공기가 보온, 단열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 내부와 외부 표면의 온도차를 저감시키므로 온도균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양생 시 사용되었던 버블시트(10)의 가격은 단위 제곱미터 당 약 3000원 가량으로서 넓은 규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덮는 데 필요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버블시트(10)는 쉽게 바람에 날릴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일이 버블시트(10)를 테이핑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하여 공사현장에 버블시트(10)를 설치한 후 인부들이 그 위에 올라가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부들이 작업 과정 중에 공사현장에 설치된 버블시트(10)를 밟는 경우 에어캡(16)이 쉽게 터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온이나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버블시트(10)를 재사용할 수 없으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도 있었다. 나아가, 버블시트(10)는 비닐과 같은 햇빛 반사가 잘 이루어지는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공사현장에 설치된 버블시트(10)에 의하여 인부들의 시야가 방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블시트(10)는 재질이 부드러운 비닐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생 종료 후 테이핑된 버블시트(1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버블시트(10)가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한 번 사용한 버블시트(10)는 재사용이 어려워 공사비용에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균열을 방지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2408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양생 과정에서 골판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외면에 발생되는 온도차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는 골판지를 이용함으로써 대폭 절감된 비용으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를 저감시키는 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 간단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바람에 잘 날리지 않아 용이한 작업이 가능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생된 구조물에 부착된 골판지는 인부들이 그 위에서 추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밟아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양생 후 훼손됨 없이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고, 햇빛을 반사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생비닐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골판지를 보호할 수 있고, 수분이 골판지로 흡수되어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 형태로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2 단계,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골판지를 부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골판지의 보온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상기 골판지가 부착된 외부 표면의 온도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은 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복록부는 도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골판지는 표면과 이면에 배치되는 라이너 및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의 일면에 있는 상기 중간층에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는 표면 라이너, 상기 표면 라이너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이면 라이너 및 상기 표면 라이너와 상기 이면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골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라이너와 상기 이면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라이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골심지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골심지는 상기 표면 라이너, 상기 중간 라이너 및 상기 이면 라이너의 이격된 공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심지는 복수의 골을 갖는 파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라이너의 상부에는 방수코팅액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심지는 다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골심지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에서는, 상기 골판지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이 종료되기 전에 복수의 층을 이루는 상기 골판지 중 일부의 층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 중 상기 온도차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예상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상기 골판지는, 복수의 층을 이루거나 골심지가 다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 형태로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2 단계,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하부 양생비닐을 포설하는 제 2-1 단계, 상기 하부 양생비닐의 상면에 골판지를 부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골판지의 보온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상기 골판지가 부착된 외부 표면의 온도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는, 상기 골판지의 외부 표면에 상부 양생비닐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 형태로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2 단계;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하부 양생비닐을 포설하는 제 2-1 단계; 상기 하부 양생비닐의 상면에 골판지를 부착하는 제 3 단계; 상기 골판지의 외부 표면에 상부 양생비닐을 덮는 단계; 12일 내지 15일 동안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판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양생비닐의 상면에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두 겹의 부직포가 배치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의 보온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상기 골판지가 부착된 외부 표면의 온도차를 최소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은 사각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은 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에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은 도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단계에서는, 상기 골판지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부착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이 종료되기 2일 전에 복수의 층을 이루는 상기 골판지 중 일부의 층을 제거하며, 상기 제 3단계에서 부착되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는 모두 검정색으로 제작되고,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은, 표면과 이면에 배치되는 라이너 및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의 일면에 있는 상기 중간층에 형성되고, 상기 라이너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중간층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삽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골판지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라이너 및 상기 중간층은 내수 가공하여 제작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 중 상기 온도차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예상되는 부분에는 골심지가 다중 구조로 형성된 골판지가 부착되고, 상기 다중 구조의 골판지는, 표면 라이너; 상기 표면 라이너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 양생비닐의 상면에 부착되는 이면 라이너; 상기 표면 라이너와 상기 이면 라이너 사이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중간 라이너와 제 2 중간 라이너;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 라이너 및 상기 제 1 중간 라이너의 이격된 공간에 부착되는 제 1 골심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중간 라이너 및 상기 제 2 중간 라이너의 이격된 공간에 부착되는 제 2 골심지;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중간 라이너 및 상기 이면 라이너의 이격된 공간에 부착되는 제 3 골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골심지, 상기 제 2 골심지 및 상기 제 3 골심지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을 갖는 파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형 형상의 진폭은 0.35 ㎜ 내지 0.5 ㎜ 범위이고, 상기 복수의 산 중 하나인 제 1 산과 상기 제 1 산과 이웃하는 제 2 산 사이의 거리는 0.7 ㎜ 내지 1.0 ㎜ 범위이며, 상기 복수의 골 중 하나인 제 1 골과 상기 제 1 골과 이웃하는 제 2 골 사이의 거리는 0.7 ㎜ 내지 1.0 ㎜ 범위이고, 상기 제 1 골심지의 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2 골심지의 골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골심지의 골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2 골심지의 산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골심지의 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3 골심지의 산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골심지의 골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3 골심지의 골이 배치되며, 상기 표면 라이너의 상부에는 방수코팅액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하부 양생비닐 및 상기 상부 양생비닐은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골판지는 9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의하여 양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양생 과정에서 골판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외면에 발생되는 온도차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는 골판지를 이용함으로써 대폭 절감된 비용으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를 저감시키는 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 간단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바람에 잘 날리지 않아 용이한 작업이 가능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생된 구조물에 부착된 골판지는 인부들이 그 위에서 추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밟아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양생 후 훼손됨 없이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고, 햇빛을 반사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생비닐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골판지를 보호할 수 있고, 수분이 골판지로 흡수되어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양생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와 외부 표면의 온도 및 온도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에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시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골판지의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골판지 연결구조의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따라 골판지와 양생비닐이 적용된 실시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 과정에서 수화작용에 의한 수화열을 발생시키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외부 표면의 온도차가 발생되고 온도균열이 생길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어 있는 버블시트를 이용하였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에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시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시트(10)는 시중에서 포장재료로 널리 쓰이는 제품으로서, 2장의 PE필름(12, 14)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에어캡(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에어캡에 공기를 밀폐시키고 있다.
상기 에어캡(16)이 머금고 있는 공기는 보호대상 물품에 직접 전달되는 충격량을 크게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버블시트(10)는 주로 완충재로 이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버블시트(10)의 에어캡(16)에 밀폐되어 있는 공기는 보온 및 단열효과가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수화반응에 의한 수화열을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에어캡(16)의 보온, 단열효과를 이용하여 버블시트(10)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덮어 양생 시 콘크리트 내부와 외부 표면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균열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버블시트(10)를 넓은 규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덮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버블시트(10) 설치 시 일일이 테이핑 작업을 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블시트(10)는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재사용을 할 수 없었고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물에 설치된 버블시트(10)가 햇빛을 반사하여 인부들의 추가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양생 과정에서 골판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외면에 발생되는 온도차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포장재료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균일성이 좋으며, 단위 중량당 강도가 높고, 접착성 및 인쇄성이 우수하며, 비교적 고·저온에 적응성이 우수하고, 냄새와 독성이 없어 위생적이다.
또한, 자동 포장 적성이 좋고, 형상 보유력이 우수하며,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고, 폐기물의 재활용성이 우수하다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포장재료로서 압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골판지를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골판지의 실시례를 나타낸다.
단,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골판지의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며, 이와 다른 형태를 갖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골판지로서 양면골판지(Double Faced Corrugated Fibreboard)를 나타낸다.
도 3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양면골판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라이너(liner)인 표면 라이너(22a)와 이면 라이너(22b) 사이에 골심지(28)를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골심지는 복수의 골을 가지는 파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골심지를 상기 라이너에 붙여서 골판지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골심지의 형상은 이러한 파형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을 가지는 골심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라이너는 기계적 충격이나 기후 조건으로부터 저항성을 부여하며, 골심지는 골판지에 두께를 부여하고 견고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충격 시 압축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골판지의 일례로서, 골심지(28)를 2중 이상의 다중 구조로 형성하여 골심지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라이너(22a)나 이면 라이너(22b)의 재질을 변경하여 다양한 강성을 갖는 골판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골판지의 다른 일례로서, 골심지(28)를 0.7 ~ 1.0 ㎜ 의 작은 골을 갖는 파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골심지(28)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을 갖는 파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골심지(28)의 파형 형상의 진폭은 0.35 ㎜ 내지 0.5 ㎜ 범위이다. 골심지(28)의 복수의 산 중 하나인 제 1 산과 제 1 산과 이웃하는 제 2 산 사이의 거리는 0.7 ㎜ 내지 1.0 ㎜ 범위이며, 복수의 골 중 하나인 제 1 골과 제 1 골과 이웃하는 제 2 골 사이의 거리는 0.7 ㎜ 내지 1.0 ㎜ 범위로 구성된다.
이렇게 골심지의 골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골심지(28)의 골과 라이너의 접촉 면적이 좁아지고, 열 전달 시 열의 이동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보온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즉, 한쪽 라이너에서 다른쪽 라이너로의 열전달이 늦어지며, 열전도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화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라이너의 상부에는 방수코팅액을 코팅하여 외부 기상변화에 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및 골심지를 투명하게 제작하면 빛의 투과성이 높아지고, 검정색으로 제작하면 집열효과가 높아져 한중콘크리트 시공에 더욱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은박처리하여 사용하면 열반사의 효과가 있으므로 서중콘크리트 시공에 더욱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골판지로서 가장 간단한 구성을 갖는 편면골판지(Single Faced corrugated fibreboard)를 나타낸다.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편면골판지는 골 모양으로 형성된 골심지(28)의 편면에 라이너(liner)(22) 한 매를 붙여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골판지로서 이중 양면골판지(Double Wall Corrugated Fiberboard)를 나타낸다.
도 3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중 양면골판지는 도 3a의 양면골판지에 도 3b의 편면골판지를 붙여서 형성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세 개의 라이너(23a, 23b, 23c) 사이에 파형 형상의 골심지(28)를 각각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골심지의 골은 용도별로 A, B, C, 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A골, B골, C골은 외부 포장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A골, E골은 내부 포장용으로 사용되며, E골은 낱개 포장용으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골의 종류에 따른 특성을 나타낸다.
골의 종류 골의 높이 (mm) 골의 수 (30 cm 당)
A골 4.5 ~ 4.8 34 ± 2
B골 2.5 ~ 2.8 50 ± 2
C골 3.5 ~ 3.8 40 ± 2
E골 1.1 ~ 1.4 93 ± 5
상기 이중 양면골판지의 골심지(28)는 A골과 B골을 조합시켜 만든 것이 일반적인데, AB골 외에 AA골, AC골, AE골, BC골, BE골 등 다른 골과 조합시킨 구성도 가능하다.
AA골은 수직압축강도가 높은 이중 양면골판지로서 중량물이나 파괴되기 쉬운 상품의 포장에 주로 사용되며,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양생용으로도 사용되어 높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d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골판지로서 삼중골판지(Triple Wall Corrugated Fiberboard)를 나타낸다.
도 3d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삼중골판지는 도 3c의 이중 양면골판지에 도 3b의 편면골판지를 붙여서 형성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네 개의 라이너(24a, 24b, 24c, 24d) 사이에 파형 형상의 골심지(28)를 각각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중골판지를 구성하는 제 1 골심지, 제 2 골심지 및 제 3 골심지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을 갖는 파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골심지의 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2 골심지의 골이 배치되고, 제 1 골심지의 골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2 골심지의 산이 배치된다. 또한, 제 2 골심지의 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3 골심지의 산이 배치되고, 제 2 골심지의 골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3 골심지의 골이 배치된다.
삼중골판지는 목재와 조합시킨 형태의 규격도 존재하며, 보통은 AAA골, AAB골, AAC골을 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삼중골판지는 목재상자나 중량물 상자를 골판지에 전환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내압강도, 내후성 등이 강하고 단열성, 기밀성도 우수하다. 또한 100kg 이상의 화물 포장도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단열성과 강성을 요구하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양생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골판지는 바람직하게는 방수 골판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 골판지에 대해서는 산업통산자원부 기술표준원의 한국산업규격 KS T 1012의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방수 골판지는 방수 성능에 따라 발수, 차수 및 내수 골판지의 세 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다.
발수 골판지는 단시간 물이 떨어졌을 경우에 물이 방울로 되어 흘러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표면 가공한 골판지를 말한다.
차수 골판지는 장시간 물과 접촉하여도 물을 거의 통과시키지 않도록 가공한 골판지를 말한다.
내수 골판지는 장시간 침수시켰을 경우 그다지 강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골판지용 라이너, 골판지용 골심지, 접착제 또는 골판지에 가공한 골판지를 말한다.
하기의 표 2는 발수 골판지의 품질을 나타낸다.

종류

파열 강도
(MPa)

수분
(%)
발수도
등급 성능
양면


1종 0.65 이상


11 ± 2




1호

물방울이 떨어져 흐른 자국의 1/4이 젖어 있는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
2종 0.78 이상
3종 1.18 이상
4종 1.57 이상
이중 양면



1종 0.78 이상

2호

물방울이 완전히 굴러 떨어져 버리는 것
2종 0.98 이상
3종 1.37 이상
4종 1.77 이상
5종 2.16 이상
하기의 표 3은 차수 골판지의 품질을 나타낸다.

종류

파열 강도
(MPa)

수분
(%)
발수도
등급 성능
양면


1종 0.65 이상


11 ± 2




1호

24시간 경과 후, 물을 통과시키지 않을 것
2종 0.78 이상
3종 1.18 이상
4종 1.57 이상
이중 양면



1종 0.78 이상

2호

48시간 경과 후, 물을 통과시키지 않을 것
2종 0.98 이상
3종 1.37 이상
4종 1.77 이상
5종 2.16 이상
하기의 표 4는 내수 골판지의 품질을 나타낸다.

종류
파열 강도
(MPa)
수분 (%) 내수도
라이너 및 골심지에 내수 가공을 한 경우 골판지 제조시 또는 골판지에 내수 가공을 한 경우 등급 잔존 파열 강도
(MPa)
잔존 수직 압축 강도
(MPa)
양면


1종 0.65 이상


11±2






7±2




1호
0.22
이상
0.29
이상
2종 0.78 이상
3종 1.18 이상 2호
0.41
이상
0.59
이상
4종 1.57 이상
이중
양면


1종 0.78 이상 3호
0.61
이상
0.88
이상
2종 0.98 이상
3종 1.37 이상 4호
0.90
이상
1.18
이상
4종 1.77 이상
5종 2.16 이상 5호 1.29
이상
1.47
이상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은 외기 온도나 대상 구조물과 같은 콘크리트 양생 환경에 적합한 골판지 물성(강성, 단열성능, 차수성능)을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내외부 온도차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는 단열성능이 높은 이중 또는 삼중골판지를 사용하거나 골판지를 여러 겹으로 겹쳐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골판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과정을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100). 여기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하부 양생비닐이 포설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을 덮기 위하여 복수의 골판지를 상호 연결한다(S200).
골판지는 우리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포장재료이므로 종래 사용되던 버블시트에 비하여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양생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골판지에는 각각 일면에 오목부가, 타면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목부와 볼록부는 골판지 하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와 볼록부를 결합하여 복수의 골판지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결합에 의하여 복수의 골판지가 바람에 쉽게 날리지 않을 수 있도록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를 부착하며(S300), 복수의 골판지를 간편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별도의 테이핑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을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골판지의 부착 시 부직포를 골판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덮거나 두 겹 이상의 골판지를 부착하면서 그 사이에 부직포를 배치하여 단열이나 보온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골판지의 상면에는 상부 양생비닐이 더 씌워져 골판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어서,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며 콘크리트의 양생을 진행하게 된다(S400).
양생은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경화될 때까지 적당한 수분을 유지시키고 충격을 받거나 동결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과정이다. 콘크리트 양생 초기에는 습윤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충분한 수화반응이 일어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양생에 소요되는 기간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성, 규모 또는 온도, 습도 등의 주위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약 12 ~ 15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은 기존 단열양생의 단점이었던 양생재 제거 시의 온도충격 방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외부 온도차가 큰 초기에는 일면골판지 2장을 겹쳐서 시공하고, 양생재 제거 1, 2일 전부터 일면골판지를 한 장만 덮음으로써 갑자기 2장 모두를 제거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온도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복수의 골판지를 간편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골판지 연결구조의 실시례를 나타낸다.
단,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례를 나타낸 것이며, 이와 다른 형태의 복수의 골판지를 연결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골판지의 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가 오목부에 체결되면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오목부와 볼록부는 외풍에 의하여 복수의 골판지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한다.
종래 버블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버블시트를 연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하여 테이핑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서로 결합함으로 인하여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도 복수의 골판지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한결 용이해 진다.
도 5b를 참조하면, 골판지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 형성된 볼록부 도브테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의 오목부와 볼록부 도브테일 형상의 결합에 의하면, 도 5a에 비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복수의 골판지가 훨씬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사각의 골판지의 두 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와 달리 골판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가 서로 결합하여 더 견고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사각의 골판지의 두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는 개방된 형태가 아닌 막혀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d의 오목부는 외부에서 보는 경우에는 막혀있지만, 골판지의 내부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골판지의 표면과 이면에 배치되는 라이너는 그대로 있으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5d의 형태를 갖는 연결 형상에 의하면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가 견고한 연결을 이룰 수 있으며, 더욱 효율적인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양면골판지를 이용한 실시례를 도시하였으나, 이중 양면골판지나 삼중골판지를 이용하여 도 5a 내지 도 5d의 연결구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되어 간편하게 부착될 수 있는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 연결부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는 적어도 9개의 골판지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두 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에는 두 개의 오목부와 하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에는 하나의 오목부와 두 개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은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볼록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오목부를 우측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우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은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볼록부를 좌측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중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에는 두 개의 오목부와 하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에는 하나의 오목부와 두 개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중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은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볼록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오목부를 하측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중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은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볼록부를 상측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좌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에는 두 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에는 두 개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좌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하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는 각각 좌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상측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중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좌측면에 위치한 볼록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우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상측면과 좌측면에 형성된 볼록부는 각각 우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하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중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우측면에 위치한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좌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과 우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에는 각각 하나의 오목부와 하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좌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상측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좌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하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좌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우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중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좌측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우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하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우측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상측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우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좌측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중상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우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좌상, 중상, 우상, 좌, 중 우, 좌하, 중하, 우하에 위치한 9개의 골판지 유닛을 조립하여 골판지 양생재가 서로 빈틈없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테이핑 등의 추가적인 작업 없이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살펴본 9개의 골판지 유닛이 확장되어 더 넓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을 덮을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넓이에 따라 골판지 유닛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개수가 늘어난다. 가운데에 위치하는 골판지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오목부와 두 개의 볼록부를 갖는다.
또한, 가운데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좌측, 우측, 중상, 중하에 위치하는 골판지 유닛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반면, 좌상, 우상, 좌하, 우하에 위치한 골판지 유닛은 종래와 동일하게 하나만 필요하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의 상호 연결은 도브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는 적어도 9개의 골판지 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골판지 유닛에는 도브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7a에서 살펴본 9개의 골판지 유닛이 확장되어 더 넓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을 덮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운데와 좌측, 우측, 중상, 중하에 위치하는 골판지 유닛의 개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넓이에 대응하여 증가한다.
도 6a 및 도 6b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조립형 골판지 양생재에 의하면, 양생재가 서로 빈틈없이 연결될 수 있어 양생재 시공의 작업시간 단축과 단열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양생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재사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양생비닐이 추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례를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따라 골판지와 양생비닐이 적용된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32)의 외부 표면에 하부 양생비닐(30a)이 포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양생비닐은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양생비닐(30a)은 초결 종료 후 콘크리트 구조물(32)의 표면에 씌워질 수 있으며, 하부 양생비닐(30a)의 상부에 위치하는 골판지가 콘크리트 표면부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골판지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하부 양생비닐(30a)의 상면에는 골판지가 부착된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면 라이너(22a)와 이면 라이너(22b) 사이에 골심지(28)를 삽입된 양면골판지가 여러 겹으로 부착될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세 개의 라이너(23a, 23b, 23c) 사이에 파형 형상의 골심지(28)가 각각 삽입된 이중 양면골판지가 부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이중 양면골판지가 여러 겹으로 구성되어 부착 가능하다.
도 8c 및 도 8d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골판지의 상면에는 상부 양생비닐(30b)이 포설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양생비닐(30b)은 강수나 강설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골판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는 골판지의 훼손을 막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면골판지가 여러 겹으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 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중 양면골판지가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본 발명이 상기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중골판지 등의 다른 골판지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살펴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에 의하면, 고가의 버블시트 대신에 저렴한 골판지 및 양생시트를 이용하여 설치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골판지와 양생시트를 합하여도 가격이 단위 제곱미터 당 700원 정도로서 버블시트보다 훨씬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대체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 간편하게 복수의 골판지를 끼워 맞춰 상호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해체가 훨씬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골판지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하여 단열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양생이 종료되기 전에 일부 층의 골판지를 먼저 제거하여 급격한 온도변화를 막을 수 있고 온도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버블시트와 달리 골판지는 밟아도 파손의 우려가 없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골판지의 단면 형상과 라이너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부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블리딩수가 마른 다음에 양생비닐을 먼저 포설함으로써 골판지 양생재의 수분흡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골판지 양생재의 단열효과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상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 형태로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2 단계;
    상기 타설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하부 양생비닐을 포설하는 제 2-1 단계;
    상기 하부 양생비닐의 상면에 골판지를 부착하는 제 3 단계;
    상기 골판지의 외부 표면에 상부 양생비닐을 덮는 단계;
    12일 내지 15일 동안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판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양생비닐의 상면에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두 겹의 부직포가 배치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골판지의 보온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상기 골판지가 부착된 외부 표면의 온도차를 최소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은 사각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은 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에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은 도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단계에서는, 상기 골판지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부착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이 종료되기 2일 전에 복수의 층을 이루는 상기 골판지 중 일부의 층을 제거하며,
    상기 제 3단계에서 부착되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는 모두 검정색으로 제작되고,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은, 표면과 이면에 배치되는 라이너 및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골판지 각각의 일면에 있는 상기 중간층에 형성되고, 상기 라이너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중간층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삽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골판지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골판지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라이너 및 상기 중간층은 내수 가공하여 제작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 중 상기 온도차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예상되는 부분에는 골심지가 다중 구조로 형성된 골판지가 부착되고,
    상기 다중 구조의 골판지는,
    표면 라이너;
    상기 표면 라이너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 양생비닐의 상면에 부착되는 이면 라이너;
    상기 표면 라이너와 상기 이면 라이너 사이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중간 라이너와 제 2 중간 라이너;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 라이너 및 상기 제 1 중간 라이너의 이격된 공간에 부착되는 제 1 골심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중간 라이너 및 상기 제 2 중간 라이너의 이격된 공간에 부착되는 제 2 골심지;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중간 라이너 및 상기 이면 라이너의 이격된 공간에 부착되는 제 3 골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골심지, 상기 제 2 골심지 및 상기 제 3 골심지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을 갖는 파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형 형상의 진폭은 0.35 ㎜ 내지 0.5 ㎜ 범위이고, 상기 복수의 산 중 하나인 제 1 산과 상기 제 1 산과 이웃하는 제 2 산 사이의 거리는 0.7 ㎜ 내지 1.0 ㎜ 범위이며, 상기 복수의 골 중 하나인 제 1 골과 상기 제 1 골과 이웃하는 제 2 골 사이의 거리는 0.7 ㎜ 내지 1.0 ㎜ 범위이고,
    상기 제 1 골심지의 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2 골심지의 골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골심지의 골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2 골심지의 산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골심지의 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3 골심지의 산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골심지의 골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3 골심지의 골이 배치되며,
    상기 표면 라이너의 상부에는 방수코팅액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하부 양생비닐 및 상기 상부 양생비닐은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골판지는 9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92037A 2014-01-02 2015-06-29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KR101584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98 2014-01-02
KR20140000198 2014-01-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727 Division 201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64A KR20150083064A (ko) 2015-07-16
KR101584035B1 true KR101584035B1 (ko) 2016-01-11

Family

ID=5388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037A KR101584035B1 (ko) 2014-01-02 2015-06-29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0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536A (ko) 2019-04-10 2020-10-20 현대건설주식회사 신슐레이트 재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시트
KR20210041417A (ko) 2019-10-07 2021-04-15 현대건설주식회사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시트 및 그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34B1 (ko) * 2015-10-27 2017-03-30 현대건설주식회사 부착식 단열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1963479B1 (ko) * 2016-09-12 2019-03-28 한국도로공사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KR102249098B1 (ko) * 2019-09-10 2021-05-07 주식회사 보타쉬 친환경 양면코팅 종이 상자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양면코팅 종이 상자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799A (ja) * 1999-03-24 2000-10-03 Hokuyo Paper Co Ltd 紙製養生シート
KR100665359B1 (ko) * 2005-10-07 2007-01-04 (주)화랑종합건축사사무소 종이 골판지를 포함한 거푸집패널
JP2013174047A (ja) * 2012-02-23 2013-09-05 Sakai Kagaku Kogyo Kk 寒中コンクリートの遮熱養生工法および遮熱養生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066A (ja) * 1992-06-12 1993-12-21 Ishizaki Sangyo Kk ダンボールシート
KR101240878B1 (ko) 2010-12-09 2013-03-07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응용한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콘트리트 온도차 저감 양생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799A (ja) * 1999-03-24 2000-10-03 Hokuyo Paper Co Ltd 紙製養生シート
KR100665359B1 (ko) * 2005-10-07 2007-01-04 (주)화랑종합건축사사무소 종이 골판지를 포함한 거푸집패널
JP2013174047A (ja) * 2012-02-23 2013-09-05 Sakai Kagaku Kogyo Kk 寒中コンクリートの遮熱養生工法および遮熱養生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536A (ko) 2019-04-10 2020-10-20 현대건설주식회사 신슐레이트 재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시트
KR20210041417A (ko) 2019-10-07 2021-04-15 현대건설주식회사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시트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64A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35B1 (ko)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US9499973B2 (en) Ecological building and insulation structural body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insulation structural body
CN206545287U (zh) 一种防水保温板
JP2011256536A (ja) 木造建築物の外壁構造
KR101721334B1 (ko) 부착식 단열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CN206418808U (zh) 一种应用于寒冷地区集装箱建筑内保温装饰一体化模块
KR100665359B1 (ko) 종이 골판지를 포함한 거푸집패널
BR112020014261B1 (pt) Elemento de cobertura para pisos suspensos, e sistema de piso suspenso
ES2640625T3 (es) Lámina de fibrocemento corrugada y aislada, y método para su producción
JPH0428322Y2 (ko)
KR100954977B1 (ko)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N210049419U (zh) 一种外墙保温板安装结构
CN202945827U (zh) 一种拼接游泳池
CN106401061A (zh) 一种新型环保建筑墙板
CN211228997U (zh) 一种混凝土预制墙板
JP2007262698A (ja) フラット屋根
CN201133028Y (zh) 一种新型的轻质隔墙板
CN105926838B (zh) 模块化木结构夹心被动墙板及墙体建造方法
CN205777061U (zh) 一种模块化木结构夹心被动墙板
KR101004750B1 (ko)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KR200496605Y1 (ko) 건축용 합지보드
CN219411379U (zh) 一种装配式建筑保温墙体
CN220203248U (zh) 一种双真空复合保温结构及保温型材
JP4931463B2 (ja) 型枠兼用外断熱パネル
FI123601B (fi) Seinärakenne ja menetelmä seinärakenteen valmista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